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태령(Kim, Tae-Ryeong),한선관(Han, Sun-Gwa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3

        본 연구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에 관한 분석 연구이다. AI교육이 한층 더 중요해짐에 따라 교육의 주체인 교사가 가지고 있는 인식을 알아보고 이 인식을 통해 AI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공지능교육연수에 참여한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AI교육에 대한 10개의 문항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대한 결과는 첫째, AI교육은 ‘인공지능을 삶에 활용’하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인공지능 개념 자체를 배우는 것과 산업에 융합하는 것 역시 AI교육이라고 답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을 타교과에 활용하거나 문제해결 과정에 융합하는 것을 배우는 것이 교사교육과 학생교육에 중요하다고 답하였다. 둘째, 인공지능의 개념·원리와 활용·융합간의 관계 그리고 AI교육과 소프트웨어교육 간에는 관련성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AI교육 도입 시기에 관해서는 초등학교에는 다소 긍정적이고, 중고등학교에서 매우 긍정적이었다. 특히 초등학교 도입에 관해서는 중등교사보다 초등교사가 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넷째,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으로는 ‘인간과 같은 지능’, ‘학습하는 기계’, ‘보조도구(편리한 도구)’, ‘빅데이터’, ‘새로운 과학기술’의 순서로 범주를 만들 수 있었다. 다섯째, AI교육의 현장 적용 사례에 대해서 ‘개인교수 보조도구’, ‘실생활 융합교육’, ‘인공지능 개념학습’, ‘언어활용교육’, ‘프로그래밍교육’의 순서로 답변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인공지능 윤리교육의 내용으로는 ‘알고리즘의 판단과 책임’, ‘인간의 존엄성’, ‘나쁜 인공지능’, ‘인공지능사회의 사회적 갈등’, ‘개인정보와 사생활’ 문제를 들 수 있었다. 본 연구 자료가 향후 AI 교육이 발전할 수 있는 도움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education, which is an issue that has recently gained traction. Because AI educ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crucial, w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are the primary focus of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AI education. We developed a set of 10 questions focusing on AI education and survey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the AI education training.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AI education for cultivating the ability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fe.” Moreover, AI education answered in the order of learning AI concept and education converging to industry. Teachers perceived it as the primary goal of AI education to learn to use AI in other subjects, or integrate it into a problem-solving process. Second, teachers note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I and software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oncepts, principles, utilization, and convergence of AI. Third, the introduction of AI education was somewhat positiv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y positiv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ared with second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increasingly positive attitudes toward elementary school introduction. Fourth, teachers recognized AI in the order of “human-like intelligence,” “learning machine,” “auxiliary tool (convenient tool),” “big data,” and “new science and technology.” Fifth, teachers responded to the applications of AI education in the order of “individual teaching assistant tools,” “real life convergence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 learning,” “language utilization education,” and “programming education.” Sixth, teachers selected “Algorithm Judgment and Responsibility,” “Human Dignity,” “Good Artificial Intelligence,” “Artificial Intelligence Society Conflict,” and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as the contents of AI ethics education. We anticipate that the current study results will help to set the direction for AI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hat AI will be used effectively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 인식 분석

        김연희(Younhee, Kim),최현주(Hyunjoo,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는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분석해봄으로써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유치원교사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이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유아교육전문가 및 인공지능(AI)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연구자 검토를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수합된 설문지를 SPS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인공지능(AI) 관련 연수 경험 및 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인공지능(AI)에 대한 관심 및 신념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공지능(AI)을 공학, 자연과학, 교육 등 여러 학문 분야의 지식이 통합된 지능형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있는 교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최종학력이 높은 교사, 교육경력이 많은 교사, 인공지능(AI) 관련 연수경험 및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의 인식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의 필요성 및 가능성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최종학력이 높은 교사, 인공지능(AI) 관련 연수경험 및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의 인식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의 문제점으로 관련 교육 지원을 위한 전문가 부족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높은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 유아 인공지능(AI) 교육 관련 교사 연수 강화 등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후속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분석해봄으로써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유아 인공지능(AI)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I education for infants for nurturing future talent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AI education for infa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75 kindergarten teache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and revised by researchers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and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review by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researchers with experience in AI-related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using the SPSS 21 program, and cross-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teacher s AI-related training experience and education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final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and belief in artificial intelligence. Also, it was analyze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understood AI as an intelligent system that integrates knowledge from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engineering, natural science, and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AI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high final education, teachers with many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eacher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training and education experiences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level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I education for infants, it was found that teachers with high final education and teachers with AI-related training and education experience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leve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ack of experts to support related education is recognized as the biggest problem as a problem with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to a high level, efforts are required for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strengthening teacher training related to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and follow-up research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nurturing future talents by analyzing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 KCI등재후보

