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지 피어시의『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에 대한 여성주의적 독법: 유토피아 문학에서의 방문자 : 안내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지은(Kim, Jie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1

        유토피아 문학은 현실사회와는 다른 이상사회의 특징을 단순히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하는 관광 안내문이나 개인적 경험을 담아내는 여행기가 아니라, 유토피아 사회(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안내 관광’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문학 장르이다. 유토피아 문학에서 방문자와 안내자가 주고받는 대화는 상호작용하면서 변증법적으로 유토피아 사회(상)을 검토하는 산파술적 ‘소크라테스식 대화’로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유토피아 문학작품 속에서 유토피아를 방문하는 자가 누구이며, 이 외부의 방문자에게 유토피아의 내부를 안내하는 자가 누구인지, 또한 방문자와 안내자로서 이들은 어떤 관계를 맺게 되는지 파악하는 것은 작품을 읽어내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분석틀이다. 이 글은 마지 피어시의 『시간의 경계에 선 여자』에서 여성 방문자 코니와 여성 안내자 루시엔테가 맺는 관계를 기존 남성 작가의 유토피아 문학에서 남성 방문자와 남성 안내자가 맺는 관계와 비교하고, 그 특징으로 필연성과 미종결성 그리고 실천성으로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코니와 루시엔테의 만남과 접속이 첫째, 우연이 아닌 필연이고 둘째, 일회성으로 종결되는 것이 아닌 복수적 접속으로 진행되며, 셋째, 적극적인 개입과 저항을 요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피어시의 작품에서 상상되고 추동되는 페미니스트 유토피아(상)은 기존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만듦으로써 여성 억압의 현실을 변화시키는 대안적 가치이자 저항적 실천 그리고 연대의 가능성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살펴본다. Utopian literature is not just a travel guidebook that encyclopedically lists the characteristics of ideal society different from the real society, or a travel essay that describes the personal experience. Instead, utopian literature is the genre that strategically takes the form of ‘travel guide’ for a critical review on the utopian social aspects. In utopian literature, visitor and guide exchange an interactive conversation composed of the maieutic ‘Socratic dialogue’ which deeply examines the utopian social aspect in a dialectical method. Therefore, identifying who visits the utopia, who guides the visitor throughout the utopia,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y form as visitor and guide in utopian literature are crucial analytical tools in interpreting utopian literatur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emale visitor named Connie and a female guide Luciente, and the time which enables this relationship in the Woman on the Edge of Time by Marge Piercy. In this fiction, the feministic utopia imagined and driven by Connie and Luciente is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value, resistant practice, and possibility of solidarity that ultimately changes the reality of suppression on female by causing a crack on the existing ruling ideology.

