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독일어권 예배서의 형성 과정과 시금석에 관한 소고

        김상구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4 복음과 실천신학 Vol.31 No.-

        본 논문은 현대 독일어권 예배서의 형성 과정과 시금석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필자는 서구 교회, 특히 20세기 독일어권에서 출간된 예배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현대 독일 교회는 크게 네 번에 걸쳐 예배서를 출간했다. 먼저 20세기 초 새로운 예배 운동의 영향 하에서 만든 독일 교회 『표준예식서 1』(1955/59년), 그리고 『구조 문서』(1974년), 이어서 『개정 예식서』(1990년) 시안이 출간되어 심도 있는 논의의 결과물로 『개신교 예배서』(1999년), 같은 해 독일어권 개혁 교회는 『개혁주의 예배 예식서』(1999년)를 출간했다. 이 예배서들의 역사적 배경과 시대적 상황, 예배 신학적 준거, 예배 구성의 시금석, 예배 형태 및 기본 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중요한 두 가지 원칙이 작용된다. 즉 독일어권 예배서는 ‘전통과 상황’이라는 두 축으로 형성되었으며 그 시금석을 제시한 것이다. 그 결과로써 예배의 고정된 구조를 통해 예배의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예배 형식의 다양화를 모색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한국 교회 예배서 모델 개발에 있어서 큰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Ich bin in diesem Artikel überlegt, wie die Bildung und das Kriterium des deutschsprachigen Gottesdienstbuches in der Gegenwart entfalten wurden. Dafür beschreibe ich die deutschsprachigen Gottesdienstbücher im 20. Jahrhundert, die im Vierschritt veröffentlicht wurden: “Agende 1” der VELKD von 1955 und der EKD von 1959 veröffentlicht unter den Einflüssen der neuen liturgischen Bewegungen im Anfang des 20. Jahrhunderts, “Strukturpapier” von 1974 und “Erneuerte Agende” von 1990, danach “Evangelisches Gottesdienstbuch” von 1999 und “Reformierte Liturgie” von 1999. Hier analysiere ich den historischen Hintergrund, die zeitgenössische Situation, den Rahmen der gottesdienstlichen Theologie, Kriterien der Gottesdienstgestaltung, -form und –struktur von diesen Gottesdienstbüchern und vergleiche miteinander. Hier werden zwei wichtige Grundsätze angewandt, d.h “Traditionsgemäßheit” und “Situationsgemäßheit”. Daher werden die Einheit des Gottesdienst durch die stabile Grundstruktur und die Vielfalt der Gottesdienstformen in deutschsprachigen Gottesdienstbüchern versucht. Diese Perspektiven können die Implikationen für die Modellentwicklung des Gottesdienstbuches in Korea geben.

      • KCI등재

        한국장로교 장례예식의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김경진(KIM Kyeong-Ji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6 장신논단 Vol.48 No.2

