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윌슨병 유전자의 일배체형 분석과 R778L 돌연변이에서 창시자효과에 대한 연구

        배선환 ( Sun Hwan Bae ),김종원 ( Jong Won Kim ),서정기 ( Jeong Kee Seo ) 대한간학회 2009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5 No.3

        배경/목적: 윌슨병은 ATP7B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하여 구리대사에 이상이 발생하는 상염색체열성 질환이다. 윌슨병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300여종이 넘고, 인종별, 지역별 차이가 뚜렷하여, 한국인 윌슨병 유전자 연구는 중요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한국인 윌슨병 환자에서 빈발하는 돌연변이를 확인하고, 처음으로 한국인 윌슨병 유전자의 일배체형(haplotype)을 분석하며, 나아가 한국인 윌슨병 유전자에 창시자효과(founder effect)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대상과 방법: 21명의 윌슨병 환아와 환아의 부모 42명, 총 63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시행한 후, 직접 염기서열분석방법(direct sequencing method)을 사용하여 돌연변이를 분석하였으며, 발광체가 붙여진 시발체를 사용하여 D13S315, D13S1325 및 D13S316 초위성체(microsatellies)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윌슨병 유전자에 존재하는 창시자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모의 정상 DNA 42개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연쇄비평형(linkage disequilibrium)을 확인하기 위한 통계적 분석은 Chi-square검사를 이용하였으며, 일배체형 사이의 빈도를 비교한 통계적 분석은 Fisher`s Exact검사를 이용하였고,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정의하였다. 결과: 21명의 윌슨병 환아에서 모두 23개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8번 exon에 존재하는 R778L 돌연변이가 15개(65.2%), 11번 exon에 존재하는 A874V 돌연변이가 6개(26.1%), 18번 exon에 존재하는 N1270S 돌연변이가 2개(8.7%)의 DNA에서 발견되었다. R778L 돌연변이군을 대상으로 초위성체를 분석하였을 때, D13S315좌의 5번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10/15 대 11/41, P=0.0157) 연쇄비평형을 나타내었으며, D13-S316좌의 4번 대립유전자 또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여(12/15 대 7/42, P=0.0001) 연쇄비평형을 나타내었다. 돌연변이 분석과 초위성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윌슨병 유전자의 일배체형을 구성한 결과, 가장 빈발하는 일배체형은 5-3-R778L-4(D13S315-D13S1325-돌연변이-D13S316)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빈도차를 보였다(P=0.0213). 통계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D13S1325를 배제하고 구성한 5-R778L-4(D13S315-Mutation-D13S316) 일배체형의 빈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더욱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8). 결론: D13S315-R778L-13S316(5-돌연변이-4) 일배체형이 한국인 윌슨병 유전자의 원시 일배체형(arche haplotype)으로 추정되며, 한국인 윌슨병은 R778L 돌연변이에 창시자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Wilson`s disease (WD) is an inherited disorder of copper metabolism caused by alteration of the P-type adenosine triphosphatase (ATP) 7B gen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requency of well-known mutations and constructed the first haplotypes for Koreans. In addition, we evaluated whether a founder effect existed in Korean patients with WD. Methods: We obtained DNA samples from 21 patients with WD and their parents (total cohort n=63). ATP7B gene mutations were identified by direct sequencing methods, and microsatellite typing was performed at D13S315, D13S1325, and D13S316 with fluorescent dye-labeled primers. Any founder effect was identified by using 42 normal alleles from parents with a normal phenotype as a control group. The x2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ree common mutations were found in 23 chromosomes obtained from 21 patients: the R778L mutation at exon 8 (15/23, 65.2%), the A874V mutation at exon 11 (6/23, 26.1%), and the N1270S mutation at exon 18 (2/23, 8.7%). D13S315 and D13S316 showed linkage disequilibrium at alleles 5 and 4,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 the R778L mutation (P=0.0157 and 0.0001, respectively). The haplotype made up of these two alleles occurred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the R778L mutation (5-R778L-4, D13S315-mutation-D13S316) than in the controls (P=0.0018). Conclusions: The arche haplotype of the ATP7B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WD may be 5-R778L-4 (D13S315-mutation-D13S316), and it might illustrate a founder effect. (Korean J Hepatol 2009,15:309-319)

