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발음교육의 PBL적 접근: 영어교육과 1학년의 사례연구

        김태식,오영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4

        This paper discusses a Problem-Based Learning(PBL) approach to English pronunciation education. Linguistics is one of the most useful subjects for the PBL approach, since various explanations and analyses can be presented to a particular phenomenon. As future teachers,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need to think linguistically, which can be facilitated by implicit education like PBL. In addition, how to teach English is essential for them. In this study, 33 students taking an English pronunciation course were asked to identify particular English pronunciations that are hard for English learner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received for these target pronunciations, and to propose how to teach these difficult English pronunciations when they become teachers.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can accomplish the first two tasks―identification and analysis―fairly easily, but they have difficulty in finding appropriate solutions(i.e., how to teach the topic). Given that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find their own solutions as they progress further into their undergraduate studies. 이 논문은 영어발음교육에 문제기반학습(PBL)을 도입하여 수행한 사례연구를 논의하고자 한다. 영어발음을 포함하는 어학과목은 특정한 하나의현상에 다양한 설명과 분석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기반학습에 가장 적합한 주제 중 하나이다. 미래의 영어선생님으로서 영어교육과 학생들은 언어학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데 언어학적 사고는 문제기반학습과 같은 암묵적인 교육에 의해 길러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영어를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도 영어교육과 학생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영어발음연습 수업에 참여한 33명의 영어교육과 학생들에게 영어학습자들이 습득하기 힘든 영어발음을 인식하고, 그 영어발음에 관해서 지금까지받아온 영어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들이 선생님이 되었을 때 그러한 힘든 부분을 어떻게 수업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를 부과하였다. 연구결과 영어교육과 학생들은 첫 번째 두 가지 과제(문제 인식/문제 분석)에는상당히 좋은 성취를 보였으나, 문제 해결에 관해서는 어려움을 겪는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대상학생들이 대학교 1학년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그들이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여러 다른 수업에서 그들만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중학생 영어 수업효과성 종단변화 관련 요인 분석: 영어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를 중심으로

        오영교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4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change trends in English class effectiveness, which is composed of three subdomains; class comprehension, class concentration, the basic achievement in English subject. Methodology/data: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3rd to 5th year (2015-2017)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to find out the trajectories in English class effectiveness, and analyzed the predicting variables, including English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fter controlling relevant variables and their effect on English competency. As a method of analysis, a factor-of-curves model was employed. Findings: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the English class effectiveness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showed a decreasing trajectory. English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only improved the initial value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In addition, both growth factors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showed positive effects on English competency. Moreover, despite the negative the effect of English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growth factors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during middle school enhanced the English competency of 2nd graders in high school. Values: This longitudinal study used an advanced analytical approach to perform rigorou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growth factors of English class effectiveness and their implications with covariates.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3~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중학교 영어 수업효과성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예측변인으로 개인, 가정, 교사변인을 통제한 후 영어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 그리고 결과변인으로는 영어 전국연합 학력평가를 설정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고차잠재성장모형의 일종인 Factor-of-Curves Model(FCM)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영어 수업이해도와 집중도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추이를 나타내고, 영어 기초학력 척도점수는 상승하는 변화추이를 나타냈다. 영어 수업이해도와 집중도, 기초학력 세 변인으로 구성된 영어수업효과성은 중학교 3년 동안 감소추이를 나타내고, 중학교 1학년 때 영어 수업효과성이 높았던 학생들이 수업효과성이 가파르게 감소하고, 중1 때 수업효과성이 낮았던 학생들은 천천히 감소하여 서로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영어 수업효과성 성장요인에 미치는 예측변인을 살펴보면, 영어 자기효능감과 내재적 동기는 영어 수업효과성의 초깃값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음으로 영어 수업효과성 성장요인의 일반 영어능력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영어 수업효과성 초깃값과 변화율 모두 고2 학생의 일반 영어능력(숙달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어 수업효과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영어 효능감과 내재적 동기의 영어수업효과성 변화율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하고도, 중학교 영어 수업효과성의 초깃값과 변화율은 모두 고등학교 2학년 영어 학력평가 등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어수업효과성 제고에 필요한 관련 이론 및 정책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의 운영성과 분석: 경기영어마을을 중심으로

