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이 자퇴충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의 다중매개효과: 청소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손한결,김은혜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effect of cyber bullying experiences on the urge to dropou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among 3,431 high school students using 2018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yber bullying experiences, stress, depression and urge to dropouts among adolescents. Second, There wer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for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hird,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bullying experiences and the urge to dropouts, a multi-mediated effect was found in which stress and depression were sequentially partially mediate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 bullying experiences and the urge to dropouts, a multi-mediated effect was found in which stress and depression were sequentially completely media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eparing practical intervention plans for the prevention of urge to dropouts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 청소년인권실태조사의 2018년 데이터 중 고등학생 3,431명을 대상으로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이 자퇴충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의 다중매개효과를 청소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피해경험, 스트레스, 우울 및 자퇴충동 변인의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에서 남녀 청소년 모두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이 자퇴충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의 다중매개효과가 남학생의 경우,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자퇴충동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이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다중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사이버폭력 피해경험과 자퇴충동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우울이 순차적으로 완전 매개하는 다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추후연구에서 청소년 개인의 심리적 요인 이외에 가정, 부모, 학교 및 사회요인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고, 종단연구 설계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발달의 관련성을 살펴본다면, 청소년이 자퇴충동에 실질적인 개입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양립 이점과 갈등이 아동의 집행기능곤란과 자아존중감을 통해 그릿에 미치는 영향: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적용한 종단연구

        손한결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mediating path through which dual-earner parents’ work-family gains and strains affect grit through a child’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self-esteem. The study data from the 9th to 11th yea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s a result, first, the parents’work-family gains and the mother’s work-family strains influenced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econd,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ere found to remain stabl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T1) hurt self-esteem in the following year, also self-esteem(T2) hur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the following year. Thir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grit. Accordingly, policies for dual-earner parents’ work-family balance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a child’s executive function, self-esteem, and grit were presen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성취동기 간의 관계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손한결,김은혜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serial multiple mediating rol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or this study, 1,168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6th to 8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olescents during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 during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and achievement motivation during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al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via self-esteem during the 1st grade of high schoo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during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achievement motivation during the 2nd grade of high school. These findings provide a theoretical insight in to the mechanism and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influencing achievement motivation, by revealing the serial mediating role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elf-esteem.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성취동기 간의 관계에서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6차년도(T1, 2016, 중학교 3학년)부터 8차년도(T3, 2018, 고등학교 2학년)까지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1,168명을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직렬다중매개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 시기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성취동기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사회적 지지와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성취동기 간의 관계에서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직렬매개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종단적인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네 가지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을 중심으로

        손한결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청소년활동 참여 실태조사’의 2018년도 자료 중 고등학생 3,410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활동 만족도, 청소년활동 참여정도,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자아 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았고,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청소년활동 만족도와 참여정도에 영향을 받아 청소년활동 만족도가 높고 청소년활동 참여정도가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나타나청소년활동 만족도 및 참여정도는 청소년 주관적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the solutions to enhance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that affected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To this end,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argeting 3,410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 2018 data of the ‘Research on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Second,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had a direct effect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were effected by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level,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sense of community. Therefore, it could be seem that satisfaction of youth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youth activities level had an indirect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happiness of adolescents or as reference data for related policies.

      • KCI등재

        조부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부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학령기 남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손한결 한국보육지원학회 2017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Methods: A total of 217 5th and 6th grade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6 5th graders and 91 6th graders) and their fath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nam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influenced boy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i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t means that fathers who perceived their fathers' parenting behavior as more positive showed a higher level of positive parenting behavior, which led to a more positive school adjustment for their son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uncovered the pathways from grand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o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ir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n an aspect of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In addition,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school-age boys' school adjustment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facilitate fa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for school-ag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그릿,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학업 무기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손한결,김은혜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4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For this purpose, 2,438 adolescents were analyzed through Process Macro No. 14 model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second year of the first wav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As a result,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life satisfaction in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in male adolescents. In addi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helplessness in the effects of grit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only in male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improv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그릿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함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학업 무기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그릿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 무기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1코호트 제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438명의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14번 모형 분석을 통해 모델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남녀 청소년 모두 그릿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였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 무기력의 조절효과는 여학생에게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남학생에게서만 유의하였다. 또한, 그릿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 무기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남학생에게서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함께 남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전략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손한결,신나나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1) through 3rd grade in middle school (T6) wave (2011~2016)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Panel Study 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longitudinal stability over six waves. Second,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ha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only school adjustment on acculturative stress at the next wave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ources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호 영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T1, 2011년, 초등학교 4학년)부터 6차년도(T6, 2016, 중학교 3학년)까지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1,1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시기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 영향과 관련하여,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종단적으로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만 유의하였다. 셋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논의와 관련 정책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교양교육 질적 수준 분석 연구

