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연구 - 극단 동의 ‘행동연기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

        박상석,오진호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디지털 영상기술의 발전으로 이전에는 구현하기 힘들었던 장소와 캐릭터가 영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촬영 시간과 제작비용의 절감이라는 편리성 때문에 영화나 드라마 등 영상매체에서 디지털 영상기술이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제 크로마키나 모션캡처 촬영이 일반화되었으며 배우들 은 블루스크린 앞에서 가상의 대상과 교감해야 하는 생소한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 이렇게 디지털 영상 기술을 사용하는 촬영방식이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연기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연기자 는 촬영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우리나라에는 디지털 연기를 위 한 훈련법이나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디지털 연기를 위한 실질적 훈련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본 연구자가 말하는 디지털 연기란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배우들이 상상의 공간을 가상해서 마치 그 공간이나 물체가 존재하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을 뜻 한다. 몇몇 연구자를 통해 디지털 연기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긴 했지만, 디지털 연기훈련의 필요성을 주장할 뿐 실질적인 방법에 관한 연구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는 않았다. 이제 디지털 연기훈련 방법에 대한 실질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극단 동의 ‘행동연기기술’과 강량원의 ‘뇌를 속이는 연기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훈련 방법을 모색하고 그 가능성을 제시했 다. ‘행동연기기술’과 ‘뇌를 속이는 연기 기술’은 가상의 대상을 상상하고 교감해야 하는 디지털 연기에 효과적인 연기 기술이다. 본 연구는 디지털 연기를 위한 연기 훈련법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실질적 인 훈련 방법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imaging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realize places and characters that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realize into images. In addition, because of the convenience of reducing shooting time and production cost, digital imaging technology is frequently used in video media such as movies and dramas. Chroma key and motion capture are now common, and actors are placed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where they have to interact with virtual objects in front of a blue screen. In a situation where filming methods using digital imaging technology are becoming more common, actors who are not familiar with digital acting techniques have no choice but to experience difficulties at the filming site. Unfortunately, however, there is no training method or education system for digital acting in Korea yet. Therefore, this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practical train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Here, the researcher's digital acting means that actors use computer graphic technology to simulate an imaginary space and express it as if the space or object exists. Although studies on digital acting have been conducted by some researchers, studies on practical methods have not been dealt with in depth, only arguing the necessity of digital acting training. Now, practical and in-depth research on digital acting training methods is needed. Accordingly, this researcher sought an acting training method for digital acting based on ‘behavioral acting technique’ of Theater Compay Dong and ‘acting technique of tricking the brain’ of Kang, Lyang-w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Behavioral acting technique’ and ‘acting technique that tricks the brain’ are effective acting techniques for digital acting that requires imagining and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cting train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seek practical training methods.

