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차 항결핵제 약물이상반응 현황: 단일기관 약물이상사례 보고사례 기반 분석

        김현화 ( Hyun Hwa Kim ),문미라 ( Mira Moon ),최나이 ( Nigh Choi ),강동윤 ( Dong Yoon Kang ),채경옥 ( Kyung Ok Chae ),이정실 ( Jungsil Lee ),임재준 ( Jae-joon Lim ),조상헌 ( Sang-heon Cho ),강혜련 ( Hye-ryun Kang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5

        목적: 단일 상급종합병원에 보고된 1차 항결핵제의 약물이상반응 정보를 통해 한국인에서 항결핵제 약물이상반응 발생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결핵 관리를 위한 약물이상반응 대책 수립에 활용한다. 방법: 2009년부터 2018년까지 3차 의료기관에서 1차 항결핵제인 이소니아지드,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미드를 처방 받은 환자들에 대해 원내 보고된 약물이상사례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약물이상반응 정보를 수집하였고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한 환자의 나이, 성별, 총 치료 기간과 약물이상반응의 발생시점, 장기별 분류, 중증도 및 심각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항결핵제를 처방 받은 5,482명 중 1,606명(29.3%)에서 약물이상반응이 보고되었고, 한 환자에서 1건에서 많게는 5건까지 총 2,098건의 약물이상반응이 보고되었는데, 경증이 680건(32.4%), 중등증이 1,282건(61.1%), 중증이 136건(6.5%)이었고 심각한 약물이상반응은 127건(6.1%)이었다. 1차 항결핵제에 의한 약물이상반응의 발생 장기별 분포는 피부 및 부속기관 장애가 27.5%로 가장 많았고, 위장관계 장애(17.5%)와 간 및 담도계 질환(13.1%)이 그 뒤를 이었다. 처방 건 당 이상반응 보고는 피라진아미드가 29.6%(1,406건/4,757명)로 가장 높았다. 중증 약물이상반응은 간 및 담도계 질환이, 심각한 약물이상반응의 경우 전신적 질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총 치료 기간을 비교한 결과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하지 않았던 군은 224.0 ± 3.1일,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하였던 군은 247.0 ± 4.7일로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한 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치료 기간이 평균 23일 정도 길었다(p = 0.009). 결론: 10년 동안 단일의료기관에서 수집된 1차 항결핵제의 약물이상반응 발생률은 29.3%였으며 중증반응도 6.5%로 적지 않게 발생하였다. 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치료 기간이 길어지거나 투약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등 치료의 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Aims: Tuberculosis has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that are among the highest for all communicable diseases. Adverse drug reactions (ADRs) to anti-tubercular drugs are common, and have a major impact on treatment maintenance and prognosi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DRs and establish a suitable management pla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ADRs during treatment with first-line antitubercular drugs such as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and pyrazinamide from 2009 to 2018. Age, sex, and total treatment period, and the onset, severity, seriousness, and system organ class of ADR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irst-line anti-tubercular drug-related ADRs. Results: A total of 1,606 of 5,482 patients (29.3%) experienced ADRs after administration of first-line anti-tubercular drugs. The incidence of ADRs related to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and pyrazinamide was 22.2%, 21.3%, 24.5%, and 29.6%, respectively. A total of 2,098 ADR reports were made (mean of 1.3 ± 0.6 per patient). The rates of mild, moderate, and severe ADRs were 32.4%, 61.1%, and 6.5%, respectively. There were 127 reports (6.1%) of serious ADRs. Skin and appendage disorders were most frequently reported (27.5%), followed by gastrointestinal disorders (17.5%), and liver and biliary system disorders (13.1%). The total treatment period was longer in patients who experienced ADRs (224.0 ± 3.1 days vs. 247.0 ± 4.7 days, p = 0.009).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ADRs to first-line anti-tuberculosis drugs was 29.3%, and 6.5% were severe ADRS. ADRs prolonged the overall treatment duration,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ir detection and management. (Korean J Med 2021;96:421-431)

