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의 이념과 한국인문학의 과제

        백종현 ( Chong Hyon Paek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2

        인문학의 대의는 어떤 종류의 대상에 대한 지식 습득이나 창출이 아니라 인격 수양에 있으니, 인문학도는 먼저 덕성을 기르고, 그가 닦은인품의 향취와 연찬의 결과를 이웃과 나눌 일이다. 인문학은 본디 ‘자기를 위한 공부’[爲己之學]이거니와, ‘위기지학’으로서 인문학은 사람이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사람다움’의 품격을 스스로 함양하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교양학문으로서 인문학’이라하겠다. 그러나 인문학도 부차적으로는 ‘남을 위한 공부’[爲人之學]일수도 있으니, ‘위인지학’으로서 인문학은 이웃의 교양을 배양하는 데도움을 주는 직업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를 ‘전문학문으로서 인문학’이라고 일컬을 수 있겠다. 지난 5,000년 역사를 거치면서 한국은 주변의 수많은 문명들을 수용하고 혼융하여 ‘한국문화’를 이루어왔다. 문화의 주체는 ‘인간’이니 인간성을 북돋우는 인문학이야말로 문화의 중심이다. ‘한국인문학’은 인문학의 보편적 이념을 한국 사회문화의 토양 위에서 구현하고, 한국어를 거쳐 표출될 수 있는 인문적 향취를 인류사회에 확산시킴으로써 ‘세계문화’를 진보시킬 과제를 갖는다. 이제 한국인문학은 인간됨,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품격을 향상시키는 데 요소가 되는 동서고금의 모든 문헌적 자료를 우선 한국어로 펼쳐내어 한국 시민의 품격을 제고하는 데 본뜻을 두고, 그러한 범형을 외국어로도 옮겨 널리 확산시킬 것을 지향할 일이다. 똑같은 가치를 구현함에도 보편성 외에 문명권마다 고유의 양식이 있고, 똑같은 품격이라 하더라도 사람마다 개성 있는 방식이 있다. 한국인문학은 그러한 특수성과 개성이 발양됨으로써 인류 문화가 더욱 풍요로워지고, 인간의 삶의 다양성이 확대되어 오히려 인간 삶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믿음 아래, 모든 특성 있는 인문학과 ‘서로 같지 않되 화합한다’ [不同而和]는 이념으로 이제야말로 세계만방의 문화권역과 상부상조(相扶相助)해 나가는 일을 과업으로 갖는다. Over the past 5,000 years, Korea has established its own peculiar culture by accepting and absorbing the various culture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with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culture is a human being, it is conceded that the humanities that are supposed to encourage the value of humanity are at the center of culture. Accordingly, Korean humanities have the task of realizing the universal idea of the humanities in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and at the same time advancing global culture by diffusing a unique Korean spirit.the spirit that can be expressed only through the Korean language.all over the world. Korean humanities has now set the very lofty goal of accommodating, through Korean language, all the valuable materials that have been accumulated over the history of human beings in such a way as to enhance humanity, human dignity, and the value of humanity. By doing so, it is expected that the human value of Korean citizens is to be raised, and that its crux is to spread out through translations into foreign languages. It is well known that just as different communities take different approaches in realizing the same desired sociocultural value, so different persons take different methods in realizing the same desired human value. With the creed that the realization of this sort of uniqueness is conducive to enriching human culture, promoting a variety of human life style,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ly developing human life itself, Korean humanities purport to go hand in hand with all the sociocultural paradigms such that they recognize different sociocultural peculiarities but at the same time respect and cooperate with them.