      • KCI등재

        “유토피아”의 한국적 개념 형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

        김종수 ( Kim Jongsoo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2 No.-

        한국에서 ‘유토피아’의 개념은 20세기 초반 형성되었다. 유토피아가 문헌에 등장하기 전 『해저여행기담』이나 『철세계』와 같은 근대 초기 번안 소설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세상에는 없지만 좋은’ 세계는 과학을 이용해 찾아낼 수 있는 곳, 과학으로 실현할 수 있는 이상적인 곳이었다. 여기에는 과학을 통해 부국강병을 이룩하려는 조선 지식인들의 근대에 대한 희망적인 기대가 담겨 있었다. 진보적 역사관에 기반한 사회주의 운동이 활개를 치던 1920년대 조선의 독서대중들에게 “유토피아”라는 개념은 사회주의의 전사로서 서구 유럽의 사회개혁운동의 일환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현실 사회주의의 합목적적 과학성을 설명하는 데에 유토피아가 동원되면서 유토피아는 공상적 의미의 이상세계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현실 사회주의가 합목적적인 과학으로 실현된 이상세계라면 유토피아는 과학적 사회주의의 전사로서 실행할 수는 없으나 공상되었던 공산주의의 과거 사례로 규정된 것이다. 한편 『개벽』이 사회주의 사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 유토피아의 사회개혁적 맥락에 집중하여 논의하는 것과 다르게 『동광』은 사적 소유의 철폐를 통해 유토피아를 실현하겠다는 사회주의적 급진론보다는 과학과 예술의 진보, 개인의 개성과 국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점진적 개혁안에 바탕을 둔 근대 문명을 유토피아로 상정하였다. 또한 같은 시기에 과학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 유토피아에 대한 관심은 과학으로 상상하는 미래 세계를 주제로 한 과학소설과 희곡 작품으로도 확장되었다. 웰즈의 『팔십만년 후의 사회』나 박영희가 번역한 『인조노동자』 같은 작품은 바로 유토피아를 꿈꾸는 미래의 과학세계가 사실은 인류가 겪게 될 인간 멸망의 암울한 디스토피아임을 암시하고 있는 작품이지만, 디스토피아적 비전의 원형들은 이상향을 향한 비전의 반대급부로 형성된 것으로서 유토피아의 의지가 내포된 것이라 할 것이다. The concept of 'utopia' in Korea was form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isn’t in this world but good world' could be found using science and it was an ideal place for science to realize in the 1900s of Korea. Utopia was emphasized as an ideal world of fantasy in the 1920s. It was an ideological world wherein socialism was realized by a purposeful science. Utopia, conversely, was the history of scientific socialism defined as past example of communism that could not be implemented but was fancied. There were works suggesting that it was a dark dystopia such as Society after 800,000 years written by H.G. Wells or Artificial Worker by Young-hee Pak, but there were implied at the will of utopia.

      • KCI등재

        비-장소로서의 유토피아

        정헌이(Hunyee Jung) 서양미술사학회 2014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1 No.-

        이 논문은 더 나은 삶을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는 유토피아 개념이 시각예술 속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수용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오늘날의 포스트-유토피아 미술에 나타난 예술의 해체 문제를 논의한다. 유토피아는 선한 사회에 대한 정치적 비전이면서도 동시에 ‘없는 곳’에 대한 상상의 기획이기 때문에 비현실적이이고 몽상적이라고 폄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 글에서는 토마스 모어가 처음 사용한 유토피아란 용어와 개념이 그 자체로 아포리아임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현실비판에서 출발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예술가로서 가장 분명하게 유토피안 사상을 펼쳤던 윌리엄 모리스와 20세기 유토피안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사례들을 통해 예술 속의 유토피안 사상이 반드시 공상적이고 허구적인 것이 아니라 보다 나은 삶의 전망을 찾아내려는 희망의 프로젝트이자 구체화된 미래상임을 밝힌다. 포스트-유토피안 시대의 유토피아 미술을 다룬 3장에서는 최근의 예술 속에서 나타나는 미술의 해체 문제에 주목한다. 매체에 대한 기술적 숙련을 거부하고 만남, 관계, 태도, 실천이 강조되는 해체주의 미술은 대개 미술의 정체성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 논문은 유토피아적 전망은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를, 즉 다른 공간의 가능성을 품고 있어야 하고, 유토피아는 유토피아를 거부할 가능성을 허용하는 한에서만 유토피아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끝으로 철학자 사이먼 크리츨리 (Simon Critchley)를 참고하여 예술은 허구이지만, 우리가 그것이 허구임을 알면서도 믿기로 선택한 허구, 즉 “최상의 허구”라는 점, 그리고 예술의 유토피아적 기능은 예술이 자율적 영역이어서라기보다는 그것이 자율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자유로와지려고 노력하는 바로 그 지점에서 발현하는 것임을 밝힌다. 아직 존재하지 않고 지금까지 인정받지 못한 관점에서 바라보는 제안의 형식으로서의 예술은 그 자체로 유토피아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로 그점이 예술이라는 난제의 특성일 것이다. The notion of utopia had been seriously discredited since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governments of Russia and of eastern europe in 1990s.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renewed interest in contemporary art, centering on the issue of utopia. The exhibition “Utopia Station” at the 50th Venice Biennale in 2003, “Utopian Impulse” at the SF MOMA in 2012, and the “Spirit of Utopia” at the Whitechaple Gallery in 2013 are three major institutional re-visitings of this forgotten idea of better life. It means that the art of 1990s which Nicolas Bourriaud called “precarious art” based on “relational aesthetics” officially entered institutional organization of contemporary art world.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oncept of utopia has been understood and embraced in the context of recent art history. Utopia as an everyday language tends to disparage the speculation about the good society as intrinsically impractical and dreamy. In this article, I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omas More, the founding father of utopian study conjured the idea of utopia out of critique of reality. Utopian impulse is not just fictional but concrete projects of hope that will materialize the future. In dealing with so-called ‘post-medium art’, I discuss the problem related to the negative by-product of dissolution of art medium in these utopian projects in post-utopian age. The arts of deconstruction that reject craftsmanship but emphasize relation, meeting, attitude and practice, have been suspected of destroying the identity of art itself. Yet, utopian perspective must allow the possibility of other spaces and even the possibility of the right to reject utopia itself. I refer to the concept of the “supreme fiction” that I borrowed from the philosopher Simon Critchley, and argue that utopia is “a fiction that we know to be a fiction but in which we nonetheless believe”. Art is a utopian proposition that we see what is from the standpoint of something that does not exist and which has not been acknowledged.