      • KCI등재

        12연기에 대한 틱냣한의 해석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3 No.1

        이 글은 불교 교리의 가장 근본이라 할 수 있는 12연기론을 바르게 이해하고자하는 것이다. 특히 선수행을 하는 현대의 선사들의 12연기관을 비교함으로써 12연기에 대한 이해의 미흡함을 채워보려는 시도이다. 아함경전에도 12연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기술되어 있는 부분이 있는 만큼, 초기부터도 12연기에 대한 해석은 다양했지만, 삼세양중인과설은 12연기에 대한 가장 영향력 있는 이해였다. 더우기 현대의 선 수행자 중에서 청화선사는 삼세양중인과설을 12연기 이해의 표준으로 삼고 있기도 하다.그러나 숭산선사, 성철선사, 틱냣한선사는 12연기를 삼세양중인과설로 보아서는 안 된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숭산선사는 12연기의 각 고리가 미묘한 정신활동의 연쇄로 이해한다. 성철선사는 12연기의 각 고리가 시간적 선후관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 상호의존적 관계를 이룬다고 한다. 틱냣한선사는 상즉(inter-being)의 개념으로써 12연기의 각 고리는 나머지 11개 고리와 상호의존적인 공동발생, 즉 상즉의 관계를 이룬다고 본다. 연기의 핵심적 의미로서 삿이성의 관념을 보다 분명하게 구체적으로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미혹한 마음에 의해 전개되는 고통의 세계의 창조와 아울러 진실한 마음에 의해 전개되는 자유의 세계의 창조를 또한 제시함으로써 12연기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측면을 제시한 점은 Thich Nhat Hanh 선사의 연기론의 특색이라 하겠다.12연기의 유전문(流轉門)이 무엇인가 대상에 집착하는 노예의 삶의 유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라면, 환멸문(還滅門)은 대상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자유의 삶을 창조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무명은 이 세계가 무상하다는 것을 알지 못함으로써, 그것이 실재적이라고 잘못 믿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무명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사고에, 우리의 욕망에, 그리고 우리 신체의 감각적 생활에 집착하게하기 때문에, 무명을 명(明)으로 바꾼다면, 다시 말하면 하는 모든 존재의 무상성(無常性)을 정견(正見)한다면, 속박의 삶에서 벗어나 해탈의 삶, 자유의 삶, 얽매이지 않는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for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Twelve Links of nterdependent Co-Arising`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in the Buddhist doctrine. Especially I compare Zen masters" diverse understandings of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in order to level up my unsatisfactory understanding of it. From the incipient period of Buddhism on, interpretations of it have been diverse. For Agama includes different speeches of it which lead to different views of it. Nevertheless, The Three Times and Two levels of Cause and Effect has been prevalent. Futhermore, One of Korean prominent Zen masters, Chungwha, regards "The Three Times and Two levels of Cause and Effect" as the standard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But the most popular Zen masters Seung Sahn and Sungchul and Vietnamese Zen master Thich Nhat Hanh oppose to Chungwha`s interpretation of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Co-Arising". For Zen master Seung Sahn, the Links are chains of subtle mental activities. Zen master Sungchul proposes that the Links be not chains of sequential arising but horizontal interdependent relations. Thich Nhat Hanh insists that each link interdependently co-arise together with the other 11 links, namely they inter-are.The life conditioned by deluded mind(流轉門) represents the flowing of the slave life which clings to something. On the other hand, The life conditioned by true mind(還滅門) reveals the creation of the liberated life. Ignorance means our false belief that this world is real, for this world is not real in view of the enlightened eye. Nonetheless, we believe falsely that this world is permanent.This ignorance makes us to cling to our thought, desire and the bodily sensuous life. If ignorance be transformed into true knowledge, in other words we know right the impermanence of all conditioned things, we will lead a liberated life.