        한국장로교회의 장례예식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을까? 현재 우리 교회가 행하고 있는 장례와 관련한 예식들은 언제부터 생겼으며 그 이후에 어떤 변화를 거쳐 왔을까?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의 궁금증을 풀어나가는 연구이다. 장례와 관련한 한국초기 자료의 빈곤으로 인하여 어려웠던 연구임에도 최근 발굴된『예수교회 상례』(1907)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장로교회의 장례예식의 역사의 흔적을 찾아간다. 1924년 총회를 통해 발간된 『조선예수교장로회 혼상예식서』와 이후에 발간된 다섯 개의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예식서들(1961, 1977, 1987, 1997, 2008)을 중심으로 한국장로교회의 장례예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추적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초기의 『예수교회 상례』와 『조선예수교장로회 혼상예식서』가 우리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예식서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후 출판된 예식서들은 초기 예식서와의 연관성을 유지한 채 시간이 갈수록 다양한 장례의 상황들에 부응하는 장례예식을 개발하고 소개해왔음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초기부터 한국의 장로교 장례예식이 가톨릭과의 구별점을 확실히 하고 성경에 위배됨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원칙 아래, 한국 전통장례예식을 매우 비판적으로 수용하려 했다는 점을 알려준다. 죽은 자를 위하여 기도하는 것을 거부하였던 장례예식의 기본원칙으로 인해 초기 한국장로교회의 장례예식은 죽은 자를 위한 예식보다는 유족들과 남은 자들에 대한 종교적 교육과 경성, 회개, 삶의 변화에 보다 강조점을 두었다는 본 연구의 발견점, 초기의 장례예식문 속에 영혼불멸적 관점이 표현된 부분들이 많았음을 확인하게 된 점 등은 이후 한국장로교회의 새로운 장례예식의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transformation of “burial ceremonies” performed by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t is a historical account of how the focus and particular procedures of these burial ceremonies changed overtime-from the early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o contemporary practic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In doing so, this research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s and analyzes the meaning of this transformative process. By referencing the various texts that have impacted the burial ceremon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or have been used within the burial process itself-including Yesugyohoe Sangnye (The Christian Burial Ceremony), a resource from 1907 that was not discovered until recently-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theological meaning of, and critically examine the problems regarding this transformative process. Overall, this research demonstrates how the burial ceremony transformed from a simple ritual to a more complex form, as it responded to and satisfied newly rising demands. Furthermore, it also shows how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s burial ceremony was distinguishable, since the beginning, from its Catholic counterpart, and how it took an extremely critical position towards (and very limited accommodation of) traditional Korean funeral practices. Due to the traditional reluctance to pray for the deceased (deeply rooted in native Korean burial principles), the early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had placed less emphasis on celebrating the deceased person’s resurrection, and more emphasis on the religious education of the deceased person’s remaining relatives. This key discovery will provide a new direction for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長老敎會 婚喪禮式書』(1925)를 통해서 본 한국기독교의 장례문화와 교훈

        이장형,안수강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3

