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합성 실험에서 BTB 용액의 변색에 대한 교과서 분석 및 예비 교사의 화학적 이해 조사

        윤희숙,김지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3 敎員敎育 Vol.29 No.3

        Although ‘photosynthesis of plant’ is a concept studied in the area of life science, theexperiment that identifies the gas going in and out the plant should be based on chemicalunderstanding of the change in the color of BTB solution. This study aims to find problemsand suppl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practice on 'photosynthesisexperiment'. To conduct the survey, we reviewed the contents of 8 textbooks of middle school“Science 1” of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8 textbooks of middle school “Science 2”of 7th science curriculum, and then surveyed 202 pre-service teachers with questionnaires. Theresult of the textbook review shows that the initial colors of BTB solution used in theexperiment of ‘photosynthesis’ are blue or green and the colors of BTB solution afterphotosynthesi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xtbook. And also, the chemical explanationsuggested in textbook was insufficient for chemical understanding about the color change ofBTB solution in photosynthesis. The answer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categorized by 3types; the color returns back to blue regardless of the original color of the solution(type 1),the color returns back to green(type 2), and the color returns back to the original color of thesolution(type 3). But some of type 1 cited the reason for the color change that the generationof oxygen changes the liquid property of the solution into being ‘basic’. In the meantime,some of type 2 responded that the disappearance of carbon dioxide results in being ‘neuter’without consideration of the original water property. To clarify the confusion and improve thepartial understating on the color change of BTB solu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method to make standard BTB solution to be used in photosynthesis experiment and addmore detailed explanation of the reasons why BTB solution changes its color in the textbooks. ‘식물의 광합성'은 생명 과학 영역에서 다루는 개념이지만, 실험을 통해 출입하는 기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BTB 용액의 색변화에 대한 화학적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BTB 용액을 사용한 광합성 실험에서 BTB 용액의 변색 과정과 관련하여 ’광합성' 실험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1」 교과서 8종과 『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8종을 대상으로 실험에 사용된 BTB 용액의 색변화와 이에 대한 설명을 분석하였고, 예비 교사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광합성’ 실험에 사용한 BTB 용액의 초기 색깔은 청색과 녹색 두 가지로 나타났으며, 색깔이 같은 BTB 용액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광합성 이후의 색변화에 있어서 교과서 별로 다르게 제시하고 있어 적절한 BTB 용액의 선정과 색변화를 판단하는데 혼동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BTB의 변색에 대한 교과서의 설명은 이산화탄소의 양에 따른 색을 제시하는 방식, 액성에 따른 색을 제시하는 방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나, 각 방식은 화학적 이해를 돕기에 미흡한 점이 있었다. 예비 교사들의 BTB 용액의 변색에 대한 응답은 초기 BTB 용액의 색깔이 청색이거나 녹색인 것과 상관없이 광합성 후에 청색으로 된다는 유형 1, 모두 녹색으로 돌아간다는 유형 2, 처음 사용한 BTB 용액의 색깔 즉, 청색은 청색으로 녹색은 녹색으로 돌아간다는 유형 3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들의 구체적인 변색 이유를 분석한 결과, 유형 1의 경우, 산소의 발생으로 인해 용액의 액성이 염기성이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유형 2의 경우, 초기 용액의 액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이산화탄소가 사라지면 중성이 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형별로 화학적 이해의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유형별 비율은 차이가 있었다. BTB 용액의 색변화에 대한 혼동과 불완전한 이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광합성 실험에 적합한 표준 BTB 용액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고, 교과서에서 BTB 용액의 변색 이유에 대한 화학적 설명이 추가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 FDFO을 이용한 하수의 농축