      • KCI등재

        『철학자들의 공화국, 혹은 아자오인들 이야기République des philosophes ou Histoire des Ajaoiens』에 나타난 유토피아

        허지영 ( Huh Jiyoung ) 한국프랑스고전문학회 2021 프랑스고전문학연구 Vol.24 No.-

        근대 유토피아 문학의 효시인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가 1516년에 나온 이후 수많은 유토피아 문학 텍스트들이 17세기와 18세기에 영국과 프랑스에서 출간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퐁트넬의 『철학자들의 공화국, 혹은 아자오인들 이야기』에 묘사된 유토피아를 살펴봄으로써 근대 유토피아 장르 초기인 17세기 유토피아 텍스트 안의 행복의 문제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유토피아의 전형적인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유토피아에서 발견되는 아이러니, 즉 자연과 아자오인들의 원칙에 반하는 노예들에 대한 취급, 국가에 너무 완벽하게 동화되어 개인이 사라지는 것, 국가가 그들의 시민을 ‘교육하는’ 방식 등은 이 유토피아의 ‘행복’에 대해 의심을 품게 한다. 그러나 『아자오 이야기』를 단지 ‘안티-유토피아’ 작품으로 보기에는, 당시 현실의 문제들에 대한 대안들이 텍스트에서 묘사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미묘한 위화감으로 포착되는 아자오 유토피아의 잠재적 문제들과 위험은, 지나치기 쉬운 껄끄러움 속에 감추어진 진실을 독자들이 의심하고 사고하여 드러내게 만든다. 퐁트넬의 『아자오 이야기』에서 우리가 발견하게 되는 것은 완벽한 유토피아 모델에 대한 제시가 아니라 유토피아의 추구에서 잊지 말아야 할 경계의 태도이다. De nombreux textes littéraires utopiques furent produits en Angleterre et en France aux ⅩⅦ<sup>e</sup> et ⅩⅧ<sup>e</sup> siècles, suite à la parution de l’Utopie de Thomas More, premier texte utopique moderne, en 1516. Cet article a pour but d’analyser l’utopie décrite dans la République des philosophes ou Histoire des Ajaoiens de Fontenelle, afin d’examiner la question du bonheur dans un texte utopique du ⅩⅦ<sup>e</sup> siècle, à l’aube du genre utopique moderne. Des éléments stéréotypés s’y trouvent, cependant un malaise est ressenti par le lecteur face à certains aspects d’Ajao tels que le contrôle démographique inhumain sur les esclaves - d’ailleurs contraire à la nature et aux principes des Ajaoiens -, la disparition de l’individu intégré parfaitement à l’Etat, ainsi que la manière dont l’Etat forme ses citoyens. Tout ceci nous rend méfiants quant au “bonheur” prétendu dans cette utopie. Ce malaise nous met en garde contre tout ce qui paraît parfait. Fontenelle ne présente pas un modèle parfait utopique, mais invite les lecteurs à soupçonner et à réfléchir, en continuant leurs efforts pour un meilleur monde.