      • KCI등재

        미국 인문학재단 (NEH)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

        김현(Kim, Hyeon),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이 글은 미국 디지털인문학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우리나라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시책 개발에 참고가 되게 하려는 목적에서, 미국 인문학재단이 디지털인문학 진흥을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지원 프로그램 및 이를 통해 수행되고 있는 디지털인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실제 내용을 조사, 분석, 정리한 것이다. 미국 인문학재단(NEH)의 디지털인문학단(ODH, Office of Digital Humanities)에서 지원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유형은 5가지이다. 그 첫 번째인 ‘디지털인문학 초기 조성 지원금’(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은 디지털인문학의 경험이 없는 순수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금이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인문학 연구의 수행이 가능해지면, ‘디지털인문학 실행 지원금’(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을 통해서 실제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지원금’(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을 통해서 전통 인문학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교육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인문학 빅데이터 분석 과제’(Digging Into Data Challenge)는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인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하고 있으며, 독일의 연구진흥협회(DFG)와 공동으로 미 · 독 양국의 협력 연구팀을 선발 · 지원하는 ‘NEH/DFG 디지털인 문학 협력 프로그램’(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은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NEH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인문학에서 다루어 오던 연구 주제를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기술의 도움을 받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성과를 도출하려는 시도가 주류를 이룬다. 중요한 시사점은 이러한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의 전 과정이 인문학 연구자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며. 디지털 기술의 이해와 운용 또한 인문학자들 스스로 담당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를 지향하며,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소통을 강조하여 연구 과정에서의 학제 간 공동연구 방법이나 연구 결과의 완전 공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도 NEH 디지털인문학 육성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게 짚어보아야 할 사항들이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urvey is mainly focused on the various projects supported by the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ODH)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 The grant programs offered by the NEH include the 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 which support the initial stages of planning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as well as the 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 which are involved with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research projects. Also, the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is designed to support training programs for humanities scholar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The Digging Into Data Challenge seeks for a new research method to use big data tha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diverse digitalization projects, and the 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 displays exemplary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s for humanities research. The most fundamental implications of the NEH’s Digital Humanitie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ctors of the researches should be humanities scholars whose academic bases are on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Second, a certain kind of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to transform these scholars into “digital humanities scholars,” since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related to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training program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projects and properly supported during the initial phases for promoting digital humanities. In Korea, along with digital humanities, “cultural content” studies have been emerged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Cultural content studies in Korea succeeded in achieving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humanities studies. However, unlike the United States, this approaches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for providing solid foundation for humanities studies and innovating relevant research methodologies. It is expected that Korean humanities researchers will discover a mutual, complementary progress both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and the applied humanities contributing to creative industries throug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of the world.

      • KCI등재

        인문학의 성과 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정은경(Jeong Eun-kyoung)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이 논문은 인문학의 확산 방안의 구체적 사례와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문학의 성과의 확산과 대중화를 위한 전제는 첫째, 순수 인문학 전공영역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과 정책적인 지지이다. 인문학에 대해 통찰하고 그 성과를 응용하고, 실천하는 주체 혹은 모체가 없이 인문학 확산은 불가능하다. 둘째, 제도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을 기반으로 한 전인적 교육을 회복해야 한다. 입시 위주의 파행적인 중고교 교육을 회복하고 대학에서의 인문교양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대학에서의 각 전공교과에 접합한 응용인문 교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인문학 대중화 이전에 ‘인문학의 성과, 혹은 인문정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그것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달리 결과하는 ‘성찰하는 힘’이고 ‘소통과 공감 능력’이다. 인문학 교육의 목표가 ‘주체와 시민’으로 요약될 때, 그것은 곧 획일적 인간이 아니라 곧 구체적 현실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존재 세우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인문학 성과의 확산과 대중화 실천 방안은 첫째, ‘지역’에 주목해야 하고 지역과의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둘째, 마을인문학과 지역 가꾸기의 지속적인 실천은 각 지역적 특색을 담은 ‘지역학’과 결합하여 발전시킬 수 있다. 군산학, 안동학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고, 더 발전된 형태로 일본의 미나마타학, 오키나와학 그리고 지원학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셋째, 인문학 대중교육과 시민 인문학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상호소통’과 ‘주체화’이다. 프로그램과 강좌는 계몽주의적 일방향성에서 벗어나 쌍방향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주민은 물론 지역사회에서 소외되어 있는 사회적 약자들을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인문학이 되어야 한다. 노숙인, 교도소 인문학의 사례를 참고하여, 지역의 이주노동자, 방치된 청소년, 독거노인 등을 찾아가는, 적극적인 인문학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복지프로그램과 연동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direction and cases of diffusion and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Pre-requisites for the spread and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is a policy in support of the humanities" major areas. It is impossible to spread without a subject who has insight, application and practice. Second, whole-person education should be recovered in the education system. The exam-oriented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uld be recover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joint application of Humanities courses in each major subject at the university. Prior to popularizing humanities, agreement must be made regarding "What is humanities or its outcome?" It is the "power of reflection, communication and empathy", which will have various results depending on the time and place. The goal of a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be subjects and citizens and it will establish not same human but various human in a concrete reality. First, humanities is to pay attention to local and to seek the solidarity of the region for the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subjects. Secondly, the practice of humanities should be continued and developed with "locality studies", each containing a regional specialty. There are some examples, such as Minamata science, Okinawa science in Japan. Third, it is important for public humanities education to interact. Programs and courses must consist of interactive content out of one-way and enlightenment. Fourth, humanities should be activeinvisiting local residents and socially disadvantaged communities. We should seek a practical way to care for the abandoned youth,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connect them with welfare programs.

