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수길의 『통로 』, 『성천강 』 연작으로 읽는 근대전환기 사회문화 - 『서우 』, 『서북학회월보 』와 겹쳐읽기를 통해서

        윤영실 한국현대소설학회 2024 현대소설연구 Vol.0 No.93

        이 논문은 안수길의 소설 『통로 』와 『성천강 』이 재현한 윤원구라는 개인의 삶을통해 근대전환기 사회·문화를 미시사적으로 분석하는 연구의 일환이다. 그 첫 번째파트인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통로 』가 그려내는 원구의 증조부, 조부, 부친의 몰락을 역사적 배경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원구 가문의 몰락이청일전쟁에서 러일전쟁 시기 급격히 기울어가던 국가의 운명과 연결되어 있었음을살펴본다. 특히 상인이었던 조부와 부친의 몰락 과정은 량치차오가 분석한 자본주의적 제국주의의 ‘멸국신법’(나라를 망하게 하는 새로운 방법)과 무관하지 않았음을분석할 것이다. 3장에서는 원구가 <서북학회>와의 만남을 통해 본격적으로 근대적‘앎’을 추구해가는 과정을 조명한다. 『성천강 』은 사료 부족으로 거의 알려진 바 없는 <서북학회> 함흥 지회의 활동을 가늠해볼 수 있는 창이자, 근대전환기 학술운동이 한 개인의 삶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는 매체가 된다. 4장에서는 원구가 근대계몽기 학술운동을 통해 배운 ‘앎’이란 무엇이었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서우 』와 『서북학회월보 』에서 제시되는 ‘앎’의 새로운 배치를 개괄하는 한편, 원구가 <서북학회> 시절 배운 앎의 핵심은 인민을 국가의 정치적 주체로 삼는 근대국가 사상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근대계몽기 학술운동은 일제 무단통치기 각 지역의 풀뿌리운동으로 설립된 보통 및 중등학교를 통해 계승되었고, 정치적 주체로서의 인민을배태해 마침내 3.1운동으로 이어졌다. This paper is part of a study that microscopically analyzes society and culture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rough Ahn Soo-gil's novel The Pathway and The Seongcheon River, focusing on the life of the novel character named Yoon Won-gu, This paper, i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2 examines the collapse of Wongu's great-grandfather, grandfather, and father depicted by The Pathway along with historical background, and examines that the collapse of the Wongu family was linked to the fate of the country, which was rapidly inclined dur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In particular, it will be analyzed that the process of the collapse of his grandfather and father, who were merchants, was not irrelevant to the "New Ways for Destroying Countries" of capitalist imperialism analyzed by Liang Qichao. Chapter 3 highlights the process of Wongu's pursuit of modern ‘knowledge’ in earnest through meetings with the <Northwest Korean Society>. The Seongcheon River becomes a window to gauge the activities of the Hamheung branch of the <Northwest Korean Society>, which is rarely known for lack of historical records, and a medium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academic movement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on an individual's life. Chapter 4 focuses on what ‘knowledge’ Wongu learned through the academic movement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Outlining the new arrangement of ‘Knowledges’ presented in <Northwest Korean Society> magazines, I examine how the academic movement of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as inherited through ordinary and secondary schools opened as a grassroots movement in each region during the 1910s, and that it gave birth to the people as political subjects and eventually led to the March 1st Movement.

