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SW영재교육 시행을 위한 플랫폼 선호도 조사연구

        이재호(Jaeho Lee),전우천(Woochun Jun),예홍진(Hongjin Yeh),전미란(Miran Chun),진석언(Suk-Un Jin),김유진(Yujin Kim),장준형(Junhyung Jang)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코로나-19 사태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된 온라인 일반 교육은 2020년 하반기 들어 비교적 안정화되는 추세이나 SW 코딩 실습과 과정 중심의 산출물 지도 등을 시행해야 하는 SW영재교육 분야는 온라인 교육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렵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SW영재교육 분야 역시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게 되었다. 따라서, SW영재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SW영재학급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은 무엇인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 선호도 조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온라인 SW영재교육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플랫폼에서 지원해야 하는 주요 기능을 플랫폼 선호도 조사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둘째, 온라인 SW영재교육 플랫폼의 주요 이용자는 교사와 학생이기에 이들에게 친숙한 플랫폼을 온라인 SW영재학급 플랫폼 선호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선호도 조사 실시용 온라인 조사지를 개발하고, 101명의 교육 분야 전문가들에게 온라인 조사용 사이트 주소를 발송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선호도 기준별로 분석하여 온라인 SW영재교육에 적합한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latforms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at a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SW gifted education. Online education, which began due to the outbreak, is stabilizing now owever, it is difficult to actively accept online education in areas where SW coding practice and process-oriented output guidance are required. Despite the situation, the SW gifted education sector has also actively considered the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crisi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which online platform was best suited for use in class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 department that specializes in SW gifted education. The online platform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 Firs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online SW gifted education, the main functions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criteria. As a result, five preference criteria were established: teaching and learning management, educational content, community, accessibility, and performance. Second, the main users, familiar platform selected as subject of the platform preference survey EBS eSop, SW-centered society, Google Classroom, Naver EDWITH, e-learning site, band, and Kakao Channel. Third, we developed an online survey site conduct preference surveys and sent the site address to 101 experts in education. Finally, we analyzed the opinions of experts by preference criteria and propose a platform suitable for online SW gifted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 분석

        채유정,이현주,박성희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4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included 6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the 3-months online gifted program. Participants volunteerly surveyed 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subjects,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test, ANOVA, and M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tudent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n variou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overall, participa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2) participants perceived the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In specific, they perceived system satisfaction higher than interaction satisfaction. (3)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impacted on both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ere grade,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uggestion for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영재교육 수강생의 성별, 학교급, 수강과목, 인터넷 수업에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따른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K 영재교육원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이수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630명 (남학생 402명 , 여학생 228명 )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 연구에 사용되었던 연구도구를 수정 , 보완하였고, 인구배경학적 특성을 포함하여 총 48문항이 제시되었다.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배경변인에 따라 두 독립표본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하는 수준이었고,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제만족도가 상호작용만족도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은 학교급, 인터넷수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온라인 영재교육을 위해 필요한 콘텐츠 및 프로그램 요소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Covid 19 환경에서 초등 영재 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효과 분석