      • KCI등재

        인문학의 몰락, 대학의 몰락

        고부응(BooEungK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17 비평과이론 Vol.22 No.1

        인문학은 인간을 위한 학문이다. 대학의 역사에서 인문학은 교회의 권위에 도전하면서 인간성을 옹호하기 시작한 르네상스시기에 태동하였고 교양인 양성을 위하여 자유로운 학문 탐구를 대학의 목표로 설정하였던 19세기의 근대 대학에서 전성기를 맞는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대학에 분과학문 체제가 도입되고 대학이 효율과 성과를 중시하는 기업식 경영 체제가 본격화되면서 인문학의 위기가 본격화된다. 이 논문은 인문학의 역사를 과거, 현재, 미래의 대학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과거의 대학이 전인을 양성하기 위한 인문학 본연의 사명을 상당한 정도 수행하고 있음을 살피고 현재의 기업화된 대학에서 인문학이 몰락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미래의 대학에서는 인문학이 소수 명문 대학에서 지배 계급의 계급 재생산을 위한 교육이 될 것이지만 대부분의 대학에서 인문학이 사라질 것을 예견한다.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문학자들은 인문학이 본래 추구하였던 인간을 위한 교육과 통합적인 지식을 추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인문학자들은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전문가 정신을 버리고 특정 학문 분야의 전문 고유 영역을 끊임없이 넘어서려는 아마추어 정신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이 논문은 주장한다. Humanit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of human studies is for the exploration and cultivation of humanity. Humanities per se arose in the Renaissance age when the church authority was challenged for the human integrity and prospered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the wholeness of knowledge and education was sought for in the modern university. The contemporary crisis of humanities is the outcome of the division of knowledge for the productivity of knowledge production and of the corporate management of the university on the basis of economic principle. The future of humanities is doomed in that the education of humanities would not continue in most universities while the continuing prosperity of humanities in a handful of prestigious universities would be for the reproduction of the privileged dominant class. In order to go against the historical grain of the humanities’ gloomy future, humanists in academy should forgo the professional specialty of disciplinary humanities and take up the amateurism that would produce a general wholesome knowledge of the human, social, and natural world for the sake of humanity, not for power and money.

