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천국제공항 문화예술사업의 국내·외 이용객 만족도와 경쟁요인 분석

        권병웅 한국예술경영학회 2013 예술경영연구 Vol.0 No.25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cultural performances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re acknowledged by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sitors. The period for this research was from June 30th 2011 to June 29th 2012 (365 days). The contents were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place, time, and contexts of performances and charming point of the airport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The survey is conducted at both first floor and duty free zone, with four different languages; Korean,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here are two types of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mparison analysis to know the difference among places and respondents. For comparison analysis, we conducted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s a result, male respondents satisfied more than female ones toward the place, time,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s. Moreover, respondents from English language region satisfied more than those from the rest of regi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satisfaction rate was very high as it showed 81% from duty free zone and 81.83% from first floor. About the question of asking whether visiting the airport or not, 89.1% from duty free zone and 90.06% from first floor answered positively, which reveals the high satisfaction of visitors. Visitors pointed out the modern buildings, easiness of departure/arrival procedure, and various performances as charming points of the airport. This means performances at this airport take greater part in visitor’s satisfaction than convenient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question of how much the performances influence the value and positive acknowledgement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86.7% from duty free zone and 84.51% from first floor answered they influence a lot. Regarding this result, the most positive result was from English language users, and the rest goes Korean, Japanese, and Chinese in order. We can conclude that the performances at this airport serve as increased value and acknowledgement of airport, increased revisiting and connecting rates, and overall satisfaction towar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shows the power of this industry in global airport. As it reveals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s rather than other facilities or servic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eeds to develop this field more so that it can be a Culture Port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국내・외 공항이용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인 인천국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의 수행기간은 2011년 6월 30일~2012년 6월 29일(365일) 기간이다. 조사내용은 공연장소, 공연시간, 공연내용에 대한 만족도와 공항의 브랜드가치 상승에 대한 문화예술사업의 기여도, 재방문의사, 공항의 매력요소 등이다. 설문지 구성은 국제공항의 이용자 특성을 고려하여 1층과 면세구역으로 장소를 분리하였고, 설문조사는 4개의 언어권(한국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영어권)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만족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연장소, 공연시간, 공연내용에 대해서 국내·외 방문객 중 ‘여성’ 보다는 ‘남성’이 더 만족하였다. 언어권별로는 ‘영어권’에서 타 언어권 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외 공항이용객의 문화행사 만족도는 면세구역이 81%, 1층구역이 81.8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방문형태와 상관없이 문화행사 만족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인천공항 재방문 의사를 묻는 질문에서는 면세구역은 89.1%, 1층구역 90.06%가 적극적으로 응답하여, 인천공항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았다. 인천공항의 매력포인트 요인으로는 ‘현대식 건물’과 ‘입출국 절차의 간소함’에 이어서 세 번째 만족요인으로 ‘즐길거리(문화공연 등)’ 순으로 문화행사를 지목하였다. 이는 편의시설과 직원서비스 요인 보다 문화행사가 인천공항 이용객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고있음을 이미한다. 문화행사가 인천공항 브랜드가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면세구역 86.7%, 1층구역 84.51%가 공항의 브랜드가치와 인지도 상승에 문화행사가 크게 기여하는 요인이라고 응답하였다. 이 점과 관련하여 가장 높은 호응을 보인 언어권은 영어권(43.1%)이며, 이어서 한국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인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공항의 브랜드가치 제고, 재방문 및 환승율 제고, 그리고 인천공항 이용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인천공항의 문화예술사업이 글로벌 공항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의 시사점은 인천국제공항의 글로벌 공항경쟁력은 편의시설과 직원서비스보다도 문화예술사업의 만족도로부터 크게 힘을 얻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향후 인천국제공항은 문화예술사업을 더욱 강화하여 문화공항(Culture Port)으로서의 비전을 더욱 실현해 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 테러방지 대책 연구

