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영혼의 모상 -플로티누스의 자연과 영혼의 구분-

        송유레(Euree Song) 한국철학회 2020 철학 Vol.- No.144

        본 논문의 목적은 서양 고대 철학에는 ‘심신 문제’가 없었다는 통론에 반대하여, 플로티누스가 자연과 영혼을 구분함으로써 일종의 심신 문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음을 보이는 것이다. 플로티누스는 몸의 생명을 책임지는 업무에서 면제된 영혼 개념을 제시하면서, 그러한 영혼을 다양한 심리적 활동을 수행하는 의식의 주체와 동일시한다. 이를 통해 그는 생명의 원리로서의 영혼이라는 고대적 관념에 종언을 고하고, 의식의 주체로서의 마음이라는 근대적 관념의 탄생을 예고한다. 플로티누스의 철학에서 몸을 살게 하는 생명의 원리는 이제 자연이다.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플로티누스의 자연과 영혼의 구분은 생리와 심리의 분리를 함축하고, 이것이 결국 심신 문제의 발생으로 귀결된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플로티누스가 자연을 일종의 영혼으로 간주했다는 반론이 제기될 수 있다. 실제로 그는 자연을 종종 세계영혼의 최하위 부분으로 다룬다. 하지만 ‘최하위 부분’으로 불리는 자연은 결국 ‘최상위 부분’으로 불리는 이성의 모상으로 밝혀진다. 플로티누스는 참된 영혼을 이성적 영혼과 동일시하면서 영혼의 모상과 구분한다. 우리의 몸을 살게 하는 자연은 영혼의 모상이지만, ‘우리’는 참된 영혼이다. 자연을 ‘영혼의 모상’으로 묘사함은 자연이 영혼을 닮았지만, 더 이상 영혼이 아님을 뜻한다. Against the scholarly consensus that there was no ‘mind-body problem’ in Western ancient philosophy,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Plotinus was led to face a sort of mind-body problem by distinguishing nature from soul. Plotinus presents a concept of the soul as exempt from the work of animating the body and he identified the soul with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performing various psychological activities. With this he puts an end to the ancient notion of the soul as the principle of life, and foreshadows the birth of a modern notion of the mind as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In Plotinus’ philosophy, the principle of life that makes the body live is now nature. According to my interpretation, Plotinus’ separation of nature and soul implies dividing the physiological area from the psychological area, which in turn gives rise to a soul-body problem comparable to the modern mind-body problem. However, it can be objected that Plotinus regards nature as a kind of soul. Indeed, Plotinus often treats nature as the lowest ‘part’ of World-Soul. It is argued here that nature is an image of reason called the ‘highest part of the World-Soul’. Plotinus distinguishes the true soul from images of the soul, while identifying the true soul with rational soul or reason. Nature animating our body is an image of soul, whereas ‘we’ are the true soul. Plotinus’ description of nature as an “image of soul” suggests that it resembles a soul, but is no longer a soul.

      • KCI등재

        ‘영혼의 치유’로서 독서치료 연구 -그 기원과 의미

        강미순(Kang, Mi Soon) 한국독서치료학회 2022 독서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독서치료 근원 설명에서의 오류를 바로잡으며, 영혼의 개념과 ‘영혼의 치유’ 의미를 살펴보고서, ‘영혼의 치유’로서 독서치료의 정체성을 확인하려는 한 시도이다. 최근 영적 발달과 건강에 대한 논의는 종교적 영역뿐만 아니라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뤄졌고, 현대 실존적⋅정신적 위기 속에서 새로운 인식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독서치료는 그 근원이 ‘영혼의 치유’ 임에도 불구하고 영적 발달과 건강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 무엇보다도 기원의 오류가 있음에도 근원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영혼의 치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에 이 연구가 필요했다. 본 논문에서는 영혼 개념과 ‘영혼의 치유’ 의미를 이해하고자 이집트와 그리스를 비교하며 문헌연구로 전개했다. 그 결과 근원 설명에서의 오류를 정정하고, 이집트와 그리스 철학에서 생명, 이성과 비이성의 통합적 개념으로서 영혼 개념의 유사성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이집트가 그리스에 미친 영향을 확인했다. 또 독서를 매개한 ‘영혼의 치유’ 의미를 연구하며 이집트와 그리스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독서의 영향력과 치유력을 확인했다. 더불어 지혜의 심리⋅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독서, 지혜, 영혼의 치유 연결 구조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개인⋅사회적 정신건강이라는 독서치료 목표의 실현, 특히 사회공동체적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영혼의 치유’ 임을 주장했다. 본 연구를 통해 ‘영혼의 치유’로서 독서치료를 제안할 수 있었고, 그 첫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로 이론을 보완하고, 프로그램 실천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correct the error of explaining the sources of bibliotherap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soul and the meaning of ‘Healing of the Soul’, and reaffirms the identity of bibliotherapy as ‘Healing of the Soul’. Recently, discussions on spiritual development and health have been conducted not only in the religious realm, but also in various academic fields. As a result, a new awareness is emerging in the modern existential mental crisis. Even though the source of bibliotherapy is ‘Healing of the Soul’, there was insufficient discussion on spiritual development and health. Above all, there is an error regarding its origin; and fundamental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his study was necessary due to the lack of research on Healing of the Soul . This paper used literature research when comparing Egypt and Greece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soul and the meaning of ‘Healing of the Soul’. As a result, the error in explaining the origin was corrected, and the concept of the soul was viewed as an integrated concept of life, reason, and irrationality (emotions and desires), as was understood similarly by Egyptian and Greek philosophies. This confirmed the influence of Egypt on Greece. Also, the meaning of ‘Healing of the Soul’ by reading was examined by comparing Egyptian and Greek philosophies. Based on the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effects of wisdom, the process was emphasized in the order of reading, wisdom, and healing of the soul. As related to personal-social mental health, the goal of bibliotherapy can be realized ‘Healing of the Soul’ by reading. Through this study, bibliotherapy could be interpreted as ‘Healing of the Soul’, which is just a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theories and diversify the practice of the program in the follow-up study.