      • KCI등재

        ‘국민’과 ‘민족’의 분화-『소년』지에 나타난 ‘신대한’과 ‘대조선’ 표상을 중심으로

        윤영실 상허학회 2009 상허학보 Vol.25 No.-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of ‘國民’ and ‘民族’ in Korea during 1900’s. Unlike ‘nation=國民=民族’ nor ‘(nation=國民)≠民族’, we suggest that both ‘國民’ and ‘民族’ have some significance of ‘the nation’. That is, the paradoxical aspects of ‘the nation’ has differentiated into ‘國民’ and ‘民族’ in Korea. ‘the nation’ as the political and legal community of the modern state was ‘translated’ into ‘國民’, while ‘the nation’ as ethnic, historical and cultural community into ‘民族’. Ghoi Namsun, who was the editor and main writer of 『少年』, the first modern journal of Korea, contributed a lot to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民族’ different from ‘國民’. He brought ‘Chosun(朝鮮)’into relief as the proper name of ‘民族’ and embodied th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time and space of ‘民族’. The subject of ‘民族’ was represented as an organism, which had its own character and destiny. Choi, introducing the modern geological knowledge, asserted that Chosun ‘民 族’ has the best character formed by the peninsula and made a apocalyptic narrative about the destity of Chosun ‘民族’ which had a plot of creation-degradation-repentance-salvation. Unlike the future-oriented time of ‘國民 discourse’, ‘民族’ had a strong past-oriented time representation, which led to the interest in ‘traditon’, ‘history’ and ‘mythical origin’ of ‘民族’. ‘國民 discourse’ represented the space as empty, homogeneous while the space of ‘民族’ has ‘the height’ and ‘the depth’ of historic relics, the Holy land, or peculiar national landscape. 이 연구는 『소년』지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네이션’이 ‘국민’과 ‘민족’으로 분화되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네이션=국민=민족’과 ‘(네이션=국민)≠민족’이라는 기존의 관점이 ‘민족’을 일방적으로 비판하거나 옹호하는 것을 넘어, ‘민족’을 신성시하지 않으면서도 ‘민족’이라는 개념에 응축된 한국적 상황의 특수성이나 역사적 경험을 정당하게 조명할 수 있는 시각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고는 민족/국민이 네이션의 일정 측면을 分有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국민/민족’ 개념이 분화된 한국의 특수성은 ‘네이션’ 자체에 보편적으로 내재하는 역설과 균열을 더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임을 규명하고자 했다. 한국에서 ‘민족’개념이나 용어는 ‘국민’보다 뒤늦게 도입되었지만 마치 ‘국민’보다 앞서 ‘국민’의 기초로서 애초부터 존재해왔던 공동체처럼 상상되었다. 그러나 정작 1910년 무렵까지도 ‘민족’은 아직 이름조차 확정되지 않은 미정형의 상태였다는 점에서, ‘민족’이란 이미 있는 것이자 만들어가야 할 것이라는 역설 위에서 발견되었다. 신채호가 ‘부여족’을, 김교헌이 ‘배달족’을 민족명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운데 최남선은 『소년』에서 ‘조선’을 민족의 고유명으로 선명히 부각시켰고, ‘조선’이라는 민족명은 <조선광문회> 수립으로 더 확고한 권위를 얻게 되었다. 최남선은 이후에도 ‘조선’이 민족명이 되어야 할 필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마침내 朝鮮이란 민족 정체성의 핵심인 광명신앙을 담고 있는 ‘(날이) 처음 샌’이라는 의미임을 ‘발견’했다. 『소년』지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국민담론과 구별되는 ‘조선민족’ 고유의 주체, 시간, 공간 표상을 마련해갔다. 민족은 국민 개개인들의 집합이나 특정 국가와는 별개로 그 자체의 독자적 성격과 운명을 갖는 유기체와 같은 것으로 표상되며, ‘문명’보다 상위의 가치로, 혹은 ‘문명’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하는 위대함의 원천으로 예찬되고 있다. 『소년』의 민족담론은 민족 고유의 본성인 ‘민족성’ 관념을 확립하고, 민족성 자체를 민족의 위대함의 근거로 부각시켰으며, 조선 민족을 창조-타락-회개-구원이라는 운명의 궤적을 그리는 서사의 주체로 삼았다는 점에서 이전의 민족담론에서 진일보한 것이다. 시간적인 측면에서는 소년을 신대한국민으로 양성한다는 미래의 비전에서 민족의 위대한 과거에 대한 ‘상기’로 강조점이 이동했다.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근대 국민국가의 균질적인 공간표상으로부터 역사 유적, 신화적 聖所, 심미적 풍경 등으로 차별화된 민족의 공간표상으로 이동한다. 『소년』에서 국풍, 대황조(단군), 태백에 응축되어 있었던 조선 민족의 표상은 1920년대 각기 시조부흥운동과 단군ㆍ역사 연구, 국토순례기행문으로 확장, 심화되면서, 일본 ‘국민’과는 구별되는 ‘조선민족’ 정체성의 원천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국민과 민족이 뚜렷한 대립선에 따라 갈라지는 것은 식민치하에 놓였던 한국의 특수성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네이션’ 자체에 내재한 역설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했다. ‘nation’과 ‘state’의 긴밀하지만 완전히 합체되지는 않는 역설적인 긴강 관계가, ‘nation≠state’의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한국에서 ‘국민’과 ‘민족’의 분화로 전개된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민족’ ...