      • KCI등재후보

        단기 항결핵 화학요법에 의한 약물 이상반응의 유병률

        김상훈 ( Sang Hoon Kim ),이병훈 ( Byoung Hoon Lee ),이기덕 ( Ki Deok Lee ),박재석 ( Jae Suk Park ),김윤섭 ( Yun Seop Kim ),지영구 ( Young Koo Jee ),김상헌 ( Sang Heon Kim ),박해심 ( Hae Sim Park ),민경업 ( Kyoung Up Min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5

        목적: 항결핵제에 의한 약물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순응도가 감소하여 치료실패 또는 결핵의 재발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에 단기 항결핵 화학요법에 의한 약물 이상반응과 중증 이상반응의 각 장기별 빈도 및 위험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활동성 결핵 환자 46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다. INH, RFP, EMB, PZA로 6개월 단기 복합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며, PZA는 처음 2개월간만 사용하였다. 처음 2달 동안은 1달마다, 이후에는 2달 간격으로 모니터링을 시행하였다. 혈액검사는 치료 전, 치료 2주 후, 그 뒤로는 2개월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도중 약물 이상반응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약제를 중단해야 하는 경우를 중증 약물 이상반응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분석이 가능한 435명의 환자 중 229명(52.6%)에서 약물 이상반응이 발생하였다. 장기별 약물 이상반응의 빈도는 위장관 증상 19.3%, 피부반응 17.7%, 간기능 이상 13.8%, 신기능 이상 12.6%, 신경학적 증상 10.3%, 혈액학적 증상 4.4%, 근골격계 증상 3.0%, 기타 1.4%이었다. 중증 약물 이상반응의 빈도는 9.7%이었다. 치료 전 간기능 이상이 있으면 피부반응의 발생이 높았고, 간 질환력이 있으면 약제에 의한 간기능 검사 이상의 발생이 의미있게 높았다. 또한 간 질환력은 중증 이상반응의 발생과도 유의한 인과관계를 보였다. 결론: 항결핵제에 의한 약물 이상반응은 비교적 흔히 발생한다. 현재의 인구학적, 환경적 위험인자만으로는 중증 이상반응을 예측하기 어려워 약물 이상반응에 대한 적절한 관리 프로그램과 장기적인 예측모델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Anti-tuberculosis drugs used in combination cause adverse drug reactions, but the prevalence of the reactions and risk factors have not been determin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dverse drug reactions (ADR) to the use of first line anti-tuberculosis drugs. Methods: A total of 435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tuberculosis (44.1 years±19.0 year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All patients received daily oral isoniazid (300 or 400 mg), rifampicin (450 or 600 mg) and ethambutol (800 mg) for 6 months, and pyrazinamide (20 mg/kg) for 2 months. Blood tests were performed regularly (before treatment, 2 weeks after treatment, and bimonthly there after). Patients were interviewed 2 months and 6 months after treatment. A serious ADR was defined as any ADR that resulted in the discontinuation of one or more of the drugs. Results: An ADR was noted in 52.6% of all patients. Gastrointestinal (19.3%), cutaneous (17.7%), hepatic (13.8%), renal (12.6%), and neurological (10.3%) ADRs were frequent and hematological (4.4%), musculoskeletal (3.0%) ADRs were less frequent. A skin ADR was associated with an elevated baseline of liver enzymes (odds ratio, 3.48; 95% CI, 1.2 to 9.9), whereas a hepatic ADR was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chronic liver disease (odds ratio, 4.82; 95% CI, 1.7 to 13.2). The prevalence of any serious ADR was 9.7%. Occurrence of any serious ADR was associated with a history of chronic liver disease (odds ratio, 4.29; 95% CI, 1.4 to 13.6). Conclusions: Anti-tuberculosis drugs given in combination frequently caused a ADR and the findings suggest that a patient receiving anti-tuberculosis treatment should be closely monitored.(Korean J Med 73:496-502, 2007)

      • KCI등재

        대구지역 일개 감염병 전담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화이자 백신의 1차 접종과 2차 접종 후의 이상반응 비교 분석

