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언어정책과 정체성 문제: 21세기 전환기 이중언어 교육을 둘러싼 담론적 각축

        오영인 한국미국사학회 2015 미국사연구 Vol.41 No.-

        미합중국이라는 신생국의 탄생은 새로운 국가형성과 더불어 국민정체성 형성이라는 중요한 과제를 대두시켰다. 미국인들에게 ‘과연 누가 미국인인가’라는 정체성 문제와 ‘얼마나 ‘자유로이’ 얼마나 ‘동등하게’ 아메리칸 드림에 참여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는 언제나 중요한 아젠다였다. 미국 정체성 형성 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온 미국의 언어정책은 역사적으로 인구구성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언어 동화주의와 언어 다문화주의 사이를 오가며 변화를 거듭해왔다. 특히, 1980년대 들어서면서 미국은 지속되는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인해 인구구성 비율의 심각한 변화를 감지하게 되었다. 게다가 그 어떤 시기보다 법적으로 많은 이민이 허용되었던 1970-80년대 이주자 구성을 보면 약 40퍼센트가 아시아인이었고 약 39퍼센트가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이주자들이었다. 1990년에는 심지어 50개 대도시 중 35개 도시에서는 백인이 소수자로 명명되기도 하였다. 이렇듯, ‘다수 소수 국가(majority minority nation)’에 대한 위협 속에서 신이민제한주의 담론이 득세하게 되었고 이에 힘입어 영어 국어화 운동이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영어 국어화 운동은 영어를 미국의 국어로 지정하여 미국 내 문화적 동질성을 회복하고 이를 통해 미국사회를 하나로 통합하자는 주장을 펴면서 이미 1968년부터 실시된 이중언어 교육정책뿐만 아니라 이중언어 교육 자체의 폐지를 주장하기에 이르렀다. 이중언어 교육을 폐지하자는 영어 국어화 운동이 주장하는 중요한 근거는 크게 두 가지로 대표된다. 첫째, 미국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자체가 본래 미국화의 일시적 방편이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폐지하고 이민자들에게 영어를 빠르게 습득시켜 그들의 모국어를 버리고 영어만을 사용하게 해야 한다는 동화주의 혹은 미국화 주장은 결코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라 1968년 이중언어 교육법의 본래 의도를 재확인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둘째, 이중언어 교육을 반대하는 저항의 목소리가 실제로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실질적 수혜자여야 하는 이주자들 내부에서 모아지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1990년대 들어 이민자들 사이에서 이중언어 교육의 폐단을 지적하며 이를 폐지해 줄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등장하기 시작했고, 영어 국어화 주장자들은 이를 신자유주의 담론과 결합하면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히스패닉 가정의 70퍼센트가 넘는 비율이 학교에서 자녀들이 스페인어로 교육받는 것으로 모국에 대한 자긍심을 느끼며 학업성취도를 높이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통계를 제시한다. 다시 말해, 히스패닉 부모들은 이중언어 교육정책에 의해 그들의 자녀들이 영어교육에서 소외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따라서 이중언어 교육정책이 오히려 소수자들에게서 언어 선택의 자유를 박탈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1995년 뉴욕 브루클린 공립학교 학부모 150명이 이중언어 정책 폐지 소송을 제기했고, 같은 해 로스앤젤레스에서도 70명의 멕시코계 미국인 학부모들이 같은 소송을 제기했다. 그런데 문제는 왜, 어떤 근거로, 무엇을 위해서 이러한 소송들이 제기되었는가이다. 소수자들이 왜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자녀들의 학업성취라는 궁극적 목적에 걸림돌로 여기게 되었는지에 대한 근본적 성찰없이 피상적 결과에 의존한 언어동화주의자들의 주장... Thanks to the Civil Rights Movements in the 1960s, American door to immigrants was wildly opened since the liberalization of immigration in 1965, and the States experienced unexpected mass immigrations from undesirable regions such as Asia and Latin America. Due to the chain migration based on ‘Brothers and Sisters Act,’ about 50% of the legal immigration population was Asian and 40% was Hispanics (especially Mexican) compared with 5% for Europeans. Facing these dramatic and overwhelming changes, the restricionism was resurged since the 1980s, called neo-restrictionism. According to the neo-nativist, in other words, the population of the States has reached its maximum due mainly to immigrants, hence American identity has been endangered especially by the growing number of Hispanics and Asians. Americans clearly revealed ‘an imaginary fear’ to become the “majority minority nation.” For them, it’s about time to resurge English-only movement. English-only education put forth a series of argument: 1) that language diversity can lead a nation into political and cultural conflict and separation like the situation of Quebec within Canada, 2) that the English is the only social glue that unites all Americans. Under this rationale, groups of English-only movement have tired to repeal bilingual education. They claim that, first, the Bilingual Education Act of 1968 itself was not to preserve any different language other than English but to re-affirm the fact that English should be the primary language in Education. So, it is not totally new situation that immigrants has to adapt. English-only proponents, second, argue that Latino opposition to native-language teaching programs from the 1990s is now publicly apparent. English-only education have started utilizing this opposition, combining to neo-liberalism. For example, when Mexican parents were asked if they wanted Spanish taught in school if it meant less time for teaching English, less than 10 percent were in favor. Self-esteem is not higher among limited-English students who are taught in their native languages, in other words, rather bilingual education is taking away language minorities’ freedom for the language of education. In fact, there were two lawsuits by communities of Latino parents: 1995 lawsuit in Brooklyn and 1996 lawsuit in Los Angeles. Instead of presenting this superficial results, however, it is much more important to understand why, on what ground, this opposition came from. Therefore, this study has tried to examine the real background of lawsuits by language minorities in order to solve the puzzle how individual school have practiced bilingual education in reality and what kind of limitations that language minorities has. By doing so, this study confirms the fact that it was not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per se but the segregated educational realities that language minorities has faced.

