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주공간에서의 무기배치와 사용의 법적 지위

        신홍균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2 No.2

        The protection of space asset has been new major cause of space militarization. For such purpose, it has been officially announced that a policy of deterring and denying any adversaries from accessing the outer space. Space militarization is to be conversed into a new concept of space weaponization. The USA has announced its policy of space weaponization, while China and Russia have not revealed their plan or policy. Latter States, however, have proposed a draft treaty limiting the deployment of warfare in the outer space. The terms of the Outer Space Treaty, reflecting three significant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s from the 1960s, support the position that ground rules must be observed in the exploration and the use of outer space, particularly in the absence of specific space law rules. Yet the combination (and culmination) of these two approaches to the legal regulation of outer space—specific rules as and when agre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translation of principles developed for terrestrial regulation to outer space—still leaves much room for uncertainty and exploitation for military and strategic purposes. As space weaponization may contribute to deterring the use of weapon, it may be not against the UN Charter Article 2(4). If space weaponization might generate the space debris such that the outer space is no more available for exploration and use, it is against the proportionality principle and discrimination principle enshrined in the laws of the war. But, if the limitation upon the kind and use of space weaponization is agreed among the States, then the space weaponization may not be against the laws of the war, and be considered permissible within the rationale of limited war.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우주자산의 보호가 우주공간의 군사적 이용의 정당성 논거로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미국의 경우, 우주자산의 보호를 위해서는 적대적 세력의 공격에 대한 방어만이 아니라 대응하고 차단해야한다는 정책이 공식화되었다. 이에 우주의 군사적 이용이 평화적 목적을 위한 정찰이나 통신만이 아니라 적대적 세력의 우주자산의 파괴 등의 공격적 목적을 위한 이용으로 바뀌고 있다. 우주공간에서의 공격을 상정하는 무기배치와 사용은 일방에 의한 공격만이 아니라 상대방 교전 당사자의 대응을 전제로 한다. 중국과 러시아는 UN 등에서의 국제적 논의를 통해서 우주공간에 무기의 배치를 통제하려는 노력으로 대응하고 있다. UN헌장에 따른 무력사용의 금지의 측면에서 살펴 볼 때에, 우주공간에 무기의 배치는 무기의 사용 이전에 무력사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당한 무력의 위협이 아닐 수 있다. 우주공간에서의 전투는 공역에서의 전투의 단순한 연장이 아니라는 점에서 전쟁법 규범의 시각에서 공역에서의 전투와 다르다. 지상에서의 전투에 사용되는 하나의 공간으로서의 공역이 이해되고 공역에서의 전투에 대한 규율 논리가 인정되어 왔다면, 우주공간은 그렇지 않다. 또한 우주공간에서의 전투는 전투원이 현장에 없을 뿐만 아니라 실제 전장에서 상당히 멀리 위치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래서 기존의 전쟁법 규범의 패러다임만으로는 규율하기에 부족하다. 우주공간에서의 전투는 상대방이 위치한 공간만을 황폐화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우주 폐기물 문제가 그것이다. 제한전쟁론의 측면에서 볼 때에, 우주공간에서의 전투를 과거 중세유럽에서의 single war와 같이 부수적 피해가 크지 않으므로, 그런 의미에서의 제한전쟁으로 수행하는 경우이다. 이는 우주공간에서의 전쟁의 결과에 교전국이 지상전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승복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가 ”허용되는 중간상태“에 가장 가까운 형태라고 판단된다. 이 경우에도 비례의 원칙 및 무차별금지원칙을 위반한다면, 위법한 전쟁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우주공간에서의 무기 배치와 사용의 법적 지위는 국가들의 정책 변화와 무기체계의 발전에 따라서 국가들이 어떻게 제한할 것인가에 관한 합의에 따라 결정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우주시대의 과학소설 - 1970년대 아동전집 SF를 중심으로