      • KCI등재

        연기행위의 사회적 확장 가치 연구 - 창의성 기반의 융합형 인재 구현에서 역할연기의 효용을 중심으로 -

        박진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8 연기예술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연기행위(Acting)’가 예술작품의 승화를 위한 전문적 기예와 훈련도구에 한계 짓지 않고, 일반적 의미에서 사회적 확장 가치에 천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문헌고찰을 통해 인간의 창의성 지능 개발에 역할연기(연기행위)가 어떻게 접목되고 일반화 될 수 있는가에 연구방향을 집중하고, 그에 따른 방법론적 측면까지 모색하는데 목표를 둔다. 본 논문은 연기행위(역할연기)의 사회적 확장 가치에 관한 기반 연구에 해당한다. 인류는 현재 4차 산 업혁명시대에 직면하면서, 인간의 본질적인 존재적 가치와 지향성격에 대하여 끊임없이 성찰하고 있는 상황이다. 2016 다보스포럼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주창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세계경 제포럼 회장)은 인류가 현재와 미래에 직면한 기회와 위기의 현실에서 인간의 존재적 가치는 소위 4가지 지능요소를 균형감 있고 견고하게 개발 및 유지하는 인간형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부 응하기 위한 지능개발 요소로 <상황맥락(Contextual)지능>, <정서(emotional)지능>, <영감(inspired)지능>, <신체(physical)지능>을 강조하면서, 이것은 지금에 보편적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는 ‘창의적 융합 인재형’ 과 맞닿아 있다. 여기서 주목하는 점은, 4가지 지능요소가 연기행위, 곧 ‘역할연기’라는 범주에 모두 내재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인 배우들의 연기행위를 들여다보면, ‘역할(Role)’을 대상으로 상황맥락 차원의 인지분석과 이해, 정서 차원의 감정동화 및 구현, 영감 차원의 등장인물에 대한 합일된 영혼화, 신체 차원에서의 역할인물의 소리와 몸의 표현 개발과 구현이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과 연계지점을 고려 할 때, 창의성 기반의 융합형 인재구현에 ‘역할연기(연기행위)’의 접목이 충분히 효용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lay a foundation for future work on values gained by socially expanding acting. Encounte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ve constantly introspected existential values inherent in human beings and tendency. Klaus Schwab, who argued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Davos Forum 2016, remarks that human beings' existential value can be implemented in a type of human who develops and maintains four firm and balanced elements of intelligence in the reality full of opportunities and risks which human beings are facing in the present and the near future. He emphasizes four types of intelligence as elements to be developed in order to respond to the 4th revolution: contextu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inspired intelligence, and physical intelligence, all of which are associated with a widely-recognized 'concept of talent marked by creativity and integration'. To explor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 point out that the four types of intelligence are inherent in acting behaviors, so called a category of 'role-playing'. Acting behaviors which general actors show on the stage involve cognitiv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n 'the roles' in the contextual dimension, empathy and representation in the emotional dimension, unified spirit with characters in the inspirational dimension as well as expression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ounds and bodies they act on in a physical dimension. When this context and a linkage point considered, it is implied that utilizing 'role-playing(acting)' has wide usefulness in implementing integrated talents with creativity. This study delves deeper into the value achieved by social expansion of acting in a general sense, not limiting acting as a professional art and a tool used in training for sublimation of artwork. Not only do I put on focus on how role playing(acting)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 also examine how it can be generalized with an aim to look for feasible approaches.

      • KCI등재

        영화 연기와 연출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방법

        이정국(Jeong-Go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본 논문의 목적은 영화연기와 연출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그 대안적인 방식을 소개하는 것이다. 우리 한국에서 영화나 방송의 최근 연기경향은 생활연기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연기교육은 여전히 연극 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고, 그로인해 연극 훈련프로그램에 의해 연기를 교육한다. 또한 영화감독들의 연기연출에 대한 교육도 거의 없다. 그래서 영화연기와 연기 연출을 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글은 필자가 실제로 영화연기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실시한 단편영화 워크숍 〈생활연기의 힘〉과 〈연기연습〉제작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훈련 프로그램은 이미 스타니슬라브스키가 연극 연습을 위해 활용한 에쮸드를 일부 응용하고, 리 스트라스버그의 액터스 스튜디오에서 체계화된 영화연기 훈련법인 매소드 연기법을 참조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 프로그램의 핵심은 기존 연기훈련법에 카메라 활용이 들어간다는 것이고, 배우뿐 아니라 영화 감독과 스탭들이 같이 참여해서 완성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실제로 두 단편 워크숍을 통해 그러한 훈련법의 실험이 객관적인 성과를 이루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본 훈련 프로그램의 교육은 아마추어와 준 프로, 그리고 프로 연기자에 따라 달리 적용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the alternative method of the new training program for film acting and directing. Recently in Korea, acting in movies has become a trend and broadcasting still depicts reality. But men of the theater is usually privileged getting the most acting education offered by the theater training program. They also is hardly teach about acting's directing for film directors. So I thought of establishing a new training program for film acting and acting's directing. I made two short films 〈the power of living acting〉, 〈acting rehearsal〉 that I had practical training program for film acting as practical text. This program applied partially 'Atude' that Stanislavsky devised for theater acting practice, and referred to 'Method Acting System' that Lee Strasberg made for film acting at the Actors Studio. Another main point of this program is camera use. That training program can be attended not only by actors but also by director and film staff. Through this thesis, I wish to prove my new training program for film acting and acting directing. The focus of this training is to target a better execution according to the group you belong to whether amateur group, associate professionals, professional actors.

