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 체험 양상별 시인 연구 - 김수영, 신동엽, 박인환을 중심으로

        임수경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Sigmund Freud theorizes that War experience becomes “underlying trauma” to the contemporary and affects their daily life, with variations and development as a defense mechanism. According to this theory, when the “ego” is under stress that it cannot handle, an individual uses a defense mechanism that is most rational and convenient to themselves as a psychological strategy to shelve the stres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the clock system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defense mechanisms of poets Kim Soo-young, Shin Dong-yeop, and Park In-hwan, who each experienced different traumas, in order to compare the poetry world of poets who underwent the Korean War. In this study, Sigmund Freud’s “defense mechanism” theory and Anna Freud’s “defense mechanism type” were used in expressing the trauma experienced during the War. The analysis process followed a chronological order in which the poets experienced the War. Accordingly, the second chapter focused on the work theory of Kim Soo-young, who was forcibly conscripted into the North Korean Army, escaped and was locked up in Geoje Prison. The third chapter focused on the work theory of Shin Dong-yeop, who used to the reality of both camps as a propaganda director of the Democratic Youth Alliance and a soldier of the National Defense Forces. The fourth chapter focused on the work theory of Park In-hwan, who hid in the basement of Seoul at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as evacuated to Daegu, and joined the War writers’ group. As in this study, the Korean War and the subsequent individual experiences were an important part of research on poetry and poets at the time, but concerns that “it is problematic to fully return the Korean War to the ’level of content’” could exist. However,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significance of aspects of a new approach to postwar literature study, such as the micro-approach analysis of the emergence of defense mechanisms for each aspect of war experience. 프로이드는 전쟁체험을 그 일대의 세대들에게 ‘근원적인 원체험’이 되어 어떤 변형,어떤 발전으로 각색되면서 사람들의 일상의 자장을 이루게 되는데,이 과정을 방어기제라 보았다.그의 이론에 따르면 자아가 감당할 수 없는 스트레스에 쌓일 때 일단 심리적으로 보류시키는 방법으로써 사람들마다 자신에게 가장 합리적이고 편리하다고 생각되는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경으로,본 연구는 한국전쟁을 체험한 시인들의 시세계를 비교·고찰하기위해서 서로 다른 원체험을 체득한 시인 김수영,신동엽,박인환의 방어기제를 중심으로 전쟁전후의 시세계 변모 과정을 탐색하고자 했다.이때 전쟁 원체험과 이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이론과 안나 프로이드의 ‘방어기제 유형’을원용했다.그리고 분석과정은 시인별 전쟁체험을 습득하게 된 시간순으로 접근했다. 따라서 2장에서는 인민(의용)군으로 강제징집되었다가 탈출,거제도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던 김수영의 작품론을,3장에서는 민주청년동맹 선전부장과 국민방위군의 군인으로 양쪽 진영의 실상을 몸소 체험했던 신동엽 작품론을,4장에서는 한국전쟁 발발 시 서울 지하에 숨어있다가 대구로 피난간 후 종군작가단에 합류한 박인환 작품론을 다루었다. 물론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처럼 한국전쟁과 그에 이어지는 분단체험이 그당시의 시와 시인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임에는 틀림없지만,‘한국전쟁을<내용의층위>로 온전히 환원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우려도 있을 수 있다.그러나 전후시대의 문학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방법의 필요적 측면에서 전쟁체험 양상별 방어기제의 발현이라는 미시적 접근분석으로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단절론적 세계의 복원과 선험적 논리학