        이현우 경인행정학회 2011 한국정책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영어마을 운영의 전문성 제고와 재정부담 경감, 교육서비스의 질적 향상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민간위탁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는 경기영어마을의 운영 과정과 운영 성과 분석을 통해 향후 영어마을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과정적 측면으로 민간위탁의 과정을 민간위탁 선정단계, 공급단계, 관리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성과적 측면으로 조직의 효율화, 비용절감, 서비스 향상 측면에서 운영 성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영합리화를 통한 인력절감, 재정자립도 제고, 사업비용 절감, 서비스 향상 등 민간위탁 운영에 따라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민간위탁 운영과정에 있어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감독이 미흡하여 민간위탁의 성과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영어마을이 각 지역의 영어교육 보완과 경제적인 측면의 효과를 바탕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영어마을 운영 환경 변화 등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하여 기대되는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민간위탁 영어마을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위탁기관의 철저한 지도・감독과 민간위탁에 대한 전담 조직 및 인력 설치, 민간위탁 사업에 대한 성과관리 등의 방안 마련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a reasonable operational plan of the Gyeonggi English Village currently operated by the contracting-out for a purpose of developing speciality in running the village, reducing financial burden, developing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and securing competitiveness. The process was specifically analyzed by selection, provision and management stages of the contracting-out,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cost reduction and service improvement were analyzed in terms of its performance. As a result, it proved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personnel through the business rationalization, financial independence, cost reduction and service improvement. However, systematic supervision upon the operation was not effective. While English villages have been expanded for English education and for an economic purpose, it seems not be efficient thanks to the environmental restriction in running the village. Therefore, thorough supervision and management upon the contracting-out, installation of an exclusive organization and personnel,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the business must be conducted to be successful and effective in running the English villages.

      • KCI등재

        아동영어도서 선정 시 중요 고려속성에 따라 세분화한 부모군집의 영어도서 활용방법 연구

        이은실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9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arents' recognition in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goals and methods for their child’s reading activities. For this, the study uses four important factors on parents’ English reading selection for their children, which are (1) English study, (2) child’s hobby, (3) various culture, and (4) English speaking countries’ culture. From the cluster analysis tool based on these factors, three segmented parent groups were determined and validated for the study result. The scope and the method are explained as follows: (1) the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2) total of 319 useful samples were collected. (3) The collected survey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frequency analysis tool. (4) Then cluster analysis tool was used to determine segmented parent groups, and (5) finally these groups were analyzed in M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up of parents who considers all four factors to be important get more positive results than other groups related to why and how to use reading activities. This implicates that English reading activities that are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possible factors can cause general but better outcome of children’s successful learning.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조기영어교육에 관련한부모의 인식을 이해하고 자녀의 영어 도서 활동 이유와 방법을 연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부모의 영어도서 선정 방법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인 (1) 영어학습, (2) 자녀의 취미, (3) 국제문화 이해, (4) 영어권문화 이해를 중심으로 응답자(부모)들의 특성을 사용하여 부모집단을 세분화하고 집단별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변수를 설문지화 하여 아동을 자녀로 둔일반인 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 총 유효표본수는 319부를 활용하였다. (3) 수집된 설문지는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4) 영어 도서 선정시 중요 고려속성에 따라 응답자를 세분화하기 위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5) 그리고 영어도서읽는 이유와 방법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 도서 선정 시 고려하는 속성에 대해 모두 중요하게 고려하는 집단이 영어 도서읽는 이유와 영어도서 활용 방법에 다른 집단보다 높은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때, 조기영어교육과 관련해서 영어도서를 선정할 때모든 가능한 속성을 고려하는 것이 영어 도서 활용효과와 결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이끄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대학 수학 능력 영어 시험의 어휘 수준 및 이독성 비교 연구

