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유도학교 소공동캠퍼스의 무도사적 의미

        이형일,공윤식 대한무도학회 2019 대한무도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presents historical values ​​through the historical implication of Korea Judo College(Sogong Campus)’s foundation. In 1953, the Korea Judo College of Korea formed a foundation for progressing towards becoming a world-class university, seeking a path to Koreanization and globalization as a more solid martial art educational institution.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Judo school for domestic and foreign judo competitions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enactment of national prestige, so that he developed many induction talents to become martial arts’s master. The establishment of Daemyung Academy was planned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udo School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On April 27, 1956, the Judo School was officially promoted to a four-year program. As soon as the found to Daemyung Academy, the Korea Judo College was established as a corporation. Thus, in March 1958, the Korea Judo College in Korea was promoted as a four-year program and selected freshmen. In conclusion, the historical implication of the founding of the martial arts educational institute of Korea Judo College in Korea suggests that the foundation and foundation of the Korea Judo College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in the current martial arts education. This study might have the implication that it trace the social origins of current Korea Judo College. This study, however, can not directly show the causal relationships arising from these conditions while identifying the social conditions tha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 Judo College. 이 연구는 대한유도학교(소공캠퍼스)의 무도교육기관 창립의 역사적 함의를 통해 역사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1953년 대한유도학교는 세계적인 대학으로 한걸음 나아갈 수 있는 모든 기반을 형성하여 보다 확고한 무도교육 기관으로서 한국화와 세계화로 가는 길을 모색하였다. 국내외 유도대회에 대한유도학교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출전시켜서 국위선양에 크게 이바지하여 많은 유도 지도자를 육성해 무도의 요람이 되도록 발전시켰다. 대명학원의 설립은 학교의 설립이라는 차원에서 대한유도학교의 창립 시 계획된 사업이었다. 1956년 4월 27일 대한유도학교는 공식으로 4년제로 되었다. 설립자인 대한유도회로부터 재단법인 대명학원으로 이전되면서 비로소 대한유도학교는 법인체로서의 기반을 확립하였다. 그리하여 1958년 3월 대한유도학교는 4년제로서 승격되어 신입생을 선발하게 되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대한유도대학의 무도교육기관 창립의 역사적 함의를 통해 대한유도학교의 설립과정은 현시대 무도교육의 장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 연구는 대한유도학교의 사회적 기원을 추적해 보고자 했다는 함의는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 연구는 대한유도학교 설립을 추동한 사회적 조건들을 규명한 반면, 이 조건들로부터 발생한 인과관계들을 직접적으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유도순의 대중가요 가사 분석과 작품 규정 문제