        선계훈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2

        한국은 2001년 3월 29일 인천국제공항을 개항 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은 시설과여객 수송과 물류 수송에 있어서 세계 일류공항으로 손색이 없다. 세계는 경제교류가 급증하고 그 중심에 공항이 있다. 테러의 목표는 많지만, 공항은 항상 테러의 주요 대상이다. 현대사회의 테러는 불특정 다수에 대한 잔혹한 범죄로 세계는 테러에몸살을 앓고 있고,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연구목적은 인천국제공항의 안전이다. 인천국제공항은 개항하면서 김포국제공항과는 다른 보안검색과 시설경비체제로 대테러활동을 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은 국가기관이 테러예방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수익자부담원칙에 따라 민간업자가 대테러활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공항은 테러를 막을 수 있을까? 인천국제공항이 활용하는 수익자부담원칙은 안정된 선진국 체제다. 한국은 북한 등이 있어 안전한 나라가 아니어서 안전을 위해 동맹국과 협력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한국도 테러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인천국제공항은 밀입국자가 빈번히 들어오고 있다. 그들이 테러범이라면, 인천국제공항은 이미 테러가 발생했을 것이다. 테러의 위험성을 생각해보면, 한국은 수익자부담원칙은 부담이 된다. 연구방법은 세계 테러범죄의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사례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직접 공항을 상대로 테러행위를 자행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공항의 허술한 보안검색과 시설경비를 통과하여 항공기에 탑승한 후 테러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항 관련 테러는 궁극적으로 공항 보안검색과 시설경비에 달려 있다. 공항의 테러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해봄으로서 안전한공항체제를 도출해 볼 것이다. 결론은 인천국제공항은 시설경비와 보안검색 체제를 공권력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1986년 김포국제공항의 테러의 발생은 모든 체제를 경찰이 담당하도록하였다. 이후에는 한 건의 밀입국 사건이나 테러 등이 발생하지 않았다. 우리는 공항에서 테러를 예방할 수 있는 핵심은 현장 근무자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현대 테러의 양상으로 볼 때, 인천공항의 시설경비와 보안검색은 국가관 있고 공권력이 있는 국가기관이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South Korea'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as opened March 29, 2001.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not comparable to world-class airport facilities and passenger transport in the logistics and transport. The world is a rapidly economic exchange and airport at the center. Although the goal of the terrorist is large, the airport is always a prime target of terrorism. Terrorism in contemporary society is confused by the brutal crimes against unspecifie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This paper has studied around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purpose of study is safety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Gimpo International Airport has opened a counter-terrorism activities with other security systems and facilities expense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not prevent terrorist activities by the country, and that the private contractor prevent counter-terrorism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benefit assessment. Ca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prevent terrorism? Principle of benefit assessment to take advantage of th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the system stable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is not a safe country because of North Korea. Allies have maintained cooperation for safety. This is not the fact that Korea is safe from terrorism.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coming in frequently smuggled parties. If they are terrorist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ill have already occurred terrorism. Think of the dangers of terrorism, South Korea is not right on principle of benefit assessment. Methods were studied around the change of paradigm and cases of the criminal world terrorism. There are two cases. The first is to commit terrorist acts directly against the airport, another one will pass through the lax security and the security guards at the airport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errorism after boarding the aircraft. Therefore the airport-related terrorism is ultimately depend on airport security and facility security. The Case Analysis of Terrorism at the airport saw derive a secure system. The conclusion is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should switch the system to search facility security guards and public power system. Gimpo International Airport attacks occurred in 1986 was responsible for all this to the police system. After that incident did not occur, such as smuggling or terrorism. Still not too late. The key to prevent terrorism from the airport should not forget the fact that the field workers. In terms of aspects of modern terrorism, Incheon airport facilities and security guards will think it should be handled by national authorities.

      • 공항 소재지 지방자치단체 재정수요에 따른 재원조달방안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최원구,김민정 한국지방세연구원 2020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20 No.7