        김민수(Kim, Minsu)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5 No.-

        이 글은 소설가 김소진의 문학세계를 조망하여 1960년대 이후의 원체험을 가진 지식인이 1990년대에 이르러 나타난 현대성과 그 징후에 대응하는 방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의 문학세계가 지닌 의미를 보다 확장시키기 위해 쓰여졌다. 본고에서는 김소진의 소설이 원체험을 바탕으로 “삶의 총체적 서사”를 그려나가고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그의 작품을 원체험의 세계, 현실세계, 가능세계 등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가 ‘밥풀때기’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려고 했던 것은 사회의 주변부에 머물러 있던 그들을 역사의 일부로 해석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김소진은 지식인의 입장이면서도 원체험을 통해 그들을 닮아가는 과정에서 경계인에 있음을 인식하였다. 또한 거대담론의 시대가 지났음을 확인한 그가 현실 세계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은 ‘살아간다’는 명제의 중요성을 인식했던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체험과 현실세계를 성공적으로 접합시켜 의미화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article expands the meaning of Kim So-jin’s literary world by examining this world and how intellectuals with original experiences since the 1960s responded to modernity and signs that appeared in the 1990s. Kim So-jin’s novels were based on the original experiences and are thought to draw “the total narrative of life.” We investigated his works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following types: the world of original experience, the real world, and the possible world. Kim Sojin intended to emphasize “the rice grains” in society because he wanted to interpret them as a part of history, as people who still remain on the periphery of society. Kim So‐jin recognized that, because he was also an intellectual, he partly resembled them through his original experiences. Furthermore, he confirmed that the age of the grand discourse was over, and he showed his adaptation to the real world in hi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roposition of “living.”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he reached the signification by successfully connecting original experiences with the real world.

      • KCI등재

        한승원의 원체험과 소설화 과정 고찰

        정미경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한승원은 가부장적인 엄부를 두려워하고 물웅덩이에 빠져 죽을 뻔하던 자신의 원체험을 작품 속에 형상화했다. 작가의 작품들에서 모순적 존재로 서의 아버지와의 갈등·립은 화해하려고 해도 화해되지 않는 관계로 그려 지며 이는 곧 민족의 삶과 역사, 우주적 갈등·립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혼자 물놀이를 하다가 죽을 뻔했던 어릴 때의 물과 죽음에 한 공포는 작가 의 소설화 과정 속에서 현실 상에 한 극복의 의지로 작용하다. 작가를 지배한 모순적 존재인 아버지와 물 무섬증은 그로 하여금 평생 소설을 쓰도 록 하는 화두로 작용했다. 이러한 원체험은 작가의 삶에서 어둠, 즉 그림자로 작용했고 작가는 그것을 소설을 통해 빛으로 끌어올리고자 하다. 따라서 한승원의 소설 쓰기는 어둠을 감지하고 그것을 빛으로 승화시키고자 하는 끊임없는 시도다. 작가는 자신에게 드리워진 그림자의 어두운 면과 파괴적인 면을 직시하여 빛과 창조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으며 개인의 삶에 서 점차 사회 역사 우주로 확장시켜 나갔다. 엄부 아래서 성장했던 한승원의 무의식 속에는 아버지가 없었으면 좋겠다 는 생각과 보호막으로서 인정받고 싶다는 생각이 동시에 싹트고 있었다. 작 가는 비록 드러내놓고 저항을 하지는 못했지만 소설을 통해 아버지와의 관 계를 모색하다. 한승원은 엄부의 모습에서 점차 모순된 존재로서의 무력 함을 인식하면서 이에 저항하고 극복해 나갔다. 작가는 이후의 작품에서 립적인 입장에 놓인 아버지와 아들이 끊임없이 갈등·립하는 것을 형상화 하는데 그 중심에는 ‘아버지 찾기’와 ‘아버지 극복하기’의 딜레마가 깊이 스 며들어 있다. 인간은 모순된 존재로 아버지의 보호를 받고 싶다는 측면과 그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고 싶다는 측면을 동시에 지니는데 작가는 이러한 양식이 인간의 억눌림과 자유의 문제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여기서 아버지 찾기는 한걸음 다른 쪽으로 나아가는데 작가는 이 단계에서 아버지 찾기를 사회 역사와 연관시켰다. 우리 사회와 역사가 올바른 쪽으로 나아가고 있느 냐의 여부를 탐색했던 것이다 . 한승원은 어린 시절 물에 빠져 죽을 뻔하던 체험과 청년시절 생계유지 를 위한 바다 체험을 통해 물과 바다가 지닌 양면성을 인식하다. 바다는 그의 전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데 바다가 지닌 양면성의 세계에서 작가는 체로 삶보다는 죽음에, 원초적 생명력보다는 동물적 잔인성과 폭력성에 더욱 큰 비중을 두었다. 