        권보경,박종명,김원경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5

        Background: Among the various COVID-19 vaccines developed to counter the pandemic caused by SARS-CoV-2 virus, BNT162b2 developed by Pfizer/BioNTech was also introduced in Korea. But domestic studies on adverse events resulting from BNT162b2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to help predict and prepare for adverse events in the future to ensure safe vaccination. Methods: A total of 139 vaccine recipients were asked to report adverse events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a period of 10 days after dose 1and dose 2 of BNT162b2. Local and systemic adverse reactions were identified, and each adverse reaction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according toseverity. Results: The onset of adverse events was significantly slower (P<0.001) and the duration was longer (P<0.001) after dose 2. The frequency and severityof all local reactions, an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nausea/vomiting (P=0.005), diarrhea (P=0.002), headache (P<0.001), fatigue (P<0.001),myalgia (P<0.001), fever (P<0.001), and other reactions (P=0.003) among systemic reactions, increased after dose 2. Conclusion: The severity and frequency of the adverse events increased after dose 2 of BNT162b2, when compared with the period after dose 1 연구배경: 2019년 12월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대유행 후 집단 면역의 형성을 위하여 한국에도 국제백신공급기구(COVAX)를 통해 도입된 화이자 백신 접종을 2월 27일코로나19 치료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시작하였으나 화이자 이상반응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대구지역 일개 감염병 전담병원 직원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화이자백신의 1차 접종과 2차 접종의 이상반응 비교를 통하여 앞으로의전 국민 화이자 접종 이상반응을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토대로삼고자 한다. 방법: 2021년 3월 17일부터 19일, 4월 8일부터 9일까지 시행한 1차및 2차 화이자 백신 접종을 한 대구지역 일개 감염병 전담병원 의료진(139명)이 접종 후 10일 동안 작성한 자가체크설문지를 이용하여데이터를 수집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1차 접종과 2차 접종의 이상반응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국소적 이상반응과 전신적인 이상반응으로 구분하고 각 이상반응을 중증도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였다. 결과: 화이자 1차 접종 후에 비해 유의미하게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의 발현시점이 더 늦고, 지속기간이 길었으며 모든 국소 이상 반응(통증, 압통, 경결/부종, 홍반/붉음)과 전신 이상 반응 중 설사, 오심/구토, 두통, 피곤함, 근육통, 열, 기타반응의 빈도 및 중증도가높아졌다. 또한 기타 반응의 종류도 1차 접종 후에 비해 2차 접종 후에 더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화이자 백신의 경우 1차 접종 후보다 2차 접종 후 이상반응의정도와 빈도가 증가할 수 있어 이에 대하여 화이자 접종 대상자에게 설명을 하고 화이자 백신 접종을 하는 의료진도 그에 대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약물이상반응 감시 현황: 단일기관 10년 자료 분석

        박수빈 ( Soo Been Park ),문미라 ( Mira Moon ),김현화 ( Hyun Hwa Kim ),박가윤 ( Ga-Yoon Park ),강동윤 ( Dong Yoon Kang ),이주연 ( Ju-yeun Lee ),조윤숙 ( Yoon Sook Cho ),강혜련 ( Hye-ryun Kang ),조상헌 ( Sang-heon Cho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4