      • KCI등재

        이중언어강사의 역할 수행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김윤주 ( Kim Yoonjoo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79

        본고의 목적은 이중언어강사들의 역할 수행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본 후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초 중 고등학교 이중언어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중언어강사는 본래의 담당 교과인 이중언어교육보다 다문화교육을 더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중언어강사들은 교재와 학습 자료의 부재, 교수법에 대한 지식 부족, 일반 교사 및 관리자와의 관계, 고용불안정으로 인한 불안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이중언어강사라는 점에는 보람과 가치를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점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근본적으로 이중언어강사 양성은 해당 시도교육청 내 일선 학교에 대한 충분한 현황 파악이 있은 후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이중언어강사의 현장 배치 역시 다문화 학생 재학 현황 및 필요한 지원 언어 등에 대한 수요 파악 후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중언어교육을 위한 교재와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공유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이중언어강사가 연계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부모로서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일반 교사와 관리자, 신규 교사를 위한 연수 및 재교육 프로그램에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강좌를 구성해야 한다. 여섯째, 이중언어강사의 재교육 강좌도 더욱 다듬고 개발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내용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학력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기회 확대 및 자원 활용 차원에서 이중언어교육 및 이중언어강사 제도를 활용할 가능성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assessing the role fulfill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finding some issues, and suggesting developmental alternatives for making best use of instructors. In order to do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author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o bilingual instructors in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methods show that bilingual instructors take on more classes in the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bilingual education which is their original area of responsibilities. This situation has caused many problems; lack of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s, insufficient knowledge on teaching method, un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other full-time teachers and managers, unstable employment and anxiety. However, many bilingual instructors see that their roles are important and valuable despite all those problems they have to take on. Having assessed current situation of bilingual instructors, the author suggests several alternatives for better uses of bilingual instructors. In order to have good plans for providing bilingual instructors, sufficient reality-checks over all schools in a jurisdiction of municipal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done in the first place. Second, placement of bilingual instructors need to reflect the educational demands such as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need of certai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re are needs i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s and ways of sharing of those materials and information. Fourth, it is very recommendable to have a program connecting bilingual instructors with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haring educational experience as parents of bilingual students. Fifth, classes that focus on the need of bilingu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job training classes for incumbent full-time teachers, managers and incoming teachers. Sixth, better re-training programs for instructors are needed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quality. Finally, providing employment opportunit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higher education as instructors would be a good option since it is also a good alternative for social engagement aspect as well as bilingual education.