      • KCI등재

        ‘유토피아’가 가지는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최재정(Choi Jaijeong) 한독교육학회 2017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2 No.1

        유토피아가 ‘사회적 유토피아’인 경우 유토피아는 교육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유토피아주의자들은 고래로부터 사회적 유토피아를 창안할 때, 늘 교육이 필연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토피아가 가진 교육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에 대한 대답을 구해 보고자 한다. 첫째, 과연 ‘교육’과 ‘유토피아’는 근원적으로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가? 둘째, ‘교육’이 ‘유토피아’와 연결됨에 있어서 ‘정치’의 문제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셋째, ‘유토피아’를 이루기 위하여 ‘교육’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방향과 단계는 어떠한 것들인가? 이 세 질문에 대하여 답을 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연구 과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유토피아가 그것의 의미사적인 측면에서 다루고자 한다. 둘째, 유토피아를 하나의 완벽한, 이상적인 사회상, 즉 ‘사회적 유토피아’라고 할 때, 그것이 지니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특징들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셋째, 유토피아가 지니고 있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넷째, 유토피아가 교육과 맺고 있는 밀접한 관련성에 대하여 다룬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유토피아와의 관련성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유토피아가 ‘사회적 유토피아’, 특히 ‘구체적이고 상대적인 유토피아’의 의미로 파악되고, 교육, 교육학이 서양 교육사 속에서의 근대 이후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의미로 제한되는 한, 유토피아와 교육은 태생적인 차원에서 깊은 관련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 둘째, 이처럼 교육과 유토피아가 그 태생을 같이 하고 있는 한, 교육은 유토피아 속에 포함되어 있는 정치적 차원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성들을 늘 함께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이 유토피아와 관련될 경우 가장 긍정적인 방향은 결국 유토피아가 그 어떠한 종류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나 민족 신화 등과도 관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체적, 상대주의적 유토피아’의 성격을 지니는 경우에 한하여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If utopia is a ‘social utopia’, utopia i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When utopianists invented social utopias, they have always made education a necessary func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utopia.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utopia’? Second, what role does ‘politics’ play in ‘education’ connected to ‘utopia’? Third, what are the specific directions and steps fo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utopia’ as educational objectives?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se three question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tasks. First, utopia is to be treated in terms of its semantic aspect. Second, I describe the most basic characteristics of utopia, when I refer to it as a perfect, ideal social image, ‘social utopia’. Third,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utopia are discussed. Fourth, it deals with the close relation between utopia and education. In this study, we can summa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utopia as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First, education should play a role in maintaining the ‘status quo’ as its optimal state in the already achieved utopian social order. Second, education can be a driving force to enable utopias that do not yet exist in the world. Third, amo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topia, an important element related to education is the part of ‘Anticipation’ contained in utopia. When utopia has the meaning of a social goal as a perfect goal, and thus includes all the processes of stepping toward such a goal, utopian thinking or action, these characteristics have much in common with the nature of education can do.