      • KCI등재

        우드로우 윌슨의 self-determination과 nation 개념 재고 - National self-determination을 둘러싼 한미일의 해석 갈등과 보편사적 의미(1)

        윤영실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5 No.-

        이 논문은 윌슨 사상의 핵심 개념들인 ‘자결(self-determination)’과 ‘네이션(nation)’의 의미를 개념사적 관점에서 재검토함으로써, 1차 대전 후 national self-determination을 둘러싸고 한일 간에 벌어진 해석들의 갈등을 조명할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윌슨의 사상은 통상 ‘민족자결’로 번역되어 한국의 3·1 운동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졌지만, 1910년대 말의 시점에서 윌슨의 자결론 및 네이션 개념과 식민지 민족의 자결(분리독립)은 결코 자명하게 연결될 수 있는 개념쌍이 아니었다. 윌슨의 전후 유럽질서 구상은 외적주권을 승인받은 ‘nations의 평등’과 내적주권상 ‘people의 동의에 입각한 통치’라는 두 가지 원리를 핵심으로 삼았다. 윌슨 사상에서 ‘자결’은 people이 스스로의 내적주권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라는 뜻일 뿐, 식민지민족이나 소수민족들의 분리독립(secession)이라는 외적주권을 지시하는 개념이 아니었다. 이때 people은 미국혁명 전통에서의 정치적 ‘인민’을, nation은 이미 대외적으로 주권을 승인받은 국가의 ‘국민’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대내적 주권에서의 ‘자결’권, 즉 인민(people)의 동의에 기초한 통치라는 원리를 일반화할 때, 식민통치를 거부하며 분리독립을 요구하는 식민지 민족들(peoples)의 대외적 주권 요구마저 정당화하는 해석상의 난점이 생겨났다. 미국 국무부장관 랜싱은 인민의 자결권이 문명화되지 못한 민족들(peoples)과 인종들(races)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못박음으로써 이러한 해석상의 혼란을 봉쇄하고자 했다. 윌슨이 학자 시절에 남긴 강의록과 저술은 그 역시 자결, 곧 인민의 자기-통치(self-government)란 문명의 오랜 훈련을 통해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윌슨의 자기통치 개념은 블룬칠리와 헤겔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기적 국가론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으며, 이런 맥락에서 nation(Volk)은 시민사회 구성원들의 주관적 의지와 자유라는 이념 실현을 향한 이성적 의지가 통일된 상태로서의 고도로 문명화된 국민을 뜻했다. 결국 어떤 정치체가 문명적, 주권적 nation임을 결정하는 열강들의 대외적 ‘승인’이야말로 한 정치체에 속한 people의 ‘자결’의 권리를 결정하는 최종심급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윌슨 사상은 다양한 민족들의 주권 주장과 national claims 을 힘의 강약을 떠나 ‘인류의 법정’(국제연맹 규약 11조)에서 공평하게 논의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나름의 ‘보편주의적’ 이상을 품고 있었다. 또한 ‘영토의 보전’(국제연맹 규약 10조) 원칙이 기존에 승인된 주권국가들에 대한 ‘외적’ 침략을 막는 것일 뿐 한 국가 내 people의 혁명을 막는 것이 아님을 강조함으로써 ‘승인’과 ‘자결’의 결정 심급이 전도될 수 있는 여지를 열어놓았다. 윌슨 자신은 여전히 서구중심적 문명론과 발전론적 역사관이라는 한계 안에 머물러 있었지만, 윌슨의 말이 품고 있었던 해방의 잠재력은 2차 대전 후 피식민자들이 혁명적 봉기를 통해 자결의 권리를 선포하고 마침내 외적주권의 승인마저 쟁취했던 역사 속에서 일정 정도 실현되었다. 이러한 역사의 전개 과정은 보편적 이상이 지배자에 의한 계몽과 시혜로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억압받는 people의 저항과 법정초적 폭력 속에서 선포되고 갱신되는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This essay explores Woodrow Wilson’s thoughts by reexamining the key concepts of ‘self-determination’ and ‘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history. His plan for the post-war international order focused on ‘equality of nations’ an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consent of the governed.’ ‘self-determination’ meant people’s right for determining the sovereignty form on the level of the inner sovereignty, not any right for seccession of the colonial peoples or minorities on the level of the outer sovereignty. ‘People’ refers to the political people(人民) in the tradition of the American Revolution(“government of the people, by the people, for the people”) while ‘nation’ is confined to the state-nation(國民). However, there still remains the interpretative aporia that if people’s right for self-determination is applied in general, it might justify colonial peoples’ demand for the outer sovereignty by resisting against the colonial government. Wilson’s academic writings show us that he didn’t agree with any idea of colonial peoples’ right for self-determination because he, following Hegel and J.C. Bluntcshli, regarded self-determination or self-government as the property which can be obtained only through long training of civilization. In this respect, the ‘recognition’ of the outer sovereignty by the international order was presupposed as the ultimate instance which ‘determines’ the people’s right of ‘self-determination.’ Despite the limitations of Wilson’s West-centrism, however, his thoughts include a ‘universal ideal’ in that he suggested any national claims should be publicly discussed and fairly judged in ‘the court of humankind’ regardless of power difference of each participant. Moreover, he opened the way to the reverse of the instances of ‘determination’ by highlighting that the principle of ‘the integrity of territories’, just preventing a strong country’s invasion of a weak country, would never prevent the revolution of the people in any country. The possibility was realized when the colonized peoples declared their own right for self-determination in the revolutionary uprisings against the colonial governments and finally forced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recognize’ their self-determination right. The court of history, however teaches a lesson that any universal ideal was declared and renewed over and over again by the law-founding violence of the oppressed who resisted against the oppressive regime, not by any enlightenment and dispensation by the oppressor.