        장유정(Zhang, EuJeong)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0 No.-

        본고는 유도순의 전기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고찰하고 그가 작사한 대중가요 가사의 전반적인 양상과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유도순의 전기(傳記)와 관련해서 쟁점이 되고 있는 그의 사망 연도와 그가 사용한 예명을 살펴보았다. 이로써 기존에 유도순이 1938년에 사망했다는 설이 맞지 않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여러 자료들을 종합할 때 유도순이 1945년에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유도순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홍초, 서두성, 범오 중에서 ‘홍초’만이 유도순이 사용한 예명이 맞는다고 할 수 있다. 서두성은 유도순과 다른 인물임을 밝혔고, 다른 증거 자료가 나올 때까지 ‘범오’를 유도순의 예명으로 보는 것도 유보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유도순이 작사한 대중가요 가사를 정리하고 분석해서 ‘신민요’와 ‘유행가’에 따라 그 가사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가 작사한 대중가요로는 총 104편의 목록을 찾을 수 있었고, 이 중에서 90편의 가사를 찾았다. 그리고 그가 작사한 대중가요를 신민요와 유행가로 나누어서 각각의 구체적인 모습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신민요에서는 주로 전통의 계승에 초점을 맞추어서 유도순이 기존의 전통가요를 신민요에서 어떤 식으로 계승했는지를 고찰하였다. 유도순의 신민요 가사는 그 주제에 따라 이성간의 사랑을 다룬 노래, 국토를 예찬한 노래, 역사적 회고주의를 담은 노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노래들은 의성어와 의태어의 사용, 특정 지명의 차용, 후렴구의 계승과 변용을 통해 전통가요의 형식을 계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한문투의 표현’을 사용한 것은 어떤 면에서 전통의 부정적인 계승이라 볼 수 있으나 이것이 여타 신민요와 유도순의 신민요가 다른 지점이기도 하다. 한편 유도순이 작사한 유행가에서는 크게 두 가지 인물 군이 나타났다. ‘부재하는 임을 그리워하고 기다리는 여인’과 ‘정처 없이 떠도는 외로운 나그네’가 그것이다. ‘부재하는 임을 그리워하고 기다리는 여인’이 전통을 계승한 것이라면, ‘정처 없이 떠도는 외로운 나그네’는 전통을 변모시킨 예로 볼 수 있다. 식민지 상황에서 나라 잃은 민중은 누구나 나그네일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당시 대중가요 가사에 ‘방랑의식’이 드러났던 것이다. 그러면서도 유도순의 작품이 더 비극적인 것은 나그네의 슬픔이 종종 ‘죽음’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investigated a few issues related Yu, Dosoon’s biography and the features of his works. First, this paper is examined the year of his death and his stage names. Judging from the data, He may have died in 1945. In addition, ‘Beumo’, and ‘Seo, Dusung’ will not be his stage names. Next, the lists of his works are compiled and lyrics are classed as Yuhang-ga and Sinminyo(New folk songs). He wrote about 104 lists of lyrics, 90 lyrics were found all his works. His Sinmiyo dealt with three themes, love, the cult of our territory, and the retrospective of history. These songs use mimetic words, specific place names, and traditional chorus. On the other hand, his Yuhang-ga’s themes are divided into two the woman who wait the lover and the man who wander. The former succeed to the tradition, The latter change the tradition. Especially, his works are more tragic because the sorrow of wanderers is connected to death in his lyrics.

      • KCI등재후보

        철원군유도 발전과정 : 개인생애사를 중심으로

        박기동,윤대중,정현국 한국구술사학회 2015 구술사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지방 소도시 유도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유도인으로 살아온 한 개인의 삶을 살펴보고 철원군유도 발전과정에 대하여 참여자의 경험과 기억을 구술사 연구방법을 통하여 기록화 되지 않은 부분을 문헌으로 정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몇 차례 만남을 갖고 반구조화 된 면담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전사하여 분류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참여자의 삶에서 접한 여러 운동 가운데 유도가 본인의 적성에 가장 잘 맞는다고 판단했다. 고등학교 진학 또한 우연하게 육성종목이 유도인 학교로 진학을 했고, 대한유도학교에 진학했으며, 그곳에서 자신의 유도실력에 대한 실망으로 지원입대를 했다. 전역 이후 고향에 돌아와 어머니와 갈빗집을 운영했으며, 도민체육대회에 참가할 선수를 지도해 달라는 군수의 제안에 선수들을 지도했다. 과거 유도의 불모지였던 그러한 곳에서 2014년현재 10여 명의 국가대표와 상비군을 배출한 배경에는 참여자 활동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2015년 전국대회를 개최하는 지역으로 발전했다. 본 연구에서 유도인의 구술을 통해 지방유도사를 들여다보는 기회는 매우 의미 있는 것이며, 강원도유도회 활동과 함께 철원유도의 활동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Using the oral history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one person through his achievements in judo (yudo in Korean) and organizes the previously unrecorded parts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memories which led to the development of Cheorwon, a rural city, as a judo center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researchers conducted several semi-constructed interview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draw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Although the participant was active in many types of exercise in his life, he felt judo was right for him. He unknowingly entered a high school specializing in judo which led him to Daehan Judo College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disappointed by his judo skills at college, he volunteered for military service and after being discharged he returned to his hometown and began to run a restaurant with his mother. It was at this point in his life that a governor of his town asked him to teach judo to the players that would be participating in the provincial sports festival. He began instructing the players and because of the participant’s significant involvement in various activities since then, there were over 10 national representatives and regular players in 2014 alone from Cheorwon, a city where judo was not popular before the participant’s involvement in Cheorwon’s judo scene. Earlier this year, the 2015 National Games were held in Cheorwon making this study a very significant look into the local judo history through an individual’s oral history. A follow-up study should be done on the judo activities of Cheorwon with the Gangwon Judo Association.