        김승건,박상환,현명택,이호원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삼투압이 낮은 용액(공급용액)과 공급용액보다 삼투압이 높은 용액(유도용액)을 각각 유입시켜 두 용액간의 삼투압 차에 의해 공급용액의 순수를 유도용액으로 이동하는 공정을 정삼투(forward osmosis)라고 하며, 특별히 비료 성분을 유도용액으로 사용하여 유도용질의 분리 없이 생산수를 비료로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삼투 공정을 FDFO(fertilizer-driven forward osmosis) 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비료를 유도용액으로 하는 정삼투 공정(FDFO)을 하수의 농축에 적용하고, 이에 대한 농축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공급용액은 하수처리장의 1차 침전지 유입수(FS-1), 1차 침전지 유출수 (FS-2)와 1차 침전지 유출수를 1μm 카드리지 필터로 여과한 여과액(FS-3)을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유도용액으로는 2 mol/L H2O의 NH4NO3, (NH4)2HPO4, KCl과 혼합비료를 사용하였으며, 혼합비료의 조성은 0.92 mol NH4NO3, 0.43 mol (NH4)2HPO4 및 0.65 mol KCl로 하여 혼합비료의 농도를 2 mol/L H2O로 하였다. 수투과선속은 운전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유도용액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투과선속 및 농축인자는 모두 FS-3 > FS-2 > FS-1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15년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에서 시행한 연구개발발사의 연구 결과임.

      • KCI등재

        일상에서 노출될 수 있는 용액에 의한 소프트콘택트렌즈파라미터 변화

        이석기,안상호,김소라,박미정 한국안광학회 2020 한국안광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aimed to survey the different types of solutions likely to be used for the daily care of soft contact lenses (hereinafter soft lenses), and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parameters of soft lenses when exposed to these fluids. Methods: The different types of solutions were surveyed in a total of 357 people. The changes in six soft lense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with wetting agen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igmentation,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refractive power, total diameter, base curve, water content, and thickness after exposure to 5 different types of solutions for 24 hours. Based on the standards of the Korea Food and Drug Safety Ministry (KFDA), the extent of changes in the parameters (outside or within the allowable range)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se changes were assessed. Resul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108 respondents (34%) kept soft lenses in solution(s) other than the multi-purpose solution (MPS). In addition, 78% of these (84/108) had experienced side-effects. The parameters of soft lenses exposed to different solu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lens material, pigmentation, and addition of a wetting agent; the changes were not consistent. The soft lenses exposed to tap water and artificial tea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parameters, and some of these changes were outside the allowable range; however, the changes in parameters of soft lenses exposed to 2 MPS and saline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he type of lens material also affected the degree of change in parameters of soft lenses when exposed to solutions; however, the addition of pigments to the material did not affect this change. Conclusions: The change in lens parameters were affected by exposure to various solutions. Therefore, an education on proper solution use should be provided to lens wearers, in order to prevent the side effects caused by wearing soft lenses with altered parameter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 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소프트렌즈) 관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용액에 대한 실태 를 조사하고, 이들 용액에 의한 파라미터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태조사는 총 357명을 대상으로 설 문하여 진행하였다. 렌즈재질, 습윤제 함유 여부, 착색 여부가 다른 6종의 소프트렌즈를 총 5종의 용액에 24시간 동 안 노출시킨 후, 각 렌즈의 굴절력, 직경, 곡률반경, 함수율,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파라미터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규격의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는지와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는가를 추가적으 로 평가하였다. 결과: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중 108명(34%)이 다목적관리용액(이하 다목적용액) 외의 용액에 소프 트렌즈를 보관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목적용액 외의 용액에 소프트렌즈를 보관해 본 경험이 있는 인원의 78%(84명)가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액에 노출시킨 소프트렌즈의 파타미터는 재질, 착색, 또는 습윤제 함유에 따라 상이하게 변화하여 일관된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즉, 수돗물과 인공눈물에 노출된 소 프트렌즈는 파라미터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기준규격의 허용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가 있었으나 2종의 다목적용액과 생리식염수에 노출된 소프트렌즈의 파라미터 변화는 크지 않았다. 한편 노출된 용 액에 따른 소프트렌즈의 파라미터 변화는 렌즈재질의 종류에 따른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동일재질 내에서 착색 여부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아 유사한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소프트렌즈가 여러 용액에 노출 되었을 때, 렌즈 변화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변화된 소프트렌즈 착용에 의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렌즈보관 시 적절한 용액 사용에 대한 교육이 착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혼합비료를 유도용액으로 사용한 정삼투의 성능 평가