        본 연구에서는 1925년에 장로교에서 발행하여 보급한 『長老敎會 婚喪禮式書』의 장례예식을 고찰함으로써 당시 한국기독교에서 시행했던 장례문화를 살펴보았다. 이 문헌에서는 하나님의 인간창조 사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인류시조의 범죄와 이로 인하여 초래된 사망의 징벌,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사역, 그리고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위하여 선포하신 복음의 메시지를 강조하였다. 첫째, 이 상례예식서의 조례 단계에서는 장례예식은 반드시 종교예식에 준해야 한다는 점을 천명(闡明)하였고, 이 예식이 (이미 세상을 떠난 자를 위해서가 아니라) 지상의 유족들을 위로하는 데 근본적인 취지가 있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둘째, 장례예식에서 착용할 예복에 관한 규정은 토착화 차원에서 한국 사람들의 내면적 심성을 십분 이해하고 고려하여 전례 되어온 복식도 허용함으로써 매우 포용적이면서도 실용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또한 이 상례예식서에서는 이 복식에 관한 문제를 아디아포라의 차원에서 판단해도 무방할 사안으로 간주하여 받아들임으로써 장례를 치르는 예식에 최선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셋째, 출관식 예배는 교회의 보편적으로 행해지던 공예배 형식을 따랐지만 각별히 남아 있는 가족들과 슬픔을 공유하고 위로해야 한다는 의미를 깊이 함축하였다. 또한 세상을 떠난 자의 살아생전 행적들을 회상함으로써 예식에 참석한 모든 사람들이 삶의 가치관과 목적의식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도록 조명해주었으며, 지선(至善)의 목표로서 복음을 통해 영생과 부활, 그리고 영생복락의 천국을 제시하였다. 넷째, 출관식 예배의 연장선상에서 하관식 예배는 출관식 때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유족을 위로하는 순서에 큰 비중을 두었으며, 유족과 아픔을 함께 나누며 위로하는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이 예배에서는 신자의 죽음이 단지 비애의 길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영광스러운 길이라는 점을 부각시켰으며, 궁극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셔서 최후의 심판을 집행하심으로써 영원한 생명, 그리고 생명의 부활과 심판의 부활이 성취된다는 복음적 관점을 중시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have studied funeral rites from Forms of Marriage and Burial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192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ltural aspects of funerals from Korean Christianity at the time. This literature put an emphasis on: ministry of God’s human creation, the primary humanity’s crime and the punishment of death, Christ’s ministry of salvation, and evangelical messages. Firstly, this ritual’s ordinances clarified that funerals should be part of a religious ceremony and had the effect of the bereaved being consoled. Secondly, the funeral’s clothing regulations put into a sufficient consideration the Korean afferents in level with indigenization. Therefore, the traditional uniform was allowed showing practical and inclusive manner. The literature had put into regard the adiaphora issue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funerals. Thirdly, although the service of a coffin-leaving ceremony followed a form of the formal service, it deeply implicated consolation of the bereaved. Through the life of the deceased, the literature was clarified that attendants can newly form life’s values and consciousness of purpose. In addition, through the evangelism, it presented eternal life and resurrection, and also eternal bliss of heaven. Fourthly, both of the services of a coffin-leaving ceremony and a coffin-lowering ceremony should hold the same importance. They still put the weight on the consolation of the bereaved and formed a mutual sense of solidarity by so sharing the grief of the bereaved. Especially in the services, the fact that the death of a Christian is not on the way of woe but on the way of glory is highlighted and put an emphasis on evangelical perspective by elucidating the final judgement, the eternal life, the resurrection of life and the resurrection of judgement.