      • KCI등재

        최남선의 『송막연운록』과 협화 속의 불협화음 -1930년대 후반 만주 열전(列傳)과 전향의 (비)윤리-

        윤영실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8 사이 Vol.24 No.-

        This essay on Choi Nam-seon’s manchurian travelogue Songmakyeonun-rok examines and reconstructs the historical contexts and inner landscape of his conversion to “ethnic harmony” ideology of Manchukuo. As a way of understanding the contexts of the text, this essay focuses on Choi’s encounters with various historical figures during the journey. The examination of Gim Dong-jin’s conversion, who was a councilor of the Seonman(Choseon-Manchuria) Development Company and accompanied Choi on the trip, shows that Choi “wagered” on “ethnic harmony”ideology to relieve the sufferings of the Korean refugees in Manchuria. In addition to that, Choi’s encounters with Higata Heigoro, Na Gyeong-seok , Gim Gu-gyeong and Jin Yufu suggests that Machuria was a place of ideological fusion where diverse ideas and ways of lives clashed, intersected and transformed one another. What is remarkable in Choi’s inner landscape are complicated emotions and grief of the colonized who could not but wager on the uncertain dream of “ethnic harmony.” The text shows, nonetheless, that his wager was motivated by the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subaltern refugees’ sufferings in the face-to-face situations. It also includes traces of resistance (voices deleted by sensor, irony, reminding of historical resistances and swearing revenge) and the moments of discords, proving that wherever there is power, there is resistance. The evaluation of Choi Nam-seon’s life and thoughts is a difficult task in which law and ethics, or historical redress and literary mourning are inextricably entangled. It is because historical redress has not yet been accomplished that literary mourning cannot still be conducted and it is because Choi didn’t die the symbolic death in the legal court of the postcolonial state that he has been repeatedly summoned to endless process in the court of history. 본고는 최남선의 만주 기행문인 『송막연운록』을 중심으로 그가 만주국 ‘협화’이념으로 ‘전향’하게 된 외적 정황과 내면의 풍경을 재구성해 보고자 했다. 외적정황을 그려내기 위해서 최남선이 만주 여행 중 만난 다양한 인물들의 면면에 주목했다. 특히 여정의 대부분을 함께 했던 선만척식 김동진 참사의 ‘전향’을 통해, 난민화된 재만 조선인의 구제가 최남선이 ‘협화’ 이념에 ‘내기’를 걸게 된 중요한 원인이었음을 규명했다. 그 밖에도 히가타 헤이고로, 나경석, 김구경 같은 이들을 조명하면서 ‘만주’가 이질적인 삶과 사상들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공간임을 살펴보았다. 전향의 ‘내면’ 풍경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협화’라는 불확실한 꿈에 ‘내기’를 걸 수밖에 없는 피식민자의 신산함과 서러움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남선의 ‘내기’는 재만 조선인 하위 주체와의 ‘대면’을 통해 그들의 고통에 응답하려는 윤리적 책임을 동반했다. 또한 ‘협력’의 한가운데서 이뤄진 ‘저항’의 흔적들(검열로 삭제된 목소리, 아이러니, 역사 속의 저항들에 대한 상기, 일제에 대한 복수의 다짐)과 협화의 꿈 안에서의 불협화음을 드러냄으로써, 지배하는 권력이 있는 어느 곳에서나 저항이 있음을 텍스트를 통해 규명하고자 했다. 최남선의 삶과 사상에 대한 평가는 법적(국가적) 차원과 윤리적 차원, 역사의 청산과 문학의 애도가 복잡하게 충돌하거나 뒤얽혀 있는 어려운 과제다. 최남선에 대한 역사의 청산이 완결되지 않은 것이야말로 문학의 애도가 이뤄지지 못한 까닭이며, 그가 반민특위 법정에서 ‘상징적 죽음’을 맞지 못한 것이야말로 오늘날까지 여전히 역사의 법정에서 거듭 ‘소송’에 휘말리는 이유다.