      • 기독교 입장에서 본 인간의 죽음과 영혼 문제 이해

        송용수(Song, Yong-So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9 No.-

        고대 철학자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에 대하여‘이데아 사상’을 통하여‘영혼불멸설’을 제기 하였으며 또한 육체와 분리됨을 선언하였다. 그러나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은 하나밖에 없으며 영혼을 신체의 형상이라고 정의를 하고 있다. 반면에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 정의를 받아들여 영혼을 그의 작품 신학대전을 통하여 영혼은 육체의 실질적 형상임과 동시에 그 자체 자립적 형상(forma per se subsitens)이라고 정의를 하고 있으며 더불어서 인간의 본성을 구체적으로 크게 영적 기능과 감각적 기능으로 나누고 있다. 그리고 거기에 수반된 이성(intellectus), 의지(voluntas), 구상력(imaginatio), 기억력(memoria), 판단력(vis aestimativa), 공통감각(sensus communis)을 통하여 인간의 본성에 필요한 기능적인 영역을 확대하였다. 따라서 이런 점을 고려하여 기독교의 영혼은 대체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영혼불멸’에 동의하고 있으며 인간이 죽음 이후의 영혼에 대한 모습을 부활(復活,revival)이라는 명제로 단언하고 있다. 문제는 부활을 통하여 회복된 영혼은 지금까지의 육체와 어떻게 분리되며 반면에 분리된 후에는 그것이 어디에 거처를 하는지 등에 대하여 철학에서 해결하지 못한 영혼에 과제를 남겨두게 되었다. 따라서 기독교‘영혼’은 창세기 2 : 7의‘생기’또는‘생령’(living soul)의 기본 의미는 분명히 희귀한 동사형‘나파쉬’(naphash)와 관련되며 구체적으로‘호흡하는 행동’‘숨을 쉬는 것’기타‘혼’(soul)로 번역되기도 하며 또 다른 의미로 프쉬케(ψυχή)라 일컬어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영혼의 비물질적인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부분으로 순수한 영혼에 대한 기능은 비슷한 비 물질의 기(氣) 뿐만 아니라 기타 종교의 명상과 수행 속에서 발생한 보이지 않은 힘의 원천들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앞으로 연구할 과제로 남겨두게 되었다. Ancient philosopher Plato raised the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rough ‘ideology’ about the human spirit and also believed that the spirit is separated from the physical body. His student Aristotle however defined that there is only one spirit and that it is another form of the physical body. On the other hand, Thomas Aquinas accepted the theory Aristotle brought on Spirit and added on his great Summa Theologiae that Spirit is an actual form of the physical body but also its own independent form. In addition he classified the nature of human into Spiritual function and Sensuality function. He also extended his theories on functionality area through rationality, will, imagination, recollection, estimative power and the common sensuality. Therefore considering all the above points, spirits in Christianity agrees with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ory by Plato and Aristotle and declares the form of human after death as the term “Revival”. The question here is that if the spirit is restored through revival how can it be distinguished from the physical body and if so, where does the separated spirit reside in? These are Spirit issues which still remain as philosophically unresolved. Therefore the ‘Spirit’ in Christianity follows the basic meaning of‘breath of life’from Genesis 2:7 or the‘living soul’ which both relates to the rare form of Hebrew verb‘naphash’. The meaning of this rare verb is‘to breathe’or‘to be breathed upon’and sometimes translated into ‘soul’ or called as ‘Psyche’. In another word, it speaks about the unmaterialistic role and function of the spirit. Hence it is an area that needs to be approached with caution and should be researched further in the future what relation does the functionality of the pure spirit has with the similar nonmaterial ‘Chi(energy)’ and also with the foundation of invisible force that is created through meditation and self-discipline in other religions.