      • KCI등재후보

        예배와 예식의 표준 제시를 위한 개혁주의적 이해, 원리, 그리고 실천 과제

        주종훈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Reformed tradition has been developing the practice of worship according to the Bible and the confession of Reformed faith. Yet, there is not a fixed form of the service of worship in the Reformed tradition by allowing pastors to implement the practices of worship with pastoral discernment. In this distinctive way of shaping a Reformed worship, it is important and even necessary to guide it with the standard of the liturgy according to the biblical principle, theological orientation, and denominational identity. This article attempts to guide the orientation and task of the standard of liturgy for a denomination following the Reformed tradition by exploring biblical emphasis on the rites and comparing liturgical standards of selected denominations in Korea.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Reformed standard of liturgical rites are: (1) to reflect denomi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rites, (2) to provide various rites appropriate to the cases of pastoral care, and (3) to present liturgical receptivity for the change of worshipers’ life. 개혁주의 전통은 성경에 기초한 신앙고백을 따라 예배의 구체적인 구성과 실천을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개혁주의 전통은 예배 실천의 고정된 방식을 제안하지 않는다. 목회자들은 성경의 원리에 따라 목회적 분별력을 사용해서 각각 주어진 상황에 부합한 예배 실천을 구현한다. 이러한 예배 실천 과정에서 성경적 원리, 신학적 방향, 교단의 정체성을 제시하는 일종의 표준 제시는 중요하고 필요하다. 이 글은 한국의 개혁주의 전통에 속한 교단의 예배 표준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원리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한 ‘표준예식서’의 개정 방향과 과제를 제시한다. 성경은 예배의 의례와 예식을 명확히 제시하고 강조한다. 개혁주의 전통은 예배의 표준 제시를 위한 예배서 제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하지만 고정된 형태의 예배 모범을 제시하기보다는 성경에 따른 예배 구성과 실천의 원리를 표준으로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은 목회자들의 자율적 판단에 맡겼다. 아울러, 이 글은 국내 몇 교단의 예배 예식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대에 요구되는 예배의 표준 제시 방향을 살펴본다. 개혁주의 교단의 예배 표준 제시 방향은 첫째, 교단 헌법의 예배모범과 지침을 기초로 교단 신학의 정체성을 반영하고, 둘째, 목회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돌봄을 의례의 방식으로 감당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셋째, 공예배와 함께 시대적 요구에 따른 다양한 상황과 환경을 반영하는 의례 방식들을 명확히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상징적 예배언어 관점에서 본 한국 교회학교 예배현장 분석에 따른 예배교육현장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신형섭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worship education of Sunday school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with attention to Jane Vann’s understanding of Symbolic Languages of Worship by critically analyzing the liturgical materials designed for Sunday school worship. According to Christian worship the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with faith has been explained through the Lex Orandi Lex Credendi, which is to say, the law of prayer determines the law of belief. As congregation members participate in worship rituals appropriately in terms of worship space, church calendar, liturgical speech, gestures, arts, and liturgical songs, God leads their faith to be formed and transformed gradually within the context of worship. In this sense, as explaining the concept of symbolic languages of worship, Vann suggests that Christian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to discern and participate in the presence of God by providing them appropriate symbolic languages of worship and guiding them to reflect critically. This study raises generative questions. "How much do current educational contexts of worship help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resence of God actively and consciously?" “If there are limits, what will need to be challenged and changed?” With these questions, this study analyzes current liturgical texts of Sunday school worship from Book of Common Worship (PCK) critically and identifies educational reconceptulalization for worship education. I hope that this study help students participate in worship fully, consciously, and actively so that their faith may be formed and transformed continuously. 기독교 예배신학은 예배와 신앙의 관계를 ‘예배가 신앙을 형성한다’는 명제로설명해 왔다. 하나님은 자신의 백성들이 예배안에서 고백되어지는 하나님의 은혜앞에 합당하게 응답하며 참여할 때, 그들의 신앙을 형성 및 성장케 이끄신다. 그러기에 회중들이 예배안에서 어떠한 예배경험을 하는지를 분석하고, 지속적으로갱신함은 신앙교육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제인 밴의 상징적예배언어의 관점에서 한국 교회학교 예배현장안에 어떠한 예배실천들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제인 밴의 예배를 통한 신앙형성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방법이 한국 교회학교 예배교육현장에 주는 기독교교육적인 제언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제인 밴은 상징적 예배언어의 개념을 통하여 예배를 통한 회중의 신앙형성과정과 기독교교육적 과제와 실천을 제시한다. 제인 밴에 따르면, 예배안에는 하나님께서 회중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임하시고, 말씀하시며, 먹이시고, 세상으로파송하심을 분별하게 도와주는 이른바 상징적 예배언어가 있다. 예배안에서 이상징적 예배언어들이 예전적이고 신학적으로 합당하게 준비되어질 때, 회중들은예배를 보다 온전하고, 인식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현재 한국 교회교육의 현장은 회중들로 하여금 얼마나 온전한 예배경험을 하도록돕고 있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하여 현재 교단(예장통합) 예배예식서를 분석하며, 한국 교회학교 예배교육의 현장에 던져주는 기독교교육적제언들을 정리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현재 교회학교 예배 및 예배교육현장에 대한 구조적, 내용적, 과정적 재개념화를 요구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한국교회 교회학교 예배의 현장마다 회중들의 신앙형성 및 변혁이 풍성히 일어남으로그들의 온전한 예배경험이 예배적 삶으로 연결되어지기를 소망한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예배 이해 ― 예배 모범과 예식서를 중심으로