      • KCI등재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홍정욱(Hong, Jung-Wook),김기덕(Kim, Ki-D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본 글은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된 2014년 세계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Digital Humanities 2014)를 소개하고,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이 학술대회의 주제는 ‘디지털 문화의 역량강화’(Digital Cultural Empowerment) 였는데, 이는 인문학 입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다양한 접목을 통해 디지털문화의 역량 강화를 모색한 것이다. 결국 이것은 ‘디지털기술’에 방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 에 방점이 있는 것이다. 본 대회는 총 223편의 논문발표와 115편의 포스터가 있었고, 학술대회 참여자 명단에는 총 873명의 저자들이 이름을 올렸다. 기조연설이 4편 있었는데, 특히 부르노 라투르(Bruno Latour)의 연설 (Remateri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디지털 발전으로 인한 인문학의 재탄생)이 주목되었다. 그는 디지털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일반적 오류를 지적하면서, 디지털인문학에서 디지털은 한 영역이라기보다는 인문학 연구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도구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디지털기술은 이전에 추상적 영역에 있던 것들을 경험적 영역속으로 전환하여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워크삽은 인문학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기술 관련 실용적인 내용들이 다루어졌다. 즉 디지털 툴 또는 프로젝트 소개 및 활용에 관한 주제와 디지털인문학 연구방법론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 패널 세션은 현재 디지털인문학에서 추진 중인 프로젝트 및 방법론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패널 참가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인문학의 융합적 특성에 맞추어, 좀 더 실용적이고 체계적이며 세분화된 방법론 정립 및 모색에 대한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일반 발표 논문은 제목으로 분석할 경우, ‘TEI’,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rchives’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키워드들이 ‘collaboration’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계만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 ‘collaboration’을 중심으로 ‘visualisation’, ‘Project Management’, ‘OCR’, ‘Software’, ‘Tool’, ‘Text analysis’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석해보면. 인문학적 연구방법 (text analysis, visualisation)을 토대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및 툴(tool, software, OCR 등)이 결합하는 디지털인문학의 연구방법론적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표 논문들 대부분이 2인 이상이 참여한 공동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어 단독저자 논문을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도, 이러한 방법론적 특성으로 인해 인문지식과 디지털 기술의 공유가 불가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visualization’ 을 중심으로 ‘text analysis’, ‘text mining’, ‘ontology’, ‘poetry’, ‘xml’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인문학에서의 인문학 연구 및 분석을 맵핑(mapping)하고 시각화하려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디지털인문학의 세계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이번 학술대회를 주관한 로잔공과대학(EPFL)의 프레드릭 카플란 교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동향을 한국과 비교하자면 여러 교차점이 발생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국도 일찍부터 인문학과 디지털기술의 결합을 시도해 왔다. 더 나아가 그러한 성과가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문화콘텐츠’라 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가장 아쉬운 점은 인문학자들과 디지털 기술을 구사하는 전문가가 유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인문학 자료의 올바른 맥락화를 저해했으며, 여전히 인문학자들은 디지털기술과의 직접적인 결합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져왔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상황에서 시급한 정책 과제는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자가 중심이 되어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산출할 때에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으로 한국도 세계디지털인문학을 주관하는 ADHO의 산하단체로 가입하여 활동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을 강조하였다. The paper examines Digital Humanities 2014 conference held in Lausanne in Switzerland and also discusses the current trends in the discipline of Humanities in Korea in keeping up with so-called a new trend of digitalization. Under the conference theme of ‘Digital Cultural Empowerment’, 223 papers and 115 posters were presented and 873 authors were on the list of participants, discussing a variety of research question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humanities research. In particular, Bruno Latour, in his plenary speech with the title of ‘Remated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called attention with his notion of the digital, showing the digital is not a single domain but a single entry to bring the expansion of humanities research domain. His point of view on the digital is still in discussion among digital humanists, even after the conference. The workshop sessions comprised a variety of practical topics which mainly focus on the needs from humanities research and researcher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practical training of digital technology or opportunities to share the experiences or information from the leading scholars of the field who are mostly involved in managing or directing some major projects or developing digital tools or technology. The panel sessions proved very active efforts of the scholars to expand and systematize the methodologies in approaching with increasingly extending research ideas and questions in the field. Through the paper sessions, some key words, such as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nd ‘archives’, were most discussed, proving that text-based research topics or methodologies are quite dominant in digital humanities. Also,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all the key words, the key word ‘collaboration’ was most frequently connected with other key words. In more detail, the key words related to text (ex. ‘text analysis’) were in network with other key words like ‘visualization’, ‘project management’, ‘OCR’, and ‘software’, through ‘col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digital humanities. This also implies that the research projects in digital humanities are not possible to be done with only one single method and by only one or two researchers, but rather requir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 skills and knowledge from the researchers and organizations or institutes in different fields or disciplines. Discussing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digital and humanities in Korea and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tces from the U.S and Europe, the paper argues that in Korea, also, the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digital application has been attempted since the 1990s. In Korea, the term ‘Culture Contents’ has been used, replacing Digital Humanities. It has been developed as a field of study, seeking its convergence with commercial activities. However, most the humanists involved in this field have been isolated from the digital technology. Their lack of the knowledge and skills has resulted in failing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digital and also failing in positioning the humanists themselves as the leading agent in the field. In this regard,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prepared and given to the humanists,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ideas of digital application. Also, as a way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in Korea, it suggests that the humanists in Korea create an association of digital humanities and also join in umbrella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such as ADHO. Through the network, they can share the ideas with the digital humanists in the globe.