전쟁이나 산업화에 따른 폐해, 혹은 본능적 충동에 의한 파괴적 행동 등 어둠과 죽음이 전체적 배경으로 깔리는 것은 작가가 드러내 고자 하는 주제 혹은 의도의 측면에서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그가 어둠과 죽음을 작품 전면에 드러내는 것은 그에 항하는 인간의 극복의지 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어둠의 상황에 놓인 주인공들의 빛으로 나아가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을 다룬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원체험을 이루는 요소들에 내재해 있는 그림자들이 작 품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그것이 이후의 작품에서 어떤 식으로 극 복되어 나아가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이후 통시적 차원에서 그의 전 생애와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데 있어 새로운 해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o his works, Han Seung-won projected his original experiences as a child who being almost drowned in water and a boy afraid of his strict father. In his works, conflict and confrontation with a contradictory father is depicted as a irreconcilable one and later these conflict and confrontation are expanded to life and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even to universe. When he was a child, he almost being drown while dabbling in water alone and this momory planted fear of water and death which becomes the drive force of overcomeing in his novelization. The contradictory father and hydrophobia which dominated the writer became key phrase which made him write novels for his whole life. These original experiences worked as darkness and shadow in his life and he tired to make the original experiences as a lunimous one through his novel writing. To Han Seung-won, novel writing is an endless attempt to sense darkness and sublimate it to light. The writer tries to move toward the world of light and creation by facing darkness of the shadow and destructive side in himself, and gradually expanded it from a personal life to society, history, and the universe. Han Seung-won who was raised by a strict father, had two ‘I’ in his subconsiousness. The first one who denying his father did not want a father and the other one admitting his father for protection expected the recongnition from his father. Instead of a apparent resistance, the writer seeks a wa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trough his novels. Gradually, Han Seung-won realizes that the strict father is a contrditory weak being and he resisits and overcomes it. In his later works, the writer shows constant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a father and a son feuding with each other. In the centre of this relationsihpm, ther is a dilemma between ‘finding father’ and ‘overcoming father’. The writer considers a man as a contradictory being which wants protection by his own father and at the same time, he also want to set himself free from his father’s authority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ppression and freedom of a man. In next step, the writer connects ‘finding father’ with society and history. The writer investigates if our society and history is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Han Seung-won reconized the ambilaterality of water and sea through his expereince of drowning in childhood and working-class youngster who tried to both ends meet. The ‘sea’ is a consistant major material in all his novels, and in the ambilterality of the sea, he put more weight on ‘death, animal brutality and violence’ than ‘life and primitive life force’. Darkness and deaths such as the evil of a war or industrialization and destructive behavior led by instintive impulse are presented as a background in his novels and we can consider this is closely connected to a subject or an intention which the writer wants to show us. The writer showing darkness and deaths because he values a man’s free will of resistant and overcome. Through his novels, the writer deals with a fierce struggles of characters to lift darkness and to procced toword light. In this thesis, I study how Han Seung-won embodies the shadows which consist of his original experiences and how he overcoms it in his later works. This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review his whole life and his works in diachronic point of view.