      • KCI등재

        이민, 식민, 난민 — 식민지기 재만조선인 농민과 ‘세계 안의 자리’

        윤영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1

        This paper examines Korean refugees in Manchuria during the inter-war period and the implication of their existence in relation to the global history of the time. Hannah Arendt paid attention to the oppression and denationalization of racial minorities and stateless peoples in the inter-war European countries and analyzed the phenomenon as the collapse of the nation-state system. During the same period, millions of colonial Koreans in Manchuria were also becoming refugees, dispossessed of their rights of culture, cultivation and residence. Avoiding national narratives of Korea, China and Japan and taking the transnational and immanent perspective of migrants and ethnic minorities, this paper aims to highlight conflicts between the transnational subaltern who desperately sought for their ‘place in the world’ with cross-border migration and the sovereign states which mobilized, regulated or dispossessed the migrant population with biopolitical security mechanisms of its own. Even though Korean refugees’ pursuit for safety led them to temporarily cooperate with the national harmony policy of Manchuquo, their fundamental orientation as migrants was political autonomy, cultural self-representation and peaceful cohabitation with different ethnic nations. Examination of Korean migrants in Manchuria can pave a way for new imagination of diasporic nations (‘dissemi- nations’), which cannot be reduced to any state-nation nor the colonial nationalism of Korea. 이 글은 식민지기 재만조선인을 조선민족의 일부나 일본제국의 식민자로 간주하는 기존의 해석들을 넘어 관국민적(transnational) 이동을통해 새롭게 구성되는 이주민족으로서의 특이성에 주목했다. 2장에서는 현대 정치철학의 논의들을 참조하면서 근대 국민국가체제와 관련하여 이민, 식민, 난민의 의미를 고찰하고, ‘세계 안의 자리’(place in the world)가 지닌 다층적인 함의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청계중일한관계사료 (淸季中日韓關係史料)에 삽입된 구한말 조선인 월경민의 편지와 박은식의 몽배금태조 에 나타난 대종교의 민족 상상을 중심으로, 현실의 국가들(states)과 거기에 내속된 국민들(nations)이 아니라 세계 안의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월경(越境)하는 기민(飢民, 棄民)들과 국민의 경계와 경합했던 다양한 민족 상상들을 상기하고자 했다. 4장에서는 리튼보고서 와 안수길의 소설 「벼」의 겹쳐읽기를 통해 ‘만보산사건’을 재조명하면서, 재만조선인들의 삶의 조건과 권리들이 법과제도, 국가간 조약에 따라 상이하게 분절되면서 이민자나 식민자가 아닌 난민에 가까워졌음을 분석했다. 일본제국이 재만조선인의 난민화를야기한 주된 요인인 동시에 이들의 ‘보호’를 자처하는 유일한 국가 권력이라는 역설 속에서, 자치와 안전에 대한 재만조선인의 열망은 만주국 수립의 논리로 재전유되었다. 역사의 이 아이러니한 과정을 재만조선인의 이데올로기(제국의식)나 도덕(친일 내지 협력)의 층위에서가 아니라, 국민국가들의 법적, 제도적 질서 속에서 이주민족이 처한 정치적아포리아로 분석하는 것은 여전히 현재적 의의를 갖는 과제일 것이다.