      • KCI우수등재

        유토피아와 유토피스틱스

        손철성(Cheol-Sung Son) 한국철학회 2001 철학 Vol.67 No.-

        유토피아는 새로운 미래 사회에 대한 전망과 함께 이를 지향하는 역동성을 우리의 삶에 부여한다는 점에서 매우 소중하다. 이러한 유토피아론이 비판적 사회 이론에서 제대로 자리매김 되기를 기대하면서, 이 글에서는 근대적 유토피아 개념의 전형을 확립한 만하임과 최근에 ‘유토피스틱스’라는 개념으로 유토피아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월러스틴의 입장을 비교한다. 만하임은 기존 질서에 대해 비판적이거나 파괴적인 실현 가능성이 있는 존재 초월적 의식이나 사고를 유토피아라고 본다. 이러한 유토피아 개념은 근대적 유토피아 개념의 핵심을 잘 지적하고 있는데, 근대적 유토피아는 고전적 유토피아에 비해 기존 현실에 대해 훨씬 더 비판적으로 작용하면서 현실을 변혁시킬 수 있는 실천적 영향력을 발휘한다. 그러나 유토피아를 이데올로기로부터 구분하려는 만하임의 시도는, 상대주의를 함축하고 있는 그의 전반적인 지식 사회학적 관점에 정합적으로 수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해 월러스틴의 ‘유토피스틱스’는 역사적으로 실현 가능한 대안적 체제들의 실질적 합리성을 평가하기 위한 학문적 활동으로서 과학, 정치학, 도덕 등 제반 학문의 통합적 연구를 요구한다. 이것은 현실 비판성, 실현 가능성 등 여러 측면에서 만하임의 유토피아 개념과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월러스틴은 만하임과 다르게 실질성 합리성에 대한 평가를 강조함으로써 만하임에게 가해진 상대주의라는 비판을 극복하고 유토피아에 대한 가치 평가가 들어설 자리를 마련하려고 했다.

      • KCI등재

        유토피아소설로서 『아름다운 마을(美しき町)』의 가능성과 한계 ― 사토 하루오의 ‘유토피아’ 전유를 중심으로 ―

        南相旭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2 No.-

        이 글은 사토 하루오의 『아름다운 마을』을 통해서 근대 일본문학 속의 유토피아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이 글에서는 당시 도쿄 안에 ‘아름다운 마을’을 건설하려는 유토피아적 프로그램은 왜 실패할 수밖에 없었고, 그 실패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당시의 시대적 상황 등을 고려하면서 고찰해본다. 가와사키의 유토피아 충동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새롭게 등장한 금본위 금융경제 속에서 자본의 투여대상으로서 일본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경제적 조건 하에 유토피아 프로그램으로 확장되는데, 만약 그것이 계획대로 성공한다면, 서구자본에 의한 일본의 식민화라는 측면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또한 ‘협동사회주의’라는 이념을 유토피아 장르를 통해서 실현하려고 했던 윌리엄 모리스의 『어디에도 없는 곳으로부터의 소식』의 영향은, 자본가에 의한 유토피아 프로그램의 파정에 내적 필연성을 부여한다. 결국 이 텍스트는 일본 근대문학에서의 ‘유토피아’라는 장르의 가능성을 열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아포리아적으로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유토피아를 ‘마음’의 문제로 축소시킴으로써, 이후 문학이 일본의 전체주의화에 기여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 of the concept of utopia in modern Japanese literature, through “The Beautiful Village” of Sato Haruo. This article examines why utopian programs to build ‘beautiful villages’ in Tokyo failed, and what the meaning of the failure was, taking into account the situation of the time. Kawasaki's utopia impulse expands into a utopian program under the economic conditions by finding Japan, as the object of capital investment in the gold-funded financial economy, to be newly emerging after the First World War. However, if it were to succeed as planned, there would be no other way than to colonize. The influence of William Morris' “News from Nowhere,” which attempted to realize the idea of ​​“cooperative socialism” through the utopian genre, provides the internal necessity for the dissolution of utopian programs by capitalists in the text. Although this text opened the possibility of a genre called ‘utopia’ in Japanese modern literature, it has limit that showed not only that a utopia was ironically impossible in Japan but also minimized utopia as a problem of the ‘mind’ that it contributed to Japanese fascism.