        안선희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3 신학연구 Vol.60 No.1

        Three books of liturgy published by PROK provide the same guide line for worship, which is ‘enlightenment’ and ‘resolution.’ Therefore the reformation of PROK’s worship should focus on the two. The Christian doctrine needs to be interpreted to the contemporary language, with which awaken the believers and lead them to the world of introspection. PROK pursues the beauty of worship with its emphasis on ‘discipline,’ ‘spirit,’ and ‘politeness’. However, although the worship focused on ‘recognition’ and ‘resolution,’ it tends to dismiss the expression of devotion, the outer form of worship. The reformed church traditionally emphasizes spiritual worship, dismissing the importance of form. Its dichotomy divides the spiritual from the materal, defining form as material. This dichotomy also creates stereotype. But devotion is to be expressed externally, and the importance of form to express devotion must be valued to perform the reasonable, spiritual, and appropriate worship. To focus on the beautiful worship expressed by devotion with the beauty of form, it should be the simple beauty, not the glamorous one. PROK cherishes its esthetics of worship that remembers and appreciates the paradoxical truth of giving a new life through the agony of being crucified, and cannot allow big, full, and glamorous expression of beauty. Also, maximalism does not accord with counter- cultural inclination of PROK from the beginning. Counter-cultural inclination can be manifested as eschatological trait of worship. And eschatological anticipation in worship means to experience the future,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e more emphasis is given to the elements of recognition and resolution for worship, the more emotional and spiritual music and songs are in need. New song books must be prepared as the CCM and hymnals of The Hymn Society of Korea cannot contain the theology of PROK. 한국기독교장로회가 발행한 두 권의 예식서와 한 권의 예배서에 드러난예배 이해는 교단의 첫 예식서에서 사용된 후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온 ‘주지’ 와 ‘결의’라는 개념을 통해 잘 드러나 있다. 따라서 교단 예배의 정체성은‘주지’와 ‘결의’이며, 개혁의 방향성도 ‘주지’와 ‘결의’에 맞추어야 한다. 이를위해서 교단이 제시하는 예배는, 기독교의 가르침을 동시대의 좋은 언어로 해석하도록 도와야 하고, 해석된 동시대의 언어로 교인들의 무디어진 인식을 깨우며, 나아가 신앙의 마이스터가 된 신앙인들을 성찰의 세계로 이끌어야 할 것이다. 한국기독교장로회는 세 권의 예배 예식서에서 ‘절도’, ‘기개’, ‘정중’, ‘정렬’을 강조하며, 예배의 아름다움을 추구했다. 그런데 ‘주지’와 ‘결의’를 강조하는 예배에서 흔히 놓치기 쉬운 것은 정성스러운 표현, 곧 외적인 형식이지니는 아름다움이다. 개혁교회 전통은 영적 예배를 강조함으로써 형식의중요성을 부각하지는 않았다. 형식을 물질적인 것으로 평가하면서 영적인것과 물질적인 것의 이분법을 강조함으로써, 나름의 스테레오 타입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그러나 정성은 외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주지’와 ‘결의’를중시하는 이성적이고 영적이며 합당한 예배를 드리기 위해서는 경건한 행위를 통해 표현되는 형식의 중요성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정성으로 표현된 형식미를 갖춘 아름다운 예배에 개혁의 방향성을 맞춘다면, 그 아름다움은 단순 소박함의 아름다움이어야 할 것이다. 크고 화려한것을 통해 표현하는 아름다움은 십자가에 달려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사건을 통해 인간에게 새로운 생명을 선물했다는 역설적 진리를 기억하고 감사하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예배의 미학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맥시멀리즘의 문화는 한국기독교장로회가 그 출범부터 갖고 있었던 반문화적(反文化的) 경향에 부합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반문화적 경향은 예배의 종말론적 특성으로 드러날 수 있다. 예배에서종말론적 선취가 일어난다는 것은 미래의 어떤 가능성, 곧 하나님 나라의도래를 오늘 여기에서 현재화하고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지’와 ‘결의’가 주요한 요소인 예배일수록 감성과 영성에 호소할 수있는 음악과 찬송은 더욱 중요할 것이다. 지금의 CCM으로는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신학을 담아내지 못하므로, 교단 총회는 찬송가 공회의 찬송과 함께예배 중에 불릴 수 있는 새로운 찬송이 담긴 노래집의 출간을 기획해야 할것이다. |