        □ 연구목적 ○ 국제공항은 국력의 상징이며, 한 나라의 정치적, 경제적, 기술적 수준을 나타내는 하나의 지표로 평가되고 있음. - WEF(세계경제포럼)에서는 매년 103개 국가경쟁력 관련 지표를 국가별로 발표하고 있는데. 이 중 공항 관련 지표는 기본환경 인프라 분야의 ‘항공 서비스’, ‘공항 연결 정도’로 우리나라는 2019년 103개국 중 각각 16위와 19위를 차지함. - 공항 관련 지표가 국가의 경쟁력을 측정하는데 하나의 지표로 활용될 만큼 글로벌 사회에서 공항의 중요성 및 역할은 매우 크다 할 수 있음. ○ 우리나라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2019년 세계 허브 공항 순위 11위로 국제여객수송량 세계 5위, 화물수송량 세계 3위로 상위권에 해당함. - 또한, 2019년 우리나라 전체 공항 여객수의 57.0%(7,086만명), 화물의 88.0%(376만톤)를 수용하였으며, 이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음. ○ 이에 따라 공항이 소재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는 다양한 재정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여객 및 화물 운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항 소재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공항 소재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생하는 재정수요의 규모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재원조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주요 내용 ○ 현재 우리나라에는 총 15개의 공항이 있으며, 국제공항으로는 인천, 김포, 제주 등 8개 공항, 국내공항으로는 광주, 여수 등 7개 공항이 운영되고 있음. - 그중 인천국제공항은 우리나라 공항 전체 여객 수용능력의 39.4%, 화물처리 능력의 57.3%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국제공항이며, 실질적으로 24시간 운영하는 유일한 공항임. ○ 인천국제공항은 2019년 우리나라 전체 공항 여객수의 57.0% (7,086만명), 운항편수의 55.5% (40만편), 공급좌석 수의 57.8% (8,491만석), 화물의 88.0% (376만톤)를 수용하였으며, 이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여객수는 2009년 이후로 연평균 9.61% 증가하였으며, 항공 운항편수는 연평균 7.41%, 공급석은 연평균 7.75% 증가하였음. ○ 이에 따라 인천국제공항의 소재지와 인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항으로 인한 다양한 재정수요가 발생하고 있음. -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 관련 예산을 재정수요가 발생하는 사업으로 ① 소음대책지역 주민 지원, ② 공항 관련 도로교통 개선, ③ 공항 인근 지역 주민 지원 및 환경개선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음. ○ 공항 소음방지를 위해서는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약칭 : 공항소음방지법)」 제2조에 의거, 공항 소음피해가 있는 지역을 “소음대책지역”으로 지정하고, 공항 소음 대책사업 및 주민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음. - 소음대책사업으로는 주택방음공사, 주택냉방시설 설치, 냉방시설 전기료 지원, 공영방송수신료 지원 등이 있음. - 주민지원사업은 소음대책지역 및 인근지역에 대해 주민복지증진 및 소득증대를 위해 시행하는 사업으로서 공동이용시설(도서관, 체육공원 등)설치, 교육문화사업 등을 말함. ○ 공항소음대책사업 및 주민지원사업 등에 필요한 재원은 정부의 국고지원금, 소음부담금, 사용료 등 공항 수익의 일부로 충당함. - 인천국제공항은 소음부담금을 부과하지 않고, 자체적 소음지원사업 예산을 편성하고 있으나,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인천광역시에서 별도로 예산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 공항소음대책사업비로 2020년도 기준 인천광역시 본청 12억원, 중구 31억원, 옹진군 32억원(군 부담 5.3억원)의 예산이 편성됨. ○ 또한, 인천광역시를 통과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이동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도로의 파손, 교통혼잡 등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재정수요가 발생하고 있음. - 한편으로는 국가경쟁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의 하나인 공항의 연계성, 공항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인천국제공항 연계도로의 지속적 확충 및 유지·보수가 필요할 것임. ○ 인천광역시에서는 2020년도 기준 1,141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여 도로교통시설 건설 및 개선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 주요 사업으로 총사업비 6,500억원 규모의 제3연륙교(영종~청라 연결도로) 건설사업이 있음. · 제3연륙교 건설사업으로 서울에서 인천국제공항의 교통접근성을 개선하고, 영종대교 및 교통 혼잡구간의 감소시키며, 사고가 있거나 비상시 제3연륙교를 이용함으로서 효율적인 교통접근성을 기대할 수 있음. ○ 인천광역시 중구에서는 2020년도에 도로교통 관련 사업에 210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이 중 중구가 96억원(45.9%)을 부담하고 있음. - 대중교통시설 개선사업으로 공영버스 운영지원 및 버스승강장 설치 및 정비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음. ○ 인천광역시는 공항 인근 지역주민의 이동권 보장과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지역 복리 차원에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북인천 영업소)와 인천대교(인천대교 영업소)를 이용하는 지역주민에게 통행료를 지원하고 있음. - 공항 인근 지역 주민은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는 통행료 전액, 인천대교는 통행료의 68%를 감면받음. ○ 2020년도 기준으로 인천광역시에서 총 221억원의 예산이 편성되었으며, 이는 전년도대비 18.9% 증가한 규모임. - 인천광역시에서 사업비를 포함하여 193억원, 중구에서 27억원, 옹진군에서 6억원을 부담하였음. ○ 한편, 인천광역시는 공항에서 발생하는 소음, 미세먼지 등 외부불경제로 인해 침체되어 있는 공항 인근 지역에 다양한 환경개선 사업을 전개하여 경제활성화 및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음. - 인천광역시 본청의 공항 인근 지역 환경개선사업 관련 예산을 보면, 2018년도에 152억 원, 2019년도에 169억원, 2020년도에 233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음. · 주요 예산 항목으로 영종 공원 및 도시기반시설 관리, 박석공원 시설정비, 씨사이드파크 관리 등이 있음. - 인천광역시 중구에서는 2020년도에 주민지원 및 환경개선 사업을 위해 79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이 중 90%인 72억원을 중구에서 부담하고, 6억원을 인천광역시가 부담함. · 주요 사업으로는 공원녹지 유지관리 사업, 공원녹지 환경개선 사업, 영종·용유 가로수 유지관리 사업이 있음. ○ 이상을 정리하면, 인천국제공항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정지출 총 규모는 2019년도에 1,081억원, 2020년도 1,711억원임(<표 1>). ○ 한편, 인천국제공항으로 인한 인천광역시 지방세수 규모는 2019년도 기준으로 1,089억원임. - 연도별 지방세수의 격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일회성으로 납부하게 되는 취득세의 세수가 전체 세수 중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임. -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비교적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세수는 지방소득세, 주민세, 재산세인데, 이를 통해 공항 관련 재정수요를 감당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임.