        현준혁,김승건,목영선,이호원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염수와 염수보다 삼투압이 높은 용액(유도용액)을 각각 유입시켜 두 용액간의 삼투압 차에 염수 중의 순수를 유도용액으로 이동하는 공정을 정삼투 공정이라 하며, 정삼투 공정은 염수로부터 담수를 계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유도용액에서 유도물질을 분리 및 회수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비료성분을 유도용액으로 사용한 정삼투 공정은 고농도의 비료용액을 유도용액으로 사용하므로 희석된 유도용액을 별도의 분리공정 없이 액비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비료성분을 유도용액으로 사용한 정삼투 공정을 이용하는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물질로 NH<sub>4</sub>NO<sub>3</sub>, NH<sub>4</sub>H<sub>2</sub>PO<sub>4</sub>, (NH<sub>4</sub>)<sup>2</sup>HPO<sub>4</sub>, KCl, K<sub>2</sub>HPO<sub>4</sub>, KNO<sub>3</sub>, KHCO<sub>3</sub> 및 Ca(NO<sub>3</sub>)<sup>2</sup>등의 비료성분을 사용하여 일정한 비로 혼합비료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혼합비료에 대하여 수투과선속, Performance ratio, 역용질선속 및 비역용질 선속을 측정하여 각 유도용액에 대한 정삼투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산 및 알칼리 용액에 부식된 SiC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와이블 통계 해석

        안석환(Seok-Hwan Ahn),정상철(Sang-Cheol Jeong),남기우(Ki-Woo Nam) 대한기계학회 201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0 No.9

        산 및 알칼리 용액 속에 침지한 SiC 세라믹의 기계적 특성은 와이블 통계로 해석하였다. 시험편은 1373K에서 열처리를 행하였다. SiC의 부식은 KSL1607 방법에 의한 산 및 알칼리 용액 속에서 수행하였다. 부식된 균열치유재의 굽힘 강도는 부식되지 않은 균열치유재의 굽힘강도보다 산 및 알칼리 용액 속에서 각각 47% 및 70% 감소하였다. SiC 세라믹의 부식은 산 용액 속에서보다 알칼리 용액 속에서 더 빨랐다. 척도 파라미터 및 형상 파라미터는 모재와 부식재에서 평가하였다. 산 및 알칼리 용액에서 부식된 모재의 형상 파라미터는 산용액에서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열처리재는 산용액에서 크게, 알칼리 용액에서 작게 나타났다. 모재 및 열처리재의 척도 파라미터는 산 및 알칼리 용액에서 모두 작게 나타났다. A Weibull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iC ceramics was carried out by immersion in acidic and alkaline solutions. The heat treatment was carried out at 1373 K. The corrosion of SiC was carried out in acidic and alkaline solutions under KSL1607. The bending strength of corroded crack-healed specimens decreased 47% and 70% compared to those of uncorroded specimens in acidic and alkaline solutions, respectively. The corrosion of SiC ceramics is faster in alkaline solution than in acid solution. The scale and shape parameters were evaluated for the as-received and corroded materials, respectively. The shape parameter of the as-received material corroded in acidic and alkaline solutions was significantly more apparent in the acidic solution. Further, the heat-treated material was large in acidic solution but small in alkaline solution. The shape parameters of the as-received and heat-treated materials were smaller in both acidic and alkaline solutions.