      • KCI등재

        헤이그 체제의 개혁논쟁과 윌슨의 평화연맹 원안(Original Plan), 1899-1916

        최정수 ( Choi Jeong-soo ) 한국미국사학회 2021 미국사연구 Vol.5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윌슨이 ‘평화전략이 없는’ 대통령으로부터 ‘평화전략을 지닌’ 대통령으로 변신하는 배경 및 과정을 보여주는데 있다. 이를 위해 루즈벨트와 태프트가 윌슨에게 제기한 정책 비판과 대안이 담긴 문서에 초점을 맞추어 윌슨의 평화관련연설 문서를 비교했다. 이를 위해 먼저 전반부인 제2장에서 미국의 헤이그정책의 계승문제를 둘러싼 3인의 논쟁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후반부인 제3장에서 윌슨의 평화연맹안 중에 최초의 프로그램이 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국제연맹은 헤이그 협약에 토대를 두고 있다. 둘째, 태프트가 1914-1916년에 제시한 평화전략이 윌슨의 평화전략의 모델이 되었다. 셋째, 윌슨이 1916년 5월 27일 평화연맹협회에서 연설한 평화안이 평화체제안의 원안이 되었었다. 특히 루즈벨트와 태프트의 비판과 질문을 통해서 파편화되어 있던 윌슨의 평화와 관련된 연설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고, 나아가 그의 민주주의의 정치 철학과 결합됨으로써 윌슨식 평화체제가 등장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Wilson’s making the U.S. policy about the world peace plan during the World War I. For this, my study is to focus on the debate about the Hague Peace System Reform among Theodore Roosevelt, William Howard Taft and Woodrow Wilson during 1913-1916. This study consist of two parts. Part One shows two points; the one is that the debate on world peace originate in the Hague Peace Conference in 1899. the other is that TR and Taft’s critic on Wilson’s peace policy gives to the backgrounds to building the Wilson’s peace strategy. Part Two search into the process of the making Wilson’s original plan about the world league for peace in 1916.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ly, the plan of the League of Nations is based on the Hague Convention in 1899 and 1907. Secondly, it is Taft’s peace strategy in 1914-1916 that the model of Wilson’s plan of the league for world peace. Taft’s peace plan play the part of the assembling point of the data about peace questions. Lastly, Wilson’s address in 27th, May, 1916 open his original propositions for the League to Enforce Peace.