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원조달 방안으로 출국납부금의 지방재원화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보았음. - 출국납부금은 공항과 항만을 통해 국외로 출국하는 모든 내외국인에게 부과하는 부담금으로, 항공은 1인당 1만원, 선박은 1천원을 부과·징수하고 있음. ○ 일반적인 행정서비스의 재원은 조세로 충당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정 사업을 위한 경비는 그 특정한 사업과 이해관계를 가지는 자가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임. - 그러나, 관광진흥개발기금의 출국납부금의 경우 그 부담자와 사용 용도, 즉 출국납부금부담자와 출국납부금 징수 목적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할 수 없음. - 다시 말해, 관광 인프라 확충 및 관광사업체 육성을 통한 관광이라는 행정서비스의 제공은 부담금이 아니라 조세로 충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음. - 2003년 및 2006년 부담금 운용평가에서도 출국납부금은 수익자부담 원칙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타당하지 않다는 의견을 제시함. - 2011년, 2014년, 2017년 평가에서는 출국납부금 부과가 부담금의 부과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해외 사례도 찾기 어려우므로 개별소비세로 부과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함. ○ 외국의 출국납부금 성격의 부담금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만 준조세인 부담금인 출국납부금으로 부과하고 있고 일본, 프랑스, 영국 등 조사 대상 국가는 모두 조세인 출국세로 부과하고 있음. ○ 따라서, 외국의 사례와 기금부담금운용평가단의 권고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출국 납부금은 국세인 개별소비세로 전환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임. ○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열악한 재정여건 개선을 위한 국세의 지방세 이양 차원에서 경마장, 골프장, 카지노 등의 특정 시설 입장 관련 개별소비세를 지방세로 전환할 것을 연구 결과로 제시한 바 있음. - 지방세의 세목은 ‘(가칭)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로 제안하였음. - 그 논거로는 특정 시설은 해당 지역에 입지되어 있기 때문에 지방세의 원칙 중 지역정착성과 응익성에 부합하며, 특정 시설은 그 시설을 유치하기 위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별한 노력의 결과이기 때문에 국세보다는 지방세가 적합하다는 점을 들고 있음. - 이와 같은 논리에 비추어 볼 때, 공항도 특정 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방세의 원칙 중지역정착성과 응익성에 부합하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별한 노력의 결과이기 때문에 지방세로서의 적격성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음. ○ 따라서 현재의 출국납부금을 개별소비세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세화하여 공항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요에 대응할 필요가 있음. - 출국납부금의 지방세화 방안은 유태현의 연구에서 제시한 ‘(가칭)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됨. - 현재 레저세가 일종의 죄악세(sin tax)로 사행성 세원에만 부과되고 있는데, 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의 도입으로 인하여 레저세를 레저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세목의 명칭에 부합하는 세목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됨. - 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의 도입으로 인한 세수효과는 출국납부금의 규모인 2018년 기준 3,8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코로나19로 인한 여객수 감소를 고려하여도 2,000억원은 초과할 것으로 예측됨. - 현행 레저세는 광역자치단체의 세목이므로 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의 도입으로 광역자치단체의 세수는 증가할 것이고, 기초자치단체에는 광역과 기초자치단체 간의 재정조정제도인 조정교부금제도를 통하여 일정 부분 재원이 배분될 것임. □ 정책제언 1) 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 도입 ○ 출국납부금은 외국의 사례 및 기금부담금운용평가단의 평가 결과에 따르면 조세로 전환하는 것이 타당함. - 물론, 외국에서는 우리나라의 출국납부금 성격의 부담금을 출국세로 부과·징수하고 있으며, 부담금 평가에서는 국세인 개별소비세로 전환을 권고하고 있음. - 그러나 공항은 한 번 입지하면 타 지방자치단체로 이전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하고, 공항이라는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객에게 항공이라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세의 원칙 중, 지역정착성과 응익성에 부합하고, 공항을 유치하기 위한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별한 노력의 결과이기 때문에 국세보다는 지방세가 적합한 면이 분명히 존재함. ○ 선행연구에 의하면, 현재 개별소비세가 부과되는 골프장, 경마장, 카지노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대한 개별소비세의 지방세화를 통하여 열악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 - 또한, 현행 레저세가 갖는 한계, 즉 현재는 사행산업에만 부과하고 있어 레저세의 과세대상 확대에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국세인 특정 장소에 대한 개별소비세를 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로 이양함으로써 향후 점진적으로 과세대상을 확대해 나갈 필요성이 존재함. ○ 따라서 현재의 출국납부금을 공항이 위치한 지방자치단체의 공항 관련 재정수요에 대응하는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칭)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로 전환·도입할 것을 제안함. ○ 특정 장소에 대한 레저세의 도입으로 인한 지방세수는 현재의 출국납부금의 규모인 약 3,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됨. - 인천광역시의 공항 관련 재정수요가 2020년도 기준 약 1,700억원임을 감안할 때 출국납부금의 레저세로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방세수는 적지 않은 규모이므로, 공항 관련 재정수요에 대응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판단됨. 2) 컨테이너에 대한 특정시설분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 확대 ○ 현재의 컨테이너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이하, 컨테이너세)를 선박 및 항공 화물에 대한 특정자원분 지역자원시설세(이하, 톤세)로 확대할 것을 제안함. - 현행 컨테이너세는 컨테이너 부두가 보유한 지방자치단체만 부과·징수할 수 있어 선박 화물의 종류 및 선박화물과 항공화물 간의 조세형평에 어긋나는 점이 존재하고 지방세 원칙에도 보편성의 원칙 등에서 부합하지 않는 면이 존재함. - 따라서 컨테이너세의 과세대상을 항만 및 공항을 이용하는 화물에 대한 지방세로 확대하여 상대적으로 조세형평 및 지방세 원칙에 부합하는 톤세를 도입할 것을 제안함. ○ 톤세의 과세주체 및 과세대상 세율은 다음과 같이 설정함. - 납세지는 항만 및 공항 소재지의 지방자치단체로 현재 지역자원시설세는 광역자치단체의 세목이므로 항만 및 공항 소재지의 광역자치단체가 됨. - 과세대상은 부두 및 공항을 이용하는 화물임. - 납세의무자는 부두 및 공항을 이용하여 화물을 입항·출항시키는 자로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는 도로라는 공공재를 이용하여 혜택을 받는 자가 됨. - 세율은 선박화물 및 항공화물 모두 톤당 일정 금액(외국의 톤세를 감안할 경우 400원 내외)으로 설정함. ○ 톤세의 세수효과는 연간 6,000억원을 초과할 것으로 추정됨. - 톤세수 규모는 항만의 물동량 및 공항의 화물처리 실적을 기준으로 추정할 경우 2018년도 기준 약 6,500억원, 2019년도 기준 6,600억원에 달할 것임. - 이는 2018년도 기준 지역자원시설세 총세수 163억원의 40배 이상이 되며, 부산광역시에서 2006년도에 징수한 컨테이너세 923억원의 7배에 달하는 규모임. ○ 지역자원시설세 특정시설분 톤세의 도입으로 항만 및 공항 소재지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 확충에 기여할 것임. - 톤세로 인한 자주재원 증가는 해당 지자체의 물류 관련 교통인프라 확충 및 기능개선에 기여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국가경쟁력에 제고에 기여할 것임. - 또한, 톤세의 도입이 갖는 의미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주재원 및 과세자주권 확보를 위한 지방세의 한 유형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을 것임.