      • KCI등재후보

        초기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연구

        김영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8 복음과 실천신학 Vol.18 No.-

        현대 예배갱신 흐름은 교단을 초월하여 초대교회 예배전통과 세계교회의 다양한 예배유산을 적극 활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감리교회 초기예배의 뿌리와 형성과정을 고찰함은 오늘의 한국감리교회 예배이해와 갱신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논자가 초기한국감리교회 예배 중에 주일예배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은 오늘의 예배문제는 곧 주일예배의 문제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주일예배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도구는 교단의 공인된 예배예식서이다. 이를 위해 그동안 발굴되지 못한 초기문헌들을 발굴하여 분석하기도 하였고,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뿌리라 할 수 있는 존 웨슬리 예배와 미국감리교회 예배를 고찰하였다. 그 후 초기한국감리교회 주일예배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결론에서는 새로운 과제도 제안하였다. 초기한국감리교회의 시대적 범위는 Appenzeller가 내한하여 선교를 시작한 1885년부터 기독교조선감리회가 태동한 이듬해인 1931년까지 두었다. Regardless of the denomination, the trend of renewing the modern worship service is to actively make good use of the various heritages of the worship services of the early churches and many churches in the world. In this respect, studying the root and process of forming the early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helps to understand and renew its today’s worship service. The reason why the author considers that the study of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Methodist Church is needed is that the problem of today’s worship service is that of Sunday worship service. What is needed for studying Sunday worship service is Book of Worship and Rite which the Methodist Church authoriz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Korean Methodist Church presented in Book of Worship and Rite.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ound out and analyzed the hidden early documents,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Sunday worship service. First of all, the author inquired the worship service of John Wesley and the American Methodist Church, which are the roots of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Korean Methodist Church. Then, after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Sunday worship service of the early Korean Methodist church, the author suggests the new task in concluding. The era range is from 1885 when Appenzeller started his mission in Korea to 1931, the next year when the Korean Methodist Church launched.

      • KCI등재

        한국 개신교 예식서에 나타난 주일 예배 비교 연구

        유재원(Jae-Weon Yo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 한국 개신교 예배는 어떻게 될 것인가라는 단순하면서도 광범위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본격적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지만, 사실상 코로나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졌다. 특히 한국 교회의 경우 코로나19 발발 초기에 집단 감염을 일으킨 사이비 집단으로 인한 역풍을 만나면서 현장 예배 중단이라는 초유의 사태와 함께 주요 감찰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한편 내부적으로는 무조건 온라인/비대면 예배를 드리게 되면서 예배의 본질과 내용보다 방법과 기술이 우선시되는 기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때일수록 한국 개신교 예배의 뿌리를 돌아보며 가장 기본적인 주일 예배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는 비판적 성찰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비예전적 배경에서 시작된 한국 개신교 예배가 예배 회복 운동의 영향 아래 국내 예배학자들이 배출되면서 이제는 주요 교단마다 예식서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발전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한국기독교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기독교대한감리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서 발간한 예식서에 수록된 주일 예배로 한정하며, 사중 구조(Fourfold Order of Worship)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2018년에 개정 발간한 미국 장로교의 공동 예배서(Book of Common Worship)에 나타난 다중 언어와 아이콘 사용을 언급하면서 추후 예배서에 담겨야 할 유연성과 수용성의 발전 가능성을 고찰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기존 예배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연구와 비판적 성찰을 통해 한국 개신교 내에 참된 예배의 개혁이 일어나길 기대한다. This study starts with a simple yet broad question of what will happen to Korean Protestant worship after COVID-19. Although we are still living with COVID-19, it is almost impossible to imagine that we will be able to return to our daily life as it was before COVID-19. While meeting a headwind of a pseudoreligion groups that spread mass infections in the early stages of the outbreak of COVID-19, the Korean church had to suspend on-site worship for the first time in its history and has become a major target of government inspections.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hurch was required to introduce onine/untact worship and ended up prioritizing the methods and techniques of worship over the essence and content of worship. At this time, it is more important to look back on the roots of Korean Protestant worship and to critically reflect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Lord’s Day worship. Though Korean Protestant worship began with non-liturgical background it has developed to the point where every major denomination now has a book of common worship and there are many Korean worship scholars writing material that has been influenced by the Liturgical Movement.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Lord’s Day worship liturgies outlined in the books of common worship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the General Assembl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GAPCK),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PROK), the Kosin Presbyterian Church in Korea(KOSIN), the Korean Methodist Church(KMC),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KEHC). And we will look at them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ourfold Order of Worship. In addition, we will refer to the use of multiple languages and icons in the Book of Common Worship of the Presbyterian Church(USA) which was revised and published in 2018. We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lexibility and receptivity in future Korean worship books. It is expected that, beginning with this study, any reform of true worship for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must happen with the help of research and critical reflection regarding various areas of current worship.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개신교 추모예식에 대한 예전적 제언

