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기업의 지배구조와 자발적 공시

        김경옥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2 지역산업연구 Vol.45 No.3

        본 연구는 기업의 지배구조와 자발적 공시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한다. 공시(disclosure)는 기업의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정보이용자에게 보고하는 과정으로 기업과 외부정보이용자 간의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경영자 이익예측정보는 기업의 경영성과를 보여주는정보로 이해관계자들의 정보수요를 적시에 충족시켜줄 수 있으나 강제사항을 아니다. 기업의 구조는 소유권자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이들은 사회적 위치와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기업의 자발적 공시에 대한 가치도 다를 것이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20년까지를 표본기간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기업의 지배구조는 시장의 3대 주체인 기관투자자, 외국인투자자, 개인투자자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자발적공시는 경영자예측치 공시여부, 당해 공시횟수, 공시된 예측항목 수, 예측오차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관투자자지분율이 높은 기업은 자발적 공시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외국인투자자지분율이 높은 기업은 기업의 자발적 공시와 양(+)의 관련성으로 보였다. 반면에개인투자자지분율이 높은 기업은 기업의 자발적 공시와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경영자지분율의 경우 경영자지분율이 낮은 기업의 경우 기업의 자발적 공시와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경영자지분율이 높은 기업의 경우에는 기업의 자발적 공시와 음(-)의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기업의소유구조 형태에 따라 기업의 자발적 공시에 대한 가치도 달라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이해관계자들 뿐만 아니라 정책결정자에게 공시제도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제시한다.

      • KCI등재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행태

        김경옥(Kim, Gyeong-Ok)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經營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경영자소유권에 따라 자발적 공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경영자와 외부 주주간의 대리인문제에 대해 이해일치가설과 이익침해가설이 제기되어왔다. 이해일치가설은 경영 자지분율이 높을수록 정보 비대칭이 줄어든다는 가설이고 이익침해가설은 경영자지분율이 낮을수록 정보 비대칭이 줄어든다는 가설이다. 공정공시제도는 정보 비대칭을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경영자는 자발적공시를 함으로써 외부주주와의 정보 비대칭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이해일치가설에 따르면 경영자지분율이 높을수록 경영자는 정보 비대칭을 줄이기 위해 자발적 공시를 할 가능성이 높고, 이익침해가설에 따르면 경영자지분율이 낮을수록 경영자는 자발적 공시를 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대리인이론을 기초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의 행태를 조사하였다. 자발적 공시의 대리변수로 경영자예측치 공시여부, 공시횟수, 공시항목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영자가 일정수준 미만의 소유권을 가질 경우 이해일치가설과 일치하게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와 양(+)의 관련성을 발견한 반면, 경영자가 일정수준 이상의 소유권을 가질 경우 이익침해가설과 일치하게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간의 음(-)의 관련성을 발견하였다. 이는 대리인 이론 중 또 다른 가설인 절충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외부주주와 금융당국에 대하여 정책적 함축의미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management ownership on the voluntary disclosure behavior using a sample of listed companies in Korean securities market. the finance literature finds that levels of management ownership reflect two agency problems between managers and outside shareholders. First, there is a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Second, there is an entrenchment hypothesis. The fair disclosure regulations reduces information asymmetry.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manager is the more equity, the likely it will be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ntrenchment hypothesis, manager is the less equity, the likely it will be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three proxy of voluntary disclosure.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 non-monotonic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voluntary disclosure. Consistent with a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voluntary disclosure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within low regions of management ownership. The association is significantly negative within high regions of management ownership, as suggested by an entrenchment hypothesis. The non-linearity is consistent with the finance literature and with the prediction of agency theory. These evidence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voluntary disclosure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asymmetric information between managers and outside sharehold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자발공(自發功)행공수련의 심신치유 효과