      • 인천국제공항 철도 수송분담율 산출 및 제고 방안

        이창환(Chang-Hwan Lee),이소영(So-Young Lee),채동훈(Dong-Hoon Choi),백진욱(Jin-Wook Baek) 한국철도학회 201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1

        공항철도는 2007년 3월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간 1단계 구간 개통에 이어, 2010년 12월말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역간 전구간 개통으로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의 주요 접근 교통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으며, 최상의 서비스 제공과 적극적인 수요증대 마케팅 노력을 통하여 최근 수송실적이 크게 개선되었다. 하지만, 해외 주요공항과 비교할 때 인천국제공항은 친환경 교통수단인 철도보다는 도로교통수단인 버스와 자가용 이용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정확한 철도 수송분담율 파악을 위하여 현장 전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수조사로부터 나온 결과와 수송분담율 산출 모델을 토대로 인천국제공항의 철도 수송분담율을 산출하였다. 이와 아울러, 인천국제공항의 철도 수송 분담율 증대를 위해 자체적으로 시행한 마케팅 성과를 제시하고, 후속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정책적 지원사항을 제언코자 한다. The operation of Airport railroad is started on the first phase which is connected between Incheon Int’l Airport and Gimpo Int’l Airport in March 2007. After then, it is operated on the full-line which is connected between Incheon Int’l Airport and Seoul station in December 2010. Airport railroad hearby became one of the major public transportations to access to the Incheon Int’l Airpor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gateway in Korea. After starting the operation, the riders are continuous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best service and the aggressive efforts of marketing for increasing the demand. However, the share of the bus or private car as road transportation is still high although the railroad is more eco-friendly transportation than road transportation. Therefore, the complete survey on site was carried to figure out the rail’s share of Incheon Int’l Airport access in accurate, and the rail’s share is calculated with the model of share reflecting the results of survey. In addition, this paper represents the performance of marketing that is implemented autonomously and the proposal of political supports to enhance the rail’s share of Incheon Int’l Airport access.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 서비스품질 중요도성취도 분석 -한국 및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김종택,이용철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3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하는 한국 및 일본 이용객 중심의 서비스품질(Service Quality)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인천국제공항 서비스품질은 이용시 중요도-성취도(Importance -Performance)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라는 가정하에 이들 간의 지각차이를 규명하는데 본 연구의 1차적인 목적이 있다. 이와 더불어 한국이용객과 일본이용객의 인천국제공항 서비스품질에 따른 중요도 및 성취도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용객의 입장에서 주관적으로 평가되기에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인천국제공항 서비스품질의 평가는 제공자의 입장이 아닌 고객입장에서 끊임없는 서비스 감시시스템(SMS: service monitoring system)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항 이용객들의 선호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인천국제공항 서비스품질에 대한 집중측면과 과잉측면을 파악하여 시급히 개선할 부분과 불필요한 노력을 줄임으로써 경영의 효율화를 도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상품의 다양화를 추구하고, 이를 통한 가격 경쟁이 가능하게 만들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first purpose is ‘To improve Service Quality’. When they use the Incheon Airport, most people say there are no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rvice quality. All of things valuate subjectively from customers, so we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rvice Quality from Korean customer and Japanese customer That’s why we support this information. Through this research, At first, We will become a side of customer for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we have to understand for using people of Airport that ‘What they want to do?’ or “What can we do for them?”according to the SMS(service monitoring system). Second, We have to reduce unnecessary expenses and effort for efficiency of management. Therefore we need to research of Concentrate Here and Possible Overkill for best service quality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ird, we pursuit of variety services and try to a competitive price through them.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 장기전략 수립 방향성에 관한 연구

        신태진 ( Tae-jin Shin ),김지희 ( Ji-hee Kim ),이윤철 ( Yun-cheol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3

        인천공항은 2001년 개항 이래 한국의 관문 공항으로 서비스 차원에서 세계 최고 공항으로 평가받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 관련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인천공항이 장기적인 경쟁우위를 지속하기 위해 어떤 전략적 방향성을 설정할 것인지를 도출해 보았다. 공항전략의 구성요소는 본원적 공항 서비스 프로세스, 상업시설 및 인접 지역개발, 항공화물 서비스, 지상 교통 연결로 구분될 수 있다. 글로벌 경쟁공항의 이들 구성요소에서 어떤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스키폴, 두바이, 쳅락콕 공항을 벤치마킹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인천공항의 장기전략 방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기술적 변화요인으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3D 프린팅, 친환경 기술 등에 의한 변화요인이다. 인천공항은 새로운 기술이 산업에 적용되고, 이를 통해 다른 차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혁신자가 되어야 한다. 둘째, 산업 구조적 변화요인이다. 한국의 산업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공항은 글로벌 인적 교류 및 물류가 가장 빈번히 이루어지는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산업의허브’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공항 인접 지역을 금융, 의료산업 등 교류가 중요한 산업의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셋째, 거시 환경적 변화요인이다. 중국의 부상, 남북통일 등 동북아의 교통 물류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이다. 인천공항은 ‘기술과 산업의 허브’를 기반으로 동북아 ‘종합 교통의허브’로 자리매김해야 한다. 나아가 지속적으로 신뢰·존경받는 공항이 되기 위해서는 이 모든 과정에 공유가치창출(CSV)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main gateway to Korea since 2001, has a reputation as the number one airport in the world, based on service.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strategic direction to better sustain a long-term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air transportation industry. The main components of airport management strateg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areas: 1) airport service process, 2) development of commercial facilities and neighboring areas, 3) air cargo service, and 4) ground transportation connections. To assess the competitive challenges in the airport industry, this research has benchmarked three airports: Amsterdam Airport Schiphol, Dubai International Airport, and Hong Kong International Airport. There are three primary aspects of airport operation requiring long-term strategic direction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e first area is technology-driven innovation represented by IoT(internet of things), Big Data analysis, 3D printing, and Eco-Technology.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eeds to be an industry-leading innovator in applying new technology and making value-added staffing and hiring decisions. The second area requiring strategic direction is address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airport industry. Incheon Airport should be an ‘Industrial hub’ to take full advantage of its geographic location and important role in logistics and personal exchange in accordance with industry transitions in Korea. Incheon Airport needs to develop its neighboring area to become a core of interchange based industry, including finance, healthcare, etc. The third area of airport operations requiring direction is addressing and adapting to changing macroeconomics. The economic rise of China and the potential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fundamental aspects of Korea``s transportation system. Incheon airport should be regarded as a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hub’ and an ‘integrated hub of technology and industry.’ Finally, the entire aforementioned process should be based on CSV(creating shared value) in order to leap forward to becoming an airport with sustainable trust and honor.