      • KCI등재

        유도틀 설치에 따른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김형산(Hyung San Kim)(金炯山),맹승진(Seung Jin Maeng)(孟昇辰),이승욱(Seung Wook Lee)(李昇昱),심지훈(Ji Hoon Shim)(沈智熏),정지혜(Ji Hye Jeong)(鄭至惠)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2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환경 기능을 개선하고자 하천에 설치되는 유도틀의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유도틀의 기능은 첫째, 하천의 선형을 유도하고, 둘째, 유속의 감소로 인하여 제방이나 산사면이 깎이는 것을 막아주며, 셋째, 유도틀 사이에 둠벙이 형성되어 많은 생물들의 보금자리가 된다. 이러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유속변화로 인한 유도틀의 안정성 분석이 필요하다.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분석은 시간과 비용, 여러 가지 조건일 경우의 결과 값을 알아내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현재는 주로 1차원 수치모의 또는 2차원 수치모의를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치모의를 적용하기 위해 강우-유출모형인 SSARR와 HEC-HMS를 통한 모의유출량을 산정하고, 1차원 수치해석모형인 HEC-RAS를 이용한 수위를 산정하였다. 최대 홍수량 775.1㎥/s를 조건으로 유도틀을 설치하기 전과 후, 그리고 평수량 6.18㎥/s를 조건으로 유도틀을 설치하기 전과 후에 대한 2차원 흐름형상을 모의하기 위해 RMA-2모형으로 수리분석을 실시하였다. 유도틀 주변의 유속분포를 분석한 결과, 최대 홍수량일 경우에 유도틀을 설치하기 전과 후의 최고 유속은 4.11m/s와 3.65m/s로 모의 되었으며, 평수량일 경우에 유도틀을 설치하기 전과 후의 최고 유속은 0.24m/s와 0m/s로 모의 되었다. 현재 분석구간내 시공되어 있는 유도틀의 허용한계 유속이 4.0m/s인 것을 고려하면, 유도틀이 설치된 후에 최대 유속 3.65m/s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유도틀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수리ㆍ수문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유도틀의 안정성을 검토하는 것은 향후 유도틀 설치와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the Stream Control Frame constructed in a river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watercourse was analyzed. The main functions of the Stream Control Frame are to induce a linear stream and to reduce the flow rate, thereby preventing the erosion of the river bank and hillside slopes and helping form small irrigation ponds that will serve as home to many aquatic organisms. To maintain these functions, the stability of the Stream Control Fram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flow rate of the river needs to be analyzed. As in the analysis through hydraulic-model experiments there is a limitation in determining the results of cases with various time and cost conditions, one- or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is currently being applied. In this study, to apply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the simulation discharge was calculated using the rainfall-runoff models SSARR and HEC-HMS, and the elevation was estimated using HEC-RAS, a on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model. Hydraulic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RMA-2 model, to simulate the two-dimensional flow shap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tream Control Frame under the conditions of maximum flood(775.1㎥/s) and normal stream flow(6.18 ㎥/s). From the analysis of the flow rate distribution around the Stream Control Frame, the simulated maximum flow rat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tream Control Frame were found to be 4.11 and 3.65m/s in the case of the maximum flood, and 0.24 and 0m/s in the case of the normal stream flow. Considering that the acceptable-limit flow rate of the Stream Control Frame constructed within the analysis section is 4.0m/s, the Stream Control Frame is judged to be quite stable because the maximum flow rat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tream Control Frame turned out to be 3.65m/s. The analysis data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btained via hydraulic/hydrological analysis of Stream Control Frame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making basic material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tream Control Frame that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유도형 활공 탄약 비행제어시스템 개발 PartⅡ: 유도 및 제어

