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주택가격의 장・단기 영향요인 분석- 시장규모 및 시장특성을 고려하여

        조생량,박정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This paper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China's housing markets, attempting to analyze the short and long-run influence factors of housing price. In order to analyze the existence a long-run relationship of the theoretical model, we perform Johansen cointegration, and ARDL Bounds test. Additionally, DOLS and FMOLS analysis performs to determine long term vectors. To analyze the short-run influential factors,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and generalized variance decomposition techniques are employed. Long-run relationships have been identified on all models. For the long-run vectors, the positive influence of income and household loans and the negative influence of stock prices are mostly identified in the model. However, interest rates and housing stocks show little significant results. We found that in the short-run, the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effect of stock prices is confirmed in the first-tier cities. Upward-tire cities and household loans is significant results in second- and third-tier cities Shock levels at all sizes have been confirmed for up to 20 months. The results of the generalized variance decomposition support the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In our finding, long and short run influence on housing Price are different. In the long-run, the theoretical influences are identified, but in the short-run , the major factor is upward-tire cities. The results emphasizes that to establish short and long-run different policy is important. 본 연구는 중국 주택가격에 대한 장단기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수행한다. 장기관계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요한센 공적분 외에 ARDL bound test를 추가하고, 장기벡터 확인을 위해 DOLS 및 FMOLS 분석을 수행한다. 단기영향력은 변수나열순서와 무관하게 일관적 결과를 도출하는 일반화 충격반응 및 일반화 예측오차 분산분해를 수행한다. 장기분석결과, 모든 도시규모에서 장기관계가 확인되었다. 장기벡터의 경우 소득과 대출량의 정(+)의 영향력과 주가가 부(-)의 영향력이 대부분 모형에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자율과 주택재고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가 많지 않아 장기에 있어서 주택가격에 대한 영향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분석결과, 일반화 충격반응함수의 경우 일선도시는 주가의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선도시와 삼선도시의 경우 일차 상급도시 및 대출량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모든 규모에서 충격은 20개월까지 이어짐이 확인되었다. 일반화 예측오차분산분해의 결과는 충격반응함수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연구결과 장기와 단기에 주택가격 결정에 대한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기의 경우 이론적 요인이 제한적으로 부합하고 있지만 단기에는 주요요인이 차상위 도시의 변동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정책수립 시 단기와 장기에 구분되는 방법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 KCI등재

        중국 주택가격의 장・단기 영향요인 분석

        조생량(Zhao Shengliang),박정일(Park Jungil)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중국 주택가격에 대한 장단기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분석을 수행 한다. 장기관계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요한센 공적분 외에 ARDL bound test를 추가하고, 장기벡터 확인을 위해 DOLS 및 FMOLS 분석을 수행한다. 단기영향력은 변수 나열순서와 무관하게 일관적 결과를 도출하는 일반화 충격반응 및 일반화 예측오차 분산분해를 수행한다. 장기분석결과, 모든 도시규모에서 장기관계가 확인되었다. 장기벡터의 경우 소득과 대출량의 정(+)의 영향력과 주가가 부(-)의 영향력이 대부분 모형에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자율과 주택재고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가 많지 않아 장기에 있어서 주택가격에 대한 영향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기분석결과, 일반화 충격반응함수의 경우 일선도시는 주가의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선도시와 삼선도시의 경우 일차 상급도시 및 대출량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모든 규모에서 충격은 20개월까지 이어짐이 확인되었다. 일반화 예측오차분산분해의 결과는 충격반응함수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연구결과 장기와 단기에 주택가격 결정에 대한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장기의 경우 이론적 요인이 제한적으로 부합하고 있지만 단기에는 주요요인이 차상위 도시의 변동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정책수립 시 단기와 장기에 구분되는 방법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This paper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China s housing markets, attempting t analyze the short and long-run influence factors of housing price. In order to analyze the existence a long-run relationship of the theoretical model, we perform Johansen cointegration, and ARDL Bounds test. Additionally, DOLS and FMOLS analysis performs to determine long term vectors. To analyze the short-run influential factors,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and generalized variance decomposition techniques are employed. Long-run relationships have been identified on all models. For the long-run vectors, the positive influence of income and household loans and the negative influence of stock prices are mostly identified in the model. However, interest rates and housing stocks show little significant results. We found that in the short-run, the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effect of stock prices is confirmed in the first-tier cities. Upward-tire cities and household loans is significant results in second- and third-tier cities Shock levels at all sizes have been confirmed for up to 20 months. The results of the generalized variance decomposition support the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In our finding, long and short run influence on housing Price are different. In the long-run, the theoretical influences are identified, but in the short-run , the major factor is upward-tire cities. The results emphasizes that to establish short and long-run different policy is important.

