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수업에서 인출연습유형과 인출간격이 학습잡념과 메타인지 판단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일보,강이철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mind wandering, metacognitive judgm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rieval practices and retention intervals for online classes and to explore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retrieval practice type and retention interval. Participants studied online contents according to the assigned retrieval practice type and performed learning activities by conditioning. While learning according to the retrieval practice, subjects reported whether mind wandering occurred at each end of the learning phase and for metacognitive judgments after completing the last learning material. To assess the achievement, the experiment participants took the final test after 5 minutes or 7 day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retention interval.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trieval practice groups reported a relatively low level of mind wandering during learning compared to the group that conducted the restudy, indicating that they were thinking about the learning contents. Second, the pre- and post-retrieval practice group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value of metacognitive judgments that predicte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final exam when the retention interval was longer, unlike the restudy group. Third, there exists an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retrieval practices and the retention intervals, and this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인출연습형태와 인출간격이 학습잡념, 메타인지적 판단, 학업성취에 어떠한 차별적인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 지연 기억에 대한 인출연습유형과 인출간격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실험참가자는 배정된 인출연습유형(재학습, 사후인출, 사전인출)에 따라 온라인 콘텐츠를 학습하고 조건별 학습활동을 수행했다. 학습활동 중간에 학습잡념이 발생했는지 응답했고 메타인지적 판단을 측정하기 위해 학습자는 마지막 자료 학습 완료 후 이전 학습 내용에 대한 시험을 볼 경우 정답률을 예측하도록 했다.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참가자들은 인출간격 조건에 따라 5분 또는 7일 후 최종시험을 쳤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출연습 집단은 재학습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학습잡념 수치를 보고하여 학습내용과 관련한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과정에서 인출연습 경험은 반복학습에 비해 학습과 유관한 생각을 하도록 유도하여 향후 장기기억과 파지를 더욱 향상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재학습 집단과는 달리 사전인출연습, 사후인출연습 집단은 인출간격이 길어질 경우 최종시험의 정답률을 예측한 메타인지적 판단 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과정에서 인출연습 경험은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중요 요인이며, 향후 기억력 및 메타인지적 판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인출연습유형은 인출간격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했다.

      • KCI등재

        인출연습 시기에 따른 장기파지 효과

        황두환,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20 사고개발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tention effect by the various timing of retrieval practice. This study complemented treatments of Spitzer(1939) to clarify effect on long-term retention according to various timing of initial retrieval practice and to examine the change in retention on various subsequent retrieval practice after initial retrieval practice. The experiment was a static-group comparison design and 217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were assigned to 10 groups with a class as a uni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st retention happened when initial retrieval practice was made immediately after studying. When the timing of initial retrieval practice was variously delayed, reten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which took the test without studying the reading material. When the repeated retrieval practice was delayed, even with the condition of immediate initial retrieval practice, there was a decrease in short-term retention. However, the long-term retention after about 2 months was higher when initial retrieval practice was performed immediately than when immediate initial retrieval practice was delayed after studying.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mmediate retrieval practice after learning could prevent interference among the learned contents and improve students'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s.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학습전략으로 확인된 인출연습의 시기에 따른 파지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초기 인출연습 시기의 장기파지 효과와 즉각적인 초기 인출연습 후 다양한 시기별로 추가된 후속 인출연습의 파지 변화를 심층적으로 확인하고자, Spitzer(1939) 연구에 몇 가지 실험처치를 보완하였다. 이 연구는 정적집단 비교설계로 중학교 1학년 217명을 학급단위로 10개 실험처치 그룹에 배정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후 초기 인출연습을 즉시 실시하였을 때 가장 높은 파지를 보였다. 그러나 초기 인출연습의 시기를 다양하게 지연한 집단은 학습자료를 읽지 않고 시험만 친 통제집단과 비슷한 파지를 보였다. 초기 인출연습을 즉시 실시했더라도 인출연습의 반복시기를 지연한 경우(집단1~2)에 단기파지는 감소했지만, 초기 인출연습을 지연한 경우(집단3~7)보다 장기파지는 높았다. 따라서 학습 후 즉각적으로 초기 인출연습을 실시하는 것이 학습내용 간의 간섭을 막고, 수업내용 이해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임을 확인했다.