      • KCI등재

        인천국제공항의 상주고객 만족 및 성과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라선아 ( Sun A La ),이청림 ( Cheong Lim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2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이 여객 및 물류의 규모 면에서 동북아 제일의 허브공항으로 입지를 굳힐뿐 아니라 세계 최고의 국제공항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내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관리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인천공항은 공항 이용객의 만족도, 서비스품질 등의 평가에서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고의 지위를 오래도록 누리고 있다. 인천국제공항의 이 같은 고객 서비스품질 수준은타 공항에 모범사례로 알려져 해외 몇몇 국제공항에 품질관리 기법을 수출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그런데, 국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의 변화 및 소득수준의 증가 등으로 해외여행객이 해마다급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제교류의 증가 및 한류열풍으로 해외 여행객의 방문도 급증하고 있어 여행객 규모면에서 점차 세계 최대의 공항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일관적인 고품질 서비스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도전과제가 되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새로운 리더십 하에 설정한 비전2020은 인천국제공항을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여러 과업들을 요구하고 있다. 즉, 여행객을 대상으로 한 외적인 서비스품질의 유지 및 향상뿐만 아니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강력한 내적인 토대와 잠재력을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 공항공사의 최고 서비스품질 수준을 구현할 수 있는 내적 토대와 잠재력을 점검하고, 어떤 요인들을 관리해야 하는지를 알려 줄 평가관리체계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가되었다. 이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 내에 상주하는 업체/기관의 모든 인력들을 포괄하는 상주고객 대상 만족도 및 성과 모형을 개발하였다. 공항공사 입장에서 상주고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궁극적 성과는 도전적인 미래의 비전을 성취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최종고객의만족은 내부고객의 서비스지향성 및 만족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만족거울 및 서비스이익사슬의 개념을 적용하여 내부고객의 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내부고객 만족모형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국내외 이용고객의 인천공항에 대한 만족도가 가시적인 성과라면, 수면 아래에서 이를 지원하는 비가시적 내부접점에서 발생하는 비가시적 성과가 결과적으로 총체적 고객서비스경험을 창출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공사와의 관계만족과 소속사의 성공에 대한 지각에 의해 상주고객의 협력의도가 결정된다고 보고, 상주고객을 내부마케팅을 적용한 서비스품질 관점, 인적자원관리 관점, 관계마케팅관점에서 각각 내부고객, 인적자원, 파트너로 바라보고 관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탐색하였다. 문헌근거 및 심층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품질관점에서는 내부의 상품품질, 전달품질, 환경품질을,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는 역할이해와 복리후생을, 관계마케팅관점에서는 신뢰와 가치공유를 선행변수로설정하고, 관계만족을 성과변수인 지각된 성공과 협력의도로 연결되는 매개변수로 설정한 인과관계구조방정식 모형을 개발하여 실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상품품질과 신뢰의 관계만족에 대한 경로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경로가설이 지지되었다. 정리하자면, 서비스품질관점에서는 내부인력인 상주고객이 공항공사와의 업무관계에서 지각하는 서비스전달품질과 환경품질이 공항공사에 대한 그들의 관계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인적자원관리 관점에서는 공항공사와 자신의 소속기관(기업)을 각각 서로 다른 지휘자로 둘 수밖에없는 상주고객의 역할이해도가 중요한 관계만족의 선행변수로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실제 근무지인공항공사로부터 받는 복리후생 수준도 공항공사에 대한 관계만족의 선행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주고객을 소속기관(기업)을 대표하는 작은 기관(기업)으로 볼 때, 이들 상주고객과 공항공사의 관계는 B-to-B 관점이 적용된 관계마케팅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 간의 가치공유가 관계만족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품질요인 중 공항공사의 업무능력과 관련되는 상품품질과 관계마케팅 요인 중 하나인 신뢰가 관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가설검정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기각된 가설과 관련된 대안적 해석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that can be used as a managerial framework for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IA). IIA is currently one of the biggest north eastern hub airports in Asia, which occupies the huge volume of world trades and air passengers. Furthermore, IIA has long been ranked on the top in ASQ and PCSI in terms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Several international airports in other countries have already tried to adopt the lessons of managerial practices for service quality from IIA. Global demands in passenger and trades services for IIA are expected to soar in very near future. Accordingly, IIA set up a new challenging vision 2020. In pursuit of a sustainable competency and comparative advantages, IIA now faces an urgent need for the full preparations with validated management tools and systems from inside out. The promising future can only be guaranteed through the improved potentials drawn from well aligned inner institutional efforts. There are about 40,000 personnels working for IIA. They are the internal working forces delegated or dispatched from allying institutions or companies. However IIA had implemented only external customer-oriented evaluation frameworks in practice so far. To make one step forward, it is required for IIA to have internal customer-oriented evaluation and feed-back framework.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is the determinant of external CS, which was evidenced with the well-proven claims such as service profit chain or satisfaction mirror. The study investigated the promising ultimate outcomes to IIA when focusing not only on the external customers but also on the internal customers first by considering relational satisfaction and relational performance. Particularly, the research examined the candidate constructs of antecedents leading to rel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consider the multi-faceted nature of internal customers, three pivotal perspectives are adopted and incorporated in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hich are perspective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human resources, and relationship marketing. The final model was constructed in the form of causal relationships including seven antecedents drawn from the three perspectives, relational satisfaction as a mediator, and perceived success and cooperation intention as the dependent constructs. Empirical analyses yielded reasonable fits of the proposed model. As the results, from the perspective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service delivery quality and service environment quality affect internal customers’ relational satisfaction with IIA. From the HRM perspective, role understanding and employee benefits are significant antecedents to relational satisfaction. From relationship marketing perspective, shared value between the two parties produces positive relational satisfaction. Relational satisfaction expedites perceived success of internal customers, which finally leads to internal customers’ intention to cooperate with IIA. The research findings including the hypotheses that were not supported are discussed in a comprehensive manner.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are also presented.