      • KCI등재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가 Polyacrylamide 고흡수성 수지의 수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왕현진(Hyun Jin Wang),최종명(Jong Myung Choi),이종석(Jong Suk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상토의 보수성 증가를 위하여 혼합되는 acrylamide 계통 고흡수성 수지인 Stocksorb C(STSB)의 수분 흡수 특성,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 STSB가 침지된 외부용액속의 무기염 농도 변화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STSB의 수분 흡수량은 증류수에 침지한 경우 약 180 mLㆍg?¹ 였다. 1가의 양이온을 포함한 염인 KH₂PO₄, KNO₃ 또는 (NH₄)₂SO₄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수량이 저하되었으나 세 종류 양이온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a(NO₃)₂ㆍ4H₂O를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속에 STSB를 침지시킨 경우 수분흡수능 저하가 심하여 20 megㆍL?¹ Ca(NO₃)₂ㆍ4H₂O 용액에서 약 25 mLㆍg?¹의 수분을 흡수하였다. Mg(NO₃)₂ㆍ6H₂O나 MgSO₄ㆍ7H₂O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수분 흡수량이 심하게 저하하였고, 1가의 양이온이 포함된 염을 용해시킨 용액에서 보다 그 정도가 심하였다. 그러나 요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용액에서의 수분 흡수량은 저하되지 않았다. 침지전 Hoagland 용액의 농도가 높거나,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STSB를 침지시킨 용액에서의 K? 및 NH₄?-N의 농도가 점차 높아졌다. Hoagland 용액의 희석배수와 무관하게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외부용액의 NO₃?-N, H₂PO₄? 및 SO₄?² 농도가 약간 상승하였고, 24시간 경과 후 각각 5,300, 250 및 1,500 ㎎ㆍL?¹의 농도로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a polyacrylamide hydrogel such as Stocksorb C (STSB), effect of salts on inhibition in hydration of STSB, and the hydrogel effects on changes of nutrient concentration in external solution. Absorption of deionized water by STSB reached a maximum of 180 mLㆍg?¹. Monovalent soluble salts such as KH₂PO₄, KNO₃, and (NH₄)₂SO₄ reduced absorption of the hydrogel, but the degrees of inhibition in absorption were similar in three kinds of salts. Twenty milliequivalents per liter of Ca²? or Mg²? reduced water absorption of STSB to 14% compared to those of deionized water. Solution absorption was consistently lower in the presence of divalent cations than in the presence of the monovalent cations. But the absorption was unaffected by the uncharged salt such as urea in all concentrations tested. The final K? and NH₄?-N concentrations of the solution remaining after absorption by STSB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initial solution. The soaking of STSB to full strength of Hoagland solution resulted in increase of NO₃?-N, H₂PO₄? and SO₄²? concentrations in external solution compared to initial solution, reaching 5,300, 250 and 1,500 mLㆍg?¹, respectively, at 24 hrs after soaking.

      • KCI등재후보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가 Polyacrylic Acid Sodium Salt의 수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최종명(Jong Myung Choi),왕현진(Hyun Jin Wang),이종석(Jong Suk Lee) 한국원예학회 2005 원예과학기술지 Vol.23 No.4

