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영면적 계산에 의한 일조일사량 예측에 관한 연구

        김용이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9 No.4

        일조량과 일사량의 척도가 되는 일조시간을 예측하는 데에 결정적인 요소는 일영이며, 일영의 형상과 면적에 의하여 일조유입과 일조차단이 판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기준 분석법과 면기준 분석법에 따른 일조시간 예측이 일치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경우를 기하학적으로 밝혔다. 또한, 실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일조시간 예측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밝혔다. 연구결과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점기준 분석법이 누적일조시간 계산보다 연속일조시간 계산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면기준 분석법은 점기준 분석법보다 일조차단과 일조유입의 판단 변화가 적다. The critical factors for predicting solar access hours, which is a measure of sunshine and solar radiation, are cast shadows, and the shape and area of shadows determine whether solar access is blocked. In this study, it was proved when the results of two approaches, point-based approach(PBA) and the area-based approach(ABA), are geometrically identical. In addition, it was shown how they affects the solar access forecasting through case studies on real buildings. Some of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PBA has a greater effect on the calculation of the continuous solar access hours than that of the cumulative solar access hours. ABA has a fewer sudden change in determination of solar access than ABA.

      • KCI등재

        기존 아파트 단지의 채광 환경 실태와 채광률 향상을 위한 새로운 계획 방향

        이장범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1

        주거 단지에서 거주 환경의 질적 요구가 최근 더욱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주택법 제16조에 따라 사업승인 받는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주택성능 등급 평가 제도가 도입되어 실시되고 있다. 주택성능 평가 제도의 항목 중에서도 일조(빛 환경)는 적극적으로 계획, 반영하여야 하는 중요 항목으로 우리나라도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친환경 평가 인증 제도를 통해 빛 환경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적절한 일조계획과 각 방위각별 빛 환경을 향상시킴으로서 주거 공간의 에너지 절약, 환기, 유해 물질의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 채광률의 기준과 개념을 이해하고 일조와 채광률과 비교분석을 통해 기존 아파트 단지의 빛 환경 실태를 방위각별로 파악한다. 또한 인동거리 배치 아파트 계획안을 대상으로 주동의 배치를 동, 서 그리고 ‘ㅁ’자 방향으로 배치하고 각 방향의 주동에 의해 채광률에 영항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아파트 단지를 일영특성 배치를 통해 다시 계획하고, 이 계획안에 대한 채광률을 방위각의 변화를 통해 계산하여 일조시간과 채광률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일조 상태와 빛 환경 상태에 대하여 일차적으로 비교 분석한 것으로 가장 흔하게 계획되는 ‘=’형 또는 ‘ㅁ’자형에 준하는 배치를 대상으로 채광률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일조시간과 빛 환경과의 연관 관계를 분석하고, 현재 실시하고 있는 주택성능등급기준 기준을 인동 거리 배치 기준에 의해 계획된 단지를 대상으로 방위각별 빛 환경의 변화를 분석한다. 이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현재 빛 환경 기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빛 환경에 중요한 일조시간과 빛 환경을 비교 검토하여 실질적으로 빛 환경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과 차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는 것을 본 연구의 범위로 하였으며, 이 제안에 대안 세부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준 설정에 대한 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아파트 단지의 일조환경 실태 연구

        이장범(Lee, Jang-Bum)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3차원적인 일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상형과 탑상형의 기존 아파트 단지의 일조 현황 실태를 일차적으로 분석하고 일반적인 주택 배치를 현행주택법을 적용하여 단지계획을 하는 경우에 일조 상태가 어떠한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동안 우리 아파트 계획의 대부분을 이루어 온 판상형 아파트 단지가 나름의 장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조, 조망 그리고 경관이 건축적, 도시관점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켜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판상형과 탑상형의 일조 특성에 따른 장단점과 일조관련 현행법 규정의 한계를 분석, 파악하고 판상형의 일조적 단점을 보완해줄 대안으로서의 탑상형 아파트의 계획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의 범위가 한정되어 분석된 결과이므로 탑상형의 일방적인 계획이 아닌 판상형의 장점과 탑상형의 장점을 살린 주동 계획의 연구, 또한 탑상형의 주동 평면 형식별로 다양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일조, 조망, 도시경관을 적극적으로 고려한 계획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부산시 주택재개발사업 계획안 일조환경분석에 관한 연구

