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실습 연계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탐색

        양수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eacher educational methods for the formation of practical knowledge regarding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o do this, a reflective journal writing activity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three aspects of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which Elbaz (1983) mentioned. A total of 89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course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2 participated. During the course, they learned about science educational theories for the month of March, and performed a teaching practicum for the 4 weeks of April.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they also conducted reflective journal writing. A total of 86 journals were collected.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pre-service teachers. All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pre-service teachers formed practical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the kinds of child’s scientific questions,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science area, and teacher’s role in child’s scientific play situation.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을 위한 교사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Elbaz(1983)의 실천적 지식 구성 세 가지 측면을 토대로 구안하였다. 이후 예비교사 8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3월 한 달 간 과학교육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받고, 4월 한 달 간 교육실습 기간 동안 반성적 저널쓰기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총 86개의 반성적 저널과 5명과의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유아의 과학적 질문을 실제 상황에서 발견함으로써 유아의 과학적 본성을 인식하였고, 질문을 과학학습의 과정으로서 인식하였으며, 이후 미래 교사가 되어서 유아 질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질문을 미리 예상하여 적절한 지식을 준비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이해하였다. 또한 과학영역 환경구성 및 운영을 실제 상황에서 발견함으로써 주제 관련 역동성 있는 과학영역 활동 제공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유아 과학놀이를 이끄는 과학영역 설치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이후 미래 교사가 되어서 과학영역에 제시된 교재교구를 잘 점검하고, 주제에 따라 적절한 환경의 변화를 시도하고, 변화된 교재교구에 대해서도 잘 안내해주는 교사의 중요성을 이해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과학놀이 상황에서의 교사의 역할 수행을 실제에서 발견함으로써 함께 유아들과 과학적 탐구를 하는 교사 태도의 가치와 과학에 긍정적 태도를 지닌 교사의 가치에 대해 인식하였고, 미래 교사가 되어서 유아의 과학적 사고를 격려하며 과학적 대화를 하는 교사역할의 의미를 이해하였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기간동안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을 통해 과학교육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정서조절력과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방략이 유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은경,김혜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he early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heir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child-teacher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pairs of 3- to 5-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at the 20 kindergartens and 30 daycare centers in Gyeoung-Sang province. Th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emotional strategies,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 1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nd their teacher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r=.262, .186, .148, p<.01), between young children's unstable/ negative emotion and teachers' cognitive(r=-.170, p<.05) and behavioral strategies(r=-.162, p<.05)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Cor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nd ‘conflict relationship’(r=-.361, p<.01), ‘closeness relationship’ (r=.509, p<.01)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Correlations between teachers' all emotional strategies and conflict relationship (r=-.302, -.266, -.266, p<.01) and closeness relationship(r=.525, .385, .366, p<.01) were significant respective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heir teachers' emotional strategies on the closeness relationships between child-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on the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child-teacher.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young children's unstable/negative on the dependency relationships between child-teacher.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정서조절력과 유아교사의 정서조절방략이 유아-교사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의 유치원 20곳과 어린이집 30곳의 만 3∼5세 연령의 유아 및 교사 206 쌍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가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시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우선 유아-교사 관계 중 갈등관계는 유아의 정서조절력 중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력과 정적 상관을, 정서통제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교사의 정서조절방략의 모든 하위요인들인 인지적 방략, 행동적 방략, 체험적 방략과는 각각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교사 관계 중 친밀관계는 유아의 정서조절력 중 정서통제와 정적 상관을,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과는 부적 상관을, 그리고 교사의 정서조절방략의 모든 하위요인들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유아-교사 관계 중 의존적 관계는 유아의 정서조절력 중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친밀한 유아-교사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는 유아의 정서통제나 불안정/부정적 요인 그리고 교사의 인지적, 행동적 정서조절방략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갈등관계에는 유아의 정서조절력의 두가지 하위요인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존관계에는 유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조절력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탁정화(Jeong Hwa Tak),강현미(Hyun Mi K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유아평가에 대한 보육교사의 실천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유아평가에 대한 능력과 실행수준을 진단해보고,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의 5가지 능력요소에 따른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인식 및 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보육교사는 “유아평가방법의 선정”, “유아평가의 윤리성”의 순으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평가 실시”의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유아평가 전문성 실태를 살펴본 결과, “유아평가의 윤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평가도구의 개발”에 대한 실천 정도는 낮게 보고되었다. 또한 보육교사는 유아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업무 과다로 인하여 실행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끼며 유아평가를 실시 할 때 일화기록, 부모면담자료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평가 전문성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의 차이에서 유의미하게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유아평가방법의 선정”과 “유아평가도구의 개발”에서는 교사의 인식이 높으나 실태정도가 낮으며 “유아평가결과의 분석·해석·활용·의사소통”에서는 실천정도의 실태는 높으나 교사의 인식부분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understand teachers` assessment levels and to improve a teacher`s Competence in Early children Assessment.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re 170 day-care center teachers; we use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tools which consist of 30 items in 5 domains. The surveys included 75 items.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levels` perceptions are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and “ethicality in assessment”. The low level perception is a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Second, according to the teacher`s actual assessing practice condition, “ethicality in assessment” is higher than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Finally,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status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their actual practice when they make an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와 유아교사가 바라보는 유아교사의 역량