      • KCI등재

        영혼심리학 서설 : 융의 분석심리학의 한 해석

        박종덕(Jong-Duk Park)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2

        진정한 의미에서의 심리학은 영혼에 관한 탐색을 그 핵심적 관심사로 삼는 영혼심리학이라고 볼 수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심리학과 융의 분석심리학은, 약간의 상이한 주장에도 불구하고, 그 방면의 영혼심리학을 예시하고 있다. 특히, 융의 분석심리학은 영혼의 회복 문제를 본격적으로 취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다만, 융은, 영혼의 회복은 꿈에 현시되는 비언어적 상징을 분석하는 일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할 뿐, 그 밖의 경로를 통해서도 가능하다는 점을 간과함으로써 보완의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그리고 그 보완의 방향은 성리학의 심성함양의 매체이론에 비추어 모색될 수 있다. 성리학의 심성함양의 매체이론에 의하면 심성과 그 심리적 대응물로서의 영혼은 비언어적 상징, 언어적 상징, 개념에 의하여 회복된다. 이 세 가지 매체가 영혼을 회복하는 경로가 된다는 점을 밝힐 때에야 비로소 융의 심리학에 예시되어 있는 영혼심리학은 완성된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곧, 영혼심리학은 영혼의 회복을 주된 관심사로 삼아 인간을 신적 경지로 이끄는 교육적 맥락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Psychology in a true sense can be described as the psychology of the soul, assuming that psychology should investigate the concept of the soul. Some contrary suggestions notwithstanding, Freud’s psycho-analytical psychology and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re typical exemplars of the psychology of the soul. Especially, it is worth reminding that Jung’s analytical psychology makes a claim that the soul should be reinstated as its own. However, Jung asserts that the soul can be reinstated only through analysing nonlinguistic symbols of the dream. This is why Jung’s analytical psychology needs to be reinterpreted in terms of Neo-Confucian theory of the media of cultivation of mind. Neo-Confucianism, when interpreted in the light of theory of the media of cultivation of mind, offers the view that ‘the primordial mind’ which is Neo-Confucian equivalent to soul is reinstated by the media of ‘nonlinguistic symbol’, ‘linguistic symbol’, and ‘concept’. Only when we recognize three kinds of media as the ways of reinstatement can we establish the psychology of the soul exemplified by Jung’s analytical psychology. In this sense, we can make sure of placing the psychology of the soul in its true context, which aims to reinstate the soul and to uplift human being to the divine state.