        목적: 의약품의 적절한 사용에도 불구하고 약물이상반응(ADR)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약물이상반응과 중대한 이상사례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에 2010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보고된 약물이상반응 평가자료를 분석하였다. 약물 사용과 이상사례 발생의 인과성은 세계보건기구 웁살라 모니터링센터(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WHO-UMC) 인과성 평가 기준을 기반하여 확실함(certain), 가능성 높음(probable), 가능성 있음(possible)으로 평가된 사례들만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령, 성별, 증상 발생 시기, 중증도 및 위중도 그리고 약물이상반응, 중대한 이상사례의 신체기관계 분류가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 기간 동안 총 49,955건의 약물이상반응 평가지가 가능성 있음, 가능성 높음, 확실함으로 평가되었다. 위장관계 증상(25.9%)은 전체 보고 건수에 비해 중증(2.6%)의 비율이 낮았던 반면, 혈액학적 질환(6.6%)은 중증(39.2%)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약물이상반응 중 10.2%가 중대한 이상사례로 평가되었으며,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이 높았다. 신체기관계 분류로 분류하였을 때는 전신 질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으며 그 뒤로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가 많았다. 항암제와 항생제가 중대한 유해사례의 의심약제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가장 흔한 중대한 이상사례였다(6.5%). 결론: 중대한 이상사례의 비율은 신체기관계 분류와 약제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양 극단의 연령대에서 중대한 유해사례의 비율이 높았으므로 어린이와 노인에서는 잠재적인 중대한 유해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Background/Aims: Despite proper use of pharmaceuticals, adverse drug reactions (ADRs) can lead to problems related to patient safet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DRs, particularly serious adverse events (SAEs), in a singl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 Methods: Spontaneous ADR report data collected from 2010 to 2019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assessed. Causa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Uppsala Monitoring Centre criteria. Age, sex, onset, severity, seriousness, and system organ class (SOC) of ADRs and SAEs were analyzed.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49,955 individual case safety reports were assessed as possible, probable, or certain. Although the number of gastrointestinal ADR reports was high (25.9%), severe cases were uncommon (2.6%). By contrast, the number of hematologic disorders was low (6.6%) but 39.2% of them were severe. Among ADRs, 10.2% were assessed as SAEs, the proportion of which was high at extreme ages and in males. Body as a whole-general disorder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OC for SAEs, followed by skin and appendage disorders. Antineoplastic agents and antibiotics were the most common causative agents of SAEs and ADRs. Anaphylactic reaction was the most frequent SAE (6.5%). Conclusions: The proportion of SAE differs according to SOC and drug.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AEs in children and older adults because the rate of SAEs is significantly higher at extreme ages. (Korean J Med 2021;96:341-351)

      • KCI등재후보

        임상시험 피험자에게 발생하는 이상반응 관리 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미성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0 생명윤리정책연구 Vol.4 No.2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is a committee to protect clinical research subjects’ human rights and health and to guarantee the ethicality and scientificity of research. However, the adverse event report system of domestic IRBs is not playing its role adequately as a subject protection against adverse events in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the SOPs of the IRBs of five hospitals surveyed, convened IRB review is judged relying on reports submitted by the investigator, and adverse events not included in the convened IRB review are reviewed in the Expedite Review or not reviewed. This report system can be a problem in three aspects. First, the investigator may submit a wrong report because of financial or non-financial conflict of interest. Second, the investigator may misdiagnose adverse events occurring in the subjects. Third, there is no system for detecting errors even if the investigator has made an incorrect report on adverse event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made a number of suggestions. First, in order to manage investigators’ conflict of interest, the IRB needs to establish SOPs related to conflict of interest and KGCP should also introduce provisions on conflict of interest. Second, in consideration of the investigator’s misdiagnosis, it is proposed to use the peer review system. It is introducing ‘second opinions on adverse events’ from medical specialists in the same major. Lastly, in order to detect errors in the investigator’s report, it is suggested to utilize a committee specializing in the review of adverse events (adverse event committee). The Special Committee on Adverse Events is a subcommittee mainly on adverse events. Such a committee may provide a more professional and intensive review for adverse events. Subject protection in the true sense cannot be attained by simple documentary works or by following a procedure. Thus, it is now necessary to see adverse event reviews are made meaningfully to individual subjects.

      • KCI등재

        청소년용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자료에 대한 이상점반응모형 적용 가능성 탐색

        강태훈,오민아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2

        문항반응이론은 전통적으로 피험자의 특성수준이 높아질수록 검사 문항을 맞히거나 이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응답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우세반응모형 혹은 누적기제를 가정하지만, 정의적 특성 검사의 경우 피험자의 특성 수준과 해당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인 수준에 부합할수록 긍정적으로 응답하며 자신의 의견 및 태도와 진술문이 나타내는 의견 및 태도가 다를수록 이에 긍정하지 않을 경향성이 커질 것이라는 이상점반응모형이 대안적 가정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최근에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게임중독에 관한 개념과 이를 진단하는 척도 및 우세반응모형과 이상점반응모형에 부합한 두 문항반응모형을 소개하고 해당 모형을 통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청소년용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 진단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각 모형에 따라 문항분석 상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탐색해보고 검사연구자나 수행자가 검사 자료 분석 방법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상점반응모형을 적용하여 문항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피험자의 특성 수준이 높을 경우 문항에 대한 긍정적 응답확률이 낮아지는 상황을 고려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청소년들의 문항별 반응 양상에 대해 보다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polytomous testing data of an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using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 that hypothesizes cumulative mechanism and generalized graded unfolding model for unfolding mechanism to explore how these two models interpret items differently and what test experts or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when they choose models for item analysis. Item response theory uses dominance process model(DPM) or cumulative mechanism traditionally that examinee high on the trait assessed are assumed to answer positively with high probability. But recently, ideal point model that hypothesized that the probability of endorsement is assumed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proximity of the statement to the examinee's location on the assessed trait could be applied to affective testing data. By analyzing testing data with IPM, we could consider not only cumulative item characteristic curve but also unfolding item characteristic curve, then deeper understanding could be obtained about adolescents' response patterns to each item.

