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김종운 ( Jong Un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8 중등교육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자기통제력 및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밝히고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상담 활동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소재의 3개 중학교 남녀 학생 305명 (남 160, 여 145)이었으며, 측정도구는 Young(1996)의 인터넷 중독 척도, 송원영(1998)의 자기통제력 검사, 그리고 김광일과 김재환 및 원호택(1990)의 한국형 간이 정신건강 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인터넷 중독 수준을 세 집단으로 나누고 자기통제력과 정신건강의 평균차이를 비교한 결과 경미한 중독집단이 정상집단에 비해, 상당한 중독집단이 경미한 중독집단에 비해 자기통제력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정신건강 상태 또한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간에는 다소 높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터넷 중독과 정신건강 간에는 다소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정신건강은 인터넷 중독 성향을 44.7%, 자기통제력은 인터넷 중독 성향을 5.4%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건강이 인터넷 중독의 주요한 예측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고 인터넷에 중독된 청소년을 치료하고 상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대처기술 훈련이 포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caused teenagers to be addicted to the Internet and in which way the factors affected their internet addiction in an effort to encourage them to take advantage of the internet in a more sound way.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279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ho include 154 boys and 143 gir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grade shows a statistical and meaningful difference. Third grade students shows lower addiction tendency than first and second grade. According to internet addiction level, the group of higher-level internet addiction shows lower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than the group of lower-level internet addiction. Second,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shows high correlation to internet addiction. Correlational analysis indicates that self-control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level and mental health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level as well. Third, The variance of self-control that indicat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s R²=.055, mental health is R²=.447. Thus,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has a big impact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include strategies such as coping skill training, self-control training and stress management to improve self-control and mental health in the development of prevention and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addicted to the Internet.

      •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박스란(Seu-ran, Pack)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9 No.1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해 병적 도박과 같은 행동적 중독과 관련된다. 중독(addiction)은 어떤 사상이나 사물에 젖어 정상적으로 사물을 판단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우리사회는 인터넷 사용이 일반화되고 사용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중독 증세를 보이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2017)에 따르면, 2016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유·아동의 경우, 고위험군은 1.2%, 잠재적위험군이 16.7%이며, 청소년의 경우, 고위험군은 3.5%, 잠재적위험군이 27.1%이며, 중학생이 가장 높았고, 고등학생-초등학생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부작용으로 우려되는 콘텐츠로는 게임(35.4%)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같이 인터넷 사용의 급속한 증가는 정보 및 의사소통의 혜택뿐만 아니라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초래되어 사회적으로 큰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인터넷 중독의 부작용 요인은 심리적 문제, 신체적 문제, 가족관계 문제가 인터넷 과다사용과 관련되며, 심리사회적 부작용의 특성으로는 외로움, 불안, 우울, 분노, 충동성, 예민함, 비정직성, 낮은 자기존중감, 스트레스, 여가활동 부족, 생활의 불만족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애착관계, 청소년의 성, 경제수준, 타인지향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청소년의 개인체계 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관련되며, 이로 인한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은 청소년의 학업 및 또래관계 문제, 청소년의 심리적 취약성 등 자기통제력의 저하로 인한 충동조절의 문제로 나타나고 있어 그에 따른 치유와 예방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문제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청소년들이 장시간의 가상공간에 빠져들어 학업과 사회적, 심리정서적인 영역에 부정적인 결과를 치유하고 예방할 수 있는 자기통제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래사회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이 건강하고 긍정적인 삶을 살아 갈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Internet addiction is associated with behavioral addiction such as pathological gambling, which is attributed to Internet overuse. Addiction refers to a state that one cannot judge things in the normal way under the influence of a certain thought or thing. In our society, the use of the Internet has become a norm, an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is on the rapid rise. As a consequence, there is an another increase in users who manifest the symptoms of addiction.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2017), a survey of Internet overdependence in 2016 showed that 1.2 percent of preschoolers and children were at a high risk and 16.7 percent were at a potential risk. In the case of youth, a high-risk group accounted for 3.5 percent, and a potential-risk group represented 27.1 percent. Internet overdependence was most comm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game(35.4%) was identified as the type of contents that might possibly produce the most side effects. Such a rapid increase in Internet use has emerged as one of major social concerns because it provokes various problems that result from Internet addiction, though the Internet brings users benefits in term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 for the sid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psychological problems, physical problems and family- relation problems are all linked to Internet overuse. And that also entails psychosocial side effects such as loneliness, anxiety, depression, anger, impulsiveness, sensitivity, dishonesty, low self- esteem, stress, a lack of leisure activity and life dis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re are specific factors to affect youth Internet addiction. Parental attitude, attachment relationship, gender, economic level, other-oriented stress coping pattern and personal system are the factors to have an impact on youth Internet addiction, and the seriousness of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ce should no longer be overlooked, because it is concurrent with additional problems with learning and peer relationships and with impulse control that is rooted in psychological vulnerability and waning self-control. So healing and preventive measures are desperate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geared toward bolstering youth self-control in line with growing Internet use, as youth Internet addiction is viewed as one of severe social issues. It s meant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self-control, which could make it possible to heal and prevent the negative academic, social and psychoemotional consequences of long-time immersion in a cyber space, in an effort to present it as a way for adolescents who are the mainstay of future society to lead a healthy and positive life.