        최애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0 No.-

        Science Fiction of the collections for children had served as the path to bring in science fiction from the 1960's to the 1980's. Science Fiction had been wasteland in this unexplored field. Science Fiction of the collections for children changed SF of the United Kingdom represented by H.G. Wells into SF of the United States represented by Robert Anson Heinlein. Space science was emphasized in the age of space race, and Space opera was opened in the field of science fiction in the 1970's. SF in our country had reflected the desire to join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through SF in the Unites States. The first volume of the collections of Science Fiction for children in the 1970's was composed by SF authors in the United States like Heinlein, Isaac Aaimov, E.E.Smith, Robert Silverberg ahead of H.G.Wells. 과학소설이란 용어는 이미 「과학소설 비행선」처럼 식민지시기부터 있어 왔다. SF의 고전이라 일컬어지는 쥘 베른과 H.G.웰즈의 작품은 식민지시기부터 번역되었으며, 2010년에야 완역된 도롱뇽과의 전쟁의 작가 차페크도 1920년대 박영희가 「인조인간」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했었다. 그러나 식민지시기에 성인대상으로번역되었던 과학소설은 해방 이후가 되면서 국내에서는 ‘아동의 전유물’인 것처럼인식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소년소녀 세계문학전집, 소년소녀 공상과학전집, 소년소녀 과학모험전집 등 ‘소년소녀용 전집’ 형태로 출간되고 번역되기 시작한 과학소설은 국내에서는 1990년대까지도 거의 대개가 아동용으로 출판되고 있었고,1990년대 이후에야 완역본들이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1970, 1980년대까지 국내독자가 읽었던 SF는 대부분 아동전집을 통해서이다. 1960년대까지 과학잡지를 통해서 간간이 소개되던 SF는 1970년대 들어서면서 소년소녀 과학모험소설전집이나 과학소설전집들이 간행되어 SF라는 낯선 장르가 정착하게 되었다. 따라서1970년대 소년소녀 과학소설전집은 국내에 SF를 가져오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1970년대 국내 아동전집 SF는 웰즈의 우주인이 침입해서 인류가 멸망할지도모른다는 과학에 대한 공포보다는 진보․발전에 대한 욕망을 담아내고 있다. 과학이 진보하여 ‘우주시대’가 열리고, 좁은 지구에서 땅따먹기를 하던 제국들은 이제지구 밖 ‘우주’로 관심을 확장하기에 이르렀다. 우주개발, 우주정복, 우주전쟁, 우주식민지, 화성 탐험대, 우주선, 별나라, 혹성, 은하계, 은하방위군 등의 용어가 만연됨에 따라, ‘우주’ 관련 소재가 SF전집에서 우위를 점유하게 되었다. 1970년대 아동전집SF에 담긴 미국의 과학신화는 소련과의 경쟁에서 이기고 싶은 미국의 욕망이 담긴 한편, 미국의 성공신화를 쫓아가고픈 우리의 욕망도 배어 있다. 3차 교육과정 개정의 목표에 ‘국가발전’을 위한 목표가 크게 부각되는데, 이는 미국을 쫓아가는 것이 국가발전을 이룩하고 후진국에서 탈피하여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는것이라 믿었기 때문이다. 과학소설전집의 해설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쥘 베른과 웰즈는 오히려 과학소설전집에서는 부각되지 않는다. 과학소설전집에서 쥘 베른과 웰즈의 뒤를 이어새롭게 부상하는 인물은 하인라인과 아시모프이다. 세계아동문학전집의 구성이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의 순으로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의 수순을 따른다면, 과학전집은 미국 작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각 전집의 1권이 ‘미국’이다. 그야말로 미국의 선진국화를 모델로 삼고자 하는 발전, 선진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고스란히 담지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SF만화에 나타난 냉전 시대의 공포 1960년대 초, 우주 소재 SF만화를 중심으로