      • KCI등재

        플라톤의 영혼론의 전개

        김윤동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5 No.-

        Plato demonstrates the immortality of soul in 「Phaedo」, based on the resemblance between idea and soul. Namely he wants to get immortality from simplicity, indivisibility, independence, invisibility of soul. In this process, soul and body show an opposite relationship, and both survive in inconvenient conditions. Soul waits only for the day of departure through exercise of death. In 「Republic」 Plato gives up this extreme dualism and tries to reconcile soul and body. In book Ⅳ he divides soul into three parts. The contrast between soul and body is explained by the conflicts of these tripartite elements. This is the development of Plato's psychology. When he divides the soul into three parts, namely reason, spirit, and desire, we can find grounds for the external cause of the tripartite state and internal cause of the psychological conflicts. ‘Psyche’, meaning ‘power of life’ originally, obtains the philosophical basis in Plato. In book Ⅹ, he insists that the only rational part is immortal. 「Timaeus」 is the book of Plato's cosmology and explains the process of making the soul. The cosmic body was made from four elements (water, fire, air, earth). The cosmic soul entered into the cosmic body and the intelligence (nous) entered into the cosmic soul. After that, Demiurge makes the human soul directly by himself, placing that divine soul into the head. The spirit and desire of the soul are made by celestial bodies (gods). In 「Timaeus」 soul is also tripartite. These two irrational parts of soul are mortal in the end. On the other hand, the rational part of soul (logistikon) is immortal as gods. 소크라테스는 인간의 본질을 육체가 아닌 영혼으로 보고, “영혼을 돌보는 것이 인간의 최대관심사이어야 한다.”라고 설파하였다. 인생의 목적이 덕(德)의 실현에 있고, 영혼은 바로 덕이 실현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그의 영혼에 대한 관심은 제자 플라톤에 이르러 보다 체계적인 영혼론으로 발전하여, 이데아론과 함께 중요한 철학적 탐구영역으로 자리매김한다. 「파이돈」편에서는 오르페우스교와 피타고라스교의 내세지향적인 윤회설에 근거하여 영혼의 신적이고 불멸적인 본성을 찾고자 영혼 불멸증명을 시도한다. 윤회설과 상기설, 이데아와의 유사성, 가설의 방법을 동원한 증명들은 온전한 성공을 거둘 수 없었다. 따라서 플라톤은 논리적 증명의 한계를 사후(死後)의 신화(神話)로 보완하였다. 아무튼 「파이돈」에서 보여준 영혼은 초기 이데아의 배타성, 초월성, 불변성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나머지, 자기의 육체와 대립하게 되고 육체라는 감옥에서 해방되기 위해 죽음을 연습(philosophia)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플라톤은 「국가」편에서 영혼을 삼분(三分)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즉 「파이돈」에서 단일하게 보였던 영혼이 이성적 부분, 격정적 부분, 욕망적 부분으로 되어 있어, 서로 간에 갈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면모는 영혼을 육체와 대립 내지 적대관계로 보는 것이 아니라, 육체와 화해하고 육체를 다스리는 역할을 중시한 데서 비롯된다. 이성이 격정과 욕망을 잘 다스릴 때, 지혜‧용기‧절제라는 각각의 덕(德)이 조화를 이루어 정의로운 인간이 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플라톤은 영혼의 단일성을 포기하고 복합적 영혼에로 나아갔는가? 영혼의 단일성에 근거한 불멸성은 어떻게 확보되는가? 영혼의 세 부분 중 이성적 부분만 불멸하는가, 아니면 조화를 이룬 세 부분이 하나의 전체로서 불멸하는가? 이러한 어려운 문제들이 풀기 어려운 실타래처럼 엉겨있다. 「파이드로스」편에서 영혼은 ‘스스로 운동하는 자’로서 불멸적이고 모든 운동의 원인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뒤이은 신화에서 천상의 영혼들이 신들의 영혼이건 인간으로 탄생할 영혼이건 간에, 세 부분으로 활동하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리하여 영혼의 삼분(三分) 문제는 더욱 복잡한 양상으로 얽히게 된다. 어떻게 육체를 입기 전의 영혼에도 이성‧격정‧욕망이라는 세 요소가 있다는 말인가? 플라톤은 모든 인간의 활동의 원인이 영혼에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서였다. 여하튼 선재(先在)하는 영혼의 삼분(三分)은 「국가」편의 삼분적 영혼의 선험적 근거를 마련해주었다. 「티마이오스」편은 플라톤 영혼론의 완결판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도 영혼은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이전 대화편들과 달리, 세계영혼이 기하학적 비례에 따라 먼저 제작되고, 그 뒤에 인간 영혼이 제작된다. 인간 영혼의 기원이 분명히 밝혀진 셈이다. 그리고 세 부분의 영혼이 각각 위치하는 신체적 기관까지 명시함으로써, 영혼이 모든 인간 활동의 원인이고 육체를 지배하는 원리임을 증명한다. 「티마이오스」편은 세 부분의 영혼이 하나의 통일체로서 불멸하는 것이 아니라, 머리에 위치한 이성적 부분만이 불멸적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 부분은 데미우르고스가 직접 만든 것이고 나머지 사멸적 두 부분은 천신(天神)들 즉 천체들에게 제작을 맡겼다. nous가 그 안에 들어있는 이성적 부분 ...