      • KCI등재

        영화연기의 ‘연극적 연기’ 에 관한 연구

        오윤홍(Youn-Hong O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0 No.3

        80년대 중후반에 보편화된 동시녹음방식은 한국영화연기스타일에 확연한 변화를 가져왔다. 그 변화는 90년대 내내 지속되어서 중반 이후에는 인물과 배우가 융합된 ‘영화적 연기’ 가 당시 대표적 리얼리즘 영화들에서 볼 수 있다. 연기 스타일의 역사에서 인물과 배우의 간극과 융합의 개념은 연기예술의 표현과 모방을 중시하는 ‘성격화’ 과정에서 인물의 존재를 ‘자기화’ 하는 연기예술의 전통을 관통한다. 대체적으로 무대 위의 연기 예술은 배우가 인물을 연기하는 ‘성격화’ 과정을 중시했다. 이는 관객석의 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전달’ 하는 연기 방식과 함께 발전되었다. 반면에 카메라 앞에서는 매체의 특성상 인물과 배우의 융합을 추구하는 ‘자기화’ 의 연기 방식을 통해 영화의 리얼리티 구축에 기여해왔다. 이러한 연극적 영화연기 방법을 고찰하기 위해서 장선우 감독의 영화 <경마장 가는 길>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이유는 홍상수 감독의 영화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과 영화적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유사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우의 연기 스타일이 확연하게 다르다는 인식에서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영화의 비교보다는 과거 한국영화의 ‘연극적 연기’ 스타일에 관한 연구에 매진하였다. Synchronous recording, which had become mainstream by the mid-to-late 1980s, drastically changed the acting styl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change lasted throughout the 1990s,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cinematic performances in which the actors are immersed in the characters can be seen in some of the major realistic films of this time. In the history of acting styles, the concept of either separation or immersion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and the actor has been at the core of the art of acting throughout the history of acting, where the actors try to identify with the characters during the ‘characterization’ of these characters where imitation and representation are key. Typically acting on the stage emphasized this characterization where the actor acted out the character. This has advanced with the acting style of ‘projection,’ which is done to overcome the distance with the audience. In front of the camera, in contrast, as 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the acting style of ‘personalization’ where immersion is sought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actor has instead contributed to the realism of movies. To examine such dramatic acting styles, the movie 〈The Road to Race Track〉 by Director Jang Sunwoo was used, because despite being similar to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by Director Hong Sangsoo in terms of the cinematic form and content, the acting styles of the actors are markedly different.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cinematic acting styles of Korean film in the past, rather than trying to compare these two movies specifically.