      • KCI등재

        자치와 난민 - 일제시기 만주기행문을 통해 본 재만조선인 농민 -

        윤영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한국문화 Vol.78 No.-

        This essay examines the Korean Chinese immigrants in Manchuria from the mid-1920s to the early 1930s, focusing on colonial Korean writers’ Manchurian travelogues and the historical situations at that time. Starting with an oral history of Hak Hyeon Choi who had resided in a collective village of the Korean Chinese set up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 try to critically reexamine academic trend of Korean literary studies on the subaltern Koreans in Manchuria: indiscriminate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Chinese and the South Korean ‘nation’, idealistic approach to the ‘nation,’ and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hinese’ situations as an immigrant nation in-between states. As an alternative to both interpretive schemes about the Koreans in Manchuria during the colonial period, ‘resistance or pro-Japanese collaboration’ and ‘collusion between the colonizer and the colonized,’ I demonstrate, first, their consistent orientation for autonomy either outside or inside a state, then, the frustration of the autonomist line and their becoming refugees, and, finally, their ‘voluntary’ reversion to the Japanese rule. Especially, this essay focuses on the concrete,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subaltern Korean Chinese, who were violently suppressed by all of the three “armed justices”: the assimilative pressure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he imperial Japan’s expansion into Manchuria and the left-wing terrorism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subaltern perspective leads us to an open question about the paradoxical structure of the modern world where the refugees exposed to extralegal violence are forced to ‘voluntarily’ aspire to the government of any state for their ‘security.’

      • KCI등재

        <혈의 누>와 <만세보> 논설을 통해 본 이인직의 정치사상 – 자강론과 연방국가론을 중심으로

        윤영실 한국근대문학회 202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1 No.1

        이 논문은 ‘정치소설’과 ‘신소설’로 양분된 근대계몽기 문학사에서 이인직의 ‘신’소설들이 지닌 ‘정치성’을 새삼 문제삼기 위해 『혈의 누』에 대한 정치적 재해석을 시도했다. 특히 이인직의 『혈의 누』를 『만세보』의 논설들과 겹쳐봄으로써 1906-7년 무렵 이인직의 정치사상을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동경정치학교 이래 이인직의 언론관이 형성된 궤적을 살펴보고, 『만세보』에서 정치, 문학, 학술을 아우르는 이인직의 다방면의 글쓰기들이 모두 뚜렷한 정치적 당파성을 띠었음을 규명했다.(2장). 다음으로 국제법학자 아리가 나가오의 사상적 영향들을 검토하면서, 『혈의 누』의 옥련 서사를 보호국 통치와 자강운동의 정치적 알레고리로 분석했다.(3장) 마지막으로 자강론 안의 다양한 붕달들의 배치 안에서 이인직의 민권론과 삼진연방론을 검토함으로써 이인직의 정치사상이 지닌 특이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혈의 누』의 서사시간(1902년)과 서술시간(1906)의 간극에 주목함으로써, 서사의 표층이 제시하는 자강론적 정치 비전이 작가 자신의 회의적 시선과 패배감에 의해 어떻게 균열되는지 분석함으로써, 이후 식민지 통치 체제 옹호로 치달아간 이인직의 행보를 규명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했다.(4장) 상이한 근대국가 기획들이 경합하던 대한제국 말기에 『혈의 누』가 소설 형식을 통해 담아냈던 정치적 당파성은 ‘현실’의 서사적 구성에서 ‘정치’와 ‘소설’이 근본적으로 교착하고 있었음을 보여줄 것이다. This article reinterprets Tears of Blood, presumably the first ‘new novel’ of Korea, in terms of politics in order to revisit the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most of which generally divides early modern Korean novels into two categories, ‘new novels’ and ‘political’ novels. First of all, it examines how Gunpei Matsumoto’s journalism theory influenced Yi’s political writings in journalism, the object of which was the nation-state building. Then it analyzes Theories of the Protectorate System written by Nagao Ariga and its influence on Self-strengthening Movement in Korea. In the historical and intellectual contexts, Ok-ryeon’s narrative of Tears of Blood can be reinterpreted as an allegory of the political vision of self-strengthening movements under the protectorate system. Finally, it examines Yi’s political thoughts of people’s rights and the federal system more specifically in the configuration of political factions of the time, which reveals his skeptical prospects of Korean nation-state building in spite of the message of the novel.