        김갑수 ( Kim¸ Kapsu ),민미경 ( Min¸ Meeky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과학영재 교육을 100%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밖에 없는 Covid 19 환경에서 영재 학생들의 교육 성과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을 선발할 때의 입학성적과 온라인 교육 후에 온라인 교육 참여도 및 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온라인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 118명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온라인 교육의 성취도와 온라인 교육의 참여도와의 상관관계는 0.478로 유의수준 5%에서 매우 의미 있다. 수학, 과학, 정보 분야별로도 유의수준 5%로 의미 있게 나타나고, 5학년 및 6학년에서도 유의수준 5%로 의미 있게 나타난다. 다만 4학년의 경우에는 인원수가 11명이라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두 번째, 온라인 교육의 성취도와 입학할 때의 창의성 점수와의 상관관계는 0.271로 유의수준 5%로 의미 있다. 즉, 온라인 교육의 성취도는 입학할 때의 창의성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부 그룹으로 6학년의 경우에 성취도와 창의성의 상관관계가 0.399로 유의수준 5%로 의미 있고, 수학 분야에서 창의성과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가 0.308로 유의수준 5%로는 약간 의미가 있다. 세 번째는 과학영재교육원 학생의 온라인 교육 결과 4학년, 5학년, 6학년의 학년별로 성취도와 온라인 수업 참여도에는 서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저학년의 경우에도 온라인 교육에서 고학년과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는 수학, 과학, 정보 분야별로 온라인 수업의 성취도와 참여도에 대한 ANOVA 분석을 통하여 분야별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으로 Covid 19 상황에서 온라인 교육으로 과학영재 교육을 수행한 결과, 참여도가 매우 중요하고, 또한 학년별 또는 분야별로는 성취도와 참여도의 차이가 없었다.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in the Covid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ntrance exams and online education participation and achievement after online education when selecting students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The research targets 118 students who completed 100% online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and the participation of online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at a significant level of 5 percent at 0.478. It also appears to be meaningful in mathematics, Science, and Computer Science subjects with a significant level of 5%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However, in the case of fourth graders, the number of students was 11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and the scores of creativity at admission is 0.271 and meaningful at a significant level of 5%. In other words, the achievement of online education is influenced by the creativity of admission. As a detailed group, for sixth graders,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creativity is significant at .399 with a significant level of 5%,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is slightly meaningful at a significant level of 5%, with a significant level of 0.308.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of online education of students at the Academy of Science and Gifted are not different i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online classes, even by grades 4, 5 and 6. Even in lower grades, online education does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higher grades. Fourth, we can see that there is no difference through ANOVA analysis of the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online classes by mathematics, science, and Computer science subjects.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science gifted education through online education in the situation of Covid 19, I found that participation was very important, and I also could not feel the difference between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by grades or subjects.

      • KCI등재

        한지를 활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 - 온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

        김주령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1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4 No.-

        Korean painting is an important academic realm that allows one to understand contemporary painting based on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but is not dealt sufficiently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es on its status and case studies are also insufficient.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painting programs using traditional paper Hanji starting with preceding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s by empirically applying them to students, and to secondarily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online class by systematizing and analyzing the developed Korean painting programs to respond to online class. To verify the benefi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four-hour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total eight hours in two weeks) targeting total 15 artistically-gifted 5 th graders of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Center, SNUE.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duced for helping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aterial Hanji and its technique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outcomes drawn by students and their survey before/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 the conclusion of the empirical experiment, firstly, most of the students knew about Hanji and Korean painting in the survey before starting the educational program while they were lacking in experiences of them. Secondly,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an ink smear experiment to let them know the production method of Hanji and the differences of papers for explaining the materials of Korean painting, the students understood the differences of papers. Third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al program in each session,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the passive attitude was observed due to the online class which was relatively unfamiliar. However, as the session was more proceeded, their attitude was changed to be active, and the interest was also increased. Fourthly, in the survey after completing the educational program, the overall understanding was improved compared to the moment when starting the program. And they also showed highly-increase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painting online class. Fifthly, despite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this study verified the benefits of online art class. In the results of a survey targeting 20 teachers of online class in the same period, it could be developed into a new genre of education if there are lesson plan and prepar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lass. In the results, the case study on Korean painting class using Hanji had positive effects.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systematized to respond to online class would have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the upcoming new paradigm art education in the future. 한국화는 전통적인 재료와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회화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학문이지만 초등 교육현장에서는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와 사례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시작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에게 실증 적용하여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 부차적으로 개발 한국화 프로그램이 온라인 교육에 대응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여 온라인 교육의 방향성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개발 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점검하기 위해 S 교대 영재교육원 미술영재 초등 5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1회, 4시간 프로그램을 2주에 걸쳐 8시간 진행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한국의 전통적 재료 한지와 기법을 이해하도록 제작되었고, 학생들이 그린 결과물과 프로그램 참여 전ㆍ후 학생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실증실험을 통하여 첫째, 교육 프로그램 시작 전 설문조사에서 대부분 학생들은 한지 및 한국화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경험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한국화 재료 설명을 위한 한지 제작법과 종이의 차이점을 알려주기 위한 먹 번짐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학생들은 종이의 차이점을 이해했다. 셋째, 한국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회기별 분석 결과, 도입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생소한 온라인 교육으로 소극적 태도가 관찰되었고 회기가 진행될수록 적극적 태도로 변화되었으며 흥미도 증가했다. 넷째, 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는 프로그램 시작에 비해 전반적으로 이해도 향상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화 온라인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증가를 보였다. 다섯째, 온라인 미술교육은 전통적 대면 수업 대비 장단점이 공존하나 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시기 온라인 교육 진행 교사 20명 설문 결과 온라인 특성에 맞는 수업계획과 준비가 된다면 새로운 교육 장르로 발전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한지를 이용한 한국화 교육 사례연구는 긍정적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온라인 수업에 대응되도록 체계화시킨 한국화 교육은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패러다임 미술교육에서 발전 가능성도 확인시켜주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온라인 영재교육 수강 동기 탐색