        중학교 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조사

        이항구,이철현 한국인공지능교육학회 2023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Vol.4 No.3

        이 연구는 중학교에서 인공지능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중학교 교사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의미 있 는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이에 경기도 소재 중학교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한 후, 208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 하여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중학교 교사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에 긍정적이나, 전문성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 공지능 교육 플랫폼이 수업의 단계별로 도움이 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평가 단계에서의 도움에 대한 기대는 낮았다. 인공지 능이 수업에 활용되더라도 수업의 주도권은 교사에게 있으며, 인공지능은 보조수단으로 활용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 를 토대로 중학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연수 제공과 학교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적절한 기술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 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 meaningful proposal by investigating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order to activat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ccordingly,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current teachers working at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response data of 208 people. Middle school teachers were positive for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ut they perceived that they lacked expertise. It was recogniz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latform would help in each stage of class, but the expectation for help in the evaluation stage was low. Even i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used in class, it was recognized that teachers had the initiative in class, an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ould be used as an auxiliary mea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training for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to develop and disseminate appropriate technolog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he school field.

      • KCI등재후보

        AI 융합교육이 학습자의 인공지능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방송미디어 분야 특성화고 학생 사례 중심으로

        박정범,정대홍 한국인공지능교육학회 2023 인공지능연구 논문지 Vol.4 No.2

        본 연구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이 학습자의 인공지능 가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인 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특성화고 방송미디어 학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대하는 학습자의 태도와 인공지능에 대한 가치 인식에 미친 영향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은 과거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구체적인 교육 경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인공지능의 발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적 변화를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셋째, 학생들은 인공지능이 미래의 직업 세계에 침투하여 일자리를 위협 하는 존재가 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넷째, 학생들은 시대의 변화를 인식하고 인공지능 기술이 전공 분야에서 실제로 적용된 사례들을 보면서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전공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실시하기 전 고려 해야 할 요소와 장애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 적절한 개선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on learners'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value. To conduct this research, an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third-year students majoring in Broadcasting Media at H Specialized High School. Subsequently, surveys were conducted on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learner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 of the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several key points. Firstly,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ad minimal prior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acked specific educational experiences in this field. Secondly, the majority of students exhibit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monstrated a willingness to embrace social change. Thirdly, students recogniz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ould potentially permeate the future job market and pose a threat to employment. Lastly, student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by observing the changing times and examining instance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as practically applied in their respective major fie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id in deriving appropriate enhancement measures for impleme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in non-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by analyzing the factors and obstacles that need to be considered before conducting such education.