      • KCI등재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나타난 철학상담의 원형

        이상봉(Lee, Sang-Bong)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철학은 인간이 지혜롭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잘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관점에서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사상에 나타난 철학상담의 원형적 모습을 살펴보았다. 플라톤에게 있어서 철학은 영혼이 가장 좋고 훌륭하게 되도록 병든 영혼을 잘 돌보는 활동이라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철학은 영혼이 그 기능을 잘 발휘할 수 있도록 영혼을 키우고 가꾸는 활동이다. 혼란하고 일관성이 없으며 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 인간이 행복할 수는 없다. 플라톤은 불행한 인간을 행복에로 돌려 세우는 방법으로 대화술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고자 시도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동의 반복, 즉 습관화를 통해 자질을 계발함으로써 인간을 행복하게 만들려고 한다. 이렇게 볼 때 플라톤이 생각하는 철학상담의 주된 역할은 이성이 제시하는 질서를 따르도록 대화를 통해 내담자를 인도하는 것이 될 것이요, 아리스토텔레스가 이해하는 철학상담의 주요 목적은 행동의 습관화를 통해 이성이 제시하는 덕스러운 삶을 살아가도록 내담자의 영혼을 계발하는 것이 될 것이다. 바로 여기에서 ‘영혼 돌보기’와 ‘영혼 가꾸기’로서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차별성이 드러나며, 또한 동시에 철학상담의 원형적 모습이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이 자기 영혼을 돌보고 가꾸어서 온전한 자신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에 철학활동은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실천철학으로서의 철학의 본래적 의미이며, 철학이 철학상담 또는 철학치유로 성립할 수 있는 근거일 것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lucidate the Archetype of Philosophical Counselling in Plato and Aristotle. Plato and Aristotle examined in what good life consist. For Plato, in order to live the good life we need to master oneself. To be a master of oneself require that to get a grip on our warring appetites, understand our interconnections with the society of which we were part, and become masters of our own soul. Plato saw personal development as inseparable from the evolution of the city state. Personal preferences have to compromise with community priorities. For Plato, Philosophing is caring about wisdom and truth and the greatest improvement of the soul. And the method of caring soul is dialogue. To make our soul good we have to interrogate and examine our soul. We have an element of philosophy in our nature, so we will marvellously improve when we examine our soul. Aristotle argued that it is in our nature as organism to strive towards certain ends: happiness. To be happy is to be virtuous, to be committed, to be active. The virtues arise in us neither by nature nor contrary to nature, rather we are adapted by nature to receive them, and are made perfect by habit. Actions needed to be practised again and again if real change is to occur. Habituation by action is important for human good. Man is a social animal, and the need for company is in his blood. For Aristotle, life is a balancing act: finding a compromise with conflicting internal appetites and higher moral principles. The road to happiness for Aristotle was not so much via dialogue but by action. The concern for action was particularly Aristotelian. Philosophing is growing soul by habituation of action. For Plato, philosophy is "soul caring" and dialogue is the method for soul caring. For Aristotle, philosophy is "soul growing" and habituation by action is the method for soul growing.

      • ‘영혼(靈魂)’의 형상이미지 대한 연구

        조현미(Jo Hyeon-Mi)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7 애니메이션연구 Vol.3 No.1

        인간 삶에 있어 죽음과 관련된 의문은 예로부터 철학적 논변(論辨)의 중심에 자리 잡고있다. 죽음에 대한 연구는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려는 인간의 의지이며, 그 극복의 한 방편으로‘영혼(靈魂)’을등장시키고있다.‘ 영혼불멸설’을비롯해‘부활설’ ‘윤회설’등은 영혼에 의한 내세관(來世觀)의 확립이며, 이는 종교의 본질을 이루기도 한다. 이러한 영혼에 대한 인간의 관심은 애니메이션에도 적극 반영되어 애니메이션의 모티브가 되고 있다. 〈헤라클레스(Hercules)〉〈뮬란(Mulan)〉〈반딧불의 묘(火垂るの墓)〉 등에서 우리는 시각화된 영혼을 볼 수 있다. 보이지 않는 영혼은 아이러닉하게도 최첨단 디지털시대인 지금 애니메이션이라는 가상공간 안에 실존하고 있다. 이 논문은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영혼’의 시각화된 형상이미지에 대한 연구이다. 가상공간 안에서 영혼은 어떤 형상으로 실존하고 있으며, 왜 그러한 형상으로 나타나는 가에 대해 종교적 영혼관을 바탕으로 애니메이션 <기동아, 부탁해>를 통해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 속의 영혼은 살아있는 인간의 형상을 그대로 옮겨 놓되 보통 사람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심령사진이나 영혼을 보았다고 믿는 이들의 증언이 이를 뒷받침한다. 즉, 영혼은 육체에 깃들은 정신 혹은 혼(魂)으로써 죽음과 동시에 분리되지만 그 모습은 육체의 모습과 같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결국 영혼의 형상은 불멸(不滅)하기를 원하는 인간 심리가 그대로 반영된 이미지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background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animation has broken away from the traditional mold of animation and is diversified into animation by media as a source contents following the growth of interactive media in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era. Hereupon, we examine the trend of interactive media following the convergence of genres amidst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and reflect on the extensibility of animation. The study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ve media through literature reviews on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following the digital environment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imation as a medium. Furthermore, the study has projected tasks of interactive media in the future followed by the characteristics of web animation and mobile animation and its case studies on the extensibility of animation becoming generalized amidst the flood of digital era simulation. The result is that the various digital contents have also been integrated into the ani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under digital convergence and the interactive aspect is expanding newly and more diversel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has provided data through examples about the extensibility of the animation breaking away from the mold of the existing concept in the interactive media environment growing rapidly.