        서은영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2 애니메이션연구 Vol.18 No.3

        이 글은 1952년부터 1967년까지를 한국의 초기 SF만화로 구분하고, ‘우주’를 소재로 한 작품에서 드러나는 냉전시대의 디스토피아적 전망과 위기의식을 고찰했다. 이 글은 그동안 언급되지 않았던 한국 초기SF만화사를 기술하고, 새로운 영역에서 해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1960년부터 1967년까지의 현존하는 SF만화의 작품목록을 작성하고, 왕현의 『저 별을 쏘라』, 『인간의 최후』, 박현석의 『감마박사』(이상, 1960), 신동우의 『싸워라 지구함대』(1962), 박기당의 『유성인 가우스』(1965)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1945 년 원자탄 투하로 세계는 전쟁종식과 함께 미소냉전이라는 새로운 질서로 재편되었다. 원자탄의 위력과 미소 강대국 간의 군비경쟁은 제3차 세계대전의 공포와 위기로 확산되었다.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 성공은핵과 우주라는 이중의 가능성이자 공포로 전 세계를 쇼크에 빠뜨렸다. 1960년대 초, 우주 소재 SF만화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미소냉전의 세계질서는 핵ᐨ우주 디스토피아의 ‘우주적 악몽’과 경험적 전쟁의 유비로서의 우주전이었다. 이 시기의 SF만화는 이러한 냉전시대를 우주개척, 우주식민지, 우주전쟁과 지구침공의 요충지가대한민국이 될 것이라는 재난적 상상력으로 그려냈다. 이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이 아닌 현실이었던한국전쟁의 기억을 환기시키는 방식으로 작동됐다. 미소냉전체제의 세계질서를 자기서사화함으로써 되살아난위기의식이었다. 또한 대한민국이 우주전쟁의 최후의 방어선이 될 것이라는 재난적 상상력의 순간은 한국전쟁직후의 세계인식과 맞닿아 있었다.

      • KCI등재

        우주전과 전쟁법

        조홍제(Cho Hong-Je)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6 No.-

        구 소련의 Sputnik 1호 발사 이후 인류의 삶은 새로운 세계로 확장되었다. 우주활동을 통해 인간의 삶의 질은 향상되었고 발전되었으나 한편으로는 군사적 영역에서도 더욱 다양하게 활용됨으로써 인류에게 새로운 위협요인이 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우주의 군사화를 통해 우주자산을 선점하고 자국의 국익을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우주의 평화적 이용과 전 인류의 이익을 위해 우주에서의 군사행동 및 전쟁방지에 관한 국제법적 기준을 검토한다. This article suggests that for purposes of analysis under the law of war, space combat will be sui generis-fundamentallv different from combat in terrestrial airspace. I examine the intersection of two subsets of public international law as they bear on space warfare: the law of war and the law of outer space. This article consider international law applicable to space warfare and examines the five multilateral space treaties comprising the corpus juris spatialis, and highlights key passages of relevance to space warfare. We applies the legal regime governing 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to space warfare.