      • KCI등재

        역할창조과정에서의 매체 특성에 따른 화술훈련 연구

        이상아 한국연기예술학회 2014 연기예술연구 Vol.6 No.1

        오늘날은 디지털 다매체 시대로 케이블 TV와 위성방송의 보급이 확대되고 방송과 인터넷이 만나는 등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변화가 전개되고 있다. 다양한 공연형태의 새로운 매체들이 계속 출현하고 방 송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늘어나면서 연기자의 직업의 선호도는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이렇듯 연기자의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연기자가 갖추어야 할 연기적인 요소 또한 중시되는데 그 중에 서도 화술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의에서는 연기자의 화술은 자신의 말이 아닌 극중 인물의 언어를 가상의 공간 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자신의 상대역 뿐 아니라 제 3의 인물, 즉 관객 또는 TV를 포함한 모든 영상분야를 시청하는 이들에게 내용과 줄거리, 감정의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일상의 말하기와는 다른 영역임을 인식 하고, 연극연기와 카메라연기에서 화술에 차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매체의 특성에 맞는 화술을 보다 효과 적으로 구사하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기에 있어 연극과 카메라라는 두 매체는 화술의 구사하기 위한 기본이 되는 필수 요소들 뿐 만 아니라 매체의 수용이나, 전달방식, 작업환경과 방법에서 차이점을 인식하고, 거듭되는 훈련을 통 해 다양한 캐릭터의 창조적 개성과 자발적 충동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운용하여 진실 된 화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The cultural art industry of our society has changed rapidly. That means the condition of the actors also has done so.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media, technical elements and given situation affect performer how to do the intensity of expression and feeling continuous and cut off due to the interference. In many of these characteristic, the performer should change or configure the different style of acting and narrative 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media. Therefore, this study is to help the perform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mutual media when the he/she creates the role and present narrative more effectiv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o they both have common in training in way of making sound, which is the basic element of narration,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how to deliver the method or accept the media. The performer can make more truthful and accurate narrative by training constantly for recognizing the technical mechanism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s such, this study shows that at the present time, the performer who acts to a wide variety of the media, there are some differences when the performers express their narrative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Also this study is pointing out that there is no education that teaches the differences. Furthermore, to achieve a successful transition for the actors and make efficient narrative needs more subdivided acting direction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each media.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연기예술 환경 변화 사례 연구 - 디지털 기술과 연기예술 융합을 중심으로 -

        서상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2 No.4

        지난 100여 년 이상 스타니슬라브스키의 고전적 연기술에 익숙해져 왔던 오늘날의 배우들은 4차 산업 혁명 시대 디지털 기술의 혁명적 발전에 따라 새로운 연기 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동안 인간 배우만 이 해낼 수 있는 고유한 영역으로 인식된 공연예술 무대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배우의 출연으로 변 화가 시작되었고 영상예술 분야에서는 최첨단 디지털 기술과의 만남 속에서 새로운 연기 표현법의 변화 가 감지되었다. 인공지능을 탑재하고 인간의 감정까지도 일정 부분 표현할 수 있는 AI 로봇이 인간 배우 와 함께 공연하고 있으며 모션 캡쳐, 이모션 캡쳐, CG, 특수효과 등을 이용하여 배우 연기의 표현 확장성 을 이루어내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변화를 온몸으로 받는 인간 배우는 기존의 전통적인 연기술과 더불 어 각 매체의 특성과 표현 방법 그리고 특징적인 기술을 이해하고 체득할 필요성이 있었다. 본 고는 공 연예술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과 연기예술이 융합하여 로봇 배우의 등장을 알린 히라타 오리자의 연극 ‘사요나라’를 비롯하여 판소리 로봇 ‘에버’, 산업기술연구원의 공연용 로봇 라오라의 사례를 통한 인공지 능 로봇 배우와 사람 배우와의 상호 교감적 연기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영상예술 분야에서 연기 와 디지털 기술의 결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이에 대한 배우의 연기 표현 방법은 어떻게 이루 어지는지에 대해 모션 캡쳐, 이모션 캡쳐의 활용 시 배우에게 필요한 연기 표현법의 사례와 현황을 영화 ‘아바타’와 ‘반지의 제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매체의 특성에 맞는 연기법 적용사례 및 현황 연구를 통해 미래의 연기예술의 발전적 방향성 정립에 일조할 수 있기를 목적으로 하였다. Today's actors, who have been accustomed to Stanislavski's classic acting techniques for over 100 years, are faced with a new acting environment following the revolutionary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forming arts stage,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unique field that only human actors can accomplish, has begun to change with the appearance of robot actor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 the field of visual arts, new acting expression methods have changed through encounter with cutting-edge digital technology. It was detected. AI robots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apable of expressing even human emotions to a certain extent are performing together with human actors, and motion capture, emotion capture, CG, and special effects are used to expand the expression of actors' acting. Human actors who experience these rapid changes with their whole bodies needed to understand and acquire the characteristics, express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 techniques of each medium in addition to existing traditional acting skill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this paper examines the cases of Oriza Hirata's play 'Sayonara', which announced the emergence of robot actors through the conv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and acting art, as well as the pansori robot 'Ever' and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Technology's performance robot Laora. The study focused on interactive acting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ctors and human actors. In addition, regarding how the combination of acting and digital technology is achieved in the field of video art and how actors express their acting, examples and current status of acting expressions required by actors when using motion capture and emotion capture are provided in the movie 'Avatar'. and 'The Lord of the Rings'.

