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의 콘텐츠 추천서비스 이용과 서비스 맥락에 따른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에 관한 연구 - 유튜브를 중심으로 -

        장유정,나종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20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6 No.4

        유무선 광대역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새로운 콘텐츠가 끊임없이 생산되고 있으며 소비자 들은 넘쳐나는 콘텐츠들 속에서 선택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기업은 콘텐츠 추천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선택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화된 추천서비스로 인해 소비자의 중요한 권리인 선택 권과 자율성이 침해받을 수 있으며, 시청 내역이나 검색 등 행태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의 개인정보가 지속적으 로 수집, 축적, 활용되면서 소비자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추천서비스라는 특정한 맥락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에는 무엇 이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 따라 구체화된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콘텐츠 추천서비스라는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소비자들이 가질 수 있는 맥락에 따른 소비자프 라이버시 염려를 구체적으로 데이터 수집․판매․보유에 관한 염려, 기기․서비스 공유에 관한 염려, 필터버블에 관한 염려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일반적 소비자프라이 버시 요인, 개인적 요인, 상황적 맥락 요인으로 나누어 영향요인 별로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 추천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느끼는 맥락에 따른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의 수준은 높은 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콘텐츠 추천서비스를 이용할 때 소비자들 이 갖는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에는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 프라이버시 보호 인식과 소비자의 성격요인 등이 정 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서비스 공유에 관한 염려에는 프라이버시 침해 경험은 정 적인, 외향적 성격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터버블에 관한 프라이버시 염려의 경우, 프라이 버시 침해 경험이 있거나 민감 콘텐츠를 많이 시청하는 소비자의 경우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콘텐츠 추천서비스 이용 시 갖는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가 소비자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 는 세 가지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 중 기기․서비스 공유에 관한 염려와 필터버블에 관한 염려만 소비자프라이버 시 보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콘텐츠 추천서비스라는 서비스 맥락에 있어서 소비자들이 느낄 수 있는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해 심 층적으로 탐구함으로써 소비자프라이버시에 대한 맥락적 고려를 했다는 점과 기존의 단일적 차원의 소비자프라이 버시 염려를 바라봄에서 더 나아가 다층적으로 소비자프라이버시 염려를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wired/wireless boradband Internet and mobile devices, new contents are constantly being produced, and consumers are having difficulty choosing among overflowing contents. To solve this, companies are providing convenience of choice to consumers through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While these recommendation services provide convenience for consumers, it may also violate important consumer rights such as free and autonomous choices. This study looks into context specific consumer privacy concerns when using content recommendation services and examines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ose conc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s showed context specific privacy concerns when using YouTube recommendation services and they included concerns for collection and selling of consumer data, concerns for unwanted privacy invasion when sharing devices and ids, and concerns for filter bubble effect. Second, consumers’ experience of privacy infringement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contents recommendation specific consumer privacy concerns, while consumers personality traits had mixed effects in terms of its directions. Third, the levels of consumers’ privacy protection behavior in the context of contents services were low in general, and consumers privacy concerns for device sharing and filter bubble were identified to positively affect such protective behavior.