        Ahn Deok Weon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9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theological, and liturgical aspects of Chumo Yesik, memorial ceremonies in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o present alternative and exemplary services. The ceremony conducted by Yi Muyong, a member of Chungdong First Methodist Church, on his mother's anniversary is the oldest Korean Protestant Church memorial ceremony on historical record. Since then, most Korean denominations have incorporated Chumo Yesik, or memorial ceremonies in their worship books, revising and supplementing content over time. The Korean culture of family-centered memorial is a meaningful topic within inculturation, but there has been a lack of noteworthy developments in its practice throughout its Christian history, and the question remains as to whether patriarchal ceremonies premised on large families are suitable for modern society. Previous studies on memorial ceremonies mainly introduced and emphasized their value,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eremonies’ historical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For example, churches and denominations would hold memorial ceremonies on anniversaries or holidays, and scholarship has identified ideas embedded in these practices such as the harmony and faith of family members, the emptiness of life, and hope for heaven without notable differentiation of their meaning among practitioners. However, the ceremonies’ reflection of patriarchal society in their narrow strictures and the practical misunderstandings invited by exclusive or too-rigid language may fall short of complementing the cosmic and universal church. All Saints’ Day, as a created tradition honoring the martyrs of the early church, provides a theological and liturgical perspective on memorial ceremonie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orporate important theological themes such as the remembering of the dead, comfort and hope in God, and hospitality for the community. The active participation of family members or church member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 perception of these practices as universal church ceremonies needs to be fostered. Preachers should take a pastoral approach and proclaim the gospel through the ceremonies. Once these efforts are in place, memorial ceremonies that are both timely and harmonious with the nature of worship can be achieved and spread throughout the Korean church. 이 논문은 한국개신교 추모예식을 역사적, 신학적, 예전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갖는다. 정동제일감리교회의 성도 이무영이 그의 모친의 기일에 드렸던 예식(1897)이 가장 오래된 한국개신교회 추모예식의 역사적 자료다. 이후 대부분의 교단들이 추모예식을 예배예식서에 포함하였고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해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가족 중심의 추모문화는 예전토착화의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나 이후 주목할 만한 발전이 부족했고 대가족을 전제로 한 가부장적 예식이 현대사회에 적합한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추모예식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추모예식이 갖고 있는 역사적, 신학적 의미에 주목하며 주로 그 가치를 소개했다. 교회와 교단들이 제시하는 추모예식의 사례들은 고인의 기일이나 명절에 드리는 것들인데 가족 구성원의 화합과 믿음의 계승, 인생의 덧없음과 천국의 소망들이 담겨있고 내용상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다만 우주적, 보편적 교회보다 가정만을 대상으로 한 편협성과 가부장적 사회를 반영한 경직성이 아쉽고, 차별적이거나 배타적인 표현도 발견된다. 초대교회에서 순교자를 기리던 전통이 생겨나고 만성절로 정착한 사례는 추모예식에 신학적, 예전적 안목을 제공한다. 죽음의 직면, 공동의 기억, 위로와 소망, 환대와 같은 중요한 신학적 주제를 담아내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가족구성원 혹은 교회에 속한 교우들의 능동적인 참여도 고려해야 한다. 보편적 교회의 예식이라는 인식의 확대도 필요하다. 설교에 있어서 복음의 선포와 함께 목양적 접근도 요구된다. 더욱 시의적절하고 예배의 본질에도 부합하는 추모예식이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보급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