      • KCI등재

        미국의 베트남 정책에 대한 영국 윌슨 수상의 대응 -전쟁회피를 위한 외로운 노력-

        장준갑 ( Chang Jun-kab ) 동국역사문화연구소(구 동국사학회) 2020 동국사학 Vol.69 No.-

        본 논문은 1964년 베트남 전쟁 초기 미국 린든 존슨(Lyndon B. Johnson) 대통령의 무력개입 정책에 대한 영국 윌슨(Harold Wilson) 수상의 정책과 대응을 논한다. 이 시기는 국제적으로 미 · 소간의 냉전이 치열했던 시기로서 영국으로서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영국의 국제적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때였다. 영국은 한 때 국제정치를 좌지우지 했던 강대국으로서 독자적인 외교정책을 유지하고 싶어 했다. 따라서 윌슨 내각은 유럽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추구했고, 서 독과의 긴밀한 유대를 갖기 위해 노력했다. 프랑스는 항상 껄끄러운 상대였지만 라틴아메리카와 동남아시아 정책에 있어서는 공동전선을 펴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대내외적인 환경 속에서 윌슨은 미국의 존슨(Lyndon B. Johnson)대통령의 베트남 분쟁 개입과 전쟁의 확대라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윌슨은 미국이 전략적으로 덜 중요한 동남아시아에 국력을 소모하는 것보다 유럽, 특히 영 국에 더 많은 경제적, 군사적 원조를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윌슨은 미국의 베트남 분쟁 개입과 확대를 극도로 경계하면서 어떻게 해서든지 외교적 협상으로 이 문제를 풀어나감으로써 미국의 집중력을 영국과 유럽에 고정시키려는 노력을 해야 하는 입장이었다. 본 논문은 윌슨이 미국의 존슨 대통령을 상대로 이러한 영국의 입장을 얼마나 치밀하게 외교적으로 풀어나갔는지 평가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결론적으로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무력개입에 대한 윌슨의 협상에 의한 해결 노력은 실패로 끝났다. 그렇지만 그의 정책과 노력은 자국의 이익을 위한 배려 이외에도 국제정치에서 전쟁을 회피하려는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는 의미에서 중요한 교훈이다. The paper examines how Harold Wilson had behaviored to get settlements on Vietnam conflicts by negotiation among U.S, North Vietnam, Soviet Union and China during the early period, 1964. When Johnson came into the office, the Vietnam situation waited for his decision on whether the United States would go deep inside the Vietnam including military intervention or just take modest steps of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to the South Vietnamese government. Johnson who trusted the advisors of Kennedy strongly accepted that the United States should support South Vietnam including military aid, if necessary, as well as economic and political support. He believed in “domino theory” as he considered Southeast Asia strategies to contain Communism. Most of his advisers also thought same as Johnson. Wilson who thought about the Cold War like Johnson, however, did not want the U.S. to get deeply involved in Indochina problem because he wanted the U.S. to concentrate on European matters. Wilson’s strategy was to lead Johnson sitting on the negotiation table with the counterparts: settlements by negotiations not by military actions. Wilson’s efforts wast not enough to satisfy both sides because of his political positions in which he took side for the U.S. and the West. Even though his efforts for getting settlements by negotiation was failed by military adventures of Johnson, his lonesome struggle for peaceful settlements on Vietnam should be remembered for future settlements on international conflicts.