      • KCI등재

        노예와 자유 -이광수 초기(1908~1910) 사상의 탈식민적 자유 관념

        윤영실 춘원연구학회 2022 춘원연구학보 Vol.- No.25

        이 논문은 이광수의 1908~1910년 글들을 노예와 자유의 문제에 초점을 맞춰 살펴봄으로써, 근대문학(론) 형성에 치우친 선행연구에서 삭제된 탈식민적 정치성을 복원하고자 했다. 생존경쟁과 우승열패의 세계에서 피식민자로 전락한 열자(劣者)를 노예라고 할 때, 노예는 이 억압적이고 무정한 세계에서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이광수가 이런 질문을 던지고 이에 응답하는 과정은 자유에 대한 담론과 지식의 세계적 순환 속에서 살펴볼 때 더 잘 드러날 수 있다. 2장에서는 「혈루」부터 「어린 희생」까지 이광수의 1차 유학시기 글들을 개괄하여 이광수 문학사상의 원점에 ‘노예’상태에 저항하는 ‘자유’를 향한 갈망이 놓여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혈루」의 원작 텍스트와 「어린 희생」의 원작 영화를 규명하여 실증적 연구에도 보탬이 되고자 했다. 3장에서는 「혈루」가 발표된 1908년 전후 일본과 한국의 담론장을 배경으로 이광수의 노예-자유 계열 글들이 지닌 급진성과 그 사상적 연원을 살펴보았다. 제국에서 생산된 지식과 지배 담론이 ‘강자의 권리’와 인종주의적인 ‘문명의 자유’를 주장하고 있었던 반면, 이광수는 기노시타 나오에, 톨스토이, 바이런의 영향을 독특하게 조합하여 인간의 보편적 권리와 ‘야생의 자유’(savage freedom)를 주창했다. 4장에서는 1910년 봄 귀국한 이광수가 <신민회>와의 접속을 통해 조선민족의 집단적 운명을 좀더 분명히 자각하고, 식민지라는 장소성에 기반하여 자유에 대한 탈식민적 사유를 전개했음을 규명했다.