      • KCI등재

        인문학자의 사회적 실천 : 연구와 제도, 대중교육의 선순환을 위한 모색

        이경란(Lee Kyung-Ra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1 사회와 철학 Vol.0 No.21

        이 글은 실천인문학의 확산과 함께 다시 제기된 인문학과 인문학자의 ‘실천’에 대한 문제의식을 새로운 단계인 사회인문학적 실천으로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사회적 실천을 하고자 하는 인문학자들이 참여하는 ‘대중교육’에서 인문학자와 대중양자는 지식을 생산하고 사회적 아젠다를 발굴하고 실현하는 주체로 성장해갈 수 있다. 인문학자들의 실천은 ‘대중교육’에 참여하여 자신의 연구를 확산하는 한편, 그 과정에서 얻는 통찰과 경험을 대학과 학계의 제도와 활동의 개혁으로 연결하고, 자신의 연구주제와 방법을 변화시키는 선순환을 일으킬 때 가능해진다. 대중교육과정에서 대중도 자신이 주체로서 참여함으로써 스스로를 삶의 주체이자 자기 현장을 개선하는 주체로서 변화해갈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대중교육의 틀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인문학자만이 아니라 여러 영역의 활동집단과의 연대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대학의 안팎에 있는 연구단체들을 통해 많은 연구자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연구자 네트워크를 만들고, 전문적인 대중교육활동을 하는 시민단체가 대중교육의 장을 유지관리하고,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에게 필요한 교육의 주제를 발굴하는 연대구조를 만들 것을 제안한다. Humanities and humanities scholars’ practice with expansion of the Practical Humanities got into practice of Social Humanities, a new stage. Through ‘public humanities education’, both humanities scholars and the public can grow up to be a subject to produce knowledge and to find social agenda. Humanities scholars’ practice can be realized by expanding their researches through participation in ‘public humanities education’ and applying insight and experience from the above process to reforming the system and activity of universities and academic world and causing virtuous circle to change their study themes and methods. In the process of public education, the public can also be changed to be a subject of their life and one to improve their field by participating as a subject. To construct a frame of public education to make it possible to carry out the above, it is necessary to be banded together with activity groups in diverse fields as well as humanities scholars. The study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 scholars’ network to participate a lot of scholars through research groups in/out of university, to make structure of solidarity to let citizen’s groups for professional activity of public education maintain and manage a field of public education and to let community residents find themes of education required to themselves in person.