      • KCI등재후보

        근대 산업주의의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 근대인들의 미래에 대한 투사

        홍태영(Tai-Young Ho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0 OUGHTOPIA Vol.25 No.1

        유토피아는 현재 그리고 이 공간에 존재하지 않는 다른 곳 그리고 다른 시간에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 혹은 그러한 공간은 새롭게 창조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것은 먼 미래의 것일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과거에 이미 존재한 적이 있는 것 - 동양에서 요순시대, 루소에게서 황금시대 등 - 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였다. 유토피아에 대한 사유는 ‘장소유토피아’ 즉 플라톤의 전통을 수용하여 세상을 변혁시키려는 생각은 주로 섬이라든가 반도와 같은 공간적인 영역을 통하여 형상되었다가,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기 전 미래지향적 사고 형태를 지닌 ‘시간 유토피아’로 변화된다. 즉 공간적 형태의 유토피아주의에서 시간적 과정의 유토피아주의로의 변화이다. 그와 동시에 19세기부터 디스토피아의 전망이 등장한다. 디스토피아를 그리는 사람들의 문제의식에 공통된 것은 근대의 산업주의가 인간의 본성, 특히 인간의 정념에 반한다는 생각이다. 산업주의는 근대 이성의 발현의 산물이고 그것은 인간의 정념에 대한 억압을 가져오며, 결국 인간이 추구하는 이상 사회가 될 수 없다는 판단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다면, 근대성에 대한 비판과 포스트모던의 새로운 문제의식들이 등장하는 현 시점에서 우리는 정념의 문제를 새롭게 사고해야 한다. 그것은 근본적인 문제로서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이다. 그리고 그러한 인간들의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사유가 유토피아에 대한 사유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유토피아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고 이후 디스토피아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았다. 그것은 19세기 산업주의 나아가 근대에 대한 시각의 변화를 살펴보는 작업이며, 그러한 시각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근대를 넘어선 새로운 전망의 가능성을 찾아 보았다. 21세기에 들어선 우리에게 새로운 ‘유토피아’에 대한 전망을 갖기를 바라는 바에서이다. Utopia is an expression of belief that there is a place which doesn't exist and there is another time-space and belief. And It is an expression of will that would explore and create a new imaginary space. Utopia may be a thing of future or that of past which existed - for example, golden age of J. J. Rousseau, Thoughts of utopia were a sort of space-utopia, which would be realized in the some islands, after Platon. But after 18th century and French Revolution, These are transformed for time-utopia which would be searched in the future. That is, from utopianism of space-form to that of time-proces. At the same time, perspectives of distopia are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Common problematics of distopia perspectives are that modern industrialism is against human nature, in particular, human passion. Modern industrialism is product of modern reason and that is resulted in oppression of human passion. That society is not our ideal society. Recently, critics of modernity and new problematics of post-modernism demand to think fundamentally for human passion. They require new comprehension of human nature itself. And thoughts of new community can be related to those of utopia. This article explores perspectives of utopia and those of distopia. That examines change of perspectives of industrialism and modernity itself. In examining those changes, we researche new possibilities of perspective which can overcome modernity. This is in the expect of new utopia.

      • KCI우수등재

        유토피아에 대한 역사철학적 성찰과 유형화

        이한구(Han Goo Lee)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0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다룬다. 첫째로, 유토피아 utopia를 유사한 다른 개념들, 예컨대 낙원 paradise이나 천년왕국 millennium, 이데올로기 ideology 등과 정교하게 구분하면서 유토피아의 고유한 특성을 밝힌다. 둘째로, 최근 과학철학에서 논의되어 익숙하게 된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 이론을 응용하여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의 상호연관성을 설명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역사는 유토피아가 이데올로기로 구체화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셋째로, 독단적 dogmatic과 비판적 critical, 관념적 imaginary과 현실적 real이라는 두 축을 좌표로 사용하여 유토피아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비판적-관념적 유토피아, 비판적-현실적 유토피아, 독단적-관념적 유토피아, 독단적-현실적 유토피아가 그것이다. 넷째로, 유토피아의 여러 유형 중에서 독단적 유토피아, 즉 닫힌 유토피아만이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열린 유토피아의 종말은 역사의 종말임을 논의한다.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following subjects. First, the proper characteristics of utopia is elucidated by comparing to similar constructs such as paradise, millennium and ideology. Second,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utopia and ideology is explained based on Thomas Kuhn"s paradigm theory which became popular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sc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human history is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of utopia into ideology. Third, two coordinates axes (critical-dogmatic, imaginary-real) are used to classify four types of utopia: critical-imaginary utopia, critical-real utopia, dogmatic-imaginary utopia, and dogmatic-real utopia. Fourth, it is demonstrated that the dogmatic types of utopia, closed utopia, should be criticized, and is discussed how the end of open utopia amounts to the end of history.