        조민수(Cho, Min-Soo),박은수(Park Eun-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그리고 수능 영어시험의 코퍼스 기반 어휘 수준과 이독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분석대상은 2015학년도 수능영 어시험에 채택된 2009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영어Ⅰ’, ‘영어Ⅱ’ 교과서 각각 8권, EBS 수능 연계교재 중 독해 영역 6권, 그리고 지난 3년간 수능 모의고사와 수능 영어시험으로 하였다. 분석 도구는 WordSmith Tools 6.0을 사용하였고, Flesch Reading Ease, Flesch-Kincaid Grade Level 과 Gunning Fog Index를 사용하여 이 독성 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능 연계교재의 어휘 타입 수는 4,603∼6,824 개, 수능 시험은 3,625개로 교과서 어휘 타입수의 1,650∼1,906개에 비해 타입 수가 두 배 이상이었다. 영어 교과서의 이독성 지수 범위는 8종 교과서 모두 59.89∼66.24 에 해당하며, 이는 학년 수준 환산표에 의하면 미국 학제 8학년과 9학년 수준에 해당 하였다. 반면 EBS 수능 연계 교재와 수능 영어시험의 어휘 수준은 미국 학제의 12학년 이상이었다. 결과를 통해 수능 연계교재와 수능 영어시험의 어휘 수준은 영어 교 과서의 어휘 수준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영어 교과 서와 EBS 수능 연계 교재, 수능 영어시험 간의 연계성에 심각한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 교과서가 교육 현장에서 학습의 주 자료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영어 교과서, EBS 수능 연계 교재, 그리고 수능 영어시험 간의 어휘 수준에 대한 논의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ocabulary levels and readability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n order to find out differences among them, the copora have been built and data were examined using WordSmith Tools 6.0 software program, Flesch Reading Ease, Flesch-kincaid Grade Level, and Gunning Fog Index. The results were as follows. EBS CSAT Book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ontain more various words than high school English books do. In the comparison of Type/Token ratio,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s of EBS CSAT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 TTR are 47.47 and 47.75, while high school English books are 42.18, which indicates that EBS CSAT Book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ave more various word-types and its lexical diversity is relatively higher. The vocabulary levels among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re quite different. Compared to th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re above 12th grade on the basis of the US school system. Due to these differences and washback effects, the amount of vocabulary that high school students should learn is dramatically increased. Th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policy-related discussion to reduce the differences of vocabulary level among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EBS CSAT books, and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 KCI등재후보

        대학영어강의에서 영어실력과 학습동기변인의 역할 탐색

        김현동(Hyondong Kim),신나래(Narae Shin) 동국대학교 경영연구원 2011 경영과 사례연구 Vol.34 No.2

        한국의 대학에서 영어강의의 비중이 급속하게 늘고 있음에도 영어강의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현 연구는 대학생들의 영어실력과 학습동기변인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여 영어강의의 효용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학생들이 자신의 영어구사능력을 낮게 평가하면 수행목표를 지향하여야 강의만족도가 높아지게 된다. TOEIC점수는 학습목표지향과는 부정적으로 수행목표 지향과는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된다. 학습효능감 또한 TOEIC점수와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강의만족도를 향상시킨다. 이는 영어강의를 효과적으로 진행시키려면 영어능력을 배양함과 동시에 영어강의에 대한 학습동기 또한 부여해야 한다고 시사하고 있 다. 대학생들의 영어능력에 대한 평가는 실제구사능력과 공인영어시험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 목표지향성에 따라 뚜렷하게 차별화 되고 있음을 검증되었다. 따라서 영어강의의 효과를 향상시키려면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학습동기변인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While the ratio of English immersion class has been increasingly rapidly, few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ext how leaning outcomes in English immersion class would be enhanced. The current study tests the interactions between English skills and learning motivation, and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immersion class. When University students are performance-goal oriented, they increase class satisfaction at the low level of English skills. At high TOEIC scores, University students show positive interactions with learning goal-oriented. However, they have negative interactions with performance goal-oriented. The University students beliefs about English skills can be categori ed as English fluency and official examination scores (TOEIC). Their beliefs about English skills have differential impacts on goal orientation and its effects on class attitude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college students are motivated that is a key to the success of English immersion courses as well as English skills.