      • 플라톤의 영혼의 돌봄과 윤리적 삶의 방식

        장영란(Chang, Young-Ra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8 No.-

        This treatise is aimed to understand how to relate between the problems of 'self-knowledge' and the 'caring for self', which the one is originally greek proverb "know yourself" known very well by Socrates, and the other is known as a kind of practical way by Plato's dialogues, especially Apologia, Politeia, Phaedros, Alcibiades. We try to consider 'caring for self' and the way of ethical life on the four aspects. First, we consider the problem of self-knowledge as ethical basis. It is as the theoretical aspect of 'caring for self' related to the training way of soul. The caring for oneself is presupposed necessarily the relation to our selves as well as others. So it is very important starting-point as an ethical basis. Second, we consider the nature of soul and the way of life. Soul consists of three parts, those are reason, spirit, and appetite. There is an analogy between the three parts of soul and the three kinds of human beings. Third, we consider the harmony of soul and the principle of self-control. The part of reason has less power than spirit and appetite. If we don't train our reason, it can't control them. When the reason will get the true power to control them, soul will be in harmony among them. Fourth, we consider the caring for oneself and ethical therapy. The caring for oneself is necessary to relate to the caring for others practically. In ordinary life, our soul can't but be reflected in relation to others. Thus it would be provided the practical turning points of ethical and political life. 본 논문은 플라톤 철학에 나타난 자기 인식의 문제가 영혼의 '돌봄'(epimeleia)이라는 실천적 양식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기위해 영혼의 본성과 기능을 분석하여 일상적 삶 속에서 윤리적 및 정치적 계기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윤리적 정초로서의 자기 인식'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자기 돌봄의 이론적 계기이다. 영혼을 돌보는 행위는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필연적으로 전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그것은 윤리학의 정초로서 중요한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영혼의 본성과 삶의 방식과 관련하여 플라톤이 구별하는 영혼의 세 부분들인 이성과 기개와 욕구의 특징에 따라 세 종류의 사람들인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들', '이기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 '이익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구별할 수 있다. 나아가 국가의 다섯 가지 정체, 즉 최선의 정체 외에 명예제, 과두제, 민주제, 참주제와 관련하여 다섯 가지 종류의 개인의 영혼과 다섯 가지 종류의 삶의 방식이 있다고 한다. 셋째, 영혼의 조화와 자기 지배의 원리와 관련하여 플라톤은 이성 이외에 기개나 욕구의 힘이 너무나 '강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성의 역할을 중시하였다. 이성은 본래 기개나 특히 욕구에 비하면 '힘'이 약한 존재이다. 플라톤은 인간의 영혼을 구성하는 데 욕구의 힘이 얼마나 강력한지를 보여주기 위해 여러개의 머리를 가진 짐승에 비유하여 말하였다. 만약 우리가 이성의 능력을 올바로 훈련하지 않으면, 그것은 자기 자신보다 본성적으로 강력한 힘을 가진 기개나 욕구를 통제할 수 없다. 이성이 기개와 욕구를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을 때 영혼이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넷째, 영혼의 돌봄과 윤리적 치유와 관련하여 자신의 영혼을 돌보는 것은 실천적으로 타인의 영혼을 돌보는 것과 필연적으로 연관될 수밖에 없다. 일상적인 삶 속에서 우리의 영혼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성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것은 윤리적 삶 및 정치적 삶의 실천적 계기가 된다.