      • KCI등재

        인출연습의 기억증진효과에 대한 뇌영상 증거

        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8 사고개발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reasons for test-enhanced learning effect based on recent brain imaging endeavors. This study proposed three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features of episodic memory? What brain activities are involved in the retrieval practice process? Whether identical brain loci are involved in encoding and retrieval process? In the beginning, this study introduced an ISP model regarding various systems of memory and its processes. Retrieval practice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episodic memory system and its process. Various brain imaging studies delved into an interaction process of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via reinstatement and recapitulation in the specific locus of hippocampus and cortex during those processes. Due to these processes being deeply interrelated, educational effect of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and transfer-appropriate processing framework can be validated by the research of brain imaging science. Research has shown that testing effect via retrieval practice activity can be attributed to the interaction of various associated cognitive processes among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process. The interactions among specific brain areas associated with encoding, storage and retrieval result in a memory enhancing process. Based on this study, the educational suggestions applicable to classroom practice are that: A good encoding process is required, early initial testing is recommended, and both the situation and process of encoding and retrieval should be similar.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0여년간 많은 실증연구를 통해 일관되게 입증된 인출연습활동, 즉 시험치기 학습활동의 기억증진효과에 대한 뇌영상 증거를 제시하고,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세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인출연습활동의 대상이 되는 삽화기억의 성격은 어떠한가? 삽화기억은 어떤 종류의 기억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기억내용들이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둘째, 삽화기억을 약호화하고 인출하는 과정인 인출연습활동은 어떤 뇌활동을 수반하고 있는가? 인출연습활동의 약호화과정과 인출과정이 과연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상호 복원과 재현의 과정을 거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 인출연습활동 동안 이루어지는 약호화과정과 인출과정에 관여하는 구체적인 뇌 부위가 일치하는가? 뇌영상 연구를 통해 두 과정에 관여하는 뇌 부위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인출연습활동의 효과가 약호화과정 그리고/또는 인출과정과 연합된 여러 뇌부위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기억이 증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뇌영상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인출연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최초의 약호화과정에서 비교적 완전학습수준에 이르도록 학습할 것, 둘째, 학습 후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인출연습을 수행할 것(초기시험효과), 셋째, 약호화상황과 인출상황을 일치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산문자료 학습에서 반복 인출연습과 문제유형이 학습 파지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박영각(Park YoungG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산문자료 학습에서 학습자의 기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방금 학습한 내용을 반복학습해 보는 것과 인출연습을 해 보는 것(시험을 쳐 보는 것) 중 어느 것이 파지에 더 효과적인지, 문제유형(단답형/선택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지를 집 단 간 비교해 보았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시험 조건에 따라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2017년 11월 15일부터 22일까지 2주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집단 1은 초기학습 후 반복학습을, 집단 2는 초기학습 후 1회의 인출연습을, 집단 3은 초기학습 후 1회의 인출연습과 1일 지연 뒤의 추가 인출연습을 하였다. 그리고 초기학습으로부터 1주일의 지연 후에 세 집단 모두 최종 시험을 보았다. 실험결과, 산문자료 학습 1주일 후의 파지 검사에서 반복학습보다 인출연습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시험 효과(testing effect)를 증명하였다. 문제유형에 따라서는, 단답형에서는 반복 인출연습에 따른 계속적인 수행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선택형에서는 반복 인출연습에 따른 수행의 증가는 일어나지 않았다. 문제 제시에 있어서도 단답 형 제시 후에 선택형을 제시함으로써 자기 피드백(self-feedback)의 효과와 학습 내용 공고화(consolidation)의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인출연습과 문제유형은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출연습을 통한 학습 파지의 증진을 위해서는 재생(recall)을 가져오는 단답형이 효과적이며, 실제 학교현장의 평가에서도 단답형의 비율을 높이고, 형성평가나 수행평가 등을 적극 활용한 인출연습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다.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to improve learners’ memories from prose material; repeated study of what they had just learned and retrieval practice(testing) based on which type of questions were being compared. High school freshman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learning / testing condition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November 15 to 22, 2017. Group 1 performed repetitive learning after initial learning, group 2 performed one retrieval practice after initial learning, group 3 performed one retrieval practice after initial learning, and additional retrieval practice after one day delay. After a delay of one week from initial learning, all three groups were subjected to the final tes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retention tests 1 weeks after learning prose showed that retrieval practice was more effective than repetitive learning. Depending on the type of question, the short-answer type led to an increase in the ongoing performance due to repetitive retrieval practice, whereas the multiple choice type did not produce an increase in performance due to repetitive retrieval practice. In presenting the questions, we also provided a short-answer type followed by an alternative, which resulted in self-feedback effect and consolidation of learning content. And retrieval practice and question types were some interactive. From these results, the short-answer type that produces recall based exercises to improve the learning retention enhance through retrieval practice, and the rate of practical assessment of school sites is also improved.