      • KCI등재

        법률영어능력인증시험이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률영어교육에 주는 시사점

        정봉진(Chung, Bong-Jin)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현재 한국의 법률시장은 점진적인 개방을 경험하고 있다. 2016년 7월이 되면 Korea- EU FTA 3단계 개방에 의하여 영국을 포함한 유럽연합(EU) 국가에, 그리고 2017년 3월이 되면, Korea- U.S.A. FTA 3단계 개방에 의하여 미국에 각각 국내 법률시장이 완전 개방되어 EU와 미국 로펌 (law firm)은 국내 로펌과 합작회사를 설립해 국내 변호사를 고용할 수 있게 되고, 이들 국내 변호사를 통하여 소송 업무를 비롯한 한국의 법률업무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국제거래와 무역의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국제 거래어인 영어에 의한 의사소통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세계화 시대에는 전통적이고도 단순한 법률지식만으로는 현대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우리는 법학도들을 영어 능력과 법률 지식양자를 모두 구비한 인재로 양성하여야 할 시급한 과제를 부담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법률시장의 세계화가 진전될수록 탁월한 외국어 능력과 풍부한 법률지식을 구비한 법률전문가에 대한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리하여 법률전문가 양성기관으로서의 법학전문대학교는 학생들을 위한 법률영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발전에 총력을 집중해야 할 책임을 부담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률영어교육은 교육 목표의 모호성, 과학적이고도 적용 가능한 평가 기준의 부재, 부적절한 교육 내용, 유능한 법률영어 교수의 부족, 그리고 교육방법의 단조로움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률영어교육에 존재하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을 우리는 ILEC시험과 LEC Test와 같은 법률영어능력인증시험에서 발견할 수 있다. 즉, 법률영어능력인증시험은 우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법률영어 수업계획서 작성, 법률영어교육의 목표 설정, 교육방법의 개선, 법률영어 교수의 훈련 강화 그리고 교육 자원의 합리적 분배 등에 관하여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 법학전문대학원 학생들에게 적합한 법률영어교육의 청사진을 법률영어능력인증시험에 기초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Now Korean legal market is gradually opening to the outside world. According to the free trade agreements with the European Union in 2009 and with the United States in 2011l, the Korean legal market is going to be completely open to EU in July, 2016, and to U.S.A. in March, 2017. As the globalization of international business, commerce and trade is becoming materialized in Korea,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and Legal English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are important. The accelerating globalization makes traditional, single-skilled legal talents incapable of satisfying the needs of our modern times. In 2009, Korea adopted the American-style law school system. One of the Korean law school system’s objectives is to train its students to be international legal professionals who can cope with globalization of Korean legal market. The basic quality required of such international legal professionals is the English speaking ability. We need to urgently cultivate our law students who have both a “mastery of the English language and an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dominant force in training legal students in Korea, Law School must improve their Legal English education programs. But, many a law student are still incapable of taking up related responsibilities due to the lack of proper professional training on Legal English. And, currently, there still exist many problems in Korea: i.e. improper teaching contents, a shortage of competent teachers and monotonous teaching methods. The Legal English Certificate Test such as ILEC and LEC Test provides us clear answers to tho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layout principle of Legal English course design tailored for Korean law students under the guidance of ILEC and LEC Test.