      • KCI등재

        부정적인 자기 속성에 대한 염려가 발표불안반응에 미치는 효과 :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홍하나,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5 인지행동치료 Vol.15 No.3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의 공포의 초점으로서 Moscovitch(2009)에 의해 새롭게 제안된 ‘부정적인 자기 속성에 대한 염려’가 발표상황에서의 불안반응에 고유하게 기여하는지를 검토해 보고,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의 각 차원들이 발표불안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가 발표불안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Moscovitch(2009)의 사례개념화 모형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와 발표불안반응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가정한 완전매개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상정하여 그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참가자 79명을 대상으로 실험 1-2주 전에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 즉흥발표 직전에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 그리고 발표 직후에 주관적 불안감, 발표불안반응의 행동적 지표 및 발표관련 안전행동에 관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는, 기저선 불안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발표초기의 주관적인 불안감, 발표불안반응의 행동적 지표와 안전행동 각각을 예측하는 데 있어 그 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다음으로,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의 세 가지 차원들 간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주관적 불안감 측정치들 모두와 발표 동안의 안전행동에 대해 불안의 가시적 징후에 대한 염려 차원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구조방정식 분석을 적용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부분매개모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들은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가 발표상황에서의 불안반응을 예측하는 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하며, 그 과정에서 발표관련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가 완전매개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자기 속성 염려의 여러 차원들 가운데 불안의 가시적 징후에 대한 염려 차원이 발표불안반응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Recently, Moscovitch(2009) suggested concerns about self-attributes as a focus of fear in social anxiety disorde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unique contributions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to the prediction of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dimensions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to the prediction of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Furthermo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Moscovitch's model of conceptualization, both partial and full mediation models in which speech-relate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and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were proposed, and in order to evaluate and compare the two medi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pproach was used. Seventy nine under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around 1-2 weeks before the start of experiment, a scale of speech anxiety automatic thoughts just before the speech task, and questions about subjective anxiety, behavioral index of anxiety responses and safety behavior related to public speaking following completion of the speech task. First,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the initial anxiety during public speaking, behavioral index of anxiety responses, and safety behavior after controlling for the baseline anxiety. Next, of the dimensions of concerns about negative self-attributes examined, concerns about visible sign of anxiety had the strongest effect on all measures of subjective anxiety, as well as safety behavior. Furthermore, SEM revealed that both partial and full mediation models fit the data well, and that the latter was superior to the former.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cerns about negative self attributes, particularly concerns about visible sign of anxiety uniquely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and provide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of the mediating role of speech-relate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concerns about negative self attributes and anxiety responses to a public-speaking situation.

      • KCI등재

        SNS 이용상의 개인정보피해 경험과 프라이버시 염려로 인한 지속사용의도에서 사회자본의 조절효과

        이성식,정소희,윤지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8 형사정책연구 Vol.116 No.-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topic of privacy concern in 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its causes and its effect on continuance use.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prior victimization, information control ability and trust in website on privacy concer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 on intention of continuance use in social network service. This study expects that privacy concern has a small negative influence on intention of continuance use, and analyse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between privacy concern and intention of continuance use. Using data from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2017, this study found that prior direct and indirect victimization have significant effect on privacy concern but the effects of information control ability and trust in website on privacy concern are not larg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privacy concern on intention of continuance use is not significant.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ial between them is significant. The study analyses the moderating effect of both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and it is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between privacy concern and bridging social capital on intention of continuance use is negative significant, even though the interaction effect of between privacy concern and bonding social capital is not significant. This result implies that if bridging social capital is strong, intention of continuance use is not low, even though privacy concern is high. 이 연구는 SNS 이용상에 있어서 프라이버시 염려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프라이버시 염려의그 원인은 무엇이고 또한 그 결과로 지속사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했다. 여기서는과거의 개인정보피해 경험이 프라이버시 염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 되는지, 그리고아울러 기존의 논의들에 따라 개인의 정보통제능력과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신뢰가 프라이버시염려의 또 다른 주요 설명이 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프라이버시 염려가 SNS의 지속사용에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이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염려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유로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도가 높을 수 있어 프라이버시 염려와 지속사용의도의 그 둘의 관계가 부(-)적으로 크게 강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며, 그 이유를 알기 위해 프라이버시 염려와 지속사용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을 조절변인으로 다뤘다. 2017년 서울시 재학생중인 대학생 대상의 조사연구에서 그 결과 개인정보피해의 직, 간접적 경험이 높을수록 프라이버시 염려가 높았고, 개인의정보통제능력과 서비스제공자에 대한 신뢰의 프라이버시 염려에 미치는 영향은 낮았다. 프라이버시 염려는 SNS의 지속사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는데, 결속형과교량형으로 나눠 사회자본을 조절변인으로 사용한 결과 SNS 지속사용의도를 설명함에 있어프라이버시 염려와 교량형 사회자본간에는 유의미한 부(-)적 상호작용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결과는 프라이버시 염려에도 불구하고 SNS 이용으로 사회자본을 형성할 것이라고인식한다면 SNS 지속사용이 낮지 않다는 것을 제시한다.