        본 연구는 고흡수성 수지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PASS)의 수분흡수 특성,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무기염의 종류 및 농도, PASS가 침지된 외부용액의 농도변화를 밝힘으로써 PASS를 이용한 상토의 보수성 증가에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PASS의 수분 흡수량은 증류수에 침지한 경우 약 210㎖ㆍg⁻¹였다. 1가의 양이온을 포함한 염인 KH₂PO₄와 KNO₃ 또는 (NH₄)₂SO₄를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흡수량이 저하되었으나 세 종류 무기원소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Ca(NO₃)₂ㆍ₄H₂O를 다양한 농도로 용해시킨 용액 속에 PASS를 침지시킨 경우 수분흡수능 저하가 심하여 20meqㆍℓ⁻¹ Ca(NO₃)₂ㆍ₄H₂O 용액에서 약 10㎖ㆍg⁻¹의 수분을 흡수하였다. Mg(NO₃)₂ㆍ6H₂O나 MgSO₄ㆍ7H₂O를 용해시킨 용액에서의 수분흡수량 변화도 Ca과 유사하였으며, 그 정도는 1가의 양이온이 포함된 염을 용해시킨 용액에서 보다 심하였다. 그러나 요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용액에서의 수분 흡수량은 저하되지 않았다. 침지 전 Hoagland 용액의 농도가 높거나,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PASS를 침지한 용액속의 K⁺ 및 NH₄⁺ 농도가 급격히 낮아졌고, 10분 이후에는 용액내의 NH₄⁺이 분석되지 않았다. 실험 기간 중 외부 용액에서 최종적으로 610㎎ㆍℓ⁻¹의 Na⁺ 농도로 분석되었다. 음이온 중 NO₃⁻, H₂PO⁴⁻, 및 SO₄²⁻은 실험 기간 중 변화의 폭이 크지않았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polyacrylic acid sodium salt (PASS), effect of salts on inhibition of hydration of PASS, and the hydrogel effects on changes of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external solution. Absorption of deionized water by PASS reached a maximum of 210 ㎖ㆍg⁻¹. Monovalent soluble salts, KH₂PO₄, KNO₃, and (NH₄)₂SO₄, reduced amount of water absorbed by PASS, but the degree in inhibition of absorption was similar in three kinds of salts. Twenty milliequivalents per liter of Ca²⁺ or Mg²⁺ reduced water absorption of PASS by 4%, as compared to those of deionized water. Solution absorption was consistently lower in the presence of divalent cations than in the presence of the monovalent cations. However, the absorption was unaffected by the uncharged salt such as urea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The K⁺ and NH₄⁺ concentrations of the solution remaining after absorption by PASS decreased sharply and no NH₄⁺ was analysed at 10 minutes after soaking of the hydrogel. The Na⁺ concentration in external solution of PASS increased during gel hydration reaching 610 ㎎ㆍℓ⁻¹. The concentrations of NO3 -, H₂PO₄⁻ and SO₄²⁻ in external solution of PASS did not fluctuate during experiment.

      • NaOH 용액과 폐 알루미늄의 반응에 의한 수소가스 생산

        ( Weiqi Shi ),( Thapa Ajay ),이범 ( Beom Lee ),전항배 ( Hang-bae Ju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신에너지 중 하나인 수소 에너지는 많은 에너지를 발생시키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생성할 수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수소는 알칼리용액과의 반응으로써 생성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폐 알루미늄과 NaOH 용액의 반응에 의한 수소가스 생산을 관찰하였다. 알루미늄 생산 공장에서 공급받은 폐 알루미늄은 잘게 자른 형태(T 4.3 μm×L 0.5 mm×W 0.5 mm)로 준비되었고 NaOH용액은 1~5 M로 제작하였다. 용액의 용량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용액의 용량을 60 mL, 500 mL로 하였으며 500 mL의 멸균병 내에서 반응이 진행되었다. 5 g의 폐 알루미늄과 500 mL의 1 M, 3 M, 5 M의 NaOH 용액과의 반응 시 각각 5.7 L, 5.9 L, 6.2 L의 수소가 발생되었으며 발생속도는 각각 0.1 L-H<sub>2</sub>/min·5gAl, 1 L-H<sub>2</sub>/min·5gAl, 5.6 L-H<sub>2</sub>/min·5gAl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용액의 농도에 따라 수소가스의 총 발생량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가스 발생속도에서는 농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10g의 폐 알루미늄과 60 mL의 NaOH 5 M과 반응 시 총 발생량은 15.6 L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용액의 용량이 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며, 수소 발생량은 폐 알루미늄의 양과 용액의 농도에 의해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 몰과 몰농도에 대한 연구