      • KCI등재

        국내 주요 공항별 도착 및 출발 여객수의 동향과 변동률

        최정일,박지윤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1 유라시아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주요 공항별 도착과 출발 여객수의 동향을 살펴보고 각 공항별 상승 률과 변동성 등의 관계를 분석하여 각 공항별 동조화 현상과 향후 발전 가능성을 찾아보는데 있다. 사용 한 자료는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교통물류 ⇒ 항공통계 ⇒ 공항별통계“에서 여객수를 정리하였다. 분석 기간은 2005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190개 월간자료를 이용하였다. 최근 가덕도신공항, 제주제2공항, 울릉공항, 흑산공항, 새만금공항 등 국내 새로운 공항 건설이 사회적 으로 많은 관심을 모으며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항별 도착과 출발 여객수의 동향을 살펴 보고자 기존 공항 중에서 승객수가 많은 주요 6개 공항을 선정하여 물동량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인천국 제공항은 김포공항이 여객 및 화물의 수송 능력을 넘어서자 이를 대체할 공항으로 건설되었다. 서울의 세계도시 전략에 의해 지난 2001년 4월 개항하고 이후 2017년까지 1∼3단계 사업을 거쳐 제2여객터미널 을 확장하면서 연 7,200만 명의 여객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김포공항은 항공 여객 및 화물을 수송하고 있으며 2001년 이후 국제선 기능이 약화되면서 현재 국내 선과 도쿄, 오사카, 상하이 등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다. 2001년 이후 국제선이 감소하였고 국내선도 KTX 운행과 일부 지방 도시의 항공노선이 폐쇄되면서 이용객이 더욱 감소하고 있다. 김해공항은 부산 광역시에 있는 군・민 공용 국제공항이다. 이용객 기준으로 인천, 제주, 김포에 이어 국내 4번째 공항이며 인천공항 다음으로 국제선 이용객이 많이 운항하고 있다. 지난 2018년에 국제선 이용객이 1천만 명을 돌파하였고 국제선은 중국, 대만, 베트남, 일본, 태국, 필리핀 등 노선을 주로 운항하고 있다. 청주공항은 중부권 거점공항으로 국회 세종시 이전이 공론화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관 광산업의 성장과 공항 활성화로 인해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지역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공항은 1995년 6월 방콕과 오사카 등 김포와 김해공항을 연계하여 국제선을 운항하였고 2001 년 상하이에 국제선을 취항하면서 서남권의 중점공항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지난 2007년도 무안공항이 개항하면서 국제선 기능을 이전하였다. 제주공항은 1968년에 국제공항으로 승격하였으며 국내 공항 중 국내선 항공이 가장 활발하게 운행되고 있다. 김포∼제주 노선은 2017년도 1,346만 명으로 세계에서 가 장 많은 여객이 운항하는 노선으로 선정되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여객이 이용하 는 노선 1위를 유지하고 있다. 기술통계량에서 청주와 제주, 광주, 김해는 다른 공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과 높은 변동성 을 보여주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공항 총 여객에 대해 김해, 김포, 청주, 제주, 광주, 인천 순으로 상관 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각 공항별 Scatter 분석에서 국내 총 여객과 비교하여 김포와 김해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단계의 동조화현상이 나타난 반면 광주와 인천은 다소 낮은 수준의 동조화현상이 나타났다. 회귀분석에서 김포와 김해, 청주, 인천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제주와 광주는 유의하지 않 은 것으로 산출되었다. Durbin-Watson stat가 2.262로 2에 가까워 각 공항들이 상호 독립적으로 변동하 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난 2005년도 이후 국내 주요 공항의 도착과 출발의 여객수가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 왔으나 코로나 19 영향으로 인해 일시적인 감소세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국제공항인 인천과 김해의 경우 상대적으로 감소세가 크게 나타난 반면 국내선 중심의 광주와 청주는 감소세 이후 2020년 중반부터 서서히 회복되 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국제선과 국내선의 동향과 변동률에서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이것은 일 시적인 현상으로 보이고 코로나19 이후 모두 동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공항이 발전하기 위해 서는 각 공항별 항공수요를 예측하고 여객터미널의 적정 규모와 다양한 활용계획 수립이 필요해 보인다. 각 공항별 운영의 효율성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개발하면서 여객과 화물이 공항수익에 기여하 는 객관적인 가치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각 공항들은 지역발전과 관광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number of arrival and departure passengers by major domestic airpor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rate and volatility of each airpor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organized by KOSIS “Transportation Logistics ⇨ Aviation Statistics ⇨ Airport Statistics” for the number of passengers. For the analysis period, a total of 190 monthly data were used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20. In this study, we performed numerical analysis, index analysis, and model analysis using the rate of change from the previous month. Recently, new airports in Korea such as Gadeokdo New Airport, Jeju 2nd Airport, Ulleung Airport, Heuksan Airport, and Saemangeum Airport are being promoted with a lot of social interest. In this study, we selected six major airports among existing airport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number of arrival and departure passengers by domestic airpor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as built as a replacement airport when Gimpo Airport exceeded its passenger and cargo capacity. In accordance with Seoul’s global city strategy, Incheon opened its port in April 2001, and then expanded Terminal 2 through phases 1∼3 in 2017, allowing it to accommodate 72 million passengers a year. Gimpo Airport transports air passengers and cargo. Since 2001, domestic flights and international flights such as Tokyo, Osaka, and Shanghai have been operating. Since 2001, international flights have decreased, and as KTX operations and air routes in some local cities have been closed, the number of domestic flights has been further decreasing. Gimhae Airport is a military and civilian international airport in Busan. It is the fourth airport in Korea after Incheon, Jeju, and Gimpo in terms of passengers. International passengers operate a lot after Incheon Airport. In 2018, the number of international passengers exceeded 10 million, and international flights mainly operate routes such as China, Taiwan, Vietnam, Japan,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Cheongju Airport is a base airport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relocation of Sejong City to the National Assembly is being discussed, making new chang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as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increases due to the growth of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vitalization of the airport. Gwangju Airport is operating international flights to Bangkok and Osaka in June 1995 by linking Gimpo and Gimhae Airports. In 2001, it served as a key airport in the southwest region when it launched international flights to Shanghai. However, with the opening of Muan Airport in 2007, the international flight function was transferred. Jeju Airport was promoted to an international airport in 1968, and domestic airlines are the most developed among domestic airports. The Gimpo-Jeju route is the world’s most passenger-operated route with 13.46 million passengers in 2017. Even after Corona 19, it maintains the number one route used by the most passengers in the world. In technical statistics, Cheongju, Jeju, Gwangju and Gimhae showed relatively high rates of increase and high volatilit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compared with total passengers at domestic airports, Gimhae, Gimpo, Cheongju, Jeju, Gwangju, and Incheon were higher in order. In the scatter analysis for each airport, Gimpo and Gimhae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compared to total domestic passengers. On the other hand, Gwangju and Incheon showed relatively low synchronization. In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alculated that Gimpo, Gimhae, Cheongju, and Inche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Jeju and Gwangju were not. The Durbin-Watson stat was 2.262, which was close to 2, indicating that each airport fluctuat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ince 2005, the number of passengers arriving and departing at major domestic airports has steadily increased. However, due to the corona 19 effect, a temporary decline is appearing significantly. In the case of Incheon and Gimhae, which are international airports, there was a relatively large decline. On the other hand, Gwangju and Cheongju, which are mainly domestic routes, are gradually recovering from mid-2020 after the decline. Due to Corona 19,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the trends and fluctuation rate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flights. However, this appears to be a temporary phenomenon and is expected to increase all along after Corona 19. In order for domestic airports to develop, we must predict the air demand for each airport and establish an appropriate size and various utilization plans for the passenger terminal. In addition, we must develop various polic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ach airport’s operation and analyze the objective value that passengers and cargo contribute to airport profits. We must be able to suggest ways for airports to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 공항철도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이용객 상관관계 분석