      •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에 관한 이론적 고찰

        유동엽(Yoo, Dong-Yup)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敎育論叢 Vol.55 No.3

        몸짓언어의 교육은 국어교육, 그중에서도 화법교육(듣기․말하기 교육)에서 중요한 교육 내용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화법교육의 목표, 목적,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이 명확하지 않듯이,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 목적,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 등에 관한 논의도 학계(學界)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그 결과로 손짓과 몸짓, 표정 등의 일부 현상에 관해 일회성으로 관심이 환기될 뿐, 몸짓언어교육의 체계적인 확립은 요원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몸짓언어 교육의 초석을 놓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에 관해 환원론적으로 접근하였고, 3장에서는 기호론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작적으로 진술한 몸짓언어 교육의 목표 진술이 몸짓언어 교육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 몸짓언어 교육 연구자 간의 소통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The Educa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ducation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in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listening & speaking education). However, discussions or researches about the goal, purposes, objectives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are not fully publicized among researchers. As a result, there is a one-time interest in some phenomena such as beckons, movements, facial expressions and so on.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is an urgent tas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by theoretically examining the educational obj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is ends, this study approaches the object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through reductionist perspective in chapter 2, and through semiotic perspective in chapter 3. I hope this study to extend the scope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이창덕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7 No.-

        이 글에서는 최근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대중매체(매스미디어)와 국어교육의 접점의 하나로서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토대로 라디오 방송을 국어교육에 어떻게 끌어을 것인가를 논의한다. 현재 우리 사회에 강력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매스미디어를 국어교육에서 적극 수용하고, 매스미디어를 어떻게 국어교육에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국민공통교육과정의 국어교과에 방송을 비롯한 매스미디어 교육을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국어교육을 위해서 바람직하기만 한가, 체계적 적용이 가능한가를 따져보아야 하고, 미디어 교육이 국어교육에 바람직하고 적용 가능하다는 판단이 내려진다면 다양한 대중 매체 들을 어떻게 국어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것인가 등에 대해서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글에서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방송매체를 국어교육에 수용하되, 대중매체의 언어나 언어사용 원리를 중심으로 다루고, 매체 일반에 대한 교육이나 매체에서 다루는 담론 내용들에 대해서는 국어 교과 외의 영역에서 다루거나 다루더라도 그 비중이나 중요도를 낮추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리고 현장에서 다룰 방송매체교육은 현장의 특성에 맞게 구체적 대상과 학습 방법을 개발해서 선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방송매체 교육을 국어교육에 도입한다면 방송언어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고, 라디오 방송의 경우에도 라디오 방송언어나 그 사용의 원리 등을 국어교과에서 익히고, 학생들이 라디오 방송을 직접 듣고 라디오 방송에 참여하며, 나아가서 라디오 방송 제작 등을 해 보면서 다양한 언어생활을 경험해 보는 것은 반드시 국어교과에서만 다루어야 한다고 고집할 것이 아니라 통합 교과 수업이나 재량활동, 특별활동 등을 통해서 다룰 수 있도록 개방적 입장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라디오 방송을 비롯한 대중매체에 대한 교육이 학교현장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필요하지만, 국어교육에서 다루어지는 매체교육은 그 대중매체들 전반에 관한 교육, 나아가 사회 전반에 나타나는 다양한 의미의 생성과 해석 과정 전반을 다루는 교육이 아니라 대중매체 언어와 언어사용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 대중매체와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과 국어교육, 라디오 방송언어와 국어교육으로 층위를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라디오 방송과 국마교육의 관계를 세우고, 라디오 방송 이해 교육, 라디오 방송 언어 이해 교육, 라디오방송 체험교육으로 나누어 실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ffective way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with the language on the radio broadcastings in South Korea. Recently, the opinion that 'media literacy'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getting power of persuasion among schola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it needs to examine carefully t o include mass media education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media education, especially radio program education, has to be dealt at the low level involved only with the language being used in radio broadcasting. An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an education focusing on the principles which can explain various aspects of broadcasting language usages. It is argued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ould be effectively performed not only in the Korean language classes but in the integrated subjects classes such as ethics and language classes, sociology and language classes etc.. . In chapter two, it is argue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role of broadcasting language in language education. The area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involved with language education in schools can be divided by many criteria, for instance, by the sorts of broadcasting network, characters of programmes, and purposes of education etc.. This paper suggests a series of categories of broadcasting language education by each criteria. In the following chapter, this article classifies the various ways to adopt radio broadcast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eing divided into layers, radio broadcasting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sorted into education to understand radio broadcasting system, education to learn radio broadcasting language, and education to experience radio broadcasting. And each layer gives concrete shapes of classes teaching and training broadcasting language and its principles of usage.