      • KCI등재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최현덕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이 글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가 한국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사업의 일환으로서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진홍을 위한 인문치료” 라는 아젠다의 핵심적인 개념인 ‘인문치료’를 소개하고 있는 최희봉의 논문에 대한 논평문이다. 인문한국 사업은 현 한국 연구재단의 전신인 한국 학술진흥재단이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정책으로 도입한 지원 사업으로서, 2010년 대동철학회는 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관련 연구소 다섯 곳을 추계 학술대회에 초청해 함께 인문학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마련했다. 이 글에서는, 그간에 진행된 인문학 및 인문학 위기 담론을 염두에 두면서, 최희봉의 발제문에 담긴 다음과 같은 논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논의의 심화를 위한 질문을 던진다. 첫째, 인문치료 사업 역시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기획으로서, 현실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해 진행된다면, 인문치료 사업은 인문학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될지 그리고 그 변화는, 현재 “인문학의 위기”라 부르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얼마만큼의 해결이 될 수 있는가? 둘째, 인문학을 기반 학문으로 하고 있는 ‘인문치료’가, 의학을 기반으로 하고 태동한 ‘의료인문학’보다 더 인문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점은 무엇인가? 셋째, 이론적 학술활동을 전제로 하고 있는 인문학의 사업으로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으면서 실천적 활동이 핵심이 되는 사업을 수행해가는데 있어서 생길 수 있는 제약, 연구재단의 평가체제에 대한 대책이 있는가? 넷째, ‘병’과 ‘치료’의 개념이 전제로 하고 있는 사고방식의 체계, 심신이원론적 인간관은 서구의 주류의학계에서 통용되는 것과 많이 달라 보이지 않는데, 여기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지 않을까? 다섯째,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려는 ‘인문치료’의 노력이 심리치료와 다른 점이 무엇일까, 즉 모두가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인문학적 지식이 그 과정에서 원용된다고 했을 때, ‘인문치료’에 있어서 보다 더 인문학적 색채는 어디에서 어떻게 주장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이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는 맥락에서 인문치료 사업이라는 실례를 통하여 인문학의 성격 및 의의를 보다 더 규명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article of Heebong Choi introducing the concept of 'Humanities Therapy' as the core concept of the research project of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Sciences at the Kwangwon National Unviersity in the framework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was introduces as a counter-policy of the above foundation to meet with the situation defined as the 'crisis of humanities'. In October 2010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ltion invited five humanities institutes performing the research projects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to hold a symposium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humanities today. In this article I discuss several issues contained in the paper of Heebong Choi, being conscious of the context of the discourses on the humanities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developped in the last twenty yea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discussions I raise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1) If the proj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was launched as a counter-measure responding the 'crisis of humanities', in what extend or in what aspect it could offer a solution? Could it provoke a change of humanities itself? In which direction? (2) In comparison to the 'Medical Humanities' which has the medical sciences as its scientifical basis, does the humanities play more essential role in the 'Humanities Therapy'? In what sense? (3) The humanities project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has the assumption of the humanities as theoretical activity. However, the 'Humanities Therapy' has its place in the 'praxis'. Is there a counter-measure for a possible conflict caused by the different notions of the activities of humanities. Could it cause an excessive burden to the staff due to the competitive evaluation system of the research foundation? (4) The system of the conception presupposed in the concepts of 'disease' and 'therapy', especially the view of the human beings based on the mind-body-dichotomy seems not so much different as that of the Western orthodox medicine. Isn't it necessary to develop an alternative based on humanistic reflections? (5)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ities Therapy' and the psychotherapy? Where can we find the aspects more rooted in the humanities in the 'Humanities Therapy'? These questions are intended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humanities in the face of the situation of the 'crisis of humanities'.

      • KCI등재

        의료인문학의 지평 확대: 인문학을 기반한 의료인문학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공혜정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titled Medical Humanities.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s medical humanities program is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Korea. By drawing upon the specific experiences of the development of a humanities-based medical humanities inter disciplinary program, this paper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humanities-centered medical humanities. This paper consists of two chapters. Chapter 1 deals with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interdisciplinary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a non-medical education setting. Chapter 2 covers the specific courses and curricula offered in the medical humanities program. 본 연구는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에서 의과대학이 주체가 아닌 문과대학을 기반으로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 융합전공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학원이 아닌 비(非)의과대학의 학부과정에서 문(文), 사(史), 철(哲) 등의 인문학을 포괄하는 의료인문학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개설한 곳은 없었다. 또 비의과대학에서의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 연구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의과대학의 경계 밖에서 국내 최초로 인문학 기반으로 의료인문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는 인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2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서는 비의과대학 학부과정에서 의료인문학 융합전공을 개설하는 준비과정을, 그리고 2장에서는 의료인문학 융합전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소개 및 교과목 운영 현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KCI등재