      • 초등학생 인공지능 윤리 인식 척도 개발

        이혜령(Hye Ryeong Lee) 한국인공지능윤리학회 2023 인공지능윤리연구 Vol.2 No.1

        인공지능 윤리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 인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초등학생 인공지능 윤리 인식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윤리 인식을 Rest의 4구성요소를 참고해 민감성, 판단력, 동기화의 세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개념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제시한 인공지능 윤리원칙의 10대 핵심요건(인권보장, 프라이버시 보호, 다양성 존중, 침해금지, 공공성, 연대성, 데이터 관리, 책임성, 안전성, 투명성)을 측정 요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인공지능 윤리 문제 상황을 웹툰으로 제시하고 초등학생들이 관련된 문항에 응답하는 형식의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한 예비 검사지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해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검사결과에 대하여 요인 분석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 30문항을 추려 초등학생 인공지능 윤리 인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윤리 인식 발달 수준을 진단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또 인공지능 윤리 수업을 위한 교육 자료로 역할을 하여 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 윤리 인식 함양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The need for education to solve ethical problems that may arise due to AI has been recognized. In this study, we set out to develop an AI ethics awareness scale that can assess the level of AI ethic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I ethical awareness was defined as a concept consisting of three components: AI ethical sensitivity, judgment, and motivation by referring to Rest's four components. Furthermore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proposed 10 requirements. These 10 requirements are as follows. Human rights protection, Privacy protection, Respect for diversity, Prohibi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 Publicity, Solidarity, Data management, Accountability, Safety, and Transparency. In order to measure these requirements, a scale was created by using these requirements as measurement factors. This was done by show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I ethics problem scenarios through webtoons and having them respond to related question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for the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he 1st and 2nd tests were conducted on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cto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on the test results to verify validity. Finally, 30 items were selected through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serves as objective data to diagnose the level of AI ethics awarenes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more systematic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AI ethics awareness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AI활용교육에 대한 중등 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유여경(Yeo Kyung Yoo),정제영(Jae Yo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on the use of AI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use of AI in various stages of lesson desig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6 math teachers working in secondary schools.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the frequency,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ques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check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s needed.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whether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in teaching using A.I. Second,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 in teaching using A.I.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teaching experience, and the higher the age and teaching experience, the mor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eaching using A.I.. Third, the items that mathematics teachers expect more help from A.I. in lesson design are “diagnosing various learning problems by visualizing learner data (M=4.47),” “analyzing learning data such as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patterns (M=4.4),” and “providing learning materials to overcome learning deficiencies (M=4.37)”. Fourth, when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using AI in each stage of lesson desig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emale mean (M=4.16) of ‘lesson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was higher than the male mean (M=3.88),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rawn for school math classes and lesson design activ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fessionalism of secondary math teachers so that math education using AI can be introduced and actively applied in the school field.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eaching materials utilizing AI so that math education using AI can be activated. Third, research on AI-based math teaching and learning platforms is needed so that AI can be utilized in each stage of lesson design. Fourth,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utomatic grading systems utilizing AI technology should be conducted to support math education. 목적 본 연구는 중등 수학교사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수업설계의 각 단계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수학교사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각 문항의 빈도,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응답자의 특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교사는 인공지능 활용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별 특성에 따른 인공지능 활용 수업 경험 여부의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연령대와 교직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대와 교직 경력이 높을수록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업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교사가 수업설계에서 있어서 인공지능의 도움을 더 많이 기대하는 항목으로는 ‘학습자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다양한 학습 문제 진단(M=4.47)’, ‘학습자의 학습 양식, 학습 패턴 등 학습 데이터 분석(M=4.4)’, ‘학습결손 극복을 위한 학습자료 제공(M=4.37)’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별 특성에 따라 수업설계의 각 단계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수업설계 및 개발 단계’의 여자 평균(M=4.16)이 남자 평균(M=3.88)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수학 수업 및 수업설계 활동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학교 현장에 도입되고 활발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중등 수학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인공지능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인공지능 활용 수업자료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수업설계의 각 단계에서 인공지능이 활용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반 수학 교수·학습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자동 채점 시스템을 연구 및 개발하여 수학교육 지원에 활용해야 한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및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요구

        김남연,김명정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관련 실태와 인식, 그리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 전문대학의 유아교육과 재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활용 경험에 비해 예비유아교사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도와 이해도는 보통 수준이었으며 인공지능을 ‘인간과 유사한 사고 혹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인공지능 에 대한 긍정적 인식보다 부정적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고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공지능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인공지능을 활용 한 놀이 지원 능력 향상을 목표로 전문성 있는 교수자가 미래 사회 변화와 더불어 놀이를 통한 인공지능 교육 사례에 대해 가르쳐줄 것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교과목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y and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demands for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45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ir experi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vel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average, and they understood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computer system that can think similar to humans.’ In addition, the negativ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as higher than the positive perception, and its influence on oneself was at an average level. Second, the nee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ly recognized. Additionally,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ability to support pla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rofessional professors were requested to teach about future social changes and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pl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ubject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4