      • KCI등재후보

        언어분석과 윌슨의 도덕성 요소에 관한 연구

        박형빈 ( Hyoung Bin Par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5

        인간은 언어라는 도구를 통해 사고하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고와 판단을 토대로 행동한다. 이러한 점에서 언어는 인간 삶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도덕이라는 삶의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은 언어라는 매개를 통해 도덕적 문제 사태를 인식하고, 도덕적 판단을 내리며 행동한다. 도덕규범 또한 학생들에게 언어로서 전달되고, 언어로서 그들의 두뇌 깊숙이 자리 잡게 된다. 도덕적 논의에서 언어의 문제에 대해 깊이 논의한 학자로 우리는 헤어와 윌슨을 들 수 있다. 언어분석철학자로서 오스틴은 수행문이란 개념을 통해 행동하는 언어에 대해 논한다. 헤어는 오스틴의 의미론을 수용하여 ``보편적 처방주의``로 대변되는 도덕언어가 지닌 특성을 제시한다. 헤어에 있어, 도덕언어는 자기 자신에 대한 명령이며 구속의 역할을 한다. 윌슨은 헤어의 ``보편적 처방주의``를 기반으로 도덕성 요소를 통한 도덕적 사고하기를 제안한다. 윌슨의 도덕성 요소 안에서 도덕판단은 자기 자신에 대한 하나의 명령으로 작용하는 실천적 기능을 갖는다. 동시에 도덕성 요소는 문제를 해결하는 일련의 절차와 방법으로서 하나의 ``방법론``이 된다. 결국, 오스틴의 수행론에서 나타난 수행발화의 의미, 헤어의 처방성,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모두 도덕판단 안에 이미 도덕적 행위를 위한 도덕적 동기가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에게 있어 도덕판단은 궁극적으로 발언자로 하여금 도덕적으로 실천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언어가 주된 매개체로 작용하는 도덕교육 현장에 대한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동시에 도덕판단이 도덕적 실천을 담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로써 윌슨의 도덕성 요소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다룬다는 점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의 정당성을 확보해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Humans think and make a decision through language. And their behaviors are based by this kind of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On this score, Language sets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area of the moral life. J. L. Austin discusses the active language through the concept of the performative sentence. R. M. Hare accepts Austin`s semantics, and presents the attribute of moral language called ``universal prescriptivism``. In his viewpoint, moral language plays a role as the command and restraint to him or herself. J. Wilson suggests ``moral thinking`` through ``moral components`` which have their roots in R. M. Hare`s ``universal prescriptivism``. In J. Wilson`s moral components, moral decision gets practical function to do its works a kind of order to him or herself. At the same time, it becomes methodology as a series of process and method to solve a problem. J. Wilson takes R. M. Hare`s ``universal prescriptivism`` affected by J. L. Austin`s philosophy of language; he develops this once more in terms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In the end, the meaning of performative utterances in J. L. Austin`s speech act theory, R. M. Hare`s prescriptivity, and J. Wilson`s moral components, all of them, show us that the moral motive for moral behavior is already inherent in moral judgment. According to their opinions, moral judgment ultimately helps utterer to practice morally. So J. Wilson`s moral elements indicate not only the meaning as methodology about the moral education field in which language primarily serves as a medium but the possibility that moral judgment can be a guarantee of moral practice. From this, there are significant points that moral components deal with the cognitive, definitive, behavioral side of morality in a unitive manner, and that make sure of the justice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에드워드 O. 윌슨의 생태적 사유와 바이오필리아