      • KCI등재
      • KCI등재

        1960년대 과학소설의 팽창주의 욕망과 남성성

        장수경(Jang Suky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이 글은 1960년대 한낙원의 『우주항로』와 『금성탐험대』를 중심으로 당대 아동청소년을 위한 과학 소설에서 남성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이미지를 형성하였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1950-60년대는 미소냉전 체제를 중심으로 우주 개척에 대한 열광, 유행, 최면(催眠)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들의 욕망이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과 잡지 등의 인쇄 매체에서 과학소설의 형식으로 유통, 소비되었다. 아동청소년을 위해 창작된 과학소설에서는 우주개척에 대한 팽창주의 욕망이 발동하면서 두 가지 서사적 특징이 드러난다. 첫째, 과학소설에서는 팽창주의 욕망과 소년영웅의 귀환을 통해 강인한 남성성을 재구축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과거 제국주의적인 남성성의 문화가 병사와 영웅의 이미지로 남성성의 문화를 구성했다면, 1950년대 후반에는 전쟁의 폐해로 인해 남성성이 위축되면서 병사와 희생자(불구자)의 이미지로 변모하였다. 그런데 1960년대로 오면 과학소설을 통해 소년영웅이 귀환하고 팽창주의 욕망이 드러난다. 다만 모험의 장소가 지구에서 우주(화성과 금성)으로 공간을 이동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불완전한 타자들과의 분리를 통해 완전한 남성성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남성중심의 문화를 강화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과학소설에서 여성은 통신원과 같은 부차적인 인물로만 기능하며, 이들은 외계인(敵)에게 갇힌 몸이 되거나 우주선에서 기다리는 역할을 하는 수동적인 여성상으로 존재한다. 특히 여성인물들은 적에게 납치되어 남성들이 여성을 구출하기 위해 적진까지 침입하는데 죽음을 각오한 투쟁을 통해 지도자적 남성성이 강조된다. 또한 외계인은 위대한 문명을 건설했음에도 불구하고 ‘늙은 개구리’나 디즈니에 나오는 ‘오리’ 같은 우스꽝스럽고 징그러운 동물적인 이미지로 비하된다. 이는 고결한 남성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여성과 외계인을 타자화한 것이다. 1960년대 급속한 산업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강한 남성성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팽배하였다. 이는 과학소설에서 우주에 대한 팽창주의 욕망과 함께 강인하고 완전한 남성성을 문화적으로 이미지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an Nak-won’s 『Woojuhangro』and 『Geumseongtamheomdae』to see how the aspects of masculinity were constructed culturally in children’s science novels of the time and how they formed images then. In the 1950’s to 60’s when there was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 public’s desire that could be summed up as enthusiasm, trends, and hypnosis about pioneering the universe was distributed and consumed in the forms of SF through newspaper or magazine’s articles, movies, the television, radio, or printed media. As children’s SF narratives triggered expansionistic desire about pioneering the universe, two narrative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then. First, with expansionistic desire and the boy hero’s return, they tried to reestablish powerful masculinity culturally. Previously, the imperialistic culture of masculinity constructed the culture of masculinity with the images of solders and heroes, but the 1960’s, masculinity got withered due to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war, and their images were changed to solders and the handicapped. In the 1960’s, however, boy heroes returned through SF novels, which revealed expansionistic desire. Yet, it was just about the change of places for adventure from the Earth to the universe, for example, the Mars and Venus. Second, through separation from incomplete others, they tried to establish the perfect image of masculinity and reinforce male-oriented culture. In SF novels, women function as an auxiliary character like a correspondent and exist as a passive female image playing roles as a being either trapped by alien enemies or just waiting in the spaceship. Particularly, when the female characters are kidnapped by the enemies, men penetrate deep into the enemy’s position to save them, and here, through their struggle in spite of death, their masculinity as a leader is highlighted. Also, although they have achieved great civilization, aliens are depicted there as either ridiculous or gross animal images, for instance, ‘an old frog’ or ‘a duck’ in Disney. This is to stress the nobility of masculinity by describing the images of women and aliens as others contrastively. As examined above, in the 1960’s, there was an overflowing social atmosphere demanding powerful masculinity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as rapidly as possible. In fact, SF narratives contributed to creating the images of expansionistic desire towards the universe as well as complete and powerful masculinity culturally then.