      • KCI등재

        인출연습이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Kim, Eun-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인출연습이 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S대학 학생 중 인출연습에 참여한 학생 50명을 실험집단으로, 인출연습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 5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수업 후 20-30분 씩 주1회 총 10회 자기시험을 통한 인 출연습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연습도 진행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는 시연,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초인지, 인출전략을 포함한 학습전략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하였고, 학업성취는 인출연습을 진행한 교과목 성적을 조사하였다. 인출연습이 학습전략과 학업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출연습은 학생들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인출을 학습상황에 적용하여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고,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인출연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trieval practice on the university students '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100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50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50 in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actice ten times, 20-30 minutes once a week. Learning strategy were taken as pre-and posttest. Academic achievement were obtained from grade point of a subject . To analyze data, T-test was execu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rist, retrieval practi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experimental group's learning strategy. Second, retrieval practi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experimental group's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etrieval practice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trategy.

      • KCI등재

        인출연습과 반복읽기의 상대적 비율에 따른 회상 효과

        왕치엔,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19 사고개발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retrieval practice on subsequent recalls according to the relative proportion of retrieval practice versus rereading during classroom learning for female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to check whether the proportion effects are consistent across academic achievement levels(high, middle, low). Several research questions were extended in the process of replicating Gates’s(1917) study, which identified how different the recall effects were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retrieval vs. rereading with prose materials. More specifically replicating Gates’s study, this study checked which proportion of Gates’s study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immediate test and delayed test, and analyzed whether the results were consistent on the final test implemented a week later. The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60:40 proportion of retrieval time to rereading time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effect. Second, in terms of the difference by learners’ achievement level, it was identified that 60:40 was the most effective proportion regardless of achievement level. This result was held consistently on the three tests. Comparing the 60:40 proportion effects for the low level students with those by the other proportions for the students with middle and high levels, it turned out the students who reread 100% or retrieved 90% in the high level and the students who reread 100% or retrieved 80% of the time in the middle level recalled lower than the students who retrieved 60% and reread 40% in the low level.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and utilization in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총 학습시간 중 인출연습(암송)과 반복읽기의 상대적인 비율에 따라 회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학업성취도 수준(상,중,하)에 따라 그 비율의 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실제 학교현장에서 사용하는 산문자료를 활용하여 인출연습과 반복읽기의 다양한 비율에 따라 회상률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한 Gates(1917) 연구를 반복 검증하는 과정에서 몇가지 연구문제를 추가하였다. 첫째, Gates 연구가 즉시인출(학습직후)과 지연인출(3~4시간)의 경우 어떤 비율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검증한 것에 덧붙여 이 연구는 1주일 후에 실시한 최종인출에서도 그 결과가 적용되는지 추가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60:40 비율을 적용한 방법이 일주일 후의 회상률에서 가장 높았다. 둘째,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상,중,하)에 따라서도 최상의 비율이 일관되게 적용되는지 검증했다. 학업성취도의 수준에 관계없이 인출연습:반복읽기 60:40 비율이 가장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즉시인출과 지연인출, 그리고 최종인출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특히,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이 60:40의 비율로 학습했을 때 성취도 ‘상’수준과 ‘중’수준에서 다른 비율로 학습한 경우와 비교해 보면, ‘상’수준에서 읽기만 100%했거나 인출을 90%한 학생과 ‘중’수준에서 읽기를 100%와 80%했거나 인출을 90%한 학생은 ‘하’수준에서 인출연습:반복읽기 60:40 비율로 학습한 학생보다 낮은 성취도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와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 고학년 산문자료 파지에 끼치는 초기인출연습의 시기별 효과