        고한중 全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21 初等敎育硏究 Vol.32 No.2

        1몰(mol) 탄소(carbon)의 질량은 12.01g 이다. 몰은 화학물질의 양에 해당하는 측 정 단위(units)이며, 몰의 단위는 원자, 분자 또는 화학식 중 하나를 나타낸다. 용액 (solution)은 용질(solute)이 용매(solvent)에 녹아(dissolve) 있는 것이다. 어떤 물질 (용질) 1몰에 해당하는 무게의 양을 1L(1000mL)의 용매(solvent)에 녹인 것이 1몰 농도의 용액(solution)이다. 일정한 양의 용액 안에 녹아있는 용질의 양을 그 용액의 퍼센트(%) 농도라고 하며 보통 부피 퍼센트로(%v/v) 으로 나타낸다. 일반적인 화학 실험에서는 진한 농도의 용액을 만든 다음 이 진한 용액을 묽힘법(M1×V1 = M2×V2)을 이용하여 농도와 양이 다른 여러 가지 용액을 만들어 사용한다. M1은 처 음의 몰농도 이고, V1은 묽히기 전의 용액의 부피이며, M2는 묽힌 후의 용액의 몰 농도, V2는 묽힌 후의 용액의 부피가 된다.

      • KCI등재

        전처리제 및 보존용액이 겹도라지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

        허윤선,이희두,이정관,이기열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5 화훼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자색 겹꽃이 피어 관상가치가 높은 겹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var. duplex Makino)의 수확 후 절화 품질 향상을 위하여 몇가지 전처리제 및 보존용액이 겹도라지 절화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2년생 겹도라지를 2012년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에 수확한 후 전처리제 및 보존용액 종류별로 처리하여 절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3% sucrose와 살균제인 200mg • L−1 Al2(SO4)3가 혼용 첨가된 전처리 용액에서 절화 수명 연장 및 개화율 향상 효과가 가장 컸고 생체중 및 용액흡수율도 크게 증가한 반면, 200mg • L−1 GA3 와 150mg • L−1 citric acid를 전처리제에 추가로 첨가하였을 때에는 전처리 효과의 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보존용액으로 3% sucrose와 150mg • L−1 HQS을 혼용 처리하였을 때 절화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으나, AgNO3이 추가로 첨가되었을 때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NaOCl이 첨가된 용액에 전처리하였을 경우에는 보존용액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절화 수명이 짧았고 개화율도 가장 낮게 조사되었는데, 본 실험에 사용된 NaOCl의 농도가 높아 약해가 발생하여 절화 품질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겹도라지 절화의 상품가치를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전처리제 및 보존용액으로 각각 3% sucrose + 200mg • L−1 Al2(SO4)3 및 3% sucrose + 150mg • L−1 HQS 을 사용하였을 때 절화 수명은 최대 22일까지 연장되었고, 90% 이상의 개화율을 보였으며, 생체중 및 용액흡수율도 가장 증가되어 절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 To improve postharvest flower quality and extend vase life of cut balloon flowers (Platycodon grandiflorum var. duplex Makino), the effects of pretreatment and holding solutions on vase lif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Balloon flowers which were cultivated for two years were harvested from end of June to beginning of July in 2012. After harvest, cut balloon flowers were treated with various pretreatment solutions including distilled water, sucrose, Al2(SO4)3, and NaOCl for 1 hour, and continuously put in the holding solutions including distilled water, sucrose, HQS, and AgNO3. The pretreatment solution containing 3% sucrose + 200 mg • L−1 Al2(SO4)3 significantly extended vase life and increased flowering rate, fresh weight and solution uptake, but when 200 mg • L−1 GA3 and 150 mg • L−1 citric acid were added, differences of flower quality were not observed Holding solution with 3% sucrose + 150 mg • L−1 HQS extended vase life and increased flowering rate, fresh weight and solution uptake. But addition of 25 mg • L−1 AgNO3 into holding solution with 3% sucrose + 150 mg • L−1 HQS showed little differences in flower quality. When 80 mg • L−1 NaOCl was pretreated, vase life was shortened and flowering rate decreased, irrespective of holding solution types. It was suggested that the high concentration of NaOCl induce the phytotoxic effect such as decline of vase life or fresh weight. From these results, we could find that the pretreatment solution containing 3% sucrose + 200 mg • L-1 Al2(SO4)3 and preservatives with 3% sucrose + 150 mg • L−1 HQS were very effective in extending vase life and retarding senescence of cut balloon flowers, furthermore, these postharvest treatments were very useful to improve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cut balloon fl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