      • KCI등재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인터넷 중독의 원인과 결과를 중심으로

        서석진 ( Seo Seok Jin ),도명애 ( Do Myung Ae ),이수진 ( Lee Soo Ji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9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등재후보 학술지와 등재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73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인터넷 중독에 관한 일반적 특성과 중독 관련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발표된 논문의 연도, 학술분야, 연구방법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고, 중독 관련 특성은 발표 논문에서 제시된 인터넷 중독의 원인과 결과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동향에서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인터넷 중독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2005년부터 증가하였으며 2013년에 발표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학술분야 동향에서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이 가장 많았고, 연구방법에서는 조사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인터넷 중독의 원인으로 개인의 정서행동문제가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중독의 결과에는 개인의 신체건강문제와 정신건강문제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질적연구와 인터넷 중독 프로그램 개발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nternet addiction and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73 Internet addiction studies published in a journal from 2001 to 2017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Internet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analysis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general and addiction-related characteristic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trends on the year, academic field and research methods. And the addiction-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on the causes and the resulting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presented in the pap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nual Internet addiction study was published every year from 2001 to 2017, up from 2005 and the most published in 2013. In the academic field trends, the papers published in the social sciences were the most numerous, and in the research methods, research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Second, there were the most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the individual due to Internet addiction, and the result of Internet addiction was the individual's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ddiction programs were presented as suggestions for discussion and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최근 인터넷 중독연구 동향 고찰 및 향후 연구방향: 진단기준을 중심으로

        허경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6 No.4

        This study examined trends of the recent internet addiction research and the diagnostic criteria and theoretical background used in the study,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Specifically, I first examined various self-reported Internet addiction scales, including the variety of the concepts and nomenclatures developed at various stages of the research development. Secondly, I identified the key dimensions of the major scales that tapped unique aspects of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I examined the diagnostic criteria of the adapted scales used in the nationwide domestic survey research on Internet addiction. Thirdly,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addiction to general Internet and the addiction to specific program, and future Internet addiction research should be studied on the base of specific program such as Facebook, and so forth. Fourthly, I explained the three major theoretical perspectives of Internet addiction research, which are the addiction perspective,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and the Internet addiction process models developed pretty recently. I criticized that previous Internet addiction research mainly concern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of addiction measurement, the introduction of addiction criteria,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addiction scales and personality, psychopathological tendency, and so forth, lacking comprehensive models or more coherent theories of Internet addiction. Fortunately, some recent scholars suggested a model that can systematically examine whether various variables are mediating or controlling functions in the course of general and specific Internet use disorder. Finally in order to diagnose the Internet addiction for treatment purpos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a clinically more rigorous validation of the currently used measures on patients. Also, I emphasized the need to evolve from the addictive point of view to expanding the concept of problematic internet usage to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ncluding various negative aspects such as online cyber bulling. 이 연구는 최근 인터넷 중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진단기준 및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지향점에 대해 살펴보았 다. 구체적으로 먼저 인터넷 중독연구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개념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어 인터넷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자기 기입식 척도에 대해 살펴보고 진단기준이 되는 척도의 개발단계에서부터 발전단계별로 어떤 하부요인들이 핵심요인들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전국규모의 인터넷 실태조사에 쓰인 척도의 진단기준도 살펴 보았다. 또한, 인터넷 중독을 행동중독으로 보며 인터넷 일반에 대한 중독과 구체적인 인터넷 프로그램에 대한 중독으로 구분해야 하며 향후 인터넷 중독은 구체적인 프로그램별로 연구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인터넷 중독을 중독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했으며 문제성 인터넷 사용으로 접근하는 인지-행동적 시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간 인터넷 중독연구가비 이론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주로 중독 측정의 척도 개발 및 중독기준 제시, 그리고 이렇게 개발된 중독 척도를 활용하여 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개인의 성격, 정신 병리적 성향, 사회 심리적 속성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 들과의 관련을 살피는 데 초점을 맞춰 왔음을 지적하며 향후 연구를 위해서는 인터넷 중독을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시각이 필요함을 강조했 다. 다행히 최근 개발된 몇몇 이론들은 일반 및 구체적인 인터넷 사용 장애에 이르는 과정에서 다양한 변인들이 매개 혹은 조절기능을 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어 향후 이 같은 모델에서 도출되는 다양한 가설 검증을 통하여 더 깊이 있는 이론적 논의가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한다. 아울러 향후 치료목적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진단을 위해서는 현재 사용 되고 있는 척도를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으로 더욱 엄격하게 타당화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아울러 언론 소통학적 접근을 위해서는 중독적 시각 에서 벗어나 문제성 인터넷 사용의 개념을 확장하여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사이버불링 등 다양한 부정적 측면을 포함하는 연구로 진화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인터넷중독,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심리사회적 특성비교