        손한결,손복은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2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 대학 생활 및 시설의 우수성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 교양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 상은 경기도 소재의 A대학 재학생 756명이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의 교양교 육 중요성은 높게 인식되고 있고, 전반적인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적 경험은 보통 이상의 평균을 보였으나 수업에서 고차원 능력을 강조하는 하위영역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학습 성과에서 의사소통능력이나 대인관계능력은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 생활은 평균이 보통 미만으로 나타났고, 교수와의 교류가 학습자 간의 교류보다 더 빈번하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시설의 우수성에서 사이버교육시스템의 우수성은 가장 낮게 평가되었으 며, 마지막으로 모든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정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교육적 경험, 학습 성과 및 시설의 우수성이 교양교육의 전반적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생 교양교육의 설계와 운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gener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general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 learning outcomes, campus life, and facilities. For this study, data from 756 students of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was highly recognized and overall satisfaction on gener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Second, educational experience was above average, but the average for high-level abilities in class was relatively low. Third, the average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as relatively high in learning outcomes. Fourth, campus life was below average, and it was recognized that exchanges with professors were less frequent than exchanges between students. Fifth, perception of campus facilities, cyber education system was evaluated the lowest. Lastly, th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was positively high, and educational experience, learning outcomes, and campus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general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or as a reference for related policies.

      • KCI등재

        독립적인 두 탐색과제 간 시각적 유사성 결여가 초래한 표적 출현확률 효과의 전이 실패 현상

        손한결,박형범,현주석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8 No.4

        The probability of target presence in visual search influences search efficiency by changing the criteria for response-decision making, and this has been known as target prevalence effect (TPE). Our previous study observed that the TPE in one search task with varying target prevalence was transferred to the performance of the other concurrent search task. Specifically, the study found a transfer of the TPE when the search items were visually identical between the search tasks but differed in their target prevalence, but found no such transfer when they were visually dissimilar. The study accordingly pinpointed to a lack of visual similarity between the search tasks for the absence of the TPE. Nevertheless, the search tasks did not only differ visually, but also differed in the way each search task was defin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TPE can be transferred across two search tasks where search-relevant features of the search items were exactly identical to each other but their search-irrelevant features were visually dissimilar. The results showed no indication of a transfer of the TPE, suggesting that the TPE can only be transferable across the search tasks where their search items are visually and specifically similar to each other. 시각탐색에서 표적의 출현확률은 탐색반응 의사결정 기준에 영향을 주어 탐색 효율성을 변화시키며 이는 표적 출현확률 효과로 알려져 있다. 선행 연구는 표적 출현확률을 달리한 독립적인 두 탐색과제를 병행할 때 한 탐색과제의 표적 출현확률 효과가 다른 탐색과제 수행에 전이됨을 관찰했다. 특히 표적 출현확률 차이를 제외하고 두 과제가 시각적으로 동일한 탐색항목을 사용한 경우 이러한 전이 현상이 분명했으나 시각적으로 상이한 경우에는 전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선행 연구는 표적 출현확률 효과의 전이 실패에 대한 원인으로 탐색항목들 간의 시각적 비유사성을 지목했으나 이러한 해석의 배경이 된 두 탐색과제 사이에는 시각적 유사성의 결여만이 아니라 탐색과제 유형 차원의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탐색항목을 구성하는 세부특징 중 탐색과 무관한 세부특징은 시각적으로 상이하되 탐색과 직결되는 세부특징은 동일한 두 탐색과제를 실시해 표적 출현확률 효과의 전이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선행 연구와 같이 전이 효과의 부재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표적 출현확률 효과가 시각적, 구체적으로 유사한 탐색과제 간에 전이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