        곽동열 ( Kwak Dong Yeol ) 한국자연치유학회 2014 Journal of Naturopathy Vol.3 No.1

        The developed programs of spontaneous Qigong naturally appearing in the particular Qigong state were practiced to 9 experimental subjects for 35 minutes in each session,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in-depth interviews about changes in mind and body after training program of spontaneous Qigong. In terms of mind and mental changes, excessive anxiety and worry have been relieved and depressive thinking was reduced. So, th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was improved. Subjects got confident and relaxed, and their personality was changed to be gentle. In terms of physical changes, subjects have experienced better digestion and changes in body weight. Their head has cleared up and they slept well. Their fatigue was relieved and physical strength was improved. Overall, they have experienced a vibrant life. In terms of changes in lifestyle and attitude, their living attitude became active and they lived an independent living in which their interest in training was growing. They maintained good posture and life preference became healthy. In terms of changes in thinking of themselves, since self satisfaction was growing and negative image was relieved, they considered themselves important. In terms of changes in thinking of their lives, they seemed to have the hope for their future and the desire to develop the mselves. In terms of chang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 people, they understood it in other people`s position and they thought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seriously. Thus, they got thoughtful consideration for other people, and then they experienced better relationship with others. In conclusions, it was shown that the spontaneous haeng gong training program had a diverse and remarkable cure effect on body, mind and general life. Since actions are simple, flexible and easy to learn and it will take a relatively short training period, it is thought that it is the curing method that helps those who live under the fierce competition in a harsh world to live a happy life in which body, mind and spirit are harmonized.

      • KCI등재후보

        심신치유를 위한 자발공(自發功) 행법의 기(氣)적 분석

        곽동열 ( Dong Yeol Kwak ),이형환 ( Hyung H Lee ) 한국자연치유학회 2013 Journal of Naturopathy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feeling of the developed motion of spontaneous Qigong naturally appearing in the particular Qigong state for mind and body therapy. For the spontaneous qigong exercise, there have been developed 5 types of Haenggongs (practical motions) for each of 6 levels, 30 Haenggongs in total. The types of developed Spontaneous Qigong were analyzed as the preparatory and arm haenggong, the front body haenggong, the leg haenggong, the abdominal haenggong, the back and head haenggong, the whole body haenggong and sugong levels. This is to harmonize the body and mind by connecting the whole body and moving the qi naturally. As the motions of spontaneous qigong are for the movement of qi, the muscle is contracted at the non-moving part and relaxed relatively at the moving part. The respiration is conducted with the danjeon (abdominal) breathing. The consciousness just follows the movement of arm. In the change of gi-feeling, the power of qi gets stronger when legs go up; the power gets weaker when legs go down. The first level is the preparatory and arm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mainly the both palms. The second level is the body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the chest, both rib sides and the lower abdomen. The third level is the leg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from the left leg and to the lower danjeon. The fourth level is the abdominal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around the lower danjeon. The fifth level is the back and head haeng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from the head to the tailbone. The sixth level is the whole body and sugong and its qi-feeling part is the whole body and the lower danjeon. In conclusion, the spontaneous qigong ha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movement of haenggong is based on the natural conducts which the start and the end are mutually connected. The qi is moved evenly around the whole body in six levels, maintaining the balance of qi or energy through the repetition of moving and stopping, bending and stretching, contracting and relaxing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t can be said the spontaneous qigong is the practice to circulate the energy in the body by establishing the specific form of spontaneous generation with the information of body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re coexisting.

      • KCI등재

        ‘공인’이란 누구인가?