      • KCI등재

        디지털 VFX 촬영에서 연기 환경과 연기법에 대한 고찰

        박상석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2 No.4

        우리나라는 디지털 혁명과 함께 이미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TV 지상파는 이미 아날로그 송출 방식을 중단하고 디지털 송출 방식으로 바꿨다. 영화제작에서 필름과 아날로 그 장비의 사용은 디지털 장비들로 대체되었으며 VFX 또한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이 이루어져 제작비와 제작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디지털 VFX는 모션캡쳐, 크로마키 등이 주로 사 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실사 이미지와 가상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결합하는 Virtual Production이 도입되고 있다. 디지털 VFX의 사용은 점점 빈번히 사용되고 있어 영상 연기의 환경에 많은 변화가 생기게 했다. 이제 영상 연기자는 변화되는 연기환경 속에서 새로운 기술을 이해하고 적응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연 기자들은 아날로그적인 습성이 있어 새로운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바쁘게 돌아가는 촬영 현장에 서 디지털 VFX 기술을 충분히 이해하고 연기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디지털 VFX 기술의 발전 으로 변화되는 연기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위한 디지털 연기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디지 털 VFX 기술의 발전에 따른 연기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를 위한 디지털 연기 방법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디지털 VFX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영화와 OTT 드라마의 제작 환경을 연구하고 제작에 참여한 배우들의 인터뷰를 통해 연기환경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해서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환경에 필요한 연기 기술과 방법을 고찰한다. 현재 비용이나 시간의 절약이라는 측면에서 디지털 VFX 기술의 사용은 더욱 빈번해지고 있으며 연기자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어려움을 느 끼고 있다. 따라서 이제 배우들도 디지털 기술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디지털 연기를 위한 새로 운 연기 방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이다. 이에 대한 방법으로 ‘영상을 만드는 내면의 눈’과 ‘행동 연기 기술’, ‘동물 연기훈련’ 등을 제시했다. 이 연구가 디지털 VFX 기술을 사용하는 촬영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배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With the digital revolution, our country has already transitioned from the analog era to the digital era. Terrestrial TV has already discontinued the analog transmission method and switched to a digital transmission method. In film production, the use of film and analog equipment was replaced by digital equipment, and VFX was also converted from analog to digital, making it possible to shorten production costs and production periods. Digital VFX mainly uses motion capture and chroma-key, and currently, Virtual Production, which combines real-time images and virtual images in real time, is being introduced. The use of digital VFX is becoming more frequent and has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video acting environment. Now, video actors need to understand and adapt to new technologies in a changing acting environment. However, actors have analog habits, so they lack understanding of new environments, and it is difficult to fully understand and act in digital VFX technology in busy filming lo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acting environment that i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VFX technology and study digital acting method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earn about changes in the acting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VFX technology and to consider digital acting methods for this. First, we study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movies and OTT dramas produced using digital VFX technology and learn about changes and difficulties in the acting environment through interviews with a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Based on this, we examine the acting techniques and methods needed for the new environment. Currently, the use of digital VFX technology is becoming more frequent in terms of cost and time savings, and acto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he new environment.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actors now need to understand digital technology and new acting methods for digital acting are needed. As a method for this, ‘inner eyes for making videos’, ‘Behavioral Acting Technique’, and ‘animal acting training’ were suggest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ble to help actors who have difficulties on set using digital VFX technology.