      • KCI등재

        독일의 예방접종 이상반응 신고와 부작용에 대한 피해보상

        차성안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22 사회보장법학 Vol.11 No.2

        In Germany, the causality review for adverse events following immunization (AEFI) reports is conducted by the PEI Institute at the federal level, and damage compensation is made by individual compensation managers in each state. The AEFI reporting process and damage compensation process are separated.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person involved in the causality evaluation of the AEFI report cannot be involved in the judgment of the normative causal relationship related to damage compensation. To determine the causality between vaccination and AEFI, the WHO's Adverse Event Causality Evaluation Criteria are used. Regarding the normative causal relationship judgment, detailed guidelines are provided in the relevant rules. The Korean AEFI Guidelines also suggest damage compensation standards as well as causality review standards for AEFI reports. The causality criteria of the three categories of WHO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causality review criteria of Korea's AEFI management guidelines. In particular, the ‘indeterminate’ category should be formally introduced, but the attitude of uniformly regulating the above category in the guidelines as a type that has no causal relationship in damage compensation should be discarded. The criteria for judging causality in compensation for damages should be newly set in a form that can consider even normative caus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riteria for reviewing causality between the vaccination and AEFI.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ontents of the rules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causality in Germany's Act on Care for Victims of War.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ituation where there are only two lawyers among the 15 committee members who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vaccination damage compensation hearing in Korea. At the damage compensation expert committee stag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majority of members reflect the views of lawyers and ordinary citizens. In the long term, the above improvements are needed for all vaccinations, but in the short ter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nacting a special law on compensation for damages from COVID-19 vaccination side effects. 독일의 경우 예방접종 이상반응 신고에 대한 인과성 검토는 연방 차원의 PEI 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피해보상은 각 주의 개별 보상담당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상반응 신고 절차와 피해보상 절차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이상반응 신고 인과성 평가에 관여한 사람이 피해보상과 관련된 규범적 인과관계 판단에까지 관여할 수는 없는 구조이다. 예방접종과 이상반응 사이의 인과성 판단은 WHO의 이상반응 인과성 평가 기준을 활용한다. 규범적 인과관계 판단 관련하여서는 원호의학규칙에서 상세한 지침을 제시한다. 한국의 이상반응 지침에서는 이상반응 신고에 대한 인과성 검토기준과 함께 피해보상 기준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WHO의 3가지 카테고리의 인과성 판단기준을 한국의 이상반응 관리지침의 인과성 검토기준에도 도입해야 한다. 특히 ‘불확실한(indeterminate)’ 범주를 정면으로 도입하되, 위 범주를 피해보상에서 인과관계가 없는 유형으로 획일적으로 지침에서 규정하는 태도는 폐기되어야 한다. 피해보상 기준은 이상반응 신고 인과성 검토기준과 다른 의미로 규범적 인과관계까지 고려할 수 있는 형태로 새로 정해 넣어야 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독일 연방원호법 원호의학규칙의 내용이 참고될 수 있다. 한국의 예방접종 피해보상 심의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15명가량의 피해보상전문위원회의 위원들 중 변호사 등 법률가가 2명에 불과한 상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피해보상 전문위원회 단계에서는 법률가와 일반시민의 관점을 반영하는 자의 비중이 과반수를 차지하게 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는 모든 예방접종에 대하여 위와 같은 개선이 필요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 예방접종 피해보상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회보상 절차로서의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 신고 및 피해보상