      • KCI등재

        한국 소년SF영화와 냉전 서사의 두 방식 -<대괴수 용가리>와 <우주괴인 왕마귀>의 개작 과정 연구

        송효정 ( Hyo-joung So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3

        한국 SF영화는 그 특성이나 장르적 발전단계에서 독자적인 장르형성에 실패했다고 평가받아왔다. 하지만 B급 영화들까지 한국영화사의 자료로 참고하는 동시에 그동안 주변 장르들(호러영화, 괴수영화)로 분류되던 영화들의 소재 특성을 감안할 때 한국적 SF영화로 분류 가능한 일련의 영화들을 선별해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주목할 만한 시기는 1960년대이다. <투명인의 최후>(이창근, 1960) 이래1960년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과학적 상상력’이 영화의 주된 소재로 등장하는 일련의 SF영화들이 등장했다. 그 첫 번째 하위 장르는 한국형 고딕SF영화이고 두번째 경향은 이 글에서 다루는 소년 SF영화다. 두 편에 그치기 때문에 하위 장르로서의 대표성이 부족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소년SF영화에 주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의 주인공으로 ‘소년’이 등장한다는 한국형 소년 모험의 서사적 전통을 잇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냉전시대의 불안과 갈등, 평화에 대한 열망이 착종적인 방식으로 영화 내에 반영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수도의 상징공간의 지리적 상상력과 결합되어 있다. 셋째, 미소 우주경쟁시대에 제작된 만큼 우주적 상상력이 군사적 상상력과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넷째, 동시대‘고딕SF’와 상반되게 과학에 대한 유토피아적 열망과 기대가 담겨 있다. 영화는 좋은 과학(국방 과학)과 나쁜 과학(핵 과학)을 나누고, 결국에는 좋은 과학의 이데올로기적 승리를 옹호하였다. 영화 <우주괴인 왕마귀>와 <대괴수 용가리>는 한국 SF영화사에서 특이한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은 가족영화, 오락영화, 괴수영화의 틀을 넘어서 냉전기국제질서가 응축된 분단국가인 한반도의 특이성을 증후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우주경쟁과 핵무기 견제를 통해 과열되던 냉전의 논리는 두 편의 영화 속에 주된 갈등의 축으로 등장한다. ‘과학’은 미래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각 진영의 주요한 가치였다. 두 작품이 만들어진 1967년도는 박정희 정권의 과학의 현대화 과정이 진행되는 동시에 ‘과학적 애국주의’가 유포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두 편의 소년SF 영화는 실제 오리지널 시나리오에 비해 상당 부분 개작이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1967년은 전해 개정된 2차 <영화법>이 시행되던 시기였다. 2차 <영화법>의 핵심은 검열의 법정화에 있었으며, 이로 인해 2중 3중의 감열 관행이 이후 지속되게 되었다. 두 편의 작품은 시나리오 단계에서 기획될 때는 대중적인 오락영화로서의 고려와 함께 냉전기 국제질서와 평화, 전쟁을 바라보는 입장을 대조적으로 반영하고 있었다. UN으로 대변되는 국제질서 하에서 전 인류의 공조와 보편적 평화주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던 <우주괴인 왕마귀>는 시나리오 각색의 과정을 거쳐 주제의 범위가 외계에서 온 괴물에 대한 반응으로 축소되었다. 한편 냉전기 동서진영의 갈등과 첩보전, 이념대립을 노골적으로 그려낸 <대괴수 용가리>의 오리지널시나리오는 국제적 양식의 오락영화로 각색되면서 스토리에 내재되었던 악의와 갈등의 소지가 완화되고 오히려 괴물에 대한 양가적이고도 모호한 감정을 개입시켜 내러티브에 일종의 균열을 일으키기도 했다. 두 영화는 ‘괴수’라는 환상적 존재에 대한 사회적 공포를 영화의 주된 효과로 활용하면서 냉전시대의 공포에 대한 자기반영적 비판의 여지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문제적이었다. 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see that Korean SF films has been forming its own genre. But obviously there were a series of films classified as SF in Korea film history. In this regard it is worth noting the time in the 1960s. From 1960 until the early 1970s, scientific imagination was the main driver of certain films. The first is the Korean “Gothic SF” films, and the second trend is the “Boy SF” films. The special shooting Giant monster appeared in Boy SF films. Among them the only two “Boy SF films” were as follow; <Space Monster Wangmagwi>, <Great Monster Yongary> in 1967. Particularly scientific developments meant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capability in these films. Because of censorship, both films have undergon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cenario steps. This study concerned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scenario and the film. Just because the two works, it is asking too much that they were the typical Boy SF films in Korea. Nevertheless, they had a historical, geopolitical, semantic meanings. First, the film``s protagonist was resourceful boy. This is a traditional feature of Korean boy adventure story since 『Adventures of a Ddolddoli』(1936). The boys confronted the Giant Monsters and at the same time felt sympathy for them. Second, there was anxiety of the Cold War intertwined with desire for World peace under UN System. DMZ and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Seoul) were destroyed by the Giant Monsters. Thirdly, these works reflected nuclear terror and the space race of the Cold War era. Finally, they shared the Good Science(science on national defense) and Bad Science(nuclear science) and finally advocated the victory of Good Science.

      • KCI등재

        우크라이나 전쟁과 미래전: 인도-태평양 지역 및 한반도에 대한 함의

        설인효 ( Seol Inhyo ),배학영 ( Bae Hackyou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3 국방연구 Vol.66 No.2