      • KCI등재

        일반논문 : 연기(緣起)와 성기(性起)의 관계 -화엄경문답(華嚴經問答)을 중심으로-

        장진영 ( Jin Young J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0 No.-

        연기(緣起)와 性起의 사상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의 중심사상이다. 이에 대한 본격적인 관심은 지엄(智儼)(602~668)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그는 지론교학(地論敎學)의 연기설(緣起說)인 연집설(緣集說)을 삼승(三乘)의 연기설로 비판하고, 삼승(三乘)의 연기설인 법계연기설(法界緣起說)을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연기의 이면에 성기(性起)를 제기하고 있다. 당시 지론교학 내에서는``자체(自體)``의 의미에 대한 좀 더 발전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이해된다. 기본적으로 ``자체``는 여래장(如來藏)과 같은 의미이다. 여래장은 여래의 잠재태인 인(因)의 입장으로 이해되지만, 그 의미가 분화되는 과정에서 여래의 현실태인 과(果)의 입장에 대한 이해도 나타나고 있다. ``자체``라는 용어에서 우리는 여래장사상에서 성기사상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지엄은 이를 수용하여 자체를 성기와 통용하고 있다. 하지만 의상(義相)(625~702)은 자체와 성기를 구분하여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으며, 자체연기를 일승연기와 구분하는 과정에서 성기의 의미를 좀 더 명확히 하고 있다. 성기사상은 지엄으로부터 발현된 것이지만, 지엄은 법계연기의 체계 안에 성기를 포함하여 소개하고 있다. 물론 의상도 법계연기의 사유를 수용하여 발전시키고 있다. 다만 법계연기의 정문(淨門)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의상은 정문의 본유(本有)와 본유수생(本有修生), 그리고 수생(修生)과 수생본유(修生本有)를 각각 성기와 연기로 병립하여 이해하고 있다. 이는 行을 중심으로 법계를 이해했던 법계도의 체계를 계승한 것이다. 의상은 증분[성기]과 연기분[연기]의 관계를 무주중도(無住中道)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있다. 의상은 성기가 곧 무주(無住)의 법성(法性) 임을 밝히고 법성을 중심으로 법계를 노래하고 있다. 의상은 연기의 이면에서 성기를 밝혔던 지엄의 법계연기의 사유를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한 걸음 더 나아가 법성성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의상은 중생의 근기에 따른 수 행을 중시함과 동시에, 성기를 연기의 이면에서 전면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의상은 성기(性起)사상을 중심에 내세움으로써 그의 실천수행을 중시하는 입장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다. The problem of ``Dependent Co-arising``(緣起) and ``Nature-arising``(性起) is the central theme of Hwaeom(華嚴, C. Huayan) School, The serious concern with this problem begins with Zhiyan(智儼, 602~668). He criticizes the theory of ``Dependent Co-gathering``(緣集說), Dependent Co - arising of Jilun(地論) School on the grounds that it is Dependent Co - arising of Tri-vehicle(三乘), On the contrary, he suggests the theory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tu``(法界緣起), viz,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 And he proposes the existence of ``Nature-arising`` present deeply within Dependent Co-arising. It seems that Jilun School at that time holds a advanced discussions o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自體, K. Jache), which may be generally identified with the Tathagata - garbha(如來藏). Ordinarily Tathagata - garbha tends to be understood as potentiality of Buddha. But the detailed discussions of ``Self - noumenon``(Jache) sometimes makes Tathagata - garbha understood as actuality of Buddha. In examining changes in the meaning of ``Self - noumenon``(Jache), therefore, we can find out the vestiges of transitional move from Tathagata - garbha to Nature - arising. Zhiyan accepts the term of ``Self-noumenon`` and uses it in the same context as ``Nature-arising``. But in the Hwaeomgyeong - mundap(華嚴經問答), Uisang(義相, 625~702) distinguishes ``Self - noumenon`` and ``Nature-arising``, and makes clear the meaning of Nature - arising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Dependent Co - arising of Self - noumenon``(自體緣起) and the ``Dependent Co-arising of Single - vehicle``(三乘緣起). The thought of Nature-arising begins with Zhiyan. He introduces the Nature - arising into the system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Also Uisang accepts and develops Zhiyan`s idea of ``Dependent Co - arising of Dharmdhatu``. He pays more attention to the the purity part(淨門) of ``Dependent Co-arising of Dharmdhatu``. And he understands ``Originally - existing``(本有) and ``Developing - by - practice of Originally - existing``(本有修生) in the place of Nature-arising, and in parallel with it, ``Developing - by - practice``(修生) and ``O riginally - existing of D eveloping - by - practice``(修生本有) in the place of Dependent Co - arising. His approaches in the Hwaeomgyeong - mundap correspond to the system of Ilseungbeopgye - do focusing on practice. Uisang understands the relation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Nature-arising`` from th viewpoint of ``midway without abiding in anything``(無住中道). He explains that the Nature - rising is the ``Dharma-nature``(法性) without abiding in anything, and sings ``Dharmdhatu`` based on ``Dharma - nature. ``He posits Nature - arising in front of Dependent Co - arising, and thinks highly of the differentiation of practice according to sentient beings`` positions. He strengthens the practical tendency by putting a great emphasis on Nature-arising.