        남영옥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ddicted to the internet, internet game and cybersex and how their psychosocial traits affected their internet-related addiction. Firstly, 58.0% of the surveyed students were addicted to internet. 15.1% had internet game addiction and 7.7% had cybersex addiction. Second, those who were more impulsive, aggressive and depressed were more likely to be hooked on the internet and internet game, and those who were more aggressive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cybersex. Third, Internet addiction was more likely to happen among the students whose parents didn't fare well with each other, whose parents had a negative parenting style, and who were more strictly controlled by their parents. Fourth, those who were more impacted by their friends in relation to the internet and less supported by their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be hooked on the internet. The students who were more affected by their friends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internet game. And those who were more influenced by their friends and less satisfied to school life were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cybersex.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인터넷 관련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854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터넷 중독의 경우, 조사대상자의 55.0%는 초기중독, 3.0%는 중증중독으로 나타나 전체 58.0%가 인터넷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중독은 15.1%가 고위험중독으로 나타났으며, 음란물중독의 경우 3.4%는 경미한 중독, 2.6%는 중등도 중독, 1.7%는 중증중독으로 나타나 전체 7.7%가 인터넷 음란물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를 보면, 공격성이 높을수록 중학생들이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충동성과 우울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환경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에서는 부모의 부부관계가 나쁠수록, 인터넷에 대한 부모의 통제가 심할수록 중학생들은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부모의 양육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인터넷 중독과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환경과 인터넷 관련 중독과의 관계에서는 친구의 영향력이 높을수록 중학생들이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교사지지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학교만족도가 낮을수록 음란물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감각추구, 충동성, 인터넷 중독 및 부정적 정서 간의 인과모형 탐색: 성격강점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정재홍,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9 No.3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ain internet addiction through the character strengths(VIA scale) based on positive traits in positive psychology, which is the scientific study for positive psychological aspects of humans. Using the data of 568 students (male 225, female 343) from four universities in J and D c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character strengths was examined through exploratory regression analysis, and internet addiction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self-regulation, bravery, and love among character strength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ausal model was set up among sensations-seeking and impulsiveness, internet addiction, and negative emotions; sensations-seeking and impulsiveness were predictors of internet addiction while internet addiction was a affecting factor on negative emotions (depression, anxiety). Impulsiveness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net addiction, and sensation-seeking indirec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through impulsiveness. In addition, internet addiction significantly explained depression and anxiety. Multi-group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plain how the casual model could be expla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high-low level of self-regulation. In the low level of self-regulation, impulsiveness significan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and sensation seeking indirec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through impulsiveness while internet addiction indirectly explained depression through anxiety. In addition, in the high level of self-regulation, sensations seeking and impulsiveness significantly explained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addiction significantly explained depression and anxiety. Consequently,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while people with low self-regulation used the internet due to the simple impulse, people with high self-regulation used internet for different reasons and the expectation of self-regulation, but the failure of self-regulation could have greater effects on the negative emotions. However, persistent internet addiction, regardless of the level of self-regulation, impacted the negative emotion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on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측면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긍정심리학의 긍정특질을 바탕으로 한 성격강점을 통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시와 D시 4개 대학교의 568명(남 225명, 여 343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인터넷 중독과 성격강점의 관계를 탐색적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인터넷 중독은 성격강점 요인 중 자기조절, 용감성, 사랑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감각추구와 충동성을 설정하고, 인터넷 중독이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주는 인과모형을 설정하였다. 충동성은 인터넷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감각추구는 충동성을 거치는 간접경로를 통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중독은 우울과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탐색적 회귀분석에서 가장 많은 설명량을 지닌 성격강점인 자기조절의 상하 수준에 따라 인과모형의 차이를 다집단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기조절 하 집단에서는 충동성이 인터넷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감각추구는 충동성을 거치는 간접경로를 통해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중독은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우울은 불안을 거치는 간접경로를 통해 설명되었다. 자기조절 상 집단에서는 감각추구와 충동성이 인터넷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 인터넷 중독은 우울과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자기조절이 낮은 사람들은 우선적으로 단순한 충동성에 의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반면, 자기조절이 높은 사람은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인터넷을 이용하지만 자기조절의 실패는 개인의 부정적 정서에 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지속된 인터넷 중독은 자기조절의 수준에 관계없이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임상집단에서 공병질환에 따른 심리적 특성: 우울, 충동성을 중심으로