        미래전은 정보화전에서 지능화전으로 그 양상이 변모할 것이다. 전쟁의 본질은 체계의 대결에서 알고리즘의 대결로, 승리의 조건은 제정보권 달성에서 제지능권 달성으로, 수행의 주체는 인간에서 인간-기계 복합체계로, 수행방식은 네트워크 중심전에서 클라우드 중심전으로, 승리의 요체는 체계공략에서 인지공략으로 바뀔 것이다. 우크라이나전에서 드러난 미래전 양상은 다영역 작전, 사이버·정보전, 우주전, 인공지능 이용, 드론 및 무인기술의 활용, 인지전 수행의 본격화, 하이브리드전의 혼전 등 일곱 가지이다. 향후 기술발전 및 미·중 군사경쟁 양상을 고려할 때 한반도를 둘러싼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미래전 양상이 반영되며 전쟁 수행방식 및 전장 공간이 변모해 나갈 것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교훈이 작용하고 대만을 둘러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경우 이와 같은 변화가 가속적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 한미동맹 차원에서 새롭게 도입될 미래전 요소 및 양상에 유의하며 미래의 변화에 대비, 대응해야 할 것이다. The nature of future wars will transform from an information-based conflict to an intelligence-based one, and victory will depend on achieving dominance in intelligence rather than in information. The actors involved in warfare will shift from being human-centric to being human-machine composite systems. The mode of warfare will evolve from a network-centric to a cloud-centric one, and the object of attacks will change from system-based to cognition-based strategies. Seven characteristics of future wars have emerged from the conflict in Ukraine: multi-domain operations, cyber and information warfare, space warfar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drones and unmanned technologies, the intensification of cognitive warfare, and the hybridization of warfare. Given the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nature of the military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urrounding Indo-Pacific region are likely to experience various forms of future warfare, which will require the transformation of the mode of warfare and the battlefield. The lessons from the conflict in Ukraine and the escalating military tensions surrounding Taiwan suggest that such changes may accelerate. In this context, South Korea needs to be alert to the new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warfare that will be introduced through the US-South Korea alliance and prepare to respond to these changes.

      • KCI등재

        『김진옥전』의 수중전쟁담(水中戰爭譚)과 그 환상미학(幻想美學)

        신태수 ( Shin Tae-soo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6

        『김진옥전』은 환상성이 강한 고소설이다. 수중전쟁담이 『김진옥전』의 환상성을 높여주는 주된 요인이다. 수중전쟁담에서 나타나는 수중계는 지상계와 대등할 뿐 아니라 지상계와 더불어 교차적으로 배치된다. 한 마디로 말해, 수중계의 위상이 대단하다. 수중계가 아니고서는 주인공이 욕망을 구현할 수 없는 양상을 보이므로, 수중계로 인해 `욕망-성취` 구도가 형성된다고 할 만하다. `욕망-성취` 구도에는 두 개의 욕망, 즉 김진옥의 욕망과 서술자의 욕망이 들어 있다. 두 개의 욕망은 특별한 절차를 거쳐 하나가 된다. 즉, `욕망-성취` 구도가 환상적 장면을 끌어들여 삼각형 형태를 이루고. 이 삼각형 형태의 환상적 장면이 삶의 진실을 드러낸다. 환상미학 차원에서 볼 때 『김진옥전』은 두 가지의 의의를 지닌다. `反文化 지향과 인식의 새 틀 제시`와 `경계 해체와 우주론적 사유의 확장`이 그것이다. 서술자의 조종자가 작자층이라고 볼 때, 『김진옥전』 작자층이야말로 환상미학의 주체요 구현자이다. Kimjinokjeon is a classical novel with a strong element of fantasy. Its illustration depicting an underwater war enhances its fantasy further. In the illustration, the underwater world is not only equal to the terrestrial world, but also arranged, intersecting with it. In a world, the underwater world claims considerable status. Since the protagonist cannot fulfill his desire without the underwater world, it is safe to say that the underwater world forms the “desire-fulfillment” structure, which contains two desires: one of Kim Jin-ok, and the other of the narrator. Their desires converge into one through a special procedure. That is, the “desire-fulfillment” structure forms a triangular shape by introducing a fantastical scene, and the fantastical scene in a triangular shape reveals the truth of life. The novel holds its significance in two aspects from the perspective of fantastical aesthetics: “anti-cultural orientation and presentation of a new perception framework” and “dissolution of a boundary and expansion of cosmological thinking.” Given that the narrator is manipulated by the writer, the writer of Kimjinokjeon is the subject and implementer of fantastical a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