        이승선 (사)한국언론법학회 2020 언론과 법 Vol.19 No.2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considered the plaintiff's social status in a libel lawsuits against the press. In lawsuits filed by public figures such as public officials, the principle of legitimate press activities has been applied. If the media coverage was justified, the court has a strong tendency not to hold the media responsible for defamation. It is hard to say that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accepted all the principles of the public figures and actual malice produced by that of the US. Nonetheless, it is admitted that it has accepted the principle of exempting the media from the responsibility for defamation against public figures. At present, in theories and precedents, public figures are called in various terms, including public person, public existence, public officials, celebrities and widely known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ypes of public officials based on several laws, including the Office of Investigation of Corruption in High-Level Public Officials Act and the Public Service Ethics A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classified candidates for public office elections, elected officials, political officials, and high-ranking officials under the statute as all-purpose public figures or limited-purpose public figures. And the study judged that even civil servants between grades 5 and 7 could be classified as “limited-purpose public figures”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ir work. The study, however, concluded that their privacy should be protected unless they are in matters of public concern, whether all-purpose public figures or limited-purpose public figures. 한국의 법원은 언론소송에서 피해자의 사회적 지위와 신분을 고려한 재판을 하고 있다. 공직자와 같은 공인에 대해서는 ‘정당한 언론활동의 법리’를 적용하고 있다. 언론보도가 악의적이거나 심히 경솔한 공격으로 현저히 상당성을 잃은 것이 아니면 명예훼손 책임을 면제하는 경향이 강하다. 실체법과 절차법 등의 차이를 감안할 때 한국 법원이 미국의 공인이론을 액면 그대로 수용했다고 보긴 어렵다. 그러나 언론의 명예훼손 보도에 대해 공인은 이를 더 많이 수인해야 한다는 공인이론의 줄기는 받아들였다고 본다. 그렇다면 공인은 누구인가? 학설과 판례에서 공인은 공적존재, 공적인물, 공직자, 유명인, 널리 알려진 사람 등 다양한 용어로 규정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공수처법’과 ‘공직자윤리법’, ‘형사사건 공개금지 규정’ 등 일련의 법령의 내용을 토대로 공인의 유형 분류를 시도했다. 선출직 공무원은 물론 공직선거 후보자, 정무직 공무원, 법령상의 고위 공직자 등을 전면적 공인 혹은 제한적 공인으로 분류했다. 5-7급에 해당하는 일부 공무원들의 경우에도 직무의 성격을 감안해 ‘제한적 공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연구자는 전면적 공인, 제한적 공인, 일시적 자발적 공인에 해당하는 사람들이라도 사안이 공적관심사가 아니라 내밀한 인격 영역의 사적인 것이라면 그들의 프라이버시는 반드시 보호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KCI등재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개인정보 보호 법제 및 개정 방향에 관한 검토 : 공·사 영역의 이분법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이서형(LEE, Seo-hyu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0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3 No.2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PIPA), which was revised in February 2020, permits the processing and use of pseudonymized personal data for purposes, such as statistics, scientific studies, and public archives, to promote the use of big data. This protection act does not require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s for this purpose. However, the rights of the data subjects, such as the right-to-know for secondary use or the right-to-object to the use of their data for profiling, have not been reinforced or protected. Can the revised PIPA protect the privacy within this so-called big data era? The concept of privacy is defined from a liberal perspective; it classifies the public and private domains based on dichotomy and protects the private domain from public domain interference. Privacy protection based on such a public-private dichotom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i) It isolates us from social relationships; (ii) we cannot have insight into others or the community; (iii) eventually, we will form our identities based on external forces and blindly seek self-realization; (iv) we aim for future goals while being confined to an isolated space, and are unable to constitute our lives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In reality, we are placed in a state of lower practice, in which we cannot obtain privacy and are attached by external forces. PIPA, which is based on public-private dichotomy, isolates the data subjects from the data processing at the time of consent and afterward. Furthermore, at the time of consent and thereafter, the act prevents the