        황수민,이성애,한덕현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4

        In this study, we sorted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groups through the interview of psychiatrist and Young's Internet Addiction Test on the patient groups that visited psychiatry. After validating the comorbidity of sorted group by MINI and assorting the groups by comorbidity, we assess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of each clinical group by self-report, such as internet addiction level, depress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ehavioral Activating System(BIS/BAS). In the result of this study, adolescent patients selected for the group of internet addiction were classified in three groups : Pure Internet addiction group, the group with coexistence of internet addiction & ADHD, and the group with coexistence of internet addiction & depression. After validating of particular characteristic of each group, we found that the group having coexistence of internet addiction & ADHD significantly showed higher addiction level than other groups. In the result of BDI, except for the group of coexistence of internet addiction & depression, other group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epression level. In the result of BIA/BAS, we found that, pure internet addiction group significantly showed higher Reward Responsiveness level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motive level to keep pursuing a goal was shown higher in internet addiction & ADHD coexistence group. In conclusion, the comorbidity can easily be found in clinical group of internet addiction, and we found the significance of the fact that patients showed diff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kind of mental disorder coexisting with internet addiction.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면접과 Young's Internet Addiction Test를 통해 청소년 인터넷 중독 집단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집단을 대상으로 MINI를 통해 공존질환을 확인하고 공존질환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후, 자기보고에 의해 집단 별 인터넷 중독 수준, 우울, 행동억제/행동활성화체계 등의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인터넷 중독 성향자 및 중독군으로 선별된 청소년 환자들을 비공병 인터넷 중독 집단, 인터넷 중독과 ADHD 공병 집단, 인터넷 중독과 우울증 공병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집단 별 세부특성을 살펴본 결과, 인터넷 중독과 ADHD 공병인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중독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DI 결과, 인터넷 중독과 우울증이 공존하는 집단을 제외한 다른 집단에서의 우울수준은 유의하지 않았다. BIA/BAS 결과, 보상민감성은 다른 집단에 비해 비공병 인터넷 중독 집단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목표추구를 지속하는 추동은 인터넷 중독과 ADHD가 공병인 집단에서 다른 집단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인터넷 중독 임상집단에서 공병질환이 흔하며, 인터넷 중독과 공존하는 정신장애에 따라 심리적 특성의 차이가 나타남을 밝힌데 의의를 발견하였다.

