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관계

        봉초운(Bong, Chowoon),정윤화(Jeong, Yoonhwa),홍세희(Hong, S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통해 다문화가정 부모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부모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 양상,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행위자 효과 및 상대자 효과,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어머니의 결혼 상태가 조사기간인 5년간 기혼에 해당하는 가구의 어머니와 자녀 1,192쌍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와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점차 감소하였으나,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증가하였다. 셋째, 부모와 자녀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신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아졌고,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아졌다. 부모의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 및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사회적 지지 중 친구의 지지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친구의 지지는 자아존중감 변화율을 매개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율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를 상호의존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변수간 관계를 종단적으로 해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e sample subjects comprised 1,192 pairs of mothers and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changes in acculturative stress of both parents and children decreased over time. Self-esteem amongst parents gradually decreased, while the self-esteem of children increased. Parental self-esteem and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culturative stress. The self-esteem of parents influenced their children’s acculturative stress. Support provided by friends lowered the acculturative stress of children, which was in turn, mediated by self-esteem.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손한결,신나나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1) through 3rd grade in middle school (T6) wave (2011~2016)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Panel Study 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longitudinal stability over six waves. Second,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ha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only school adjustment on acculturative stress at the next wave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ources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호 영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T1, 2011년, 초등학교 4학년)부터 6차년도(T6, 2016, 중학교 3학년)까지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1,1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시기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 영향과 관련하여,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종단적으로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만 유의하였다. 셋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논의와 관련 정책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적 탐색

        김원영 ( Kim Won Young ),정나은 ( Jung Na E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의 시간에 따른 변화와 함께 잠재성장 모형을 통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다문화청소년 패널(MAPS)의 1차 연도 데이터에서 6차 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206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6년간 증가하였으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의 변화양상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초기치는 다문화청소년 자아존중감 초기치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변화율도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율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초기치가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 초기치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 초기치에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학교적응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 변화율은 학교적응 변화율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은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율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 초기치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의 증가 속도가 빠르고 초기 청소년기 학교적응은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실천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대책과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ver time,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latent growth modeling. For analysis, data from the 1st to 6th year of the MAPS conducted by the KYPI were acquired. A total of 1206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decreased over six years; however, the other variables did not have significant values. Second, the initial valu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the change rat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elf-esteem. However, the initial valu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ird,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ut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chool adjustment. Additionally, the change rate of adolescent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confirmed that the male students experienced more increases in self-esteem and that the female students adjusted quicker to school in early adolesc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methods for school adjustmen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school adjustment mediat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Data were obtained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ulturative stres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depression, however, nega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Depression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Also, acculturative stress showed negative influ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On the analysis results of mediation effect, depression and self-esteem are partially mediating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to increase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1. 연구배경 및 목적우리나라의 다문화가정은 매 년 증가하고 있으며, 다문화가정의 청소년기 자녀도 매 년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 청소년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학업생활에 어려움을 겪으며, 이러한 어려움은 학업중단으로 이어진다. 교육부(2019)의 현황자료에 의하면, 비다문화 청소년에 비해 학업중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중학생의 경우 다문화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율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기에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개입의 방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개인 내적 요인 중 위험요인인 우울과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기에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및 범위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하고 있는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MAPS)’의 6차년도 자료인 중학교 3학년 1,329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실시한 후, 측정의 적합도를 검토하기 위해 측정모형을 추정하고, 측정모형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예측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변수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총효과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분해하여 각 경로별 관계와 유의도를 살펴보았으며, 소벨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3. 연구결과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은 다문화청소년은 학교적응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으면 우울 수준이 높고, 자아존중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우울이 증가할수록 학교적응은 낮아지며, 자아자존중감이 증가할수록 학교적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며, 우울이 증가하면 학교적응은 감소한다. 반면에,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감소하며, 낮은 자아존중감은 학교적응을 감소시킨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승희(Yu, Seunghee)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0 디아스포라 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5차 연도(2015)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238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잠재변수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개념신뢰도(CR)와 평균분산추출(AVE)을 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측정변수에 대한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구조회귀모형을 검증함으로써 독립변수(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종속변수(우울), 매개변수(문화적응 스트레스) 간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잠재변수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변수들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직접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affected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ata was collected from 1,238 multicultural students using the 5th wave (2015)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For the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As a result, the higher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were, the lower depression was. Also, acculturative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reduced depression by lowering acculturative stress.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i.e., the hihger accuturative stress was, the higher depression wa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ecommended policy improvements to increase self-esteem and self-resilience, and to reduce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of mulicultural adolescents.