        신민경,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20 사고개발 Vol.16 No.3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on the final criterion test conducted on the 28th day after the initial learning. 271 sixth graders performed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s in two different way on different timings: 0th day, 7th day, 14th day, and 21st day after learning the prose material consisting of 371 words. Free-recall and multiple-choice test types were applied as a method of initial retrieval practice, and the criterion test was conducted equally among the two groups with 25 multiple-choice items. Concerning the different effects by the timing of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conducted on the 0th, immediately after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itial retrieval practice conducted on the 7th and 14th day as well as the 21st day closest to the time of the criterion test, and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both initial retrieval practice methods: free-recall and multiple-choice test. In addition, according the principle of transfer appropriate processing, the achievement in the criterion test of the multiple-choice test group whose testing process matched the learning process had been expec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non-consistent free-recal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free-recall as a method of retrieval practice, along with empirical evidence that the effect of free-recall on blank paper may be more common than the multiple-choice test, is greater than ‘the desirable difficulty effect’ of initial retrieval exercise on prose material.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271명을 대상으로 371개 단어로 구성된 산문자료 학습 후 0일, 7일, 14일, 21일째 두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실시한 초기인출연습활동이 최초 학습 후 28일째 시행된 최종 준거시험에 끼치는 파지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초기인출연습의 방법으로 자유회상과 5지선다형을 적용하였고, 준거시험은 25점 만점의 5지선다형 25개 문항으로 두 집단에 동일하게 실시되었다. 초기인출연습 시기에 따른 파지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 직후인 0일에 실시한 초기인출연습이 준거시험 시기와 가장 가까운 21일째뿐만 아니라 7일째와 14일째 실시된 초기인출연습 보다 더 효과적 이였으며, 이 결과는 초기인출연습 방법인 자유회상과 5지선다형 유형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또한 전이적합형처리 원리에 따르면, 학습과정과 시험과정이 일치하는 5지선다형 집단의 준거시험 성취도가 일치하지 않는 자유회상 집단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두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인출연습 방법으로써 자유회상의 효과가 5지선다형보다 파지에 끼치는 영향이 좀 더 보편적일 수도 있다는 실증적 증거와 더불어 파지에 끼치는 초기인출연습 효과가 ‘바람직한 어려움 효과’보다 더 크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 KCI등재

        사전시험의 인출활동유형과 피드백 제시시기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현욱(Hyunuk Park),신종호(Jongho Sh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시험에서 인출활동유형에 따른 과제수행의 차이를 확인하고, 인출활동유형과 피드백 제시시기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8개 학급, 총 38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준실험설계(quasi experimental design)방식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후 즉시 이뤄지는 과제수행의 경우 정답․근거 인출집단이 단일정답 인출집단과 복수정답 인출집단에 비해 우수한 과제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 후 1주일 지연된 과제수행에 대해서는 정답․근거 인출집단과 복수정답 인출집단이 단일정답 인출집단에 비해 우수한 과제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출활동유형과 피드백 제시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 한 결과, 단일정답 인출집단과 복수정답 인출집단의 경우 피드백 제시시기에 따른 효과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정답․근거 인출집단의 경우 지연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이 즉각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보다 우수한 과제수행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인출활동유형에 따라 인출연습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서 인출연습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인출활동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피드백의 제시시기가 다르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서 교수자들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설계를 위한 실제적인 지침이 되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ask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pretest retrieval activities (single answer retrieval activity, multiple answer retrieval activity, and answer and reason retrieval activity) and to confirm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es of retrieval activity and the presenting time of feedback (immediate feedback and delayed feedback). In this study, 388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is experiment reflected pretest proced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answer and reason retrieval group achieved higher than the single answer retrieval group and the multiple answer retrieval group when the task performance test was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learning phase. On the other hand, when the task performance test was delayed for 1 week, the answer and reason retrieval group and the multiple answer retrieval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single answer retrieval group. An analysis of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s of retrieval activity and the presenting time of feedback revealed that it was significant. In the cases of the single answer retrieval group and the multiple answer retrieval group, the task performance characterized by the presenting time of feedback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answer and reason retrieval group that provided delayed feedback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group.