        박혜진(Hyejin Park),성은모(Eunmo Sung),이성혜(Sunghye Lee)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온라인 영재교육 수강 동기 요인을 규명하고, 수강 동기 요인과 학습참여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었던 온라인 수강 동기 및 영재교육 참여 동기 문항 등으로 요인을 구성하여, 2020년 K 대학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에 참여한 초등학생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의 온라인 영재교육 수강 동기 요인은 도전적 과제 및 심화된 학습 경험에 대한 요구, 온라인 학습의 편의성 및 자기주도성, 지적호기심 충족을 위한 의사소통 기회 확대, 학교 수업에 대한 보충 및 심화 등 총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추출된 수강 동기 요인과 학습 참여도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도전적 과제 및 심화된 학습 경험에 대한 요구가 학습 참여도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동기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재학습자의 교육 요구에 부합하는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확대와 제공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of motivation in students who registered in an online gifted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otivation, learning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factors such as students’ motivation for online courses and gifted education progra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The sample included 439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K university"s online gifted program in 2020.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four factors which classified the different types of student motivation: 1) the need for challenging tasks and enriched learning experiences, 2) ease of use and self-directed characteristics of online learning, 3) expanded communication opportunities to satisfy intellectual curiosity, and 4) supplementary and deepened learning of school classes. An analysis of the extracted students’ motivation factors and that the need for challenging tasks and enriched learning experiences was the key motivational factor that affected learning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expanding and providing online gifted programs that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various gifted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평가자 인식 연구

        채유정,이성혜 韓國英才學會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valuators’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based on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Researchers interviewed 9 evalu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 process for student selec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cyber education for 3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It took about 40 minutes to 1 hour 30 minutes for each interview. In total, four interviews were performed, and they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valuators perceived that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 and checklist have low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order to make up for this, each institution tends to evaluate students with their own evaluation methods; In particular, in-depth interview is the preferred method. Second, it is possible to use the results of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to verify objectivity of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 and checklist, as well as to provide evaluators a material for in-depth interview. In spite of these advantage, when using the results of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for selection, there could be problematic issues, such as low reliability, low objectivity, or increasing private education cost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the needed policies and variables for applying the new selection method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선발 평가에 참여한 평가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총 9명의 평가자가 인터뷰에 참여하였으며, 인터뷰는 약 40분~1시간 30분간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총 4회에 걸쳐 진행되었고 인터뷰 내용은 전사 후 분석되었다. 평가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사관찰추천제와 관련하여 평가자들은 교사 추천서 및 체크리스트의 낮은 객관성과 신뢰성을 지적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자체 내에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심층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평가하는 등, 직접 학생을 관찰, 평가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하여 시뮬레이션 선발 전형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교사추천서 및 체크리스트를 보완하여 객관성을 검증할 수 있으며, 면접 평가 시 소재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형 요소 중 일부로 평가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 하였다. 반면 사이버교육의 신뢰성, 객관성, 형평성 문제와 사교육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고, 사이버교육 수행 결과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 요소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이버교육 수행 자료를 활용한 선발 평가를 각 영재교육 기관에서 실행하기 위해 전제되어야 할 요건 및 필요한 지원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 선발 방법에 관한 연구