      • 사고양식과 인터넷 중독의 정도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정태근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07 에니어그램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396명으로 대상으로 사고양식과 인터넷 중독의 정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았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고양식의 기능 중에서 행정형 사고양식의 수준과 사법형 사고양식의 수준은 인터넷 중독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고양식의 형태 중에서 군주형과 과두형은 인터넷 중독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고양식의 수준에서 전체형과 부분형은 모두 인터넷 중독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고양식의 범위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지향형 사고양식과 외부지향형 사고양식은 인터넷 중독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고양식의 형태에서 진보형 사고양식은 인터넷 중독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은 내려 보면, 사고양식은 인터넷 중독의 정도에 따라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고양식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고양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인터넷 중독의 정도가 심한 아동에게 있어서 행정형 사고양식, 입법형 사고양식, 과두형 사고양식, 중간수준의 전체형과 부분형 사고양식, 중간수준의 내부지향형 사고양식과 외부지향형 사고양식, 부분형 사고양식, 내부지향형 사고양식, 진보형 사고양식은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s of achievement according to level of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as 396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interaction of executive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Also, there was interaction of judical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interaction of monarchic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Also, there was interaction of oligarchic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Third, there was interaction of global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Also, there was interaction of local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Fourth, there was interaction of internal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Also, there was interaction of external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Fifth, there was interaction of liberal thinking style and internet addiction in relation to achievement. Accordingly, Results indicate that executive thinking style, oligarchic thinking style, middle level of global and local thinking style, and middle level of internal and external thinking style are of benefit to achievement of student in internet addiction. But, monarchic thinking style, global thinking style, local thinking style, internal thinking style and liberal thinking style aren't of benefit to achievement of student in internet addiction.

      • KCI등재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게임중독경향과 인성특성의 관계

        서민영 ( Min Young Seo ),임은미 ( Eun Mi L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동의 인터넷게임중독 경향을 분석하고 인터넷 게임중독경향과과 인성특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동의 인터넷게임중독 경향과 인성특성은 어떤 관계가 있으며, 인터넷게임의 환경문제와 행동특성이 10가지 인성특성 중 어떤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내 유치원과 초등학교 1, 2학년 남녀학생 317명이었고, 연구도구는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부모용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검사와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였다. 연구결과 유·아동의 인터넷 게임 중독 경향은 정상 사용자인 게임중독 경향 일반군이 대다수였으나 게임중독경향 위험군과 게임중독경향 잠재군도 11.6%나 있었다. 남자 유·아동의 인터넷게임 중독 경향이 여자 유·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동의 인터넷게임 중독 경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강해졌다. 인터넷게임중독경향과 부정적 인성특성은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인터넷게임중독 경향의 하위요인인 게임환경문제와 게임행동특성 모두에게서 드러났다. 성별로 볼 때, 인터넷게임 중독 경향과 부정적 인성특성의 관련성은 여자 유·아동에게서 더욱 깊은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교 1학년 아동보다 유아와 초등학교 2학년 아동에게서 더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경향이 유아기부터 발생하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급속하게 강해진다는 점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정보문화에 대한 올바른 윤리교육과 인터넷중독 예방교육 및 상담이 인터넷을 처음 접하는 유·아동기에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fants` and low-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sts` internet-game addiction tendenc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low-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317 children from a kinder-garden and an elementary school in J city. The survey tools wer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KPRC) and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IGAS). The respondents were the parents of the subj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bout 11.6% of subjents were at the risky state of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Male infants and children`s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was higher than females`. As age grew older,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became stronger.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mong female infants and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as higher than among male infants and children. Also, among infants and 2nd grade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as higher than among 1st grade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s that education and conseling programs protecting internet game addiction and computer misuse from infants and Children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조한익 ( Han Ik J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초등학교 4개교에 재학 중인 597명이었고,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인터넷 이용동기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들 모두 인터넷 중독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즉, 부모애정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낮아지는 반면에, 부모거부와 부모과보호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터넷 이용동기의 하위요인들 모두 인터넷 중독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즉, 인터넷을 사용하는 동기로써 정보추구동기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낮아지나, 반대로 오락휴식동기나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가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부모애정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를 자기통제력이 완전매개(complete mediation)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이용동기 중 정보추구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애정이 높거나 정보추구 동기가 높으면 자기통제력이 높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터넷 중독은 낮아지게 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고 감소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써 애정적 부모양육태도, 정보추구동기 그리고 자기통제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상담치료 방안과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done to test whether self-control mediated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internet use motives on internet addiction.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love significantly reduced internet addiction. However, parents` rejection and parents` overprot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ternet addiction. Second, information motive significantly reduced internet addiction. However, recreation/rest motive and social interaction motive significantly increased internet addiction. Third, the effect of parents` love on internet addi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control, which means that parents` love increased self-control, thus contributing to decreased internet addiction. Fourth, the effect of information motive on internet addict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control, which means that information motive increased self-control, thus contributing to decreased internet addi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