        채동훈(Dong-Hun Chei),백진욱(Jin-Wook Baek),신광식(Gwang-Sic.Shin),이원영(Won-Young Lee)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공항철도는 이미 대한민국의 관문인 인천국제공항과 서울역을 잇는 교통허브로 자리매김하였다. 개통 이후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다양한 마케팅 활동으로 수송실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추지 않고 공항철도의 사업역량 확대를 위해 2016년 7월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운영 및 유지보수 위탁사업에 진출하였다. 이에 공항철도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간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부상철도 이용객 행태조사를 시행하였고, 또한 회귀분석 기법을 통해 공항철도 수송인원과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이용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자기부상철도를 연계한 공항철도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고, 또한, 마케팅 전략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사항을 제언하였다. Airport railroad became one of the major public transportations to access to the Incheon Int’l Airport which is the representative gateway in Korea. After starting the operation, the passengers are continuously increased according to aggressive efforts of marketing for increasing the demand. And Airport Railroad operate the Maglev line business based on commission to expand our industry. We expect synergy between Airport Railroad and Maglev line. We start the survey for maglev line passenger. And The complete survey on site was carri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irport Railroad and Incheon Int`l Airport Maglev line passengers. This study applies for th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analysis results Finally, it presents the need of political supports to establish the efficient marketing strategy.

      • 공항철도 도심공항터미널 활성화 방안

        이소영(So Young Yi),이창환(Chang Hwan Lee),채동훈(Dong Hun Chae),백진욱(Jin Wook Baek) 한국철도학회 2014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5

        2013년 1,200만명의 외국인이 한국을 방문하였으며, 이 중 58%가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으나, 인천국제공항의 여객수용능력은 2015년 포화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혼잡도 완화를 위해 인천공항에서도 2017년 제2여객터미널 준공을 목표로 건설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나, 단기적으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인천공항 도착 전 도심에서 여객을 분담할 수 있도록 도심공항터미널 기능을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의 운영현황을 기반으로 현 상황의 문제점을 심층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 활성화를 위한 종합대책과 관련법규 개정 등 다양한 시각에서의 정책적인 지원사항을 제언하였다. 12million foreigners visited in Korea in 2013, were 58% to be entering through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cheon Int’l Airport’s passenger capacity is expected to reach saturation in 2015 to relieve congestion in 2017 aimed at 2<SUP>nd</SUP> terminal construction projects completed under way. In order to obtain a short-term effect of pre-arrival distance from Incheon Int’l airport to allow passengers to share the city, there is a need to enable the terminal. In this regard, based the Seoul station City airport Terminal’s operating status of in-depth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blems, Seoul station City airport Terminal based on this, comprehensive plan for activation and revise related laws, policy support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proposal was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