      • KCI등재

        ‘영혼의 병고치기’ 또는 ‘영혼의 밭갈기’로서의 철학 : 후기고대 동방과 서방에서의 철학의 목적론적 개념과 문화사적 의의

        전광식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유스티니안황제에 의한 아카데미 폐쇄 이후, 쇠퇴기에 접어든 헬라철학의 명맥을 유지해가던 알렉산드리아의 신플라톤주의자들 (Ammonios, Olympiodoros, Elias, David, Stephanos)은 철학사상 처음으로 철학의 정의들과 분류법들을 정리한 철학입문서 Prolegomena Philosophiae를 집필한다. 그 가운데 가장 체계적인 Prolegomena Philosophiae를 남긴 David는 모든 전래적인 개념들을 모아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정의로 제시한다. 첫 번째 정의인 ‘존재하는 것으로서의 존재자들에 대한 인식’과 두 번째 정의인 ‘신적인 것들과 인간적인 것들에 대한 인식’은 주제에 따른 정의요, 세 번째 정의인 ‘죽음에의 연습’과 네 번째 정의인 ‘신에게의 동화’는 목적에 따른 정의이며, 다섯 번째 정의인 ‘기술 중의 기술, 학문중의 학문’은 수월성에 따른 정의요, 여섯 번째 정의인 ‘지혜에의 사랑’은 어원에 따른 정의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섯 가지 정의 이후에 일곱 번째 정의요, 어쩌면 결론적인 것이라 할 수 있는 정의가 등장하는데, 그것은 곧 철학을 ‘영혼의 치유법’과 ‘영혼의 치장술 또는 계발법’로서 정의한 것이었다. 영혼학으로서의 철학의 두 가지 개념은 David를 비롯한 후기고대에서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이 ‘신적인 철학자들’로 추앙한 피타고라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에게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미 철학의 여섯 가지 정의의 근원이기도 한 이들 고대헬라철학들은 철학이 인간의 영혼을 정화시키기도 하고 계발하기도 한다는 이념을 개진하였다. 그런데 학자와 학파, 그리고 종교에 따라 ‘영혼의 병고치기’와 ‘영혼의 밭갈기’라는 강조점의 차이를 보임에 따라 그 후속사가 상이하게 전개됨을 볼 수 있다. 철학을 ‘영혼의 치유법’으로 보는 관점은 동방적 전승이 강하지만 동서를 막론하고 종교적 사상이 강한 경우에는 이러한 입장을 고수하는 것이 보인다. 이를테면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서방기독교사상가, 신플라톤주의자들, 비잔틴사상가들과 Al-Kindi나 Al-Razi와 같은 이슬람 철학자, 그리고 중세기의 Maimonides와 같은 유대사상가 등 주로 종교적 전통으로 내려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반면 철학을 ‘영혼의 치장술’로 보는 시각은 주로 서방에서 로마의 Cicero, 페르시아의 논리철학자인 Paulus Persa, 시리아의 학자들인 Severus나 Michael Bādōqā, 그리고 아랍논리학자인 Ibn Bihrīz 같은 일반학문적 전승으로 이어져 옴을 볼 수 있다. 이렇게 후기고대에서의 철학의 목적론적 개념에 대한 이해의 미묘한 차이로 인해 동서방의 학문, 종교, 문화, 문명이 각기 다른 강조점을 가지고 다른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결과로 동방기독교사상계나 이슬람에서는 철학이 종교와 결합되고 심지어 종교화된데 비해, 서방에서는 종교적 실천과 철학이 분리되어 결과적으로 철학이 이성적 체계인 합리론이나 아니면 감각중심의 경험론으로 환원되어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나아가 그로 인해 영혼치유를 강조한 철학의 종교적 전승에서는 자기부정과 정화를 추구하는 신비주의 및 수도적인 종교문화를, 반면 영혼계발을 부각시킨 일반적 전승에서는 논리학과 정신과학의 발달과 더불어 인본주의적인 서구문화를 산출하게 되었다. After closing of Platonic Academy in Athen by the Emperor Justinian in 527 A.D., Neoplatonists of Alexandrian school as Ammonios, Olympiodoros, Elias, David, Stephanos published philosophical textbook respectively, Prolegomena Philosophiae, containing various definitions and divisions inherited from ancient Greek philosophers, especially from three 'divine' philosophers as Pythagoras, Plato, and Aristotle. Among such textbooks, David's one is the best in logical and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 textbook. He arranged all traditional various definitions of philosophy into six definitions according to subjects, aims, superiority and etymology of philosophy, as the followings: according to its subjects, knowledge of existence as such and knowledge of divine and human things; according to its aims, contemplation of death and becoming similar to God as far as it is humanly possible; according to superiority, the art of arts and the science of sciences; lastly, according to its etymology, love of wisdom. However, there is still remained another definition, which is probably the last, most important one among all definitions, that is, perfection of soul. This seventh definition is a kind of teleological definitions of the philosophy beside contemplation of death and becoming similar to God. The perfection of human soul can be divided concretely into two aspects or directions: the purification of soul and the development of soul. According to its final definition, philosophy can heal the disease of the human soul on the one hand, and beautify it on the other hand. In these cases, philosophy is therapeutics(cura animae) or medicine of soul(animi medicina), and cosmetic and adornment(adornatio et cultura animae) of it. The idea of philosophy as perfection of human soul can be found primarily in Platon's dialogue, in which Socrates enters the stage as a true doctor to treat and to cure the souls of Athenian people. Platon's view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and development of soul had been inherited to later ages through medieval times in two courses, eastward and westward. Which definition of the both had been accepted more, depend on mostly whether any thinker is religious or not, then whether he belongs to west or east, and lastly whether he follows Platon's philosophy or Aristotle's thought. Generally speaking, if anyone is a religious thinker, or belongs to east, or follows Platon's philosophy, he probably hold fast to the definition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In contrast, if anyone is a non-religious philosopher, or belongs to west, or follows Aristotle's thought, he perhaps accepts the definition of philosophy as development of soul. To former belong Neoplatonists, Byzantine orthodox thinkers, islamic philosophers as Al-Kindi and Al-Razi, and western christian thinkers as Augustine, to latter correspond Cicero and western humanists, Persian philosopher Paulus Persa, Syrian scholars Severus and Michael Bādōqā, and Arab logician Ibn Bihrīz. The slight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n teleological concepts of philosophy played so important role in west and east that they go in different ways in areas of scholarship, religion, culture and civilization. As result, philosophy is combined with religion and even changed into religion in eastern christian world as well as in Islamic world, whereas, in west, philosophy is separated from religious practice and reduced merely to rational system or sensitive empiricism Moreover, in the religious tradition of philosophy as cure of soul are monastic asceticism and mysticism developed, in contrast to it, logics and humanities in the general tradition of it as development of soul. Therefore, the concept of philosophia as cura animae made mystic-religious culture with pessimistic worldview, contemplation and exercise of death, and ideal of the becoming similar to God mostly in the religion and in the eastern world, while the definition of it as cultura animae published humanistic culture to achieve perfection of human soul in various ways with optimistic worldview in the academic area and in the western world.