        인문도시를 위한 인문정책 방향 : 수원시를 중심으로

        박연규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시민인문학 Vol.28 No.-

        인문학의 대중화는 이제 시대의 화두가 되었다. 한국연구재단에서는 이러한 인문학 대중화 사업을 위해 시민강좌사업과 인문도시 사업 등을 추진해오고 있 다. 그 중에서도 인문도시 사업은 도시와 대학이 하나가 되어 인문학의 방향과 운영을 함께 모색하는 것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대학의 인문학을 도시의 시민들 이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수원시는 3년 전부터 교육부의 인문학 대중화 사업과는 별도로 지자체의 이념 과 시장의 신념에 의해 인문학을 중심에 놓는 도시정책, 즉 인문학 중심도시를 설계하고 시행해 왔다. 교육부의 사업과 수원시의 사업이 비록 서로 다른 맥락에 서 시도되었지만 그 지향하는 바는 인문학이 시민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 으로 수렴될 수 있다. 이 글은 논자가 수원시의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수원시 인문학 중심도시 추진계획> 용역과제의 연구책임을 맡으면서, 한 도시가 어떤 목적과 방향을 갖 고 시민을 위한 인문학 대중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의 도시정책과 인문학 대중화의 관련성을 밝히면서, 첫째, 도시 의 인문정책은 시정 초기 단계부터 도시정책과 하나가 되어 실시되어야 함을 주 장했다. 둘째, 도시의 인문정책은 시민들의 행복을 위해 도시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함을 지적했다. 셋째, 이러한 관점에서 인문학 사 업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인문학의 대중화는 한 도시의 공동체적 삶, 예를 들어 시민의 행복, 안전, 건강 또는 공정의식을 정상화시키는 데 일조해야 한다. 그리고 인문학이 단순히 대학 밖으로 나오는 것만으로는 만족해서는 안 되며 그것이 시민사회의 수준을 높이 고 나아가서는 시민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어야만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come common to talk about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of Korea.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ve promoted to develop the business of humanities and the Humanistic City project, including several academic lectures for the general public. Especially the Humanistic City project has been common concern for both city and universities. It would be right to deal with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for it w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share the benefits of humanities for the public who are alienated. Since 2012, Suwon City embarked the project for the humanities-centered development of the city. It has been the moto of the local government and has shown many different aspects in different contexts. The project, I believe, has been successful, for it has given a chance to show that the Humanities project really works. In this article, I will show that this Humanities project has been successful in the case study of Suwon City. The article, which was originated from my own experience as a leading researcher in the workshop entitled as “Suwon si Humanities-centered City Plan,”is ordered as follows. First, I will show why we should start with the attention of the beginning level of city policy. Second, I will explain why the city humanities project should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that the citizens of Suwon confront. Third, I will propose several practical cases which are useful to understanding the humanities project that can be practically worked. I find that academic events are not sufficient to make public the humanities. Nevertheless, we come to realization that the concerns for the normalized life of city community, such as happiness, safe, health, and justness of citizens are critically important to level up or enhance the civic life of community.