      • KCI등재

        영화배우 양성을 위한 영화연기 교육 시스템 연구

        정민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9 No.1

        영화는 산업혁명 이후 급속도로 발전한 기계 문명 속에서 할리우드의 스타 시스템을 대두로 하여 최고의 문화 산업 콘텐츠로서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한 해에 천만 관객을 넘어선 영화가 줄지어 나올 정도로 영화 산업이 발전하고 있으며, 그런 만큼 국민들의 눈높이도 높아져서 다양한 장르 의 영화와 수준 높은 영화를 필요로 한다. 관객에게 친숙하며, 다양한 장르로서 표현되는 영화예술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는 것이 바로 배우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배우를 양성하고 교육하고 있는 우리나라 대학 영화학과의 연기 훈련 시스템을 면밀히 분석해보고, 할리우드 배우로 유명한 사나다 히로유키(真田 広之), 칸다 마사 테루(神田 正輝), 사토 류타(佐藤 隆太) 등을 배출해낸 60여년 전통의 니혼대학교[日本大学] 영화학과의 연기 훈련 시스템 을 비교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매체적 특성을 갖고 있는 영화 연기를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 고, 이에 따라 연기에 대해 심도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기 바라며, 영화연기 교육의 입지 마련 및 성장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t has been only 100 years since film was made, yet the film industry has made sensational growth. While the development and growth mechanism of the film is in progress, the fact is that the acting for film is not able to keep up with the speed of the change that film made. This study is to make an observation of Nihon University in Japan that divides film department into direct, recording, sound, visual theory and film acting. Nihon University has special acting course followed by a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in Korea, most university focuses on producing or staff 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acting in the film department. Students who are majored in film should be educated basic film mechanism and basic of acting, for example tone, voice, movement and etc. for at least 4 years according to the curriculum. However, in Korea, those kind of the curriculum is absolutely insufficiency. At Nihon University, they teach Japanese dance. Yet universities in Korea, some teach traditional mask play as folk art for only one semester. Traditional mask play is a synthesis art combining Music, dance, language and acting. If the camera mechanism goes parallel with the traditional mask play, it could be very useful programme to learn a variety of acting basic skills. Universities in Korea should prepare the detailed curriculums for the traditional mask play so that the students comprehend the basic skills through the traditional mask play systematically. Lastly, hoping to affect positive effect on the acting training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