      • KCI등재

        영어영재의 개념설정과 프로그램의 당위성

        박진규(Park, Jin-Kyu)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5

        본 논문은 비록 현장 연구를 통한 개념설정이 아니라는 한계는 있지만, 영어영재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길잡이나 출발점으로서 영어 영재교육의 개념을 먼저 몇 가지 틀에 근거하여 개념설정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Sternberg(1993)의 개념화, Gardner(1983)의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개념화, 이신동(1988)의 영재판별을 위한 영재성의 개념적 정의에 기초한 영어 영재성에 대한 개념화, 그리고 구체적으로 영어 영재라고 할 수 있는 역사적 인물과 현재 활동하고 있는 영재들을 사례로 영어 영재의 개념설정을 시도하려고 한다. 결론적으로 영어 영재성은 아동이 또래에 비해 평균이상의 지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영어에 대한 관심과 흥미와 언어관련 과제집착력을 보이며, 조기에 영어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등 각 영역에서 혹은 분석이나 표현, 창작 등이 면에서 또래에 비해 탁월한 발달이나 두드러진 능력을 보이는 특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영어 영재성의 개념에 대한 개념화의 첫 시도이니 만큼 명확한 단정적인 개념이 아니라 연구를 통해 검증을 해야 하는 가설로 생각하지만, 적어도 영어 영재가 존재하다는 사실은 가시적으로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Since 1990s, Korea has witnessed a lot of changes in English Education with rather unreasonably excessive English boom, but recently after 2000, the boom has got a new face called English Gifted Education. However, this new drive has shown a lot of problems. First and foremost, it has no theoretical foundation, not to speak of specific teaching method for those gifted students in the English Gifted Programs. with these current problems, this paper tries to build a foundation for those English Gifted Education. The first work in this paper is to conceptualize the concept of Foreign language giftedness or "English Giftedness based on the existing frameworks. The work of conceptualizing English giftedness will be from Sternberg"s (1993) concept of giftedness, Gardner(1983)"s linguistic intelligence, Bailey"s (1986) verbal talent. Also, Lee"s (1988) definition of giftedness for identification process will be used for the conception of English giftedness. After these conceptualizing process, the writer tries to provide a tentative concep of English giftedness.

      • KCI등재

        공학학술영어에 대한 코퍼스 분석

        하명정(Myung-Jeong H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8

        수년간 영어 읽기 능력은 주로 어휘 지식에 달려있다는 것이 지배적인 생각이었다. 또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공과대학생이 영어로 된 교재를 읽는데 요구되는 기본적인 어휘 능력이 부족하다는 통념이 일반적이었다. 최근 수년간 국가 정책적으로 추진된 대학영어매개수업을 기반으로 공과대학생들도 영어로 된 교재로 전공을 공부해야 한다는 의견이 조성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학영어코퍼스를 구축하여 추출된 단어의 빈도, 분포, 유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코퍼스 기반 분석을 활용하여 공학영어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구축된 목표코퍼스는 기본적으로 공대에서 다루는 교재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총 단어 180만개, 단어 유형 만 6천여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비교대상이 되는 참조코퍼스로서 랭카스터 대학에서 구축된 British National Corpus(BNC)의 문어 부분을 활용하였고, 코퍼스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빈도 분석과 키워드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양적 분석의 결과, 특수목적영어 교육에 도움이 될 공학영어 코퍼스와 BNC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내용어 형태와 기능어 형태 리스트 및 주된 키워드 리스트가 제시되었다.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특수목적영어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공관련 기술적인 영어와 함께 일반적인 학술 영어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for many years that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mainly depends on vocabulary knowledge. It has been also apparent that ESL/EFL engineering students fall far short of the basic lexical knowledge necessary to read academic materials in English. It has been a staple of Korean education policy for recent years that engineering students should study their specialized subject matter by reading textbooks in English. The context of the present study is a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s in Korea. This study reports on aspects of frequency, distribution and types of words taken from a corpus of student engineering lexis. This paper presents the findings of a computer-aided study that aimed to characterize a corpus of student engineering textbooks. The student engineering corpus are derived from books on engineering topics like engineering materials, fluid dynamics, and basic thermodynamics. The target corpus consists of nearly 1,800,000 tokens and over 16,000 types. This paper shows the result of the word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analysis of the target corpus, in comparison with the written part of the British National Corpus (BNC). The analysis of the extracted words was concerned with the most frequent word forms in the two corpora, including the most frequent function word forms and content word forms, as well as main keywords. In addition, the keyword analysis provided some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the keyword verbs in the target corpus. The result revealed that they appear to be predominantly from the academic register.