      • KCI등재

        기술-경제 세계화 시대의 지식과 인간

        박치완(Tchi-Wan PARK)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4

        인문학의 위기 담론은 세계 경제의 위기와 맞물려 전 세계로 확산, 재확산되고 있다. ‘경제제일주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문학은, 시쳇말로, 대학에서 일차적 구조조정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이에 맞서는 논의를 인문학도들이 더 이상 제기하지 않고 있다. 학력 인구도 감소하고 있고 사회의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란 것을 모르지 않은 터다. 그런데 2015년 6월 일본의 문부과학성에서 <국립대학법인 등의 조직 및 업무전반 개편>이라는 공지문을 통해 “인문사회계의 학부와 대학원에서 ‘사회가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지 못한다면 개폐(改廢)가 불가피하다”는 정부발표를 내놓은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일본에서 각계각층의 찬반여론은 뜨겁게 매스컴을 달구었고, 인문학자들의 반발도 심했지만 문부과학성에서는 해당 공지의 취소나 재검토는 아직까지도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한다. 그렇다면 수순은, 우리가 이미 경험한 바 있듯, 정해져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기존의 인문학 교육 방식에서 탈피해 취업에 유리한 응용적 · 실천적 영역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을 구조조정하고 학과를 통폐합시키는 것!?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국내외적 상황을 성찰하는 차원에서 인문학의 위상과 역할을 재고하는 기회를 가져볼까 한다. ‘인간’이 그 속에 포함되지 않은 인문학은 ‘말뿐인 인문학’이다. 인문학은 곧 사람을 살리고 사람을 섬기는 학문, 즉 ‘인간-학’이어야 한다. 그런데 신자유주의적 경쟁의 논리는 인간보다 자본을 절대시하며, 디지털신기술을 모든 지식탐구의 조정자로 내세운다. ‘구글 지구(Google Earth)’라는 ‘판토피아(Pantopia)’를 만들기 위해 모든 로컬 인문학을 표준화시켜야 하다는 주장이 버젓이 등장한 것도 이 때문이다. 허나 이 상황에서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세계를, 인간을, 지식을, 다시 말해 인문학을 ‘경제기반지식(knowledge based economy)’, ‘기술기반지식(knowledge based technology)’으로 재편해야 한다는 신자유주의적 주장은 정당한 것인가? 이것이 정녕 이 시대의 ‘명령’이라도 된단 말인가? ‘인간’을 연구하는 것이 본령인 인문콘텐츠학도는 기본적으로 이에 대답할 책무가 있다. 세계화라는 국적불명의 지배 시스템은 ‘당위의 담론’과는 거리가 멀다. 모든 로컬의 인문학도는 세계를 상품화하려는 ‘거짓 낙원’에 속아선 안 된다. The discourse of the crisis of Humanities is spreading and re-spreading to the whole world that engaged with the crisis of the world economy. As the era of Economism came, the Humanities is becoming the primary object of structural adjustment in the university as they say. In Korea, the scholars of the Humanities are no longer raising a question of that. Despite the fact it is a situation that university has been forced to accept the change of society and the decline of the scholastic population. In June 2015,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an official Government notice stated “it would be necessary to open and reform the university if it can not train ‘human resources needed by society’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is regard, the public opinion of all the various groups has been heated up the media, and the Humanities scholars have been opposed, but Japan’s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has not yet considered the cancellation or rethink of this notice. So the procedure is more or less fixed a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university and consolidate its departments to cultivate the talents needed by the global society through applied and practical Humanities education, that would be useful for employment, by breaking existing method of Humanities education. In this article, we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costumes of Humanities in the aspect of re-examining these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The Humanities that does not include human is parlor Humanities. Humanities should be a learning that would save people and serve others, in other words ‘human-learning’. But in the logic of neoliberal competition, capital is more absolute than human, and digital technology is the coordinator of all knowledge inquiries. That’s the reason why it has been an argument that all local humunites should be standardized in order to create Pantopia called Google Earth. But in this situation, we should ask. Can this neo-liberalismtic argument, to truly reorganize the world, human beings, and knowledge, that is, Humanities, into knowledge-based economy and knowledge-based technology, be justified? Is this the order of this age? The humanities scholars who are studying human beings are basically responsible to answer. The control system, globalization without nationality, is far from the’ right discourse’. All local humanities scholars should not be deceived by the ‘false paradise’ of commercializing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