        이태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1

        본 연구는 주택재개발사업에서 일조환경의 개선을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12곳의 주택재개발 프로젝트를 일조 프로그램인 Sanalyst를 통해 3D일조 시뮬레이션 분석을 했다. 오늘날 아파트단지계획에서 탑상형 주거는 점차 증가추세이고, 우리는 Y자형, W자형, L자형 등 많은 탑상형 사례들을 발전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건축가들은 아파트단지를 계획함에 있어 기존의 방식인 최소 이격거리만으로 디자인을 하고 있다. 사례연구결과에 따르면 탑상형 주거의 배치오류는 일조환경의 아파트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건축가는 초기 디자인 단계부터 일조만족방위각에 의한 타워형 아파트를 디자인해야 한다.

      • KCI등재

        판상형 아파트와 탑상형 아파트의 이격거리와 주동배치에 따른 일조분석

        이정재,김승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판상형 아파트와 탑상형 아파트의 이격거리와 주동배치에 따른 일조환경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시뮬레이션은 이격거리가 1.0H, 0.7H, 0.5H로 변경되었을 때 직각배치, 사선배치, ㅁ자배치에 대해 일조해석프로그램인 Sanaly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이격거리가 멀수록, ㅁ자 배치인 경우 일조시간을 확보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그림자 분석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건축물별 일조량 산정 -경산시를 사례로

        김도령 ( Do Ryeong Kim ),김성재 ( Sung Jae Kim ),한수희 ( Soo Hee Han ),조명희 ( Myung Hee J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1

        급격한 산업의 성장과 그로인한 환경 문제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사용의 규제와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이와 관련한 정책 지원 및 관련분야의 연구가 수행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에너지자원의 활용 면에 있어 지역적 제약이 적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태양광에너지의 활용이 증가 하고 있다. 이는 국민들의 태양광에너지의 활용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태양광에너지발전의 주요 영향인자인 일조량을 그림자 분석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건축물 별로 산정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경상북도에 위치하고 있는 경산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경산시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위해 기 구축된 수치지형도에서 등고선과 표고점을 추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생성한다. 또한 건축물 별로 구성되어 있는 도로명 주소 데이터를 활용하여 Raster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건축물 데이터와 DEM의 합성을 통해 DSM(Digital Surface Model)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DSM을 기반으로 태양의 위치에 따른 그림자의 이동 및 변화탐지를 분석할 수 있는 그림자 분석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그림자 정보를 정량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한 그림자 정보를 바탕으로 일조시간을 산정하고 이를 가조시간과의 계상을 통해 건축물별 일조량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산정된 일조량은 공공기관, 민간, 산업체 등에 정량화된 일조량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에너지를 활용하기위한 의사결정지원의 기반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태양광에너지 활용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greenhouse gas emissions have been increasing in the world, global warming is being recognized as a cause of the global problems like climate change. This is closely associated the fossil fuels. Thus renewable energy has been brought to the attention of many people as the upcoming alternative energy source to cope with the fossil drain and increased environmental regulations. Especially, the solar energy among renewable energy has drastically increased. In this study, we calculate on daylight ratio about the solar energy for buildings based on digital surface model. The digital surface model was made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data. And it was simulated the shadow analysis using SAS. Therefore, it was suitable places to utilize the solar energy in the Gyeongsan city. Consequently, the daylight ratio was considered important factor to select region of the industry of the solar light power generation.