      • KCI등재

        현대문학 : 한승원의 원체험과 소설화 과정 고찰

        정미경 ( Mi Gyeong Jeong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한승원은 가부장적인 엄부를 두려워하고 물웅덩이에 빠져 죽을 뻔하던 자신의 원체험을 작품 속에 형상화했다. 작가의 작품들에서 모순적 존재로 서의 아버지와의 갈등·립은 화해하려고 해도 화해되지 않는 관계로 그려 지며 이는 곧 민족의 삶과 역사, 우주적 갈등·대립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혼자 물놀이를 하다가 죽을 뻔했던 어릴 때의 물과 죽음에 한 공포는 작가 의 소설화 과정 속에서 현실 상에 한 극복의 의지로 작용하다. 작가를 지배한 모순적 존재인 아버지와 물 무섬증은 그로 하여금 평생 소설을 쓰도 록 하는 화두로 작용했다. 이러한 원체험은 작가의 삶에서 어둠, 즉 그림자로 작용했고 작가는 그것을 소설을 통해 빛으로 끌어올리고자 하다. 따라서 한승원의 소설 쓰기는 어둠을 감지하고 그것을 빛으로 승화시키고자 하는 끊임없는 시도다. 작가는 자신에게 드리워진 그림자의 어두운 면과 파괴적인 면을 직시하여 빛과 창조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으며 개인의 삶에 서 점차 사회 역사 우주로 확장시켜 나갔다. 엄부 아래서 성장했던 한승원의 무의식 속에는 아버지가 없었으면 좋겠다 는 생각과 보호막으로서 인정받고 싶다는 생각이 동시에 싹트고 있었다. 작 가는 비록 드러내놓고 저항을 하지는 못했지만 소설을 통해 아버지와의 관 계를 모색하다. 한승원은 엄부의 모습에서 점차 모순된 존재로서의 무력 함을 인식하면서 이에 저항하고 극복해 나갔다. 작가는 이후의 작품에서 립적인 입장에 놓인 아버지와 아들이 끊임없이 갈등·립하는 것을 형상화 하는데 그 중심에는 ‘아버지 찾기’와 ‘아버지 극복하기’의 딜레마가 깊이 스 며들어 있다. 인간은 모순된 존재로 아버지의 보호를 받고 싶다는 측면과 그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고 싶다는 측면을 동시에 지니는데 작가는 이러한 양식이 인간의 억눌림과 자유의 문제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여기서 아버지 찾기는 한걸음 다른 쪽으로 나아가는데 작가는 이 단계에서 아버지 찾기를 사회 역사와 연관시켰다. 우리 사회와 역사가 올바른 쪽으로 나아가고 있느 냐의 여부를 탐색했던 것이다. 한승원은 어린 시절 물에 빠져 죽을 뻔하던 체험과 청년시절 생계유지 를 위한 바다 체험을 통해 물과 바다가 지닌 양면성을 인식하다. 바다는 그의 전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데 바다가 지닌 양면성의 세계에서 작가는 체로 삶보다는 죽음에, 원초적 생명력보다는 동물적 잔인성과 폭력성에 더욱 큰 비중을 두었다. 전쟁이나 산업화에 따른 폐해, 혹은 본능적 충동에 의한 파괴적 행동 등 어둠과 죽음이 전체적 배경으로 깔리는 것은 작가가 드러내 고자 하는 주제 혹은 의도의 측면에서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그가 어둠과 죽음을 작품 전면에 드러내는 것은 그에 항하는 인간의 극복의지 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어둠의 상황에 놓인 주인공들의 빛으로 나아가기 위한 처절한 몸부림을 다룬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원체험을 이루는 요소들에 내재해 있는 그림자들이 작 품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으며 그것이 이후의 작품에서 어떤 식으로 극 복되어 나아가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이후 통시적 차원에서 그의 전 생애와 작품 세계를 조명하는 데 있어 새로운 해석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To his works, Han Seung-won projected his original experiences as a child who being almost drowned in water and a boy afraid of his strict father. In his works, conflict and confrontation with a contradictory father is depicted as a irreconcilable one and later these conflict and confrontation are expanded to life and history of Korean people and even to universe. When he was a child, he almost being drown while dabbling in water alone and this momory planted fear of water and death which becomes the drive force of overcomeing in his novelization. The contradictory father and hydrophobia which dominated the writer became key phrase which made him write novels for his whole life. These original experiences worked as darkness and shadow in his life and he tired to make the original experiences as a lunimous one through his novel writing. To Han Seung-won, novel writing is an endless attempt to sense darkness and sublimate it to light. The writer tries to move toward the world of light and creation by facing darkness of the shadow and destructive side in himself, and gradually expanded it from a personal life to society, history, and the universe. Han Seung-won who was raised by a strict father, had two ‘I’ in his subconsiousness. The first one who denying his father did not want a father and the other one admitting his father for protection expected the recongnition from his father. Instead of a apparent resistance, the writer seeks a wa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with his father trough his novels. Gradually, Han Seung-won realizes that the strict father is a contrditory weak being and he resisits and overcomes it. In his later works, the writer shows constant conflict and confrontation between a father and a son feuding with each other. In the centre of this relationsihpm, ther is a dilemma between ‘finding father’ and ‘overcoming father’. The writer considers a man as a contradictory being which wants protection by his own father and at the same time, he also want to set himself free from his father’s authority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oppression and freedom of a man. In next step, the writer connects ‘finding father’ with society and history. The writer investigates if our society and history is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Han Seung-won reconized the ambilaterality of water and sea through his expereince of drowning in childhood and working-class youngster who tried to both ends meet. The ‘sea’ is a consistant major material in all his novels, and in the ambilterality of the sea, he put more weight on ‘death, animal brutality and violence’ than ‘life and primitive life force’. Darkness and deaths such as the evil of a war or industrialization and destructive behavior led by instintive impulse are presented as a background in his novels and we can consider this is closely connected to a subject or an intention which the writer wants to show us. The writer showing darkness and deaths because he values a man’s free will of resistant and overcome. Through his novels, the writer deals with a fierce struggles of characters to lift darkness and to procced toword light. In this thesis, I study how Han Seung-won embodies the shadows which consist of his original experiences and how he overcoms it in his later works. This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review his whole life and his works in diachronic point of view.