        임승한(Seunghan Lim),박장호(Changho Pak),조창연(Changyeon Cho),방효충(Hyochoong Ba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2 No.3

        본 논문에서는 유도형 활공 탄약의 유도 법칙 및 제어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기존의 유도형 탄약은 활공 없이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유도 단계만 있지만, 유도형 활공 탄약은 사거리 증가를 위한 날개를 장착하고 활공하기 때문에 활공 유도 단계가 추가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벡터필드를 이용하여 탄약의 진입각을 만족시키기 위한 경로점까지 유도하였고, 종말 유도에서는 목표물 타격을 위해 비례항법유도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각 활공 영역별로 운동 모델을 선형화하고 각각에 맞는 제어기를 설계한 후, 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제어기의 이득 값을 계산한 뒤 제어에 사용하였다. In this paper, the guidance laws and controllers for the gliding guided artillery munition is studied. The gliding guided artillery munition has wings for gliding to increase a range; therefore previous guidance laws and controllers for the guided munition could not be applied. Concepts of vector field guidance and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are applied for mid-term and terminal guidance, respectively. The gliding guided artillery munition is operated within wide altitude and speed areas; therefore, the controllers are designed for each area, and gain-scheduling and the linear interpolation technique is applied to compute the appropriate gains.

      • KCI등재

        19세기 미국선교사 윌리엄 마틴의 기독교우언소설(基督敎寓言小說) 유도전(喩道傳) 연구

        吳淳邦 중국학연구회 2009 중국학연구 Vol.- No.50