        채유정,이성혜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In this study, we applied a model of gifted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to actual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election model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out the implication of the selection model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evaluation of the documents students submitted, the evaluation of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and actual studen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0 middle school 1st and 2nd grad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Cyber Gifted Education Center in 2016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In addition, 25 students participated in interviews about the selection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Interview subjects were selected evenly considering the performance of each class, gender, and whether they were marginalized. As a result,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 model of gifted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positively than the existing selection method (observation recommendation system by teacher) in terms of understanding, fairness, substantiality and appropriaten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irst round selection result (document evaluation) based on the self-introduction letter and the teacher recommendation letter, the 1st semester performance (final round selection), and the 2nd semester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6 weeks' performance of the students were more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the students' 18 weeks’ performance. This result shows that the model of gifted student selection based on learning performance was more appropriate as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교육 후 선발 모형을 실제 영재교육원에 적용하고 교육에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 후 선발 제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서류평가 결과, 교육 후 선발 결과와 실제 학생의 수행 결과 간 상관 분석 등을 통해 교육 후선발 제도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S 사이버영재교육원 교육에 참여하여선발 과정을 거친 중학교 1~2학년 학생 총 6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25명의 학생들이본 프로그램의 선발 시스템 및 효과성에 관한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는 각 학급에서의 학습 수행 성적과 성별, 사회통합대상자 여부 등을 고려하여 골고루 선정하였다. 학생들이인식하는 영재 선발 방식을 조사,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이해도, 공정성, 적절성, 만족도, 지속가능성, 신뢰성 측면에서 기존에 이루어지던 선발 방식(교사관찰추천제)에 비해 교육 후 선발 방식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소개서 및 교사추천서 평가를 기반으로한 1차 선발 결과(서류평가)와 1학기 수행(최종선발), 2학기 수행 결과 간의 관계를 살펴 본결과, 학생이 제출한 자기소개서나 교사 추천의견보다 학생의 6주 간 수행 결과에 의해 선발한결과가 학생의 이후 18주 교육 수행 결과와 더 큰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후 선발방식이 본 사이버영재교육원의 선발 방식으로서 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 과학영재의 온라인 학습 수행과정 분석

        전영석(Jhun, Youngseok)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0 과학영재교육 Vol.12 No.3

        COVID-19 유행에 따라 갑작스럽게 온라인 교육 방식으로 전환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영재의 과학 학습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 학생 18 명이었으며 14회에 걸쳐 진행된 온라인 수업 중 9회의 강의에 대해 학생들의 성취도와 사전 및 사후 면담 결과를 통해 영재 학생 대상 온라인 교육의 설계와 운영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강의는 Paul Hewitt의 ‘수학 없는 물리(Conceptual physics) 12판 중 1장부터 10장까지 역학 부분의 내용을 바탕으로 개념 중심의 학습을 제공하였는데, 교재 읽기, 연습문제 풀이, 동영상 강의 수강, 활동 과제 해결, 및 연습문제와 활동 과제 해설 동영상 시청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연습문제는 교재와 함께 제공되는 워크시트 형식의 문서를 번역하여 제공하였으며 활동 과제는 내용이해, 개념적용, 인지적 자극, 엑셀 프로그램 활용, 탐구의 5개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 과정을 살펴보면 일부 학생은 활동 과제를 충실히 이행하지 못하고 누락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활동 과제의 영역 별로 성취도를 살펴보면 내용이해 영역은 비교적 높았으나 인지적 자극과 엑셀 프로그램 활용 영역은 성취도가 낮았다. 학습 결과와 면담을 통해 과학 학습에 대한 동기가 높고 자율적 학습 능력이 뛰어난 영재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상호작용이 부족한 일방적 학습 과정은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영재 학생이 제시된 과제의 맥락과 가치를 이해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과는 구분되는, 상호작용 촉진, 학습 과정 관리 등 온라인 학습환경에 적합한 교수학습 전략을 도입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nline learning process with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t a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s the off-line learning process had to be suddenly changed into an online education system due to COVID-19 epidemic.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1st graders of middle schools enrolled in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and responded to pre- and post interview after participating in nine lectures of online learning. The online lectures were provided as concept-oriented learning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mechanics part from chapters 1 to 10 of the 12th edition of Paul Hewitt’s ‘Conceptual Physics.’ Lectures were proceeded in the order of ‘reading textbook and solving exercise’, ‘watching lecture video clip and performing provided activities’ and ‘watching commentary video clip’ without real-time interaction. The exercises were kinds of worksheets provided with the textbook, and the activity task consisted of five areas: content understanding, conceptual application, cognitive stimulation, using an Excel (TM) program, and inquiry. For the learning process, some students did not complete activity tasks and missed some of them. In additions, when looking at the achievement level of each area of the activity task, the content understanding area was relatively high, while the cognitive stimulation and Excel program application area showed low achievement level. It was concluded that even gifted students with high motivation for science learning and excellent self-study ability were ineffective in the unilateral learning process lacking in interaction. Besides, in order to enable gift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value of the presented assignments and to carry out learning activities readily and positively,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promotion of interaction and management of learning processes, and differentiated from offline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영재선발 방법에 대한 학부모 인식 조사