data subjects from examining the effects of data processing on others and the community. Assurances of personal participation allow the data subjects to raise questions on whether the processing of their data is appropriate while negotiating the data processing procedures. Nevertheless, data subjects can only raise issues regarding the problems recognized under a given condition in an isolated space. The revised PIPA and the Health Care Big Data Platform Pilot Project do not require consent from the data subjects concerning the processing of pseudonymized or health information; furthermore, they prohibit the disclosure of detailed explanations regarding this processing. Hence, it is recognized that in the big data era, the privacy of all individuals can be violated anytime without perception, and privacy protection can no longer be expected from the consent model built on public-private dichotomy. As the impacts of social relationships have become more apparent, an increasing number of attempts have been made to redefine the concept of privacy in terms of these relationships. For instance, proposals have been made to protect privacy by increasing the social value, considering the social contexts in which data subjects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or by establishing laws, thereby exercising political autonomy. Beyond such trends, an approach focusing on “spontaneous practice” should be implemented to release ultimately the powers that attach everyone. Through this, we decide to disclose certain information as having an insight into me, others, and the community’s order. At the same time, we constitute norms for privacy protection as changing 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community. This will help to free everyone from the powers that cut across our inner aspects and attach our thoughts and action in a manner that is compatible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Here, privacy is expected to function as “the state of being able to release attachment,” and “a condition of free life in which everyone has an insight into and embraces them, others and order, and practice spontaneously.” 올 2월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은 빅데이터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통계작성, 과학적 연구, 공익적 기록보존 등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가명정보로 처리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정보주체의 권리에 대해서는, 가명정보의 목적 외 이용에 대한 알권리나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처리에 대한 반대권 등을 강화하여 보장하지 않는다.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은 소위 빅데이터 시대에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을까. 프라이버시 개념은 공·사 영역을 이분법으로 분리하고, 공적 영역의 침해로부터 사적 영역을 보호하는 자유주의 관점으로부터 정의되었다. 이러한 공·사 영역의 이분법에 기초하는 프라이버시 보호는, ⅰ) 우리를 사회적 관계로부터 고립시키고, ⅱ) 타자와 공동체를 살피지 않도록 하며, ⅲ) 결국 외부의 힘에 따라 정체성을 형성하고 맹목적으로 삶의 실현을 향해 나아가게 하는 한계를 지닌다. ⅳ) 이처럼 우리는 고립된 공간에 갇혀 미래의 목적을 향하고, 사회적 관계 속에서 삶을 구성하는 찰나를 살지 못한다. 실질적 의미에서 프라이버시를 획득하지 못하고 외부의 힘에 사로잡히는 실천 부재의 상태에 놓이는 것이다. 공·사 영역의 이분법에 기초한 개인정보 보호 법제는 정보주체를 동의 시점과 그 이후에 걸쳐 자신에 관한 정보의 처리로부터 소외시킨다. 그리고 동의 시점과 이후의 정보 처리가 타자와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지 못하게 한다. 개인적 참여의 보장은 정보주체로 하여금 정보 처리 절차를 횡단하며 자신에 관한 정보의 처리가 적절한지 물음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여전히 고립된 공간에서, 주어진 조건에서 인식된 문제에 한하여만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개정된 개인정보 보호법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시범사업은 가명정보 또는 건강정보의 처리에 대해 정보주체로부터 동의를 획득하지 않음은 물론 그 처리에 관한 설명을 공개 등의 방식으로도 상세하게 알리지 않는다. 이는 빅데이터 시대에 프라이버시가 부지불식 간에 침해될 수 있음을 드러내고, 더 이상 공·사 영역의 이분법에 기초한 동의 모델에 기대어 모든 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기대할 수는 없다는 점을 인식하도록 한다. 사회적 관계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점차 프라이버시 개념을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재정의하려는 시도들이 증가한다. 가령 개인정보가 제공되는 특정한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거나, 시민이 정치적 자율성을 행사하여 법을 제정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자 하는 견해들이 제시된다. 이러한 흐름에서 나아가, 우리를 사로잡는 힘으로부터 궁극적으로 벗어나기 위해서는, 자신과 타자와 공동체의 질서를 살피며 삶을 자율적으로 구성하는 가운데 정보의 공개를 결정하고, 동시에 타자, 공동체와 관계를 맺으며 프라이버시 보호 규범을 구성하는, ‘자발적 실천’에 주목하는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는 기술의 발달에 따라 내면을 가로질러 생각과 행위를 구속하는 힘으로부터의 해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리고 이때 프라이버시는 ‘구속에서 벗어날 수 있는 상태’, ‘모든자가 자신과 타자와 질서를 살피며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자유로운 삶의 조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 KCI등재