      • KCI등재

        일반논문: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윤영실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이 논문은 『소년』에 흔적을 남긴 여러 겹의 동아시아 텍스트들을 더듬어, '국가적 영웅'과 '산업적 영웅', '영적 영웅'이라는 근대의 세 가지 영웅상이 제국에서 식민지로 '번역'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근대 국민국가의 '국가적 영웅'을 기념함으로써 국민의 일체감을 다졌던 19세기 유럽의 건국서사들은 1900년대 각기 제국, 반식민지, 식민지로 이행하고 있던 일본, 중국, 조선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변용된다. 도쿠토미 소호가 메이지 20년대의 무명영웅론을 폐기하고 '국가적 영웅'의 추구로 돌아선 것에 비해, 양계초의 무명영웅은 혁명의 열사를, 신채호와 최남선의 무명영웅은 국망 이후에도 존속할 '정신적 국민'을 지시하고 있었다. 한편 최남선이 정신적 국민의 양성을 위해 도입한 수신담론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독립'을 수신의 목표로, 도쿠토미 평민사회론의 '자조'와 '노력'을 수신의 방법으로 강조하는 가운데 점차 '산업적 영웅'론에 근접해갔다. 1900년대 말 도쿠토미와 우치무라 간조의 복합적 영향 아래 제기된 최남선의 지리론에서 '식민지 민족'은 세계 구원의 사명을 띠고 고난당하는 '영적 영웅'의 형상으로 발견된다. 이 일련의 번역을 통해 식민지는 제국의 담론을 탈구시키고 전유하면서, 제국의 모순(이데올로기의 균열)과 그 모순 너머(유토피아 충동)를 비추는 '깨진 거울'로 기능하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national', 'industrial' and 'spiritual' heroes in Sonyeon(『少年』), each of which was 'translated' from the west through Japan to Joseon(Korea). Admiring and commemorating 'national heroes' to enforce national solidarity in the 19th century Europe was replaced by the attempt to form 'unknown heroes' in the early 20th century East Asia. Although the idea of 'unknown heroes' was abolished by its first advocate, Tokutomi Soho(德富蘇峰) after he converted from democratism(平民主義) into imperial nationalism, it was appropriated by Liang Ch'ich'ao(梁啓超) to indicate patriotic martyrs and by Sin Cheho and Choi Namsun to interpellate 'the mental nation' without the nation-state. In order to form 'the mental nation', Choi introduced moral disciplines and, as a result, his heroism could encompass 'industrial heroes.' 'Independence' and 'endeavor' which Choi regarded as the object and the means of the moral discipline originated from Fukuzawa Yukichi(福澤諭吉)and Tokutomi Soho. However, the two Japanese intended to make 'civil subjects' with those virtues while Choi focused on them to make subjects protesting against the colonial regime. Finally, under the influence of Uchimura Kanzo(內村鑑三)', Choi discovered the colonial nation(民族) as a kind of 'spiritual hero', who suffered ordeals to accomplish god's mission of saving the world. Through a series of 'translation', the colony dislocated and appropriated imperial discourses and functioned as a broken mirror which reflected both contradiction of the empire(fissure of ideology) and its frustrated possibility(drive for Utopia).

      • KCI등재후보

        일제말의 이중어글쓰기와 탈식민/탈민족의 아포리아-김윤식의 이중어글쓰기론을 중심으로-

        윤영실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연구 Vol.21 No.-

        본고는 김윤식의 일제 말기 이중어글쓰기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 연구에서 ‘네이션’이 갖는 논쟁적 의미를 재구하고자 한다. 『한일문학 관련양상』(1976)은 민족적 주체를 확립하려는 당위 아래 식민화된 무의식을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라는 화두를 설정한다. 이후 ‘제도로서의 근대’라는 관점이 도입되면서 탈식민의 과제는 탈근대의 과제와 맞물리게 된다. 그러한 모색의 결과를 집약하고 있는 『한일 근대문학의 관련양상 신론』(2001)은 한국근대문학사를 ‘관념성’과 ‘활사실’의 변증법으로 파악하여 ‘이식’을 ‘번역’의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한편, 제국과 식민지의 상호구성적 계기들을 드러낸다. 『일제 말기 한국 작가의 일본어 글쓰기론』(2003)을 비롯한 일련의 이중어글쓰기론은 일제 말 ‘일본인-되기’를 둘러싼 문인들의 내면풍경에 육박하되, 이들을 사상의 상대성이라는 ‘비극’의 관점으로 조망함으로써 윤리적 판단중지를 선언한다. 그러나 김윤식의 사상의 상대성론은 ‘시차(時差)’, 글쓰기의 ‘형식’, 실재에 대한 인식을 통해 재차 상대화될 가능성을 품고 있으며, 해석자 자신의 윤리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윤리적’이다. 탈식민, 탈근대, 탈민족으로 중층화된 오늘날의 사상적 과제는 ‘민족’이 단지 상상의 공동체라면 식민지 민족이 독립을 요구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라는 아포리아를 남기고 있는 바, 김윤식의 사유는 쉬운 대답을 향해 비약하기보다 원점(화두)에서 맴돌기라는 방식으로 깊어지고 있다. This thesis aims to questing the controversial meaning of 'the nation' in the field of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y, especially focusing on Kim Youn Sik's research on bilingual ecriture. I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Japanese Literature(1976), Kim Youn Sik set up the question of how to overcome the colonized unconscious from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subject. Introducing the standpoint of 'modernity as the system', he related the post colonial task with another task of overcoming modernity. In the New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Korean/Japanese Literature (2001) where he integrated the result of over 20 years, he raised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from 'transplantation' to 'translation' by dialectic between 'ideality' and 'reality' and revealed the interdependent moments between the empire and colony. A series of the research on the bilingual ecriture including A Research on Korean Writers' Writing in Japanes at the End of the Colonial Era, described the inner landscape of the writers who had faced up to the problem of 'becoming the Japanese'. Kim suspended any moral judgment on them, seeing them from the tragic viewpoint as 'relativity of thoughts'. However, he also opens the possibility of re-relativizing 'relativity of though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time difference', different 'forms of writings' and 'the Real' and his research on the bilingual ecriture is still ethical in that he never abandons the quest of the ethics of himself as an interpreter. The compound task of overcoming colonialism/modernism/nationalism leaves an aporia of "If the nation is only an imagined community, how can we justify the demand for independence of the colony? Though Kim doesn't offer an easy solution, his thought, which has persistently kept going around the question itself, has become deeper.