      • KCI등재

        동북아시아 3개국간 경제적 연계성 분석

        박갑제 ( Kap Je Park ),김영재 ( Young Jae Kim ) 한국경제통상학회 (구 한국경상학회, 한국국민경제학회) 2012 경제연구 Vol.30 No.1

        본 연구에서는 Dees et al.(2007)의 Global VAR모형을 개편하여 한국, 중국, 일본의 동북아시아 3개국의 경제적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구축된 Global VAR모형은 33개국의 내생변수와 글로벌 외생변수로서 유로달러금리와 원유가격을 포함한다. 글로벌 차원에서 일반화 충격반응분석의 결과를 보면 일본의 인플레이션 충격에 대해 한국의 실질소득이 증가하여 일본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한국의 대일 경상수지가 개선됨을 나타내었고, 중국과 일본은 전통적 유량접근법에 따라 실질환율의 경상수지 개선효과가 있었으나 한국의 경우 환율과 소득의 관계가 현대적 자산시장접근모형을 따르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원유가격 충격에 대해 초기에는 중국에서 해외물가인상과 유사한 효과를, 시간이 지나면서 생산비를 인상시켜 공급충격과 같은 효과를 보였다. 해외금리 충격에 대한 이자율의 반응을 보면 소국 개방경제인 한국의 금융시장은 인접한 경제대국인 중국과 일본에 연계되어 있으며, 경제대국인 일본의 금융시장은 글로벌 시장에 강하게 연계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금리충격에 대한 환율의 반응은 중국과 일본의 경우 경직적 물가의 자산시장접근법과 같은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은 신축적 물가의 자산시장접근법의 관계를 보인다는 사실을 지지하였다. This research revises Dees et al.(2007)`s Global VAR model to analyze economic linkages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Northeast Asia. Our Global VAR contains endogenous variables of 33 countries and Eurodollar rate and crude oil price as global exogenous variables. The main findings of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analyses from the Global VAR are as follows: The real income of Korea positively responds to the inflation in Japan, so that Korea`s current balance would be improved against Japan by Japanese inflation. Real exchange rates of China and Japan may improve current account like as on conventional flow approach,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rate and real income would be consistent with modern asset market approach in Korea. The shock to oil price affects China as abroad inflation in the initial stages, but it works overtime as the impact on supply side. The responses of interest rates to abroad interest rates show that the financial market of Korea, a small open economy, is connected to China and Japan, large economies, while Japanese market sensitively responds to global market. The exchange rates of China and Japan respond to shocks on interest rates like as on modern asset market approach under constant prices, while Korean exchange rate responds like as on that under flexible prices.

      • KCI등재

        국내 주택매매가격 변동의 특징과 주요 거시경제변수와의 상호작용

        차경수,황상연 한국은행 2013 經濟分析 Vol.19 No.4

        In this paper, we identify the main features of the Korean housing cycle by disentangl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unobserved factors driving the fluctuations of house prices. We also analyz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ousing sector and the macroeconomic conditions. Our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s house prices have been mainly driven by the local (region- or city-specific) component. Name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enceforth, SMA), the region-specific featur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ity-specific features. In the non-SMA, the latter is more important. Secondly, we find that the impacts of interest rate and output shocks on house prices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rigin of the shocks. Interest rate shocks driven either by the market or monetary policy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house prices. However, the monetary policy alone cannot be the main driver of the house prices fluctuations. In addition, while output shocks causing the interest rates to fall tend to increase house prices, output shocks increasing the interest rates might decrease house prices. Finally, the housing sector disturbances are less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of Korea's business cycle than in other major countries. However, since housing demand shocks affects consumption and private credit, there may exist collateral and wealth effects of house prices in Korea. 본고는 국내 주택매매가격과 주요 거시경제변수와의 상호작용을 실증분석 하였다. 동태은닉인자모형에 기초한 우리나라 주택가격의 변동성은 지역특성에 크게 영향 받으나, 전국적인 주택가격 급등락이 발생하는 시기에는 주택가격 변동성에 대한 거시환경의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수도권은 권역적 특성이, 비수도권은 개별 도시의 특성이 지역성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자율 및 산출량 충격이 주택시장에 미친 영향은 충격의 성격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율 충격은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나, 통화정책 부문 보다는 비통화정책 부문에 기인한 이자율 변동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자율 하락을 동반하는 산출량 충격은 소득효과와 함께 차입비용 감소의 영향으로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나, 이자율 상승을 초래하는 산출량 충격은 중기적으로 주택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변동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주택가격의 변화를 초래하는 충격의 속성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 상승을 동반하는 주택시장 수요충격은 민간소비와 민간여신 등에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주택가격의 담보효과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영향이 실물경제 전반적인 생산량 증대로 파급될 만큼 크지는 않았다. 반면, 주택시장 공급충격에 의한 주택가격 변화는 실물경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KCI등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Korea’s Economy