      • KCI등재

        유토피아적 상상력과 젠더 : 모어의 『유토피아』와 카벤디쉬의 『빛나는 세계』를 중심으로

        오봉희(Bonghee Oh) 한국비평이론학회 2020 비평과이론 Vol.25 No.3

        유토피아적 상상력은 기지의 지평 너머에 있는 대안적인 이상적 공동체를 모색하는 사유 실험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실 사회의 어떤 문제를 핵심 의제로 설정하는가에 따라서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모색하는 이상적 사회의 성격은 달라진다. 본 논문은 젠더에 초점을 두고 모어의 『유토피아』와 카벤디쉬의 『빛나는 세계』에서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어떻게 다르게 작동하는지를 고찰한다. 모어는 역사적 사실들을 작품에 끌어들여 유토피아 이야기가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전략을 취하는 반면에 카벤디쉬는 빛나는 세계가 전적으로 자신이 상상한 세계임을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전략을 취한다. 『유토피아』의 히슬로데이는 미지의 유토피아적 장소를 탐험하고 그 탐험에서 얻은 지식을 가지고 돌아와 그곳에 관한 이야기를 전하는 전형적인 유토피아 여행객으로, 유토피아 여행은 그의 능동적인 남성 주체성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빛나는 세계』의 여제는 남성 욕망의 대상이 되어 납치당하지만, 빛나는 세계에서 권력과 지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주체가 됨으로써 그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정체성을 획득한다. 이런 변화는 끝까지 이방인으로 남는 히슬로데이와 달리 여제가 빛나는 세계의 일원이 되어 그곳을 가장 행복하게 통치하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함의하는 바가 크다. 두 작품 모두에 작가가 직접 등장한다. 그런데 등장인물 모어가 히슬로데이의 유토피아 이야기를 들은 그대로 옮기는 기록자의 역할만 하는 데 반해 등장인물 카벤디쉬는 여제처럼 자신의 권력욕과 지식욕을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당시 권력과 지식을 남성이 독점하고 있었음을 고려하면, 여제와 공작부인의 권력욕과 지식욕은 당대의 젠더 관계를 교란하는 전복력을 갖는다. 모어는 유토피아 문학을 추동하는 상상력의 전형적 틀을 만들었지만, 젠더의 관점에서 보면 카벤디쉬의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갖는 파급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Utopian imagination offers opportunities for thought experiments in which we envision ideal societies alternative to the one we live in. But the type of an imagined ideal society should vary according to what we put on the agenda. With the focus on gender, this essay explores how utopian imagination works differently in More’s Utopia and in Cavendish’s The Blazing World. Utilizing historical facts into his text, More argues that he only aims truth in his text. Cavendish does not care about the probability of her text and instead claims the Blazing World as her own creation. In Utopia, Hythloday is characterized as a typical utopian traveler: he travels to an unknown place, comes back to his original world, and tells the story of an utopian commonwealth. But his journey exerts little influence on his subject position. In The Blazing World, the Empress is presented as an object of male desire at first. She, however, acquires quite a different identity by pursuing her own desire for power and knowledge. Moreover, while Hythloday remains as a stranger throughout his stay in Utopia, the Empress does not only get incorporated into the Blazing World but also reigns it as an absolute monarch. Both More and Cavendish appear as characters in their own texts. While More only serves as a character who repeats what he has heard from Hythloday, Cavendish pursues her own desire for power and knowledge. Considering the monopolization of power and knowledge by men at that time, the two female characters’s ambitions for power and knowledge in Cavendish’s text are quite subversive. More provides one of the archetypes of utopian literature. In terms of gender, however, Cavendish’s utopian imagination seems more innova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