        『喩道傳』是目前發現的第一部文言寓言體基督敎創作小說,晩淸美國著名傳敎 士丁韪良著,咸豊8年(1858)寧波出刊。此書流傳到日本,日本學者渡部溫訓点,明治 10年(1878年)在日本東京,以。力善喩道傳』爲題刊發和式線裝本。全書收錄16篇短 篇小說,1行20字,半面10行,共有41面。全書的中文左右附加字體稍小的日文訓点, 是便于日本讀者閱讀的漢日文幷記本。『勸善喩道傳』現存于日本國會圖書館與哈佛 大學燕京圖書館(Harvard-Yenching Library)。這部作品具有獨特的文學价値,在中 國小說史上也該占有特殊的地位。因爲『勸善喩道傳』是文言創作小說,作品背景或 爲中國或爲歐美,出場人物也是華洋不一。但是文字精簡、文筆流暢,形式上繼承了 文言短篇小說的傳統,故事結尾附有“企眞子”的作品評語,評者給讀者解釋作品的寫 作宗旨,便于了解作品的原意。。力善喩道傳』可算是19世紀第一部流傳到外國刊刻 的中文基督敎小說。 丁韪良(1827-1916)是美國長老會傳敎士,出生於美國印第安納仲|, 1843年考入 印第安納大學,1850年來華前往寧波傳敎。丁韪良在寧波期間,曾參與將『聖經』譯 成寧波方言的部分工作,也曾試用羅馬拼音文字編印了一些典籍分發給民衆。1854 年,出版用中文編寫的基督敎敎理書『天道溯原』,此書曾再版多次,流傳廣泛,還被 譯成日文。從1862年起去上海傳敎時,他將國際法權威學者惠頓所著的『万國公法』譯成中文,此書出版後第二年,傳入日本。接着,丁韪良在同文館工作期間,與他 人合作陸續譯著了『星轺指掌』、『公法便覽』等多種國際法專著。他曾長期擔任北京 同文館總敎習,後又任京師大學堂總敎習等職,1916年在北京寓所去世。 『勸善喩道傳』的訓点者兼刊行人渡部溫(1837-1898年)是日本語言學者兼敎育 家,歷任蕃書調所英學句讀敎授、開成所敎授、東京外國語學校校長,又刊行了報刊 『中外新聞外篇』。譯訓編著有明治時代刊行的『通俗伊蘇普物語』、『康熙字典』、『增訂通俗伊蘇普物語』、『康熙字典考異正誤』等多種書。他是『伊索寓言』的 日譯者,又將。力善喩道傳』添加訓点出版刊行。日本近代著名啓蒙思想家兼基督徒 敎育專家中村正直在其。力善喩道傳序」里闡明了渡部溫讀過此書後笃信基督敎,他因爲東京外國語學校的學生而刊行此書,明確說明刊行目的。此書16篇短篇文言作 品主要表達基督敎的核소理, 但在作品敍述中不表露基督敎的敎理思想, 只有讀完 “企眞子”的評語才能知道作者的寫作宗旨。此作品集完全是丁韪良爲了基督敎的傳 敎而寫作的寓言小說,刊行者渡部溫也是爲了基督敎在日本的傳敎而在東京重刊,也就是說,創作、刊行的目的都是爲了宣講基督敎敎義。 可是,此書一直沒有受到人們的關注硏究,連作品的存在也很少人知道。但是此書在晩淸時期開創了基督敎文言創作小說的先河,因爲其前沒有用文言體寫作的基 督敎小說。早于『喩道傳』出現的『論善惡人死』道光9年(1829)出刊,算是晩淸第一 本文言基督敎飜譯小說,載有2篇文言短篇作品。此作品集幷沒有注明作者、譯者、 刊行時間等出版刊記,僅能知道該書是譯書而已。可是『喩道傳』、『喩道要旨』和 『安人車』都是文言短篇小說,篇數16至70多篇不等,屬于短篇小說集,文章典雅,寫作宗旨明確,作品中注明書志事項。因此,『喩道傳』算是晩淸文言基督敎創作小說的開山之作。1858年在寧波初刊的『喩道傳』流傳到日本,渡部溫在東京以『勸善喩道傳』爲名,添加日文訓点刊刻,1911年趙受恒將文言本『喩道傳』譯成官話,更名爲 『兪道新編』。由此可見丁韪良的基督敎文言小說長期流行傳播, 用不同語言出版刊 行,維持發揮其文學生命力及影響力。 『兪道傳』16篇作品主要表達基督敎的核소理, 但在作品敍述中, 作者幷沒有直 訴或論說基腎敎的敎理主旨,而是運用婉轉的詈喩或高妙的文學技巧表達作品的思 想主題因此讀完作品內外的序跋評語才知道作者的寫作宗旨。本文還分析探論丁 韪良的另一文言敎理書『天道溯原』與 『兪道傳』的關系, 尋找出 『兪道傳』的宗敎特 点與作者的神學看法。此書的16篇作品有其獨特的結構和排列,本文試圖分析作者 如何運用自己獨特的敍述策略,將基督敎敎義中的天理與人情如何在作品中有机地 結合爲一體。