      • KCI등재

        반복학습과 반복인출연습: 학습의 효과성 비교

        박영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敎員敎育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repeated learning and repeated retrieval practice on learning a Korean prose passage. The participants were 52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o took the lesson, followed by a short–answer / multiple choice test on March 20th, 2018, and a long-term retention test after one week. Research findings show that repeated retrieval practice performed better than repeated learning in the short answer type, and the effects of repeated learning and repeated retrieval practice were similar in the multiple choice type answers. Moreover, the learning conditions and question type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short-term retention. In the students’ recall, which requires a lot of effort for retrieval, it was more effective to repeatedly draw upon retrieval of the learning contents than to simply repeat the learning contents. This study’s findings were consistent with Bjork's “desirable difficulty” and can be seen as strongly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retrieval practices in learning retention. Therefore, the author proposes that it is effective to use the retrieval practice in the form of a formative evaluation or quiz in classrooms. 본 연구에서는 반복학습과 반복인출연습이 학습 파지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보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52명을 피험자로 하여 산문자료 학습 후 단답형과 선택형 문제형식으로 2018년 3월20일 1차 검사, 1주 지연 후에 2차로 장기 파지를 검사하였다. 그 결과, 단답형에서는 반복인출연습이 반복학습에 비해 더 높은 수행을 보였고, 선택형에서는 반복학습과 반복인출연습의 효과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조건과 문제유형은 단기 파지에서만 유의미하게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인출을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재생(recall)에서는단순히 학습 내용을 반복학습하는 것보다는 반복인출해 보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Bjork의 ‘바람직한 어려움(desirable difficulty)’과도 일치하며, 학습 파지에서 인출연습의 효과를 강력히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실제 교실 수업에서도 형성평가나 퀴즈등의 형태로 인출연습을 해 보는 것이 학습 파지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수학학습에서 인출연습방법과 수학성취도수준의 상호작용 효과

        류지민,강이철 대한사고개발학회 2021 사고개발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에서 두 가지 인출연습방법(교차연습과 구획연습)이 수학성취도수준(상, 중, 하)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끼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교차연습이 구획연습보다 효과적이지만 성취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선행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지 않다. 중학교 3학년 188명을 대상으로 교차연습 집단과 구획연습 집단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총 32일 동안 9회에 걸쳐 학습활동을 하였고 일주일의 파지간격을 둔 후 최종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차연습이 구획연습보다 더 효과적이었으며, 수학성취도수준과 인출연습방법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중’·‘상’수준 학생은 두 학습방법 간 차이가 없었으나 ‘하’수준 학생에게서 교차연습이 구획연습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와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를 통해 후속 연구가 필요한 연구문제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retrieval practice method(interleaved vs. blocked) according to the math achievement levels in math learning. A large number of research has shown that interleaved practice is more effective than blocked practice. But the differential effect of the practice method by the achievement level was not found consistent among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88 middle school students in 3rd grade were randomly assigned into interleaved or blocked practice group. Participants took 9 quizzes and the final criterion test. The retention interval was 7 days and the entire procedure lasted 32 day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terleaved practice was more effective than blocked practice.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he math achievement level and retrieval practice method. Particularly, interleaving was more beneficial for the low level students than those in the high and middle levels.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suggested after the issues on the research method and the finding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