        윤진각(Yoon, Jin-kak)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오늘날 지구의 생태적 위기는 심각한 수준이다. 땅과 물이 오염되고 지구 온난화로 기온은 이미 그 상궤를 벗어나고 있는가 하면 급속한 서식 환경의 변화로 생물종의 멸종이 급증하고 있다. 그래서 에드워드 윌슨은 당면한 생태적 위기의 핵심을 생물 다양성의 문제로 보고 있다. 생물 다양성은 모든 생물이 필요로 하는 유기물질을 만들어냄으로써 인간생존의 절대조건이 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신체와 정서가 형성되는 토대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생물 다양성은 인간을 비롯해 모든 생물의 생존환경 전체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전일적(全一的)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윌슨은 이러한 위기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을 직시한다. 이른바 바이오필리아(생명사랑)이다. 우리의 본성에 내재한 이 바이오필리아를 중심으로 윌슨은 기존의 경제주의와 환경주의를 아우르는 새로운 보존윤리를 확립하고 그것이 적극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바이오필리아는 인간과 살아 있는 유기체 사이에 존재하는 본유적인 유대감이며, 기나긴 진화의 역사를 통해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바이오필리아를 바탕으로 구축되는 새로운 보존윤리는 인간의 다른 어떤 사회적 규범보다도 적극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으며, 아주 강력하면서도 자발적인 실천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논지에서 바이오필리아 개념과 바이오필리아 개념을 중심으로 구축된 윌슨의 보존윤리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당면한 생태적 위기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밝히고 있다. Mankind acquired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dhered to anthropocentrism. Mankind regarded only himself as a precious thing, so he wasted natural resources improperly and excessively. The result of misusing natural resources returned so serious an injury to nature that recovery would be impossible. Nature should be stable, because mankind has adapted to the stability of nature for several million years. These are ecological crises with which the Earth of today is confronted. Now we realize that nature can"t be governed thoroughly by science and technology, so we are making efforts to restore nature to its normal state. But we have no clear idea how to proceed. The conflict between economism and environmentalism is a concrete evidence of this vagueness. Wilson accepts the intrinsic attribute and limitation of mankind as it is. So he merged economism and environmentalism into a unified ethic system and named it the universal conservation ethics. But ethics lacks the practical power by itself. For the purpose of executing ethics spontaneously and aggressively, he invented a new notion of biophilia, and made it the foundation of the ethics. If the notion of biophilia (that is "the innately emotional affiliation of human beings to other living organisms") support the conservation ethics by the self-evident truth, such as innately emotional affiliation and evolutionary connection, it will bestow high-powered executive ability on the universal conservation ethics. The subjects of this essay are Wilson"s ecological thinking, biophilia and their potentialities for overcoming worldwide ecological crises.

      • KCI등재

        새로운 수도원 운동 : 조너선 윌슨하트그로브를 중심으로

        이강학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기독교영성의 현대적 특징 중 하나가 새로운 수도원주의(New Monasticism) 또는 새로운 수도원 운동(New Monastic Movements)이다. 이 논문은 조너선 윌슨하트그로 브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 교회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새로운 수도원 운동의 양상을 가톨릭, 성공회, 그리고 미국 복음주의 등 세 종류로 구분해서 그 특성을 살펴본다. 가톨릭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기독교를 넘어서 다른 종교의 영성에서 잇닿아 있다는 특성이 있고, 성공회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교회의 새로운 표현으로 선교적인 맥락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미국 복음주의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전통적인 수도 생활이 지니고 있는 영성적, 공동체적, 대안 문화적인 장점들을 현대 사회에 맞게 접목하려고 노력한다는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 윌슨하트그로브가 주창하는 새로운 수도원 운동을 살펴본다. 그의 회 심은 베네딕트 수도회의 영성에서 자양분을 얻으며 자랐고, 환대의 공동체인 루트바 에서 열매를 맺었다고 할 수 있다. 공동체에 정주하는 삶,『공동기도서』를 중심으로 한 기도의 예전과 일상생활에 구체적으로 접목해서 재해석한 교리가 영성 형성의 기 반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공동체의 활동은 환대의 철저한 실천, 인종차별 문제를 근본적으로 넘어서려는 정의의 실천, 그리고 하나님 나라의 경제 관념에 기반한 경제적 실천 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윌슨하트그로브의 새로운 수도원 운동을 한국 교회에 접목해본다. 한국 개신교회의 수도원 운동, 공동체 운동, 그리고 마을 목회 등의 선교적 교회 운동과 비교해본다. 필자가 보기에 새로운 수도원 운동은 한국 개신교회에 수도원에 대한 이해를 새롭 게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수도원은 율법적 규칙 준수와 제복에 대한 것이 아니라 철저한 제자도에 관한 것이다. 수도원은 삶을 함께하는 것에 대한 것이며, 환 대하는 공동체에 대한 것이다. 수도원은 세상의 가치관과 문화를 따르지 않는 하나님 나라의 대안적인 삶을 지향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New Monasticism or New Monastic Movements is one of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hristian spirituality. This paper aims to explore Jonathan Wilson-Hartgrove’s thoughts and experiences on the New Monasticism and to apply the insights to Korean churches. First, the writer summarizes the various aspects of New Monasticism in terms of Roman Catholics, Anglicans, and American Evangelicals. Dealing with New Monasticism, the Roman Catholics concern interfaith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the Anglicans emphasize new expressions of church in terms of mission, and the American Evangelicals attempt to apply the wisdom of old monasticism on communal life to contemporary society. Second, the writer probes the New Monasticism of Wilson-Hartgrove. His spirituality was mainly nurtured by the Benedictine monasticism and harvests through the Rutba House, community of hospitality. The ground of spiritual formation in his community consists of the stability in communal life, the prayerful liturgy using Common Prayer and the practical reinterpretation of catechism. The community extends its practice to radical hospitality, social justice over racism, and economic life inspired by the belief on the Kingdom of God. Lastly, the writer applies the insights from Wilson-Hartgrove’s New Monasticism to Korean Protestant churches, by comparing with monastic movements, community movements, and Maeul-Mokhoe (village ministry). The writer views that the NewMonasticismcan provide new understanding of monasticism to Korean Protestant churches. The monasticism is not about keeping rules and wearing habit but about radical discipleship. It is about living together and practicing hospitality. It is about having intention to live an alternative life following the will of God in this world.