      • KCI등재

        수능 영어 절대평가 세대 대학생들의 영어 능력 인식, 향상 추구 영역, 교양영어 만족도 및 향후 개편 방안 연구

        정성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students’ perceptions about English competence, domain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college English program and an reorganization for the future.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esigned to report participants’ perceptions about four categories as follows: (1) how to perceive about their own English competence (2) what English doamin(s) they want to improve, (3)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current college English program, and (4) what type of English program would work best for achieving their ideal English performance. A total of 60 research participants who registered two subjects of liberal arts class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a perception analysis questionnaire at the fifteenth week of their courses. The normality test verified the homogeneity of variance of these group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se participants perceived their English abilities negatively in the domain of speaking, writing, listening, reading and grammar respectivly. They also wanted to improve their abilities of speaking and writing meanwhile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English program provided by their general English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while they wanted to improve their abilites of speaking and writing, they also showed some interests in improving their English ability affiliated with major area. These ideals were revealed through their wishes to be educated from a writing and speaking - centered prospective college English program. Conclusions The findings imply that new-age learners who were admitted from a new college entrance admission process need to be provided with more satisfactory gener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with students. By doing this,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may successfully meet the needs of college students while assisting students’ needs of improving major-affiliated English abilities and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required for the colloege level higher-education. The further studies regarding how to reflect learners' needs as well as to improve their English competence of speaking and writing affiliated with major are sincerely recommended. 목적 본 연구는 2018년도 영어 절대평가 시행 후 입학한 대학생들(이하 수능영어 절대평가 세대)이 15주간 영어 교양 교과목 수강후 본인의 영어 능력을 문법, 독해, 말하기, 쓰기, 프레젠테이션 영역으로 세분화 하여(이하 영어능력) (1) 자신의 영어 능력을 현재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이하 영어 능력 인식), (2) 부족한 역량은 무엇이며 있다면 가장 향상하고 싶은 능력은 무엇인지(이하 영어향상 추구 영역), (3) 영어 교양 교과목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지 (이하 교양영어 만족도), (4) 앞으로 바라는 교양영어프로그램 개편(이하 향후 개편 방안 및 프로그램 제언)은 무엇인지 고찰하는 연구이다. 방법 자료는 서울 S 대학 교양 영어 교과목을 수강하는 총 2개 분반 63명의 15주 차 수업 후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수집되었다. 무작위 표본으로 선택한 2개 집단은 연구 환경상의 제약으로 자의에 의해 연구자 분반을 교양 필수 혹은 선택 교과로 수강한 학생들이었으며 정규성 검정(NormalQ-Q Plot)실시 및 정규분포를 점검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결과 학습자들의 영역별 영어 능력 인식은 그리 부정적이지 않았으나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향상하기를 원하는 학습자들이 가장많았으며 현재 수강하고 있는 교양필수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에 향후 교양필수 영어 프로그램은 말하기와 쓰기역량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편되기를 원하였으며, 전공능력을 향상시키는 영어프로그램이 되기를 원하는 요구가 그 다음으로높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능 절대평가 세대들은 대학 수준의 영어 역량을 말하기와 쓰기 능력이 우수한 상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수강하는 현 교양영어 프로그램은 그러한 니즈를 만족시키지 못한다고 여겼다. 본 연구는 미래세대 양성을 준비하여야 하는 대학교육 본연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학습자 니즈인 전공 영역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영어 말하기와 쓰기 영역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으로 수요자가 만족하는 교양영어 교육을 제공하자는 의의와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