        김경철,강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역량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와 유아교사가 바라보는 시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을 전공한 유아교육기관 관리자 89명, 유아교사 243명, 총 3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Mann-Whitney의 U 검증을 실시하여 두 표본의 상대적 순위를 도출하여 표본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와 유아교사가 바라보는 유아교사의 역량은 평균 순위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는 유아교사 역량 중 대인관계에서 평균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교사는 기본소양에서 평균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와 유아교사가 바라보는 유아교사 세부역량은 유아이해, 교수실제, 교실운영, 대인관계, 기본소양 각각 모두에서 평균 순위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이해에서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는 세부역량중 유아평가에서, 유아교사는 유아발달에서 평균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두 집단 간 세부역량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교수실제에 대해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는 세부역량 중 교육과정이해에서, 유아교사는 교수평가에서 평균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실운영에서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는 세부역량 중 교실문화조성에서, 유아교사는 유아생활지도에서 평균 순위가 높았다. 대인관계에 대한 세부역량중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는 공동체 참여에서, 유아교사는 의사소통에서 평균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본소양에서 유아교육기관 관리자는 교직윤리에서, 유아교사는 교육연구 활동에서 평균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유아권리와 교사권리에 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메타포(metaphor) 분석

        서보순 ( Bosoon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유아권리와 교사권리에 관한 메타포를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 의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유아와 교사의 권리보장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소재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수집한 메타포, 즉 은 유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메타포를 범주화한 결과, 첫째, 유아권리에 대한 메타포는 ``옹호해야 할 약속``, ``불가결한 가치``, ``행복한 성장의 기반``, ``외부환경에 좌우되는 힘``, ``깨지기 쉬운 위태로움``의 5가지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교사권리에 대한 메타포는 ``깨지 기 쉬운 위태로움``, ``유아권리의 기반``, ``옹호해야 할 약속``, ``역량 발휘의 근간``, ``유아권리에 뒤 따르는 힘`` 5가지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셋째, 메타포가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이나 권리 관련 교과 수강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유아권리에 대한 메타포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학년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유아와 교사의 권리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되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하였고, 이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인식을 검출해내었으며, 예비유아교사들에 대한 권리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metaphors of pre-service teachers concerning you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rights and find ways to guarantee rights. Data was collected from pre-service teachers who are in six colleg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or Gyoungnam province. The metaphors were reviewed, and were sorted out by similar meanings based on the concepts. After reviewing participants’ responses repetitively, metaphors concerning young children’s rights were conceptually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Agreement should be advocated; (2) Indispensible value; (3) Foundation of happy growths; (4) Power that depends on the environment; (5) Fragile. And metaphors concerning teachers’ rights were conceptually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Fragile; (2) Foundation of young children’s rights; (3) Agreement should be advocated; (4) Root of teachers`` competences; (5) Following rights after young children’s rights. In addition, metaphors concerning young children’s rights differed from pre-service teachers’ college year. This study found a variety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young children’s rights and teachers’ righ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rights and teacher educ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특성 분석

        김정화 ( Kim Jung Wh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등장인물로 나오는 그림책 14권을 선정하여 등장인물로서 유아교사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를 보면, 그림책에 등장하는 유아교사는 모두 여성이었으며 미소 띤 얼굴로 유아들을 도와주는 젊은 여교사가 일반적인 모습이었다. 유아교사들은 대부분이 이름이 명시되지 않고 사회적인 호칭인 `선생님`으로 불리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인공보다 주변인물로 등장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입체적인 인물보다 평면적인 인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유아교사의 역할로는 양육자 및 지지자의 역할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교사는 사람들이 유아교사에 대해 지니고 있는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유아교사의 다양한 면모와 전문적인 역할, 긴밀하고 역동적인 교사-유아관계를 보여 주는 그림책들이 많이 창작된다면, 유아교사와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현실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 by analyzing 14 books that had characters portray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shows that all early childhood teacher characters were female, usually a young lady who took care of the children with a smile. They were usually called `teacher` rather than by their proper name. In most cases, the characters had a supporting roles among the various roles analyzed such as a supporter, an interactor, an instructor, a carer and a transactor. Additionally, their general features were similar to the stereotypic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picture books, depicting the professional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ntimate-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as follows: picture books should depict realistic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저소득층 장애위험 유아의 발달특성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연구