      • 윌슨의 "도덕성 캠프" 프로그램 개발 방안

        설재종 ( Jai Jong Seol ) 한국도덕교육학연구회 2006 도덕교육학연구 Vol.7 No.1

        윌슨의 15가지 도덕성 요소를 이용한 윌슨의 도덕성 캠프는 흐름이 매우 논리적이며 일관성 있는 프로그램이다. 그 이유는 윌슨의 도덕성 요소가 진행적이며 누적적이고, 동시적이기 때문이다. 진행적이라는 것은 PHIL부터 하나의 요소씩 순서대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행적이기에 1박 2일 또는, 2박 3일의 도덕성 캠프가 가능한 것이며, 방학을 이용해서는 5박 6일 등의 더 긴 기간도 가능하다. 누적적이기 때문에 이전 과정에서 학습한 도덕성 요소들을 상기할 수 있다. 한편, 동시적이기 때문에 도덕성 캠프가 끝나는 시점에 토의를 통한 자기 평가, 교사에 의한 평가 등이 가능하다. 캠프 프로그램에는 취사, 캠프 파이어, 모둠별 협동 활동, 도덕사태 관련 역할극 장기자랑, 리코나의 학급 모형, 콜버그의 공동체 등의 외적인 요소가 함께 들어가 윌슨의 도덕성 캠프를 더욱 지원해 줄 수 있다. 윌슨의 도덕성 캠프는 도덕적 문제 사태에 대한 ``도덕적 사고하기``를 진지하고 여유있게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토요휴업일이 시행되고 있는 요즘, 더욱 실용성 있고 의욕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J. Wilson`s Moral Camp using his moral components is pretty logic and consistancy program. This is because J. Wilson`s Moral components are progressive and accumulative. Being progressive means studing PHIL`s theory step by step. It can be possible that Moral Camp is able to continue more than one or two night. In vocation it can be able to continue more than five or six night. Being accumulate can call the previous studed moral elements to mind. In addition, because of the simultaneous, the camp can be able to oneself appraisal and teacher appraisal. The moral camp can support many things externally : cook oneself, campfire, team cooperation activity, palying example concerned with the moral situation, Lickona`s class model and Kolburg`s Community. Wilson`s moral camp has a great advantage which get realized ``the moral thinking`` concerned with the moral situation seriously, comfortly and concentrately. Nowadays, holiday on saturday will make Wilson`s moral camp be more practical motivateical.