      • KCI등재

        전선(戰線)의 여성 시인 - ‘적치 하’ 모윤숙과 노천명의 원체험과 시적 재현 양상

        박연희 한국문학연구학회 2023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81

        전후 시문학의 문제성을 다각도로 드러내기 위해서는 시인의 이념적, 시문학사적 정체성이 재구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쟁점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은 한국전쟁의 문학사적 의미와 내셔널리즘의 인적, 이념적 장치를 충분히 고려하면서 소위 ‘적치 하’에 잔류 및 부역했던 모윤숙과 노천명의 수기, 시문학, 수필 등에 나타난 체험의 회고와 형상화 양상의 편차를 살핀 글이다. 두 시인은 잔류 체험을 재현하더라도 그와 인접한 이미지들을 가공해 주제화하는 가운데 원초적인 체험에 대한 자기 서사의 논리를 마련한다. 따라서, 『풍랑』(1951)과 『별을 쳐다보며』(1953)을 중심으로 두 시인의 전쟁 체험의 구술성과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그와 중첩된 시적 재현 방식을 논구했다. 가령, 모윤숙의 원체험은 비국민(Non-national)에 해당하는 낙오자의 잔류 표상이 아닌 상당한 변형을 통해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와 같이 애국전사의 표상으로 가공되고, 이를 매개하여 내셔널리즘의 이념적 태도와 정념에 상응하는 천체 이미지를 획득한 나머지 그는 한국전쟁의 최전선에 서 있는 자기 서사를 마련한다. 체험에 인접한 모윤숙의 천체 이미지는 잔류의 내러티브를 국가, 자유, 반공의 이미지로 더욱 또렷하게 나타낸다. 이에 반해 노천명의 「이름없는 여인 되어」는 수감 생활을 전경화하기보다 부역자 사건의 연상작용에 따라 유명인-부역자-무명인 등으로 자기 형상을 변용시키는 데 집중된다. 이때 박넝쿨, 초가 지붕, 울타리, 부엉이 등의 자연 이미지가 ‘이름 없는 여인’의 구성물로 배치되는데, 모윤숙처럼 전쟁의 이념과 표상을 반복하기보다 오히려 그러한 표현이 불가능한 생명, 평화의 원초적 공간을 드러낸다. 이는 죄의식과 죽음의식을 극복하는 과정과 다르지 않아 비도강파를 유형화하는 명명법과 전형성에서 벗어나 한국전쟁의 기억과 전후 회복이 의미하는 바를 되새기게 한다. 요컨대 한국전쟁 원체험의 평화적 전유는 자기 체험에 대한 시학적·비평적 고투의 산물이었음을 확인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것은 센티멘탈리즘의 과잉과 절제의 양상으로 이해되어온 여성시의 문학사적 관점 너머에서 재독 가능한 일이다. Focusing on 『풍랑 (1951) 』and 『별을 쳐다보며』(1953), this paper discusses the oral and ideological issues of the two poets' war experiences and their overlapping poetic representations. For example, Mo Yun-sook’s original experience is not a residual representation of the non-national, but through a significant transformation, it is processed into a representation of a patriotic warrior, such as in 「Korean soldiers speak in death」, and through this mediation, he acquires a celesti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ideological attitudes and sentiments of nationalism, and then prepares a self-narrative in which he stands on the front line of the Korean War. Adjacent to the experience, Mo’s celestial images further clarify the narrative of residuals as images of nation, freedom, and anti-communism. On the other hand, Noh Cheon-myung’s “Becoming a Nameless Woman” does not foreground her imprisonment, but concentrates on transforming her self-image into a celebrity, a traitor, and a nameless person according to the associations of the traitor case. At this time, natural images such as gourds, thatched roofs, fences, and owls are placed in the composition of 'Nameless Woman,’ which, rather than repeating the ideology and representation of war like Mo Yun-sook, reveals the primal space of life and peace where such representation is impossible. This is not unlike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consciousness of guilt and death, which breaks away from the nomenclature and archetypes that typify the Non-Evacuation, and reminds us of the memory of the Korean War and the meaning of post-war recovery.