      • KCI등재

        유도순의 시집 『혈흔(血痕)의 묵화(黙華)』에 관한 연구

        장유정(Zhang, Eu-Jeong)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본고는 이제까지 공개되지 않았던 유도순의 시집 『혈흔의 묵화』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아직 소개되지 않았던 유도순의 초기 시 네 편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도순의 신상과 관련된 쟁점을 정리하였다. 즉 기존의 유도순의 사망 연도로 지적된 1938년이나 1939년 내지 1940년 사망 추정설이 맞지 않다는 것을 밝혔다. 더 많은 방증자료가 필요하나, 본고에서 언급한 ‘1945년 사망설’이 앞서 제시된 유도순의 사망 연도보다 신빙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어서 유도순이 1920년에서 1921년에 걸쳐 『매일신보』에 수록한 네 편의 시를 소개하였다. ‘과잉된 감상주의’가 표출된 이러한 시들은 당시 시들의 경향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네 편의 시는 유도순의 초기 시 목록에 보충해야 할 것들이기도 하다. 이어서 이제까지 공개되지 않은 『혈흔의 묵화』에 수록된 시도 소개하였다. 1926년에 간행된 『혈흔의 묵화』는 유도순이 그때까지 창작한 시 중에서 23편을 선별한 시집이다. 비록 기존에 이미 알려진 시가 절반을 차지하였으나 시집에 수록된 시를 소개하여 유도순 초기 시의 경향을 보여주었다. 『혈흔의 묵화』에 수록된 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즉 ‘임의 부재에서 비롯한 애상’과 ‘기독교적 세계관의 표출’이 그것이다. 유도순의 시 창작이 기독교적인 배경에서 시작된 것은 이미 알려져 있었다. 본고에서는 그의 시를 통해 그가 기독교적인 배경에서 어떤 이유로 시 창작을 하게 되었는지까지 밝혔다. 즉 비애와 슬픔 속에서 기독교에 의지했던 유도순은 그 기도에 대한 응답으로 시를 창작했던 것이다. 시집의 <서시>를 비롯하여 <나의 시>에 이르기까지의 시에서 그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임의 부재에서 비롯한 애상’을 드러낸 시의 경우, ‘부재한 임’, ‘시적 화자의 과거 지향성’, 그리고 ‘시적 화자의 수동성’이 민요를 위시한 기존 시가의 전통을 계승한 것임을 지적하였다. 『혈흔의 묵화』는 유도순 자신이 창작한 초기 시를 결산하는 의미를 지니는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유도순에게 있어서 어쩌면 이루어지지 못한 첫사랑을 떠나보내는 일종의 의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아플 만큼 아파야 새로운 사랑을 시작할 수 있듯이, 『혈흔의 묵화』도 유도순 청춘의 한때를 결산하는 의미를 지니는 시집이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시 한편마다의 치밀한 분석을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아직 알려지지 않았던 유도순의 초기 시 네 편을 소개하고 『혈흔의 묵화』의 전모를 밝힌 것은 본고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Yu, Dosoon’s collection of poems, The bloodstain of silent flowers which is unpublished till now. As well as four closed poem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First, this paper is examined the year of his death. Judging from the data, he may have died in 1945. His early poetry reveals excessive sentimentalism, it will follow the overall trend of the time. On the other hand, his collection of poems are contained 23 poems. Although more than half poems are known already, these poems are important because his poems are shown the his early poems trend. His poems are divided into two. One is the sorrow of lover’s absence and the other is the expression of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His collection of poems has meaning the organizing of his early poems.

      • KCI등재

        한국유도 발달양상의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 함의 -대한유도학교 창립 배경을 중심으로-

        송일훈 ( Il Hun Song ),김필승 ( Phil Seung Kim ),최종균 ( Jong Kyun Choi ) 대한무도학회 2014 대한무도학회지 Vol.16 No.3