        Shin-jae Kang(강신재)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6

        본 연구는 MWald(Modified Wald) 검정 계량기법을 이용하여 수출과 경제성장(GDP) 간의 인과관계에 대해서 실증분석 하였다. 검증 결과 수출에서 경제성장(GDP)으로의 뚜렷한 인과관계가 나타난 반면, 경제성장에서 수출으로의 인과관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MWald 검정 결과에 대한 강건성(robustness)을 위해(즉 장기적 측면의 인과관계와 상관성이 높은지 정도를 검토하기 위해) 백터오차수정모형(VECM)과 일반화충격반응함수(GIRA) 계량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결과 경제성장(GDP)과 수출 간의 양방향의 인과관계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추정 결과가 수출이 성장을 유도한다는 수출주도성장가설과 일치하는 것이지만, 이전 문헌 대부분의 결과들은 수출과 성장 간에 양방향 관계가 존재하는 것이어서 본 연구결과와 상이하였다. 이같은 차이점들은 서로 다른 표본데이터, 변수 및 시차선정, 추정 계량기법, 모형선택, 변수누락 등의 사용에서 비롯되었고, 이는 인과관계 검정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기인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한국경제가 그간 구사했던 수출주도형 경제발전 전략이 여전히 유효한 정책수단이 될 수 있고, 향후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해외 수출시장 개척의 중요성을 암시한다. 또한, 최근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발전전략을 수출주도형에서 내수주도형으로의 전환 모색을 시도하는 정책입안자들에게 본 연구의 결과를 다시 한 번 곱씹을 만하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empirically to illustrate caus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ut(GDP) growth and exports in the Korea’s economy. For this aim, based on Modified Wald test, the result of the paper is to have a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exports to GDP. However, this result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bidirectional causality of previous studies on the Export-led growth for Korea. The dissimilarity might be attributed to different observation data, various variables, and use of different econometric methodologies. The model selection and omitting variables can also significantly change the results of causality testing.

      • KCI등재

        주택가격과 거시경제: 구조적 VEC모형

        최희갑 국토연구원 2013 국토연구 Vol.79 No.-

        We identifies the dynamic relations between house price and macroconomic variables based on a vector error-correction model of a small open economy developed by Garratt et al.(2006). The dynamics of the short run are constrained only by adjustment to the long run equilibrium within a structural vector error-correction model and the long run equilibrium relation is derived from an dynamic optimization model. Using macroeconomic data over the period 1999 Q1~2013 Q1 in the Korean economy, we identify the long-run structure of the Korean economy and study the dynamic interrelations using the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functions. A long-run positive relation among house price, interest rate and output is identified significantly. Usual short-run relation among several macroeconomic variables and house price were able to be confirmed. However, the variance decomposition of forecast errors signified dominant influence of foreign variables on house price fluctuations. 본 논문은 공적분된 VEC모형을 중심으로 1999년 1분기~2013년 1분기에 걸친 한국경제의 거시경제 자료를 이용하여 주택시장과 거시경제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소규모 개방경제 모형을 구축하여 구매력 평가, 이자율평형, 피셔 인플레이션평형, 국가 간 산출 격차, 주택 산출 관계를 유도하였다. 이들은 구조적 VEC모형의 공적분 공간을 제약하는 관계로 활용되었다. 추정된 모형에 대해 일반화된 충격반응함수(generalized impulse response)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장기적으로 주택가격과 이자율 및 국내 산출 간에는 각각 장기적으로 음(-), 양(+)의 균형관계가 존재하며 단기적으로 거시경제 변수와 주택가격 간의 통상적인 관계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주택가격의 예측오차 분산 분해는 주택가격 변화에 있어 국내 변수보다는 국외 변수가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 KCI등재

        ICT 산업의 국민경제 및 타 산업 파급효과 분석

        현준석(Jun Seog Hyun),김원중(Won Joong Kim) 한국경제연구학회 2015 한국경제연구 Vol.33 No.1

        ICT 산업은 중간재, 자본재 혹은 업무 프로세스 개선 등의 다양한 용도로 타산업의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록 외생성(block exogeneity) 및 독립성(diagonality)을 가정한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SVAR)을 이용하여 ICT 산업이 국민경제 및 타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1997년 1월부터 2013년 8월까지의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ICT 생산충격은 산업생산 및 수출 등의 국민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기의 차이는 있으나 ICT 생산충격은 전반적으로 개별 제조업 생산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산 분해 분석결과 ICT 생산충격은 ICT 밀접산업뿐만 아니라 일반 전통산업의 생산 변동성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Using a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model with block exogeneity and diagonality assumptions, this study identifies exogenous ICT productivity shocks and estimates the effects of those shocks both on the national income and on other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results show that ICT shock has positive effects on national income as well as on the productions in most of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variance decomposition results reveal that ICT shock explain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volatilities in the productions of ‘medical/precision product’, ‘other machinery’. ‘rubber and plastic product’. ‘basic metal product’ and ‘fabricated metal product.’ The results confirm that ICT has important impacts on other industries either as intermediate goods, capital goods or as tools for improving business efficiency.