      • KCI등재

        박경리 초기소설에 나타난 주체화양상 연구

        김예니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7 No.-

        In terms of feminine writing, I will investigate the feministic success of Park Kyung-ri’s novels by studying what the memory of denial means to female characters in Park kung-ri’s early novels and how they overcome the memory of denial. Female characters in Park kung-ri’s early novels do not have fathers. In this situation, their family consists of a mother and daughter in their childhood. The image of their fathers is negative or is not appeared. Because their mothers shows just maternal instinct without femininity, or they are dominated by neighbor’s disdain, the female characters can not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mothers. The female characters in Park Kyung-ri’s early novels have a difficulty psychologically individualizing for building up their basic identify. And the memory of denial becomes escaping home due to rumors in hometown such as honor killing. The female characters choose to escape their community which blames women about a love affair by unfair standard to women, even though men and women do that together. Female characters who cannot join the community are forced out on autistic situation, they can choose only to escape their home for keeping their lives. Lastly, the memory of denial in Park Kyung-ri’s early novels is a double torture. One is they feel they are sexual object as a matriarch, another is a poverty. The female characters seem to accept their situation for keeping their lives because they are living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which considers female characters as a sexual object. But they deny to be a part of that society. They cannot accept patriarchal order and androcentric sexuality. It is not a simple matter of right and wrong. The female characters autonomously choose it for the way to live, not the way to be. I think this point can make people to estimate the feministic value of Park Kyung-ri’s early novel. Also, it implies that Park Kyung-ri’s female characters will deny dichotomous view of woman and have uncompromising attitudes against patriarchal system by showing their subjectivation. 여성적 글쓰기(feminine writing) 관점에서 박경리 초기단편소설 속에 나타난 부인(否認)의 원체험이 여성인물에게 어떤 의미이며 이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살펴 박경리 소설의 여성주의적 성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박경리 초기단편소설 속 여성인물들은 아버지가 부재한 상황이다. 아버지가 없는 상황에서 어머니와 딸로 이뤄진 가정에서 유년을 보낸다. 아버지의 모습은 아예 없거나 무척 부정적인 모습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어머니는 여성성이 제거된 모성만 존재하는 인물로 그려지거나 주변의 멸시에 굴종하는 삶을 산 여인으로 제시되어 여성인물은 어머니를 동일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렇듯 박경리 초기단편소설 속 여성인물은 자신의 기본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심리적 개별화의 어려움을 겪는다. 그리고 제시된 부인(否認)의 원체험은 명예살인에 준하는 고향 내 소문과 이로 인한 탈향이라 할 수 있다. 남녀에게 공히 함께 일어난 연애사건에 대해 여성에게 더욱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며 비난하는 마을 공동체에서 여성인물은 탈향을 선택한다. 연대의 시선을 거부당한 여성인물은 자폐적인 상황으로 내몰리고 그녀가 살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탈향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박경리 초기소설 속 부인(否認)의 원체험으로는 여성가장으로서 느끼는 성적 대상화와 가난이라는 이중고라 할 수 있다. 자신을 성적 대상화 하는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이를 감내해야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에서도 여성인물들은 이를 거부한다. 가부장적 질서와 남성중심적 섹슈얼리티를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 ‘있는 것이 아닌’ ‘살기 위한’ 방법으로 여성인물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것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박경리 초기소설이 갖는 여성주의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후 박경리의 작품 속에서 여성인물들이 보여줄 주체화양상이 가부장제에 비타협적이며 이분법적 여성관을 거부할 것임을 예고한다.