        소주천 수련의 과정과 의미탐색

        강유원,김이수,유영준 한국체육철학회 2011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eaning of Sojuchun training and to divide Sojuchun training into stages by analysing in-depth interviews of trainers who experienced Sojuchun during Juchungong training. As a result, the stages of Sojuchun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stages. They are entering - accumulating Qi - occuring spontaneous mobility of Qi - going through three gate of Qi - and going through Im ·· Dokmak. Based on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spontaneous mobility of Qi, Uinyumjuchun which is done through trainers' conscious effort seems to be a training to facilitate the flow of three gate of Qi before going through three gate of Qi. The experience during the training is divided into physical experience, spontaneous mobility of Qi and psychological experience. First, physical experience is acquired through long years' experience. It is physical experience such as touch, taste, smell, hear and etc. Second, spontaneous mobility of Qi can be explained by sense of Qi, such as the existence of Qi, and the feeling of QI moving. Third, psychological experience is feeling confidence, fear, ecstasy and being immersed or in other words, being in the state of Ipjung. All these experiences are natural phenomenons due to strengthened Qi and smoothed blood circulation of Qi through Juchungong training. However, these experiences come and disappear. Therefore, Juchunghong is considered to be train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ealth, self reflection, and self development. Similar Physical experiences, sense of Qi and psychological experiences were found in previous studies also. So the trainers' feeling and the way of expressions should be subjective. This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stern culture and physical culture of East. Therefore more studies should be proceeded to help trainers and readers better understand by approaching more specifically with in-depth analyses on diverse phenomenons. 이 연구의 목적은 주천공의 수련단계 중 소주천(小周天)을 경험한 수련자의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하여 소주천 수련과정을 단계화하고, 소주천수련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소주천 단계는 입문―축기―기의 자발적 운동―삼관유통―임독맥유통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구분에 있어서 기의 자발적 운동성 유무를 기준으로 수련자의 의식적인 노력을 통한 주천, 즉 의념주천은 삼관유통 이전의 삼관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수련이라고 판단된다. 수련과정에서 경험하는 체험은 ‘신체적 체험’과 ‘기의 자발적 운동(기감)’, 그리고 ‘심리적 체험’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신체적 체험은 수련에 의한 연공반응으로써 촉각, 미각, 후각, 청각 등의 신체적인 체험을 의미하며, 둘째 기의 자발적 운동은 기 자체의 존재감, 이동하는 느낌 등의 기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심리적 체험으로는 몰입상태, 즉 입정상태, 자신감, 두려움, 황홀경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체험들은 주천공 수련을 통해 기가 강화되고 기혈순환이 원활해짐에 따라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체험들은 수련과정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들로 주천공은 건강증진, 자아성찰과 자아계발 등의 목적을 위해 수련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이 연구에서 나타난 신체적 체험, 기감, 심리적 체험은 선행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데, 참여자의 느낌과 표현 방식은 주관적인 표현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 주관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는 것은 동양문화와 동양의 신체문화가 갖는 특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향후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들을 심층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수련자와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한진수,황규영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5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if the‘fair disclosure system’affects positively on the earningsmanagement by analyzing difference of earnings management pattern between the forecastsdisclosure firms and the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The sample consists of firms listed onKorean Stock Exchange from 2002 to 2011. And the fair disclosure system was taken effect inthis period. We divided the sample into forecast disclosure firms(issuing annual earnings forecast disclosureat least once for 10 years) and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And we also tested if there is anydifference between forecasts disclosure firms and non-forecasts disclosure firms in the level ofearnings management. Earnings management was measured by Real Activity EarningsManagement(RM) and Accruals based Earnings Management(AM). Furthermore, this paperinvestigates the effect of forecasts disclosure year and forecasts disclosure frequency on theearnings management pattern(RM and AM).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forecasts disclosure firms exhibit lower RM than the nonforecastsdisclosure firms significantly.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AM level between the twogroups. And the results show that RM is relatively low and AM is high in both case of forecasts-disclosure-year and high-disclosure-frequency firm.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RM affects negatively on the long-term value of firms. Consideringthis point of view about RM, it seems that our results support the fair disclosure system. Becausethe fair disclosure system induces firms disclose information voluntarily and minimize RM whichis negative device about earnings management. And that system induces forecasts disclosure firmsprefer to use AM(less negative device about earnings management) when they want to manageearnings. 본 연구에서는 경영자가 자발적 이익예측공시(공정공시제도를 통한 공시)를 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에 이익조정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함으로써 공정공시제도가 이익조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유가증권시장에 주권을 상장한 기업이며 분석대상기간은 공정공시제도가 시행된 2002년부터 2011년까지 10년간으로 하였다. 분석대상기간 10년 동안 한번이라도 이익예측공시를 한 기업(공시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비공시기업)을 구분하고 이들 그룹 간에 이익조정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익조정 행태는 실물활동이익조정과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나아가 공시기업만을 대상으로 하여 공시연도 여부와 공시빈도가 실물활동이익조정과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이익조정에 차별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시기업은 비공시기업에 비하여 실물활동이익조정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공시기업만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분석을 행한 결과 공시연도이거나 공시빈도가 높을수록 실물활동이익조정이 유의하게낮게 나타났으며 재량적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물활동이익조정은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성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를 감안하여 보면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를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물활동이익조정은 억제하는 경향이 있어서 공정공시제도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자발적인 이익예측공시를 하는 기업들은 이익조정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기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적은 조정수단인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을 이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