      • KCI등재

        정부예산제약을 고려한 공적분 VAR모형: 한국의 경우

        최희갑 통계청 2014 통계연구 Vol.19 No.1

        We extended and estimated a long-run macroeconomic model of a small open economydeveloped by Garratt, Lee, Pesaran and Shin (2006) to include a long-run governmentbudget constraint. Extended model includes five long-run relationships including thepurchasing power parity, the output gap, the interest rate parity, the Fisher inflation parity and the government budget constraint. These relationships are used as restrictions on the cointegration space of a structural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Using data over the period2000 q1~ 2012 q4 in the Korean economy, we identify the long-run structure of theKorean economy and study the dynamic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shocks includingmonetary and fiscal shocks based on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analysis. Most of theresults showed familiar patterns that is often held in a small open economy. 이 논문은 2000년 1분기~2013년 1분기에 걸친 한국경제의 거시경제 자료를 이용하여 거시경제이론이 시사하는 구조적 관계를 포함하는 구조적 벡터자기회귀 모형을 추정하였다. 우리는 거시경제 변수에 관한 5개의 장기적 관계를 최적화 모형에서 직접 유도하여 이를 중심으로 거시경제를 모형화하는 Garratt, Lee, Pesaran and Shin (2006)의 공적분 벡터자기회귀(CointegratedVector Autoregression) 모형에 정부의 장기적 예산제약을 포함하도록 확장하여 재정정책에 따른 파급효과를 검토하도록 하였다. 추정결과 장기관계식에서는 Harrod-Balassa-Samuelson (HBS) 효과, 실질이자율 하락, 성장수렴 현상을 확인하는 한편 위험프리미엄도 추정할 수 있었다. 충격 반응함수의 실증분석 결과는 익숙한 패턴을 보였으며, 산출과 인플레이션율 예측오차분산에 있어 해외충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소규모개방경제인 한국의 특징이 잘 나타났다.

      • KCI등재

        경기변동 주기에서 설비투자 순환변동의 대내외적 요인 분석

        박영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2

        This study examines the cyclical properties of equipment investment and its determinants by focusing our analysis on the behavior at a business cycle frequency. To this end, both a band-pass filter and vector autoregression with exogenous variables are employed for our analysis. Our VAR model incorporates the OECD world economic composite indicator and Dubai oil price which are exogenous to the small open economy of Korea, in addition to the endogenous variables of corporate bond yields and Won/Dollar exchange rate. The cyclical variations of equipment investment behave similar to the business cycles, and the duration of a full cycle has been getting shorter. The empirical findings reveal that world economic indicator is manifest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since Korea’s industry structure heavily relies on international trade. The impulse responses due to oil price and corporate bond yields decrease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se results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current economic condition as the contraction phase of international business cycles are expected. 본 연구는 대역통과 필터 기법과 국내 변수의 충격에 독립적인 해외 변수에 외생성 제약을 부여한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추정하여 우리나라 설비투자의 경기순환적 특징과 순환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내외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서 설비투자의 대내적 요인으로 회사채수익률과 원/달러 환율을 사용하였고, 대외적 요인으로는 국제유가와 OECD에서 발표하는 세계경기지표를 이용하였다. 설비투자의 순환변동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수축기가 상대적으로 더 길었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확장기의 지속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래의 경기에 대한 기대가 기업의 설비투자 의사결정에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며, 설비투자의 순환 주기가 점점 짧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설비투자는 세계 경기와 같은 대외 경제 여건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해외 수요적 요인이 중요하게 나타난 것은 우리나라 산업 구조가 대체로 무역에 많이 의존하는 소규모 개방경제의 성격을 갖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설비투자에 대한 국제유가의 영향력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그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향후 세계 경기의 성장 둔화와 하방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는 급감하고 있는 우리나라 설비투자에 대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Economic Growth in Korea’s Economy

        강신재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6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empirically to illustrate caus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utput(GDP) growth and exports in the Korea’s economy. For this aim, based on Modified Wald test, the result of the paper is to have a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exports to GDP. However, this result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bidirectional causality of previous studies on the Export-led growth for Korea. The dissimilarity might be attributed to different observation data, various variables, and use of different econometric methodologies. The model selection and omitting variables can also significantly change the results of causality te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