      • KCI등재

        새터민의 이방성 이해 -소통을 위한 문화담론을 찾아서

        노귀남 한국여성철학회 2012 한국여성철학 Vol.17 No.-

        이 논문은 새터민과 소통 문제를 주요하게 다룬다. 새터민은 북한-중국-남한 등 여러 이동경로를 거치면서, 새로운 문화를 경험하게 되는 다중문화체험자이다. 새터민은 이주민으로서, 우리와 단절되어 있는 북한사회에서 오는문화적 이방성과도 소통해야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그래서 여기서는 새로운 문화담론인 <변경문화담론>으로 새터민의 이방성을 이해하려고 한다. 그것은 새터민 주체와 연관된 지리적 이해를 확장하여, 접경지역을 문화담론으로 전환시키는 작업이다. 동시에, 분단에 의한 단절에서온 소통 불능의‘문화적 결손’을 새터민을 통해 역으로 치유하게 할 수 있다. 첫째, 새터민 문제는 북한사람과 남한사람을 담론 속으로 들어오게 매개한다. 둘째, 지리적으로 접경지역을 매개시켜 북한-중국-남한의 경계를 넘어서는소통공간의 확장이 가능해진다. 그것은 분단문화 전환을 함축하는 문화 체험과유사하다. 여기서는 남북한 사이의 문화적 이질성 또는 이방성을 아는 것으로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의 실제적 대상인 현실과 사람을 담론 속에 끌어들이는 하나의 소통 전략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해진다. 이처럼 변경을 텍스트로 하여 새터민의 이방성을 추적해 가는 작업은 새터민의 원체험사회‘북한’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도 된다. 새터민 이해는 북한을 빼고 알 수 없다. 또한 새터민 주체는 남북관계 속의 지속적인 행위 주체임을 주목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사례는, 새터민의 원체험문화의 전형성을 접경지역에서 볼 수 있는 삶의 현장에서 찾아냄으로써, 그 전형성을 통해 새로운문화와 접촉, 충격, 변화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담론은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중시하며, 그 과정 속의 주체, 대상으로서의 현실, 실천행위 등 세 측면을 포괄하는 진행형의 언술 집합체 개념이다. 다시 말해 변경문화담론은 어떤 실천행태를 띰으로써, 그 담론이 이야기로 끝나지 않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의 관계를 장악하는 행위까지 포함한다는 말이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의 체험 변용 연구

        윤의섭(Youn Eui-Soup)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18

        This paper covers transformation system of experience. In addition, it intends to find out that primal experience affects and indirectly acts in a poet's poetry creating process, through which the paper views a principle of creating poetry and further examines the existence of experience of modem poetry. Experience transforms through memories with sense of time, interference of subject, and will for poetic recreation. Reaction to certain experience subject and exclusion, enhancement and interest in experience are also important variables; such experience transformation does not occur in specific order but simultaneously. Especially strong reaction to experience functions as a continuous transformation factor on experience. Such experience transformation process is associated with will to obtain ego identity. Such will is a motive to lead experience transformation. Primal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affects and interferes poetry even if it were not directly associated. primal experience therefore generates strong reaction associated with subject, which can also be found in other poetry by a poet in a way of continuous transformation. primal experience exists as a potential subject. Such primal experience does not simply act but according to the poet's intention and inclination. This is because primal experience does not simply stay in the level of subject matter but largely affects formation of a poet's world view and obtain ego identity.

      • KCI등재후보

        시천주 조화정: 신앙과 치유의 원리

        김용해 동학학회 2009 동학학보 Vol.17 No.-

        We can in general define religion as acts and endeavors to be conscious of the differences between human being and God or the Absolute at one hand, and at the other hand to unite both again. Is the essential act of religion, namely the act of faith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healing and completement of the individual? How does the faith of the individual influence the redemption of the society? This article is aimed to find out the principles of faith and healing, and the relation of both in the religious experience of Su-un, Choe Jae-u and his crucial teachings. First of all I analyze the experience of God which forms his core thought, Thongguiilche(All things are originated from the One) and two modes of expression of this archtype-experience, namely amulet and reciting prayer. And then I interpret the inner relations between both forms. Through this work we can understand that the pairs of concepts, faith and social justice, individual completement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healing of the individual and social redemption are not divided into two, but just two sides of the One. 종교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신(절대자 또는 절대지평)과의 차이를 자각하고 다시 신(또는 절대지평)과 재일치하려고 정성을 다하는 노력과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종교의 본질적 행위, 즉 절대지평으로 향하는 자기초월적 신앙행위는 개인의 치유, 개인의 완성에 필연적 조건인가? 더 나아가 이 신앙행위는 사회구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수운 최제우의 종교경험과 그의 핵심적 가르침에서 신앙과 치유의 원리는 무엇이고 이 양자는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살피는 것이 논문의 동기이다. 논문에서는 무엇보다 수운 사상의 핵심인 동귀일체가 나오게 된 1860년의 한울님 체험, 이 체험의 두 가지 형식의 표현인 영부와 주문을 분석하고 그 관계를 해석한다. 이를 통해 신앙과 사회정의, 개인의 수양과 공동체의 발전, 개인의 치유와 사회구제가 각각 분리된 영역으로 존재하지 않고 동귀일체의 양면일 뿐이라는 가르침을 이해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