      • KCI등재

        공항 생체인식기술의 지속이용의도와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후기기술수용모델(Post-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

        이수경 ( Soo-kyou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2

        늘어나는 항공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공항 운영의 디지털 전환 및 효율적인 프로세스 구현이 필요하며 이러한 움직임의 하나로 IATA는 생체인식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신원 인증기술인 ‘One ID’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1년 한국공항공사는 혁신계획에 따라 ‘One ID’확대를 예고한 바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객의 손정맥 바이오 정보가 여객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공항 면세점 등 쇼핑 결제에 이르기까지 바이오 정보의 이용처가 확대될 전망이다. 생체인식기술은 승객의 고유한 신체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정보의 위조나 변조의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여 공항 보안 수준을 높이고 출입국 절차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반면에 개인의 신체정보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있다. 개인의 의지와는 다르게 개인정보가 침해될 것을 우려하는 프라이버시 염려는 해당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공항 생체인식기술 적용이 확대될 시점에 이용자의 기술 수용 관점을 넘어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는 후기수용모델을 기반으로 이용자들의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와 프라이버시 염려와의 영향 관계를 실증하여 연구의 차별화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24년 2월 20일부터 27일까지 공항 생체인식 기술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 338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항 생체인식기술에 대한 이용자의 기대일치는 인식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이 채택되었고, 기대일치는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가 채택되었다. 그리고 가설 3. 생체인식기술 경험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된 유용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지속이용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여 가설 4가 채택되었다. 또한 생체인식기술 사용에 대한 만족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가설 5가 채택되었다.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는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가 기대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인식된 유용성은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이 높은 경우가 낮은 집단보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7. 인식된 유용성과 만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와 가설 8. 기대일치와 만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설 6. 기대일치와 인식된 유용성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와 가설 9. 인식된 유용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 그리고 가설 10. 만족과 지속이용의도 간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차별점은 첫째, 안면인식을 포함한 생체인식기술 활용 영역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모델인 후기수용모델(PAM)을 중심으로 공항생체기술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과 둘째, 바이오인식 정보 유출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 야기에 착안하여 정보제공자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을 함께 고려하여 염려수준 차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생체인식기술 종류에 따른 변인 관계에 유의미한 차이분석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 차이 분석,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 차이에 따른 국가별 비교 연구 등이 후속연구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air travel,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airport oper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efficient processes are necessary. As part of this movement,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plans to expand its ‘One ID’ service, a digital identity verification technology based on biometrics. In South Korea, the Korea Airports Corporation announced plans to expand ‘One ID’ in 2021, according to its innovation plan.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extend the use of passengers’ palm vein biometric information not only in passenger processes but also to shopping payments in airport duty-free shops. While biometrics technology has the advantage of using passengers’ unique physical information to prevent the risk of forgery and tampering, thus enhancing airport security levels and facilitating immigration procedures, it also poses privacy infringement issues arising from the use of personal body information. Concerns about privacy violations, regardless of individual cons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ecision to continue using such services. This study aims to differentiate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service and their privacy concerns, based on the Post-Acceptance Model (PAM). For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338 general public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d airport biometrics technology services from February 20 to 27, 2024. The analysis supported Hypothesis 1, that users’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Hypothesis 2, that expectation confirmation positively influences satisfaction.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the biometrics technology experience positively affects satisfaction and, consequently, the intention to reuse, supporting Hypotheses 3 and 4. Satisfaction from using biometrics technology also positively impa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confirming Hypothesis 5.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cy concerns showed that for groups with lower levels of privacy concerns, the perceived usefulness impacts satisfaction more significantly in groups with higher privacy concerns, and the impact of expectation confirmation on satisfaction is greater, verifying Hypotheses 7 and 8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vacy concern levels. However, Hypotheses 6, 9, and 10, related to the moderating effects of privacy concer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ctati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e, were not supported. The novelty of this study lies firstly in its empirical analysis of airport biometrics users based on the PAM at a time when the utilization area of biometrics technology, including facial recognition, is expanding. Secondly, it considers the privacy concerns levels of information providers and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se concerns levels, taking into account the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biometrics information leaks. Further research might be needed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type of biometrics technology, the differences in moderating effec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comparative study of privacy protection policies across countries.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 자기대상화와 자기혐오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주아,박기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자기혐오를 신체상 염려의 발전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 요인으로 상정하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대상화를 매개하여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혐오가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MPS), 객체화된 신체의식 척도(OBCS), 신체상 염려 검사(BICI), 한국판 자기혐오 척도(K-SDS)를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대상화, 자기혐오, 신체상염려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신체상 염려 간의 관계를 자기대상화가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대상화를 높여 신체상 염려를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자기대상화와신체상 염려 간의 관계를 자기혐오가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기혐오의 수준에 따라 자기대상화가 신체상 염려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신체상 염려의 관계에서 자기혐오로 조절된 자기대상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대상화를 매개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서 신체상 염려로 가는 경로가 자기혐오의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 대상화를 통해 신체상 염려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혐오가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시사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적, 집합적 차원을 고려한 확장된 프라이버시 염려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화 연구