        정승민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22 사회보장법학 Vol.11 No.2

        As COVID-19 is highly prevalent worldwide, the COVID-19 vaccine has been urgently developed. Accordingly, the COVID-19 vaccine safety management guideline has been established, which fundamentally follows the vaccine safety management guideline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NIP). For COVID-19, new systems, which were not in the previous NIP, were also applied, taking into account the unprecedented mass vaccination of newly developed vaccines against the emerging infectious disease. For COVID-19, cases review by provincial rapid response teams was added to the rapid response system of adverse events following immunization(AEFI) surveillance and investigation. For the previous NIP guideline, applying for the injury compensation program was possible only when the expected out-of-pocket cost was 300,000 won or more. This has been abolished from COVID-19 vaccination and expanded to other NIP. For causality assessment on AFEI, the existing classification 4 was reclassified into 4-1 and 4-2, and this new classification rule was then applied to the entire NIP. In the case of COVID-19, “the support program for the suspected vaccine-related adverse reaction” is being carried out for the 4-1 case. However, this support program is not applied to other NIP diseases. In addition, for COVID-19, there is a “support program for death cases with the unclear cause of death in the autopsy result.” There may be some criticisms of the current COVID-19 Vaccine Safety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Having separate processes for the AEFI surveillance/investigation and the vaccine injury compensation program can confuse the applican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roles of the injury investigation team and the injury compensation expert committee is ambiguous, which can lead to confusion. The decision of compensations based on the current causality assessment classification may conflict with the Supreme Court precedent. In addition, despite several reviews and discussions, the applicant can only receive the notice of the final injury compensation deliberation result; thus, there may be an argument over the transparency of the process. As the 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vaccines are expected after COVID-19, it is expected that by improving the current COVID-19 vaccine safety management programs, we will be able to increase trust in NIP in the future.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크게 유행함에 따라,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이 긴급히 개발되었다. 이에 기본적으로 국가예방접종의 이상반응 관리 체계를 따르는 코로나19 백신 이상반응 관리지침이 마련되었다. 여기에서는 이례적으로 신종감염병에 대해 새로 개발된 백신을 대량 접종하는 점을 감안하여 이전 국가예방접종에는 없던 새로운 제도도 적용되었다. 코로나19의 예방접종 이상반응 관리지침에서는 신속대응대상에 대한 이상반응신고 대응 단계에서 시・도 신속대응팀의 자료 검토가 추가되었다. 기존에는 예상 피해보상금액의 본인부담금이 30만원 이상인 경우에만 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었으나, 코로나19 예방접종에 한해 신청기준을 전액으로 확대 적용하였으며, 이후 모든 국가예방접종의 피해보상 신청 금액 제한이 폐지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부터 기존의 인과성 분류 4를 4-1과 4-2로 재분류하게 되었고, 이후 이와 같은 분류 방식을 국가예방접종 전체에 적용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에서는 4-1 사례에 대해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관련성 의심질환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다른 질환의 예방접종 이상반응은 4-1에 대해 지원사업을 하고 있지 않다. 이 외에도 코로나19에 한하여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부검 사인불명 사례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현행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이상반응 신고 및 피해보상 절차에 대해 몇가지 비판이 있을 수 있다. 이상반응 신청과 피해보상 신청이 별도로 진행되는 것은 신청인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피해조사반과 피해보상 전문위원회의 역할 구분이 모호하여 혼선을 빚을 수 있다. 현재 인과성 분류의 구분 결과에 의한 피해보상 여부 결정은 대법원 판례와 상충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행 절차에서 신청인은 여러 심의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으로 최종 피해보상 심의결과 안내문만 받아 볼 수 있어 절차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에도 신종감염병의 출현 및 새로운 백신 개발이 예상되는 바, 코로나19 예방접종 이상반응 대응절차에서 확인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앞으로 국가 예방접종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BERT+ 알고리즘 기반 약물 리뷰를 활용한 약물 이상 반응 탐지