      • KCI등재

        동아시아 정치소설의 한 양상 - 『서사건국지』 번역을 중심으로

        윤영실 상허학회 2011 상허학보 Vol.31 No.-

        본고는 실러의 『빌헬름텔』이 일본과 중국, 한국에 번역되는 과정을 통해 ‘네이션’이 상상되는 다양한 방식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Friedrich Schiller의 Wilhelm Tell(1804)에서 ‘네이션’은 ‘고향’과 ‘핏줄’을 공유한 공동체로 규정되지만, 동시에 ‘자유’의 이상을 공유한 자들의 자발적인 연대체로서 이종족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山田郁治의『哲爾自由譚前編 一名自由之魁』(1882)에서는 서사의 갈등축이 폭정을 행하는 ‘국수(國守)’와 ‘자유민권’을 수호하려는 ‘국민’의 대립으로 조정되고, 『민약론』의 ‘네이션’ 개념을 통해 천황제라는 국체에 도전하고 있다. 鄭哲의 『瑞士建國誌』(1902)에는 반청공화 사상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으며, 근대적 ‘국민’ 관념과 더불어 이민족 지배자인 청조에 대한 반감과 결합된 종족적 민족주의가 침투되어 있었다. 박은식의 『瑞士建國誌』(1907)는 정철의 중국본을 거의 그대로 옮기면서도, ‘독립’의 보전을 위한 약소국의 반제 민족주의에 희망을 걸고 있다. 김병현의 『셔?건국지』는 중국본의 공화사상을 삭제하는 한편, ‘억강부약(抑强扶弱)’의 ‘천리(天理)’를 적극적으로 읽어냄으로써 제국주의를 비판한다. This thesis examines translated versions of Wilhelm Tell in the East Asian countries, focusing on various ways of ‘imagining the nation’. In Wilhelm Tell(1804) written by Friedrich Schiller, ‘the nation’ was defined not only as a community sharing ‘hometown’ and ‘blood’ but also as a voluntary solidarity of people sharing the ideal of freedom, which is open toward the different ethnic groups. [哲爾自由譚](1882) translated by 山田郁治 highlighted conflicts between feudal officials and the nation(國民) and defied the Emperor system, Japanese national polity. 鄭哲's [瑞士建國誌](1902) showed strong anti-Ching republicanism, in which both political equality and ethnic exclusiveness of nationalism were mixed. 朴殷植's [瑞士建國誌](1907), almost literal copy of 鄭哲's, reflected hope of ‘independence’ of Joseon by making small differences from 'the original'. 김병현's [셔건국지](1907) deleted republicanism and focused on the providence of Heaven(天理), which controls competition of the world by restraining the strong and supporting the we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