        이혜미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5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ective dimension of privacy concerns that have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makes an attempt to categorize users of open-type SNSs based on the extended privacy concerns considering the collective privacy dimension. For that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23 individuals using open-type SNSs. The study found that multi-dimensional privacy concerns were divided into three sub-dimensions: collective privacy-related concerns, control and awareness-related concern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collection-related concerns of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sub-components of the extended privacy concern, users of open-type SNSs were divided into a personal and collective privacy apathy group, personal and collective privacy concern group, and personal privacy concern group. This research also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ivacy management behaviors of SNS users depending on these three types of user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간과되었던 프라이버시 염려의 집합적 차원에 주목하고, 개인의 사회적 관계정보를 고려한 확장된 프라이버시 염려 개념을 바탕으로 개방형 SNS 이용자들의 유형화를 시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개방형 SNS를 사용하고 있는 423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다차원적 프라이버시 염려는 집합적 차원의 염려, 개인적 차원의 통제 및 이해 염려, 개인적 차원의수집 염려라는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확장된 프라이버시 염려의 하위요인들을 바탕으로 개방형SNS 이용자들은 개인적, 집합적 프라이버시 무관심형, 개인적, 집합적 프라이버시 염려형, 개인적 프라이버시염려형으로 구분되었다. 세 가지 SNS 이용자 유형에 따라 성별, 프라이버시 관리 행동, SNS 사용자 저항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중등예비음악교사의 교직에 대한 염려 조사

        신지혜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8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5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focus on the concerns pre-service teachers have as they move through different stages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concerns about music teaching and learning.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a) What concerns are most common among participants? (b) What are differences in the concerns of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based on their stage of teacher preparation? (c) What are differences in the concerns of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based on their previous teaching experience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in a university in Seoul, and responses from a total of 9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experienced more concerns related to teaching tasks and student impact than themselves. Also, as participants progressed through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self concerns decreased while task concerns and student impact concerns increased.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who had previously taught in a school had fewer concerns than participants with no teaching experience. Suggestions for how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can address the concerns of pre-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are offered. 최근 들어 교사 성장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염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직에 대한 염려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전반적인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가? (2)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단계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이전 음악교수 경험에 따른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의 교직에 대한 염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93명의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예비음악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에 대해 가장 높은 염려를 나타냈다. 둘째, 교사교육 단계가 높아질수록 예비음악교사들의 자신에 대한 염려는 줄어들고 음악교수와 학생에 대한 영향과 관련된 염려는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 수업이나 돌봄 교실을 경험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은 이를 경험하지 않은 참여자들보다 낮은 염려의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교직에 대한 세부적인 염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사교육기관의 교과과정 개선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과의 협력을 통해 교사교육기간 동안 중등예비음악교사들이 다양한 교수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성별에 따른 염려 및 우울증상 유병 비교 연구: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홍세화(Se-Hwa Hong),조은실(Eun-Sil Cho) 한국보건복지학회 2022 보건과 복지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지역사회 성인의 코로나19 염려와 우울증 상 유병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2020년 8월 16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수행된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중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12,34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코로나19 염려 정도는 가족 등 건강취약자 감염에 대한 염려, 경제적 피해에 대한 염려, 주위비난을 받을 것에 대한 염려, 감염에 대한 염려, 죽음에 대한 염려 순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염려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우울 증상 유병은 피로감, 수면장애, 식욕저하/과식, 일에 대한 흥미감소, 우울감 순으로 나타났고, 집중저하, 불행감, 자기비하, 불안행동을 포함한 9개 증상 모두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여성의 염려와 우울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요구되고, 코로나 19로 인한 높은 수준의 염려와 우울 증상들을 적극적으로 중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concern and prevalence of depression symptoms due to COVID-19 in community-dwellers according to gender. This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in which 12,342 residents living Jeollabuk-do from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most common type of COVID-19-related concerns was concern for infection of vulnerable family members, concerns for financial loss, concern for being criticized by others, concern for infection, concern about death, and the degree of concern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men than men. The most common depression symptom was fatigue, followed by sleep disorder, loss of appetite/overeating, loss of interest in work, and depressive mood, and the prevalence of all nine depression symptom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women than men.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ay more attention to women’s concerns and depression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s to actively intervene high levels of concerns and depression symptoms due to COVID-19.