        이 연구는 용인대학교 60년 사관과 한국유도 창립배경의 역사적 함의를 통해 한국유도의 정체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창기 대한유도학교는 유도교육기관으로서 그 존재의 가치가 있다. 즉 민족적 상무정신을 함양하는 데 그 숨은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대한유도학교의 설립은 어느 한 개인에 의해 시도된 것이 아니라 ``대한유도회``라는 단체에 의해 시도되었다. 그만큼 대한유도회와 대한유도학교〔현 용인대학교〕는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학교 발전은 1956년 4월에 2년제 초급대학 과정에서 4년제 각종학교로 승격되면서부터 더욱 발전하였다. ‘지·덕·체’ 합일의 교육을 지상과제로 삼은 이제황, 석진경 등의 꿈은 유도 실기교육이었고, 전인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일반대학 수준의 체육대학 설립에 있었다. 많은 유도인들은 유도란 다른 운동과 달리 정신수양의 측면이 강한 무도스포츠이므로 무엇보다도 참된 인간이 되는 정신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대한유도학교는 실기교육기관과 같은 강습회를 주관의 수준이 아닌 ‘지·덕·체’ 합일의 전문 고등교육 기관이었던 것이다. 특히 이제황, 석진경 등은 당시 이범석 장관을 찾아가 대한유도학교 문제에 대해 의논을 하였다. 이는 유도인이 지닌 참뜻을 문교 당국자에게 설득시켜 달라는 것과 재정적 곤란에 대한 문제 해결이었다. 이범석은 이에 대해 국방부 정보국 책임자인 김근찬 국장에게 특별 지시하여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주었다. 교육기관으로서 <대한유도학교>가 1953년 6월 15일 창립되었는데 명실공히 대학으로 그 존재 가치를 높이게 되었으며 대한유도학교는 유도인에 의한 유도인을 위한 유도인의 학교로 탄생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문교부로부터 정식으로 인가받기까지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학교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재정의 확보는 당시의 상황에서는 큰 난제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있었다. 이러한 난제의 극복은 오직 학교를 설립해야겠다는 숭고한 이상 및 신념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와 같이 <대한유도학교>의 설립은 한국유도발전에 있어서 획기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설립이념에 따른 역사적 함의를 통해 무도교육 실제의 극치와 신체사상사의 이치를 궁구하는 무도전문교육기관이 설립되었음을 의미하였다. This study is to propose that identity through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Yongin University Korea 60 years view of history and Korean judo founding background. A summary of the detailed information on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For early Korean judo school is worth its existence as a judo training institutions. In other words, to cultivate the national spirit of Commerce had its hidden purpose. Founder of this Korean judo school [currently, Yongin University] was not a person but organization called ``Korea judo federation``. That much about Korea judo federation and Korean judo school are very closely related. This effort was further developed in various schools as promoted to a four-year, two-year entry-level college courses in April 1956. Merge into one ``intellectual·moral·physical education`` in the ground challenge now is Lee Je-hwang and Seok Jin-gyeong``s dream was practical training in judo. Not only were rounded education to the general college-level Physical Education established that can be done. Above all, many a leading member, had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spirit of true education is a human being, so this aspect of induction is a strong mental discipline, unlike other martial arts sports movement at every opportunity. Therefore, the school is not the level of induction of the education agency that organized the workshop groups. It was merged into one ``intellectual·moral·physical education`` specialized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Especially, Lee Je-hwang, Seok Jin-gyeong et al. discuss the problem of judo to visit the school at the time Minister Lee Beom-seok. This is like asking a person to convince with the true meaning of induction was trying to solve the problem of financial distress. Lee Beom-seok gave special instructions to help you find a solution to the Director of Defense Intelligence Agency Director Kim Geun-chan about it. <Korean judo school> is an institution founded in June 15, 1953 have improved the value of its existence as a bright room both universities, schools for induction would have been born as a school for the induction of the derivation by induction. But there was a difficulty in applying to receive an official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well as anything that was not enough and the money that can solve the financial problems for it was not anything that was this building. This is only possible because this was the sublime ideals and beliefs for the school established. Thus the sense of the great cultural heritage of the body Yongin University with 60 years of history through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Korea judo and Educational Philosophy and Somatic with a variety of martial arts, Sports and actual bodily perfection and Thought will be able to pass on to our descendants.