      • KCI등재

        로버트 윌슨 『해변의 아인슈타인』 무대의 기호학적 시각언어에 관한 연구

        백경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로버트 윌슨은 기존의 플롯 중심의 전통적인 연극에서 탈피하여 시청각적 연극언어를 표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이미지 연극을 통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방식의 공연을 선보였다. 기호학과 연극은 특정한 약속과 규칙 속에서 배우와 관객이 무대를 통해 관계하고 소통함으로써 즉흥적으로 완성된다는 점에서 일맥상통한다. 본 연구자는 이미지연극에서 무대 위의 비언어적 표현요소들은 기호로써 작용하며, 이러한 시청각적 기호들이 공간화되어 만들어낸 의미효과가 관객과의 소통 수단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적 관점에서 로버트 윌슨의 대표작 『해변의 아인슈타인』을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시각적 연극언어의 기호유형별 분석 틀을 마련하고, 공간을 통한 효과적인 의미 전달과 수신자와의 소통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ᅠ(연구방법) 문헌 고찰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현대 기호학의 흐름을 돌아보고 연극기호의 요소들을 정리하여 범주화한 후, 이들의 관계를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기호의 유형을 분류한다. 기호의 유형별 특성 요소들을 세분화하고, 이들을 세부 항목으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해변의 아인슈타인』의 시각적 연극언어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로버트 윌슨의 표현적 특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적 요소들을 활용한 효과적인 공간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첫째, 수직선, 수평선, 대각선 등 기하학적이고 단순한 형태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공간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시간성과 공간성을 강화한다. 둘째, 윌슨은 단순성, 중첩성, 상징성, 반복성, 대비성이 돋보이도록 장면의 이미지를 표현한다. 셋째, 상징적이거나 상상을 자극하는 오브제를 제시하여 관객에게 상상의 여지를 주고 작품에 참여를 유도한다. 넷째, 배우의 움직임이 기호로써 다양하게 활용된다. 다섯째, 배우가 내뱉는 소리는 말로써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청각적 오브제로 작용한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기호학적 분석 틀을 바탕으로 로버트 윌슨의 『해변의 아인슈타인』 시각적 연극언어들을 바라볼 때, 형태적으로 기하학적인 조형미를 확보하고, 단순하고 상징적인 오브제들을 반복시키거나 대비시키는 등 중첩되도록 제시하며, 그 이미지를 보고 듣는 관객이 의미를 유추하고 상상하여 감상을 완성하고 작품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공간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공간 스토리텔링으로 소통하기 위한 공간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비언어적 기호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기호학적 관점에서 이러한 공간을 평가할 수 있는 분석의 틀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참신한 공간 커뮤니케이션의 방안을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어거스트 윌슨의 『지트니』에 나타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공동체 의식과 정체성 확립*

        여은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frican-Americans’ Sense of Community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in August Wilson’s JitneyEunhye Ye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in which African-Americans establish their own identity based on a firm sense of community in August Wilson’s Jitney. This study analyzes the way in which African-Americans whose job is driving jitneys struggle to maintain their community and identity. In a crisis of an urban renewal, the jitney drivers strengthen their identity through their sense of community. This is the kind of attitude that African-Americans should pursue in their lives. Through this play, Wilson emphasized that the African-Americans should maintain their own cultural heritage in the American society.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we can reach a meaningful conclusion on how Wilson’s expectations are portrayed in the follow-up study of Wilson’s other plays. Key Words: August Wilson, Jitney, African-American, Community, Identity 어거스트 윌슨의 『지트니』에 나타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공동체 의식과 정체성 확립*여 은 혜**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견고한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 과정을 어거스트 윌슨의 『지트니』라는 작품을 통해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지트니 운전을 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자신들의 공동체와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 고군분투하는 모습을 분석한다. 연구 내용: 도시 재개발이라는 위기 상황 속에서 지트니 운전자들은 공동체 의식을 발휘해서 정체성을 견고히 한다. 이러한 모습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삶에서 지향해야 하는 바이다. 결론 및 제언: 『지트니』를 통해서 윌슨은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미국 사회에서 자신들의 고유한 문화유산과 정체성을 지키면서 살아가야 함을 강조한다. 본 논문을 바탕으로 이어지는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윌슨의 사회적인 기대가 어떻게 다른 작품에서도 그려지는 지를 분석하면 유의미한 결과를 낳을 것으로 예상한다. 핵심어: 어거스트 윌슨, 『지트니』,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 정체성 □ 접수일: 2022년 9월 11일, 수정일: 2022년 10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서울여자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한 것임(2022-0323). **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교양영어) 부교수(Professor, Seoul Women’s Univ., Email: ehyeo@sw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