        초등학교 교사는 인공지능교육의 비전공자로써 인공지능교육 실천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 임에 따라 인공지능교육의 역량 증진과 함께 관심을 유도하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 은 관점에서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381명을 표집하여 그들이 갖고 있는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관심을 CBAM을 통해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 단계는 비사용자 프로파일과 유사하였고, 인공지능교육의 영향과 결과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여자교사의 인공지능교육 관심도가 남자보다 전반적으로 높았고, 특히, 정보, 운영, 결과 단계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 셋째, 소프트웨어교 육 관련 과목 이수가 많을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과목을 많이 수강하면, 인공 지능교육의 관심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넷째, 인공지능관련 과목을 수강한 초등교사의 관심도가 상 대적으로 높았지만, 관심도의 각 단계별 유의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섯째, 전반적 으로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연수를 많이 이수할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31시간 이상의 연수 이수자가 큰 차이로 관심도가 높았다. 여섯째,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수 이수 시간이 많을수록 전반 적인 관심도가 높았고, 특히, 31시간 이상의 연수를 이수한 초등교사가 나머지 교사와의 통계적 유의차가 컸다. 일곱째, 소프트웨어교육 역량이 높을수록 관심도가 높았고, 거의 모든 관심도 단계 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여덟째, 인공지능교육 지지도가 높은 초등교사가 관심도가 훨씬 높았고, 인공지능교육의 효과에 대한 관심도는 인공지능교육 지지도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초등교사의 인공지능교육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인공지능교육 관련 과목의 이수 확대를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 정책 운영 및 인공지능소양 함양을 위한 연수 기회 확대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non-majors in AI education, will have a lot of difficulties in practicing AI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to induce interest as well as increase the competence of AI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sampled 381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heir concerns i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BAM and derive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est in AI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imilar to that of non-user profiles, and interest in the effects and results of AI education was relatively low. Second, women teachers' interest in AI education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men, and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formation, operation, and results. Third, as the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est increased, and as subject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increased, the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Fourth, although the degree of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AI-related subjects was relatively hi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est at each stage. Fifth, overall,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in software education-related training,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and in particular, those who completed the training for more than 31 hou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ixth, the greater the number of hours for AI education-related training,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and in particular,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completed more than 31 hours of training was greater. Seventh, the higher the software education competency, the higher the degree of interes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most all levels of interest. Eighth, primary school teachers with high support for AI education had much higher interest, and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effects of AI educat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support for AI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policy support such as operating university curriculum policies to expand the completion of AI-related subjects and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to cultivate AI literacy is necessary as a way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rest in AI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gest.

      • KCI등재

        중등학교 기술교사의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식과 인공지능 교수효능감 분석

        김방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condary school technology teachers' perception of AI and AI teaching efficac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selected and 38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level of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 technical education was quite high,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high school teachers,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and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AI-related train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efficacy of secondary technology teachers was higher for male teachers than female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teachers, and teachers with training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showed the lowest level.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AI education and AI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n order to raise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enhanc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efficac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 technical subjects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ustomized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training support by gender, school level, and teaching experience will be need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기술교사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과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설문도구를 선정하고 온라인 조사를 통해 384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에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One-way ANOV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기술교육에서 인공지능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당히 높았으며, 고등학교 교사,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경력교사, AI 관련 연수 유경험 교사의 인식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등 기술교사의 인공지능 교수효능감은 여교사에 비해 남교사가, 중학교 교사에 비해 고등학교 교사가,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높게 나타났으며, 20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가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셋째,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식과 인공지능 교수효능감 사이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와 인공지능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해 중·고등학교 기술교과 내 인공지능교육 체계 마련과 성별, 학교급별, 교직경력별 맞춤형 인공지능 관련 연수 지원의 기회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두희(Doo Hee Cho),이철현(Chul Hyun Lee) 한국실과교육학회 202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6 No.2

        인공지능은 인간 사회를 변화시키고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핵심기술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인공지능 교육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개발하고 있지만 현재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 교육은 교과나 단원으로 편성되어 있지 않아 학습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이 가능한 인공지능 수업을 만들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실과 소프트웨어 단원과 연계한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50명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20차시의 소프트웨어 교육과 연계한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 기술 교육 프로그램, 통제집단은 20차시의 실과 교과서 단원 지도 내용을 배우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적용하여 컴퓨팅사고력, 융합인재 역량의 향상 정도, 소프트웨어 교육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컴퓨팅사고력과 융합인재소양 중 융합 역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소프트웨어 교육 만족도 검사 결과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을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학생들의 학습 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software technology is a key innovation that will change human society and lead future industrie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developing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to revitaliz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However, AI education is not organized as a subject or unit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aking it difficult to learn.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n AI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nection with a software unit of a practical course subject and aim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create an artificial intelligence class that can utilize the curriculum time. For the present analysis, 50 students in two classes of the 6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jected to the AI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the software education in the 20th session, while the control group underwent the software class using the textbook in the 20th session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computing thinking ability, STEAM Literacy and software education satisfaction.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uting thinking.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vergence competency of STEAM Liter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s software education satisfaction test resul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ereby interpreted results indicate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AI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rough this program. Furthermore, it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s the hereby performed experiment indic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