      • 해성-I 유도탄 덮개조립체 개선을 통한 품질 신뢰성 향상

        최낙선,서보길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는 함대함유도무기인 해성-I 유도탄 구성품인 덮개조립체를 개선하여 유도무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내용을 포함한다. 해성-I 유도탄은 함정레이더를 통해 획득한 위치, 지형, 표적정보에 따라 교전계획을 수립하고, 수립된 교전계획에 따라 함정에 설치된 발사통제장비의 유도탄 발사명령에 따라 발사되는 국내 순항유도무기이다. 발사된 유도탄은 해면밀착 비행을 수행하게 되며, 목표함정 근처에 도달 시 탐색기를 동작하여 표적을 탐색, 포착, 추적 후 최종 공격한다. 해군은 해성-I 유도탄 양산 기간 중 해군 주관 유도탄 연례사격훈련을 실시하였고 사격훈련결과를 통하여 유도탄 성능과 신뢰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왔다. 하지만 ‘16년 해성-I 유도탄 실사격 훈련의 경우, 종전 실사격 결과와는 달리 유도탄 발사 후 초기비행 단계에서 유도탄 이상현상 (텀블링)이 관측되었고, 이후 유도탄이 해면에 추락 및 폭발현상이 관측되었다. 이에 따라 해군에서는 유도탄 불명중 현상에 대한 원인분석을 관련기관에 요청하였다. ‘16년 해성-I 유도탄 실사격 영상 분석 결과, 유도탄이 발사관을 이탈할 시, 전방 덮개조립체 ‘링,지지용’ 이격현상으로 인해 유도탄 구동날개와 ‘링,지지용’과의 충돌이 확인되었다. 이후, 유도탄 추진날개와 ‘링,지지용’과의 추가 충돌 및 걸림에 따른 ‘링,지지용’ 이탈현상과 추진날개 전개 방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유도탄이 비행 중 추락 및 불명중 현상이 발생하게 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따라서 해성-I 유도탄 덮개조립체의 설계 변경을 통하여, 유도탄 발사성능 개선과 유도탄 불명중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을 해소하여 불명중 시 발생하는 유도탄 불명중 사후비용 사전 해소를 통한 국방예산 절감을 목표로 개선활동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은 이런 일련의 개선활동 과정과 검증결과를 포함한다.

      • KCI등재후보

        피난구유도등 표시방법 개선 및 방향표시 의무화 방안

        김홍수(Kim Hong Su),김승호(Kim Sung Ho)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피난구유도등의 표시가 적합한 것인지, 또한 화재현장에서 일반인의 수준에서 피난을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 실질적으로 피난자에게 명확하게 피난방향을 제공하기 위한 피난구유도등의 표시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불 특정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인들은 피난구유도등의 방향성이 없음에도 인체도안의 모양을 보고 방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사람이 다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실제 화재 상황에서 피난을 할 때 막다른 방향으로 피난을 하게 될 위험성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실제 건축물에서 피난실험 결과 유도등의 크기가 작거나 유도등을 따라서 대피하는 동선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은 것 같다는 의견들을 살펴보면 유도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개선안의 내용으로서 건축물에서의 화재 등 재난발생 시 재실자의 대피를 돕기 위하여 피난구유도등에 피난을 위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그 방향으로 얼마만큼 이동을 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관계법령을 보완하는 한편, 유사시 일반국민들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등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권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피난자의 입장인 일반국민들의 눈높이에서 건축물에 설치된 피난구유도등의 표시방법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supplement limitations of emergency escape lightings proposing ways to provide people with clear directions to a evacuation safety zon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for this study, although the public lightings don’t have directions for evacuation zone, some people believed they do and others responded moving line between the lightings is not properly connected. This can lead a possible situation where many people misunderstand the sign on the emergency lighting and head to a wrong place such as a dead end. As a result improvement plan suggest a necessity of regulation for exact directions and distance to reach to a safety zone in the event of disaster including a fire in the building, recommending the government to promote and educate general public about how to read the lightings. This study tried to devise the indication on the emergency escape lighting based on general level because this matter have rarely studied so f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