      • KCI등재

        노래심리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Pilot Study

        윤선영,강경선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울산 소재의 Y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들로 실험집단 5명, 비교집단 5명으로 유의표집 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2015 년 8월 24일부터 10월 9일까지 각 회기 당 40분 씩 주 2회, 총 14회기로 진행되었다. 14회기 실험기간 동안 실험집단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노 래심리치료를 받았으며 같은 기간 동안 비교집단은 기존에 학교에서 시행하던 독서시간을 가졌다. 실험 전 두 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와 자아존중감(Self-Esteem Inventor)을 측정한 결과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중재 후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유 의미한 효과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Mann-Whitney U 검정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비교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서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 중 총체적 자아존중감, 학교 내 자아존중감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래심 리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 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ong psychotherapy on the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en subjects from multicultural familie attending Y Elementary School in Ulsan were purposive sampled. The experiemental group was assigned into the song psychotherapy and the compared group into the reading class. The song psychotherapy was conducted total of 14 sessions from August 24 to October 9, 2015 with a 40-minute session twice per week.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the experiemental group received song psychotherapy designed to reduce acculturation stress and increase self-esteem, whereas the compared group participated in the old reading hours in school. It was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 two groups of acculturation stress(ASSIS) and Self-Esteem Inventory(SEI) for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two significant as a same group. The intervention of song psychotherapy program was followed by the Mann-Whitney U test to se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Mann-Whitney U test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steem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ed group. but in sub-a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self-esteem, school self-esteem. Therefore the results from the study suggested that song psychotherapy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acculturation stress and self-esteem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에 대한 종단적 탐색 :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김원영,정나은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4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학업성취의 변화궤적을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살펴보고 이 변수들이 상호 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다문화청소년 패널(MAPS)의 1차 연도(2011년) 데이터부터 6차 연도(2016)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1292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주요 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면 문화적응스트레스와 학교성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0.011/–0.079)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0.008)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간 인과 관계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스트레스 초기치는 자아존중감과 초기치와 변화율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아존중감 초기치는 학교성적 초기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 변화율은 학교성적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 학교성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자아존중감 변화율(β=-.159, p<.001)과 학교성적 초기치(β=-.088, p<.01)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확인되어 남녀 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3rd grade of junior high school influenced each other's variables. To analysis, data from the 1st to 6th year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1292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Concerning the changes in each variable, Acculturative stress decreased and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d(–0.011/–0.079) for six years but self-esteem increased for six years(+0.008).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First, the initial value of acculturative stres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self-esteem. Second, the initial value of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hange rate of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initial value and change rate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self-esteem(β=-.159, p<.001) and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β=-.088, p<.01).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손은영,서호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Multicultural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Eunyong Son & Hochan Se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2,246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second panel survey (1st year). As a result of the study, acculturation stres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by satisfying all the condi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As a result of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programs for multicultural youth who can reduce the stress of acculturation, increase their self-esteem, and escape from the stress of acculturation. Key Words: Multicultural Youth, Acculturation Stress, Adaptation to School Life, Self Esteem, Panel Study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손 은 영*ㆍ서 호 찬**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2기패널조사자료(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2,24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조사한 결과,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 과정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여 매개효과가 있다고 검증되었다. 결론 및 제언: 이의 결과로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핵심어: 다문화 청소년, 문화적응 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자아존중감, 패널연구 □ 접수일: 2022년 6월 10일, 수정일: 2022년 7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주저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지구경영학과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Univ. of Brain Education, Email: enyionglife@nate.com)** 공동저자,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교수(Co-author, Professor, Univ. of Brain Education, Email: hcseobravo@ube.ac.kr)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박동진,이지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the 6th year (2016) youth survey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MAP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We us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Sobel test was used to test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that acculturation stres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Second, the higher the acculturation stress, the lower the self­-esteem. Third, acculturation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eer relationship,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multilateral support to promote peer relationship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we also suggested efforts to reduce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providing programs to improve acculturation and self-esteem, and providing comprehensive support.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구축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의 6차년도(2016) 청소년 조사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비롯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교우관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교우관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데,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청소년의 교우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고, 이에 따른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한 노력, 문화적응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돕는 프로그램 제공, 종합적인 지원 제공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조기유학생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수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 of acculturative stress to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young Korean overseas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7 adolescents enroll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U. 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nstructed to include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xiety, self 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progra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hile acculturative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b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moderated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school life satisfaction mediated the influence of acculturative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estee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 of acculturative stress to young Korean overseas students' depression and anxiety. 본 연구는 조기유학생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중부 지역의 조기유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 우울 척도, 불안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그리고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총 107부의 설문지는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에 활용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조기유학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