      • KCI등재

        사랑의 가능근거로서의 염려(Sorge)와 현존재분석 : 메다드 보스의 ‘코블링 박사’ 사례를 중심으로

        한유림 한국하이데거학회 2019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3

        In this article, We will discuss Heidegger's claim that “Care(Sorge)” is not different from love, and that love can also be understood more fundamentally and comprehensively when it is defined by fundamental ontology. To this end, Chapter 2 first examines Binswanger's critique of Heidegger's concept of Care. Binswanger argues that Heidegger's Care is limited to an individualized concern for one's own existence, and that Heidegger is missing the importance of love in the process of acquiring Authenticity, and emphasizes that the essence of Dasein is love, not Care.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Heidegger, Binswanger's argument is a result of a misunderstanding of Care and again a result of “the forgetfulness of Being”. In Chapter 3, we examine the analytic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love through the case of Dr. Cobling who treated by Medard Boss. Boss tried to practice Daseinsanalysis at the clinical coalface after Binswanger. Through the encounter with Dr. Cobling, Boss gains insight that Dasein will feel love when the possibility of a new relationship is reveal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someone. Here, ‘the possibility of a new relationship’ corresponds to the authentic possibility of Being mentioned in Heidegger. Finally, in chapter 4, we will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and “understanding of Being”, thereby explaining why Care that defined by fundamental ontology is love, and why love defined by fundamental ontology can be understood much deeper and wider. Basically, Care includes its relations with oneself, the world, and the beings in the world, and in order to acquire the authenticity, Dasein should care oneself and also other beings, as Dasein is already always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beings as the Being-in-the-world. Love is possible in this authentic relationship, and the essence of love can be understood when it is based on Care. 이 논문은 기초존재론적으로 규정된 “염려”가 사랑과 다르지 않으며, 사랑 또한 기초존재론적으로 규정될 때 더 깊고 넓게 이해될 수 있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하이데거의 염려 개념에 대한 빈스방거의 비판을 들여다본다. 빈스방거는 하이데거의 염려가 결국 개별화된 자기존재에 에 국한되며, 본래성 획득 과정에서 사랑이 갖는 중요성을 놓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현존재의 본질은 염려가 아니라 사랑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입장에서 보면 빈스방거의 주장은 염려 개념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며, 또다시 “존재망각”에 빠진 결과이다. 이어서 3장에서는 빈스방거에 이어 현존재분석을 시도한 보스의 대표적 치료 사례를 통해 사랑의 현상에 대한 현존재분석적 이해를 살펴본다. 보스에 따르면, 상대와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관계가능성이 드러날 때 현존재는 사랑을 느낀다. 여기서 ‘새로운 관계가능성’이란 하이데거거 말한 본래적 가능성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염려와 “존재이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기초존재론적으로 규정된 염려가 왜 곧 사랑이며, 사랑에 대한 기초존재론적 규정이 왜 더 깊고 넓은지를 규명한다. 기본적으로 염려는 그 규정에서부터 자기 자신과 세계, 그리고 세계 안의 존재자들과의 관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래성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세계-내-존재로서 이미 항상 관계 안에 있는 자신을 그 관계들과 함께 염려해야 한다. 사랑은 이러한 본래적 관계 안에서 가능하며, 이러한 사랑의 본질은 염려에 기반할 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