        허은영 ( Eun Yeong Heo ),정현정 ( Hyeon-jeong Jeong ),김현희 ( Hyon Hee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0 No.11

        본 논문에서는 약물의 시판 후 이상 반응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약물 리뷰 데이터로부터 약물 이상 반응을 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부정적인 약물 리뷰는 주로 약물 이상 반응을 언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약물 리뷰들을 감성 분석하여 부정 리뷰를 추출하고, 부정 리뷰에 사전 기반 추출과 개체명 인식 기법을 적용하여 약물 이상 반응을 탐지하였다. 제안하는 BERT+ 알고리즘으로 부정 리뷰를 판별한 다음, MedDRA 표준 의학 용어 사전을 활용해 이상 반응 단어를 찾고, 개체명 인식 기법을 사용하여 구로 표현된 이상 반응 표현을 탐지하였다. 실험을 위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세 종류의 약물 리뷰를 약물 리뷰 사이트로부터 수집하여 테스트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약물 리뷰를 통한 약물 이상 반응 탐지가 현재의 약물 감시 체계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pproach for detec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from drug reviews to compensate limitations of the spontaneous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ing system. Considering negative reviews usually contain adverse drug reactions, sentiment analysis on drug reviews was performed and extracted negative reviews. After then, MedDRA dictionary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were applied to the negative reviews to detect adverse drug reactions. For the experiment, drug reviews of Celecoxib, Naproxen, and Ibuprofen from 5 drug review sites, and analyzed. Our results showed that detec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is able to compensate to limitation of under-reporting in the spontaneous adverse drugs reactions reporting system.

      • KCI등재

        가치에 대한 반응 : 의존적 분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주동률(Dongryul Choo) 한국분석철학회 2008 철학적 분석 Vol.0 No.18

        가치에 관한 최근의 한 주요 이론에 따르면 한 대상이 가치를 가진다는 사실은 그 대상에 대해 특정 개인이 우호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에 다름 아니다. 흄에 대한 일부 해석과 색과 가치의 유비를 중시하는 전통을 선조로 가진 이 노선은, 가치판단의 객관성과 규범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치를 구성하는 반응과 반응 주체의 자격을 논하면서 다양한 스펙트럼의 이론적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 세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형의 입장들의 핵심적 주장은 ‘반응-의존적’ 가치분석이론이라는 명칭을 가능케 하고, 실상 이 명칭 하에 집중된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이 이론을 비판한다. 첫째, 이 이론의 주요 요소인 반응 주체의 자격과 적절한 반응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채우려는 과정이 자체적 어려움을 노정할 뿐 아니라(‘이상화’ 전략의 문제점 등), 그 주체의 반응이 실상 대상이 반응 이전에 혹은 반응-독립적으로 가진 패턴을 추적할 가능성과 개연성이 제기된다. 둘째로 이 입장이 가장 친화적으로 연결되는 규범적 입장이 개별주의(particularism)인데 이는 일반적 원리를 중심으로 한 대부분의 주요 규범이론들의 실패를 전제로 하는 부담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이 이론이 자신의 장점으로 내세우는 여러 규범적 현상들에 대한 설명이 반응-독립적 이론들에 의해 보다 적절한 수준에서 제시될 수 있다. On one of the recent major theories of value, the fact that an object has a value property is just the fact that a subject satisfying certain qualifications would respond to that object favorably. As a descendant of (the official interpretation of) Hume's value theory and the venerable tradition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the analogy between color and value, this view commands a wide range of theoretical possibilities. Sub-divisions within this view largely come from various ways of characterizing the nature of the relevant response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 responder. This paper presents three types of criticism against core theses of 'response-dependent' theories of moral value. First, we shall face a dilemma in the process of filling in the central elements of the theory, i.e., the response and the qualifications of the responder. Perfect, idealized responders and their response would be out of our (human) cognitive reach, and there is an eminent possibility that people with morally improved sensibilities around us are in fact responding to response-independent patterns exemplified by the objects of their moral judgment. Second, the most congenial normative partner of response-dependent value theory is particularism, and the latter has its own enormous normative burdens and tasks. Finally, most explanatory efficacies this theory advertises as their advantages can be offered by response-independent theories on a more adequat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