        박민서,박서희,이성혜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based on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the “pre-education and post-selection”. For the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parents of students attending K Cyber Gifted Education Center, and 448 of the retrieved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parents’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based on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are generally high. In addition, an open-ended question asking parents’ perception of the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based on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was analyzed was positively recognized in terms of expanding opportunities for gifted education, fair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development of giftedness through education,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not affected by private education, promotion of responsibility and fulfillment, autonomy and convenience between space and time, one-on-one customized feedback,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eativity enhance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perform tasks which are limited subjects within a limited period of time,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selected is limited due to the relative evaluation, difficulties to identify who performs the tasks because of the nature of online edu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parents who are related to the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stable settlement and introduction of the gifted student selection method based on students’ online learning performances. 본 연구는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교육 후 선발 방식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선(先)교육 후(後)선발 제도의 도입과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K 사이버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44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학부모들의 사이버교육을 활용한 교육 후 선발 방식에 대한 이해도, 공정성, 적절성, 만족도, 지속가능성, 신뢰성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특성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사이버교육 후 선발 경험이 있는 학부모가 경험이 없는 학부모 보다 모든 요인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학부모들의 사이버교육 후 선발 방식에 대한 인식을 묻는 개방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 기회 확대, 공정한 선발, 교육을 통한 영재성 계발, 사교육에 영향을 받지 않는 선발, 책임감 및 성취감 고취, 시공간의 자율성 및 편리성, 일대일 맞춤 피드백, 자기주도학습 및 창의성 증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사이버교육 후 선발 과정에서 제한된 기간 내 제한된 주제의 과제를 수행한다는 점, 상대평가로 인하여 선발 인원이 제한적이라는 점, 사이버교육의 특성상 과제 수행의 주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 등은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사이버교육 후 선발 방식의 도입 초기에 선발의 이해관계자인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고 사이버교육 후 선발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과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미국 온라인 영재교육 교사 연수프로그램의 중도탈락 요인 분석

        이영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미국 초, 중, 고등학교 영재교육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3년 동안 개설된 온라인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서 교사들이 온라인 강좌를 끝까지 수료하지 않고, 중도탈락하게 하게 된 요인을 탐색하였다. 중도탈락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중도탈락을 예견할 수 있는 암시적 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수료집단과 중도탈락한 집단간의 영재교육에 관한 사전 검사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측과 달리 기술적 어려움은 중도탈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가장 큰 요인으로는 온라인 강좌 수강동안 예기치 않게 발생한 가정과 학교에서 증가된 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학습 시간 부족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요인으로는 교수자에 대한 불만족, 특히 교수자가 수강하는 교사들의 어려움과 필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거나, 온라인 강좌의 교수자와 교사들이 충돌되는 문제를 적절히 조절하는 체제가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탈락을 예견할 수 있는 암시적 행동에 관한 분석결과, 영재교육에 관한 오개념을 더 많이 지닌 교사들의 경우 중도 탈락하는 경향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교사교육 환경에서 교사들의 중도탈락률을 낮추기 위한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