      • KCI등재

        안동농협공판장 출하지역 기후변수가 사과출하량(액)에 미치는 영향

        신인식,김기환 한국협동조합학회 2018 韓國協同組合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안동농협 공판장 출하지역의 기후변수가 사과출하량 및 출하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05년부터 2016까지 기후변수(강수량, 일조시간, 평균기온)와 사과 출하량 및 출하액의 연관성 검증을 위해 패널분석과 충격반응함수 및 분산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 모형 분석 결과, 사과 출하량및 출하액에 일조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출하액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충격반응함수 분석 결과, 일조시간만이 사과 출하량 및 출하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적으로 출하량에 더 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산분해 분석 결과, 일조시간은 시간이 지날수록 사과 출하량 및 출하액에 주는 영향이 지속적으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결국 평균기온, 강수량, 일조시간의 기후변수 중에는 사과의 출하량 및 출하액과 관련하여 일조시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일조시간을 통한 고품질 사과생산은 사과의 출하액 상승을 보일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출하량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농협지도사업은 사과주산지의 일조시간 변화에 맞는 품종개량과 재배방법지도에도 주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limate variables and trading volume of apples in the Andong wholesale market using cointegration testing, impulse- response function, and panel analysis. The sample period in this paper ranges from 2005 to 2016. In short,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the number of daylight hours influences apple production and shipments, and the day light hour sincreased overtime. In combination with the variables of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e number of daylight hours significantly affected apple production. Therefore, the guidance business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 varieties of apples and providing guidance on the best cultivation methods to meet the changes in hours of dayligh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의 일조, 일사 및 조망분석 도구의 개발과 적용

        김용이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0 No.1

        Environmental issues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s in housing design for a few decade. Pursuits for comfortable environment have been increased from sunshine duration to views recently. This implies that evaluation tool consists of various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And it is devoted to support decision-making at the design st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sent environments visually which will be made by building geometry. In order to evaluate solar access, irradiance, and views, various spherical projections were also developed and applied to site analysi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 연구 경향 분석

        강진구(Kang, Jin-gu),김성철(Kim, Sung-chul)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연구들이 어떤 대상과 주제로 연구되어 왔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재외동포’와 ‘코리안디아스포라’를 검색어로 1차 자료를 추출 하였고, ‘문학’을 결과 내 검색으로 597편의 학술지 논문과 82편의 학위논문 초록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R프로그램의 “KoNLP”, “WordCloud2”, “qgraph”, “topicmodels” 등의 패키지를 사용해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 연구는 한글 문학과 한글 문단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들어 재일조선인 작가나 재미 동포 작가들의 현지어 작품 등이 중요한 연구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여전히 양적 측면에서는 한글 문학과 문단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빈도수 분석 등을 통해 입증하였다. 둘째, 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의 핵심적 주제인 정체성 연구는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 연구에서도 여전히 중심적인 주제로 다뤄지고 있었다. 셋째,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 연구는 큰 틀에서 한민족 통일문학사란 틀에서 논의되고 있지만, 미주 거주 동포문학의 경우는 한국문학이란 범주보다는 소수자문학으로써 ‘한국계 작가’라는 범주에서 논의되는 특징을 보인다. 넷째, 초기에는 주로 민족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되었지만, 최근에는 정체성이나 언어, 그리고 코리안디아스포라들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과 사회에 대한 연구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초록을 수록하지 않은 논문들과 저서들을 제외함으로써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 연구 전체를 조망하기에는 한계를 갖지만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해 연구 경향을 조망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thesis aimed to analyze the objects and subject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through text mining.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our analysis. First, Korean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revolves around the identity problems represented in those literary works. Identity problems are the main topic of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which was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words. Second, Korean diaspora literatu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with regard to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the Korean literary circle. Although English or Japanese works written by Korean American and Korean Japanese authors have emerged as a subject of study, Korean language works are still quantitatively much more overwhelming. Third, this research, which focused on Korean Japanese literature,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Korean American literature found that Korean Japanese literature has been studied most, followed by Korean Chinese literature, Koryo-saram literature and Korean American literature. The subjects of research are included in the large category of Korean literature. However, research of Korean American literature has some distinctive properties in that it has been studied in the frame of authors of Korean descent rather than within the category of Korean literature. Fourth, early Korean diaspora research mainly focused on ethnic issues in Korea, but the discourses have been expanding to identity problems, language, and a study of the districts and society where the Korean diaspora has lived. This thesis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it excludes essays and other work that have no abstracts, making it difficult to gain a fuller picture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research, but it has great significance in attempting to analyze the trends of these studies statistically through big data analy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