        이연우,최지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저소득층 장애위험 유아의 발달특성과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대구·부산 지역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만 3-5세 담당유아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장애위험 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와 없는 교사 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외계층 장애위험 유아의 발달 특성으로 이상하고 돌출된 행동을 보인다고 인식한 응답(41.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또래 유아들보다 중점을 두어야할 발달 영역에서는 사회-정서적 발달이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층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가 71.5%에 해당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주요내용으로 의사소통 훈련과 적응행동 향상 훈련의 필요성에 대해 각각 36.8%의 응답을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있어서 대그룹과 소그룹을 혼용하고 영상과 토론을 함께 사용하며 한 학기에 1-2번 실행하여 총 5-10시간 정도로 제공하는 것을 가장 적합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장애위험 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는 전체교사의 53.1%에 해당하였으며, 장애위험 유아 교육경험이 있는 교사와 없는 교사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교사의 교육경력 정도와 중점을 두어야할 발달 영역 인식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외계층 장애위험 유아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을 위한 논의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

        황종귀(Hwang, Jong-Gu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happiness, self-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and seeks a plan to increase happiness and self-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For that, the relations among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were analysed targeting 196 child care teachers who work in child care center.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uncan, Pearson’s spatial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Internal consistency(Cronbach’s α).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child care teacher’s happiness, self-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Second, child care teacher’s̀ happiness and self-efficacy are reliable predictors of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for dealing with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self-efficacy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아 교사-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보육교사의 행복감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196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내적합치도를 실시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자기효능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자기효능감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예측할 수 있는 신뢰할만한 요인이었으며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복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행복감, 자기효능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유아교사의 이미지 및 역할기대분석-신입예비유아교사를 중심으로

        김은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indergarten teachers’ images recognized by pre-kindergarten teachers and role expecta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process of teaching in pursuit of this purpose, 108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1st grade were selected to fill out on-line questionnaire and analyzed. The result ALSCA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nalyz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images recognized by pre-kindergarten teachers, and taxonomy analysis was used for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mages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categorized as ‘affirmative-devoted a fosterer,’ ‘negative-passive worker,’ and ‘talented-neutrality teacher.’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role expectation recognized by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found to be ‘teacher as counselor,’ ‘teacher as fosterer,’ ‘teacher as constructor of surroundings,’ ‘parents educator,’ and ‘teacher as friend.’ This study discusses the construction of job images and the effects of role expectation regarding role performance.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유아교직 수행에 있어 유아교사들의 역할기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1학년 108명을 대상으로 구조문을 작성하게 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개념도 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역할기대 분석을 위해 분류체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역에 대해서는 구조적인 질문 및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집한 정보들을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민간분류체계를 찾아 분석하였으며, 10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유아교사는 ‘양육자로서의 교사’, ‘노동자로서의 교사’, ‘에듀테이너로서의 교사’로 분류 되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교사 역할기대는 ‘상담자로서의 교사’, ‘양육자로서의 교사’, ‘교수자로서의 교사’, ‘환경구성자로서의 교사’, 부모교육자로서의 교사‘, 친구 같은 교사’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직업에 대한 이미지 형성과 역할수행에 관련하여 직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오희성,김승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s basic research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carried out preliminary survey for 10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Jeollanamdo, and then conducted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were 419 early childhood teache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ognitive, environmental, and intentional aspects of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type of their institution, marital status, and age of young children in charge. Sinc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twenties with career length of three years or less was relatively high,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differently organized according to teachers’ age, career, educat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s effective data in developing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amining the gender sensi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시행한 후,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t-검증, one-way ANOVA,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 등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은 인지적·환경적·의지적 측면에서 근무 기관 유형, 나이, 경력, 학력, 결혼 여부, 담당 유아 연령 등의 교사 배경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0대의 3년 미만 경력을 가지고 학력이 높은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은 나이와 경력, 학력 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교사 배경 변인에 따라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성인지 감수성 향상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