      • KCI등재

        영혼론과 기독교윤리 : 어거스틴, 아퀴나스, 루터의 영혼론에 대한 소고

        유경동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5 No.-

        필자가 이 글에서 주요 주제로 삼고 있는 것은 영혼에 관한 것이다. ‘영혼’에관한 신학적 주제는 기독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우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영적으로 지음을 받았다는 성경의 말씀을 토대로 인간의 존재론적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이를 근거로 인간은 타락 후에 영적 회복을통한 하나님과의 교제를 강조하고, 기독교윤리학적으로는 이 변화를 통한 거룩한삶을 윤리적 이상으로 하고 있다. 크리스천의 성화된 삶에 있어서 하나님과의영적인 교제는 이성적으로는 성경의 복음과 밀착되게 되며, 그리고 하나님께 대한 인간 자유의지와 양심의 순종으로 제자도의 삶을 영위함으로써 영혼에 관한신학적 주제는 기독교윤리학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현대 기독교세계관에 선과 악, 영과 육에 대한 이원론적인 경향이 자칫윤리적 수동주의나 정적주의에 빠지게 될 위험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기독교의신학적 사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어거스틴과 아퀴나스, 그리고 마틴 루터의영혼론을 고찰하여 보았다. 어거스틴에게 영혼이란 하나님의 본질도 아니고, 육체도 아니며, 어떠한 물질적 실체도 아니라고 이해한다. 즉, 인간 영혼의 상태는 창조된 존재인 동시에비물질적이다. 또한 인간 영혼은 변화가 가능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창조주자체와 구별되며, 이것이 인간의 도덕적 변화의 가능성이 시작되는 것이다. 아퀴나스는 영혼을 육체의 형상이며 원리로서 육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육체가 영혼의 원리를 따르게 된다는 관점이 강하다. 따라서 그의 영혼론은 일원론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영혼의 도덕적 능력을 긍정하였다고 할 수 있는 점은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다. 루터는 기본적으로 영혼과 육체 모두육체적인 것으로 이해하며, 영혼까지 포함하여 인간은 타락한 죄인으로서의 속성을 대표한다고 본다. 전 인류는 육체로 태어난다. 따라서 육체인 인간들이 구원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서만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어거스틴이 강조한 하나님의 은총을 통한 영혼의 회복, 아퀴나스의일원론적 도덕론의 기반이 되는 영혼론, 그리고 루터의 칭의를 통한 전인적 인간의 회복에 기여하는 영혼에 관한 이론들은 자칫 영육의 이원론에 빠져 사회적공공성에 대한 윤리적 책임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기독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학적 주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물질만능과 기계론적 세계관, 그리고 찰나적 육감에 민감한 현대 세계에서 기독교 신학의 영혼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thoughts of Augustine, Thomas Aquinas and Martin Luther, asking the nature of souls in relation to Christian Ethics. In the discussion of the comparison and relationship among the abov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ians, those issues surrounding souls, will, sin and God’s grace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morality and responsibility. For Augustine, soul is immortal but limited because of the disobedience of man to God. Soul in this regard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ontological vehicle to make the mortal to be reborn by the grace of God. Thomas Aquinas thinks soul as immortal and views it as reason that leads man to recover one’s fallen image of God. For Aquinas, soul also acts as epistemological and moral power that cultivates whole beings. On the other hand, Luther points out the total depravity of man by sin and seeks a prevenient grace of God instead of human possibility. For Luther, soul is only meaningful when it is saved by God through faith. Therefore soul changes from disobedience to faith in God. After reviewing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Christian notion of soul ought to be emphasized when we consider the world of materialism where man endlessly desires desire. To achieve this goal, Christian ethics has a mission to cultivate a sense of morality through stressing spiritual awakening of s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