      • KCI등재

        문화 능력의 재개념화를 통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연구 - 문화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오지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1

        이 연구는 문화 능력의 개념을 재고하고, 교육 내용의 영역을 설정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어 문화 교육 활동을 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실제 한국어 문화 교육 활동 내용을 문화 교재 분석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화 능력을 크게 인지적, 비판적, 정의적, 행위적 차원으로 나누어, 문화 이해력, 문화 비판력, 문화 적응력, 문화 적용력의 하위 요소로 설정하였다. 또한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서 언어 활동은 문화 능력의 하위 요소와 관련지어, 각각 기술의 언어, 해석의 언어, 반응의 언어, 참여의 언어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언어와 문화의 통합 교육적 관점에서 한국어 문화 능력을 위한 교육내용이자 교육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한국어 문화 교육 내용 및 활동 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교육용 문화 전문 교재 5종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문화 이해력, 문화 비판력, 문화 적응력, 문화 적용력 가운데 문화 이해력을 위한 언어 활동의 비중이 크다는 점이다. 반면에 문화 비판력과 문화 적응력과 관련한 교육 내용은 적은 비중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특히 문화 적응 활동은 거의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상과 같이 이 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적 접근으로부터 문화 능력의 개념을 재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교육 내용 영역을 설정하고, 교육 활동을 구안함으로써 한국어 문화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designing, also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based on redefinition of cultural competence, establishment of categories and areas for Korean language-culture education. Cultural competence is divided into four sub-components, savoir comprendre culturel, savoir s'engager culturel, savoir-être culturel, savoir-faire culturel, setting up 4 facets such as cognitive, critical, affective, behavioral factors. Resulting from analysing five kinds of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it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of all, language activities are mainly composed of those for ‘savoir comprendre culturel’ among four sub-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language activities each for ‘savoir s'engager’, ‘savoir-être culturel’ are just few of those. Especially. those related to ‘savoir-être culturel’ are little presented.

      • 공교육 밖의 유아언어교육 탐구: 문화센터 언어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아라,임부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유아를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향과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공적인 영역을 가진다면, 이러한 공교육 영역의 ‘밖’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은 유아에게 영향을 주는 또 하나의 탈 교육과정의 성질을 가진다. 공교육 밖의 교육현장에서도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언어교육이 다양한 양태와 방법으로 실제하고 있으며, 유아에게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대형백화점 및 마트의 문화센터에 개설된 언어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여 공교육 밖의 유아언어교육의 양태를 보고자 하였다. 문화센터 언어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은 대다수 영어와 동화 위주의 프로그램이었으며, 각 프로그램은 언어와 타 영역이 접목된 언어통합교육으로 진행된다. 개설된 강좌의 대상 연령은 유아보다 19개월에서 36개월의 영아를 대상으로 한 강좌가 가장 많았으며, 이는 공교육의 바람직한 언어교육 연령인 만 3세보다더 이전에 언어교육이 시작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공교육 밖의 교육현장인 문화센터의 언어교육에 대한 탐구를 통해 다양한 유아 언어교육 현장에 대한관심을 환기할 뿐 아니라 성행하는 공교육 밖의 조기 언어교육이 공교육에 주는 시사점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 KCI등재

        체계기능언어학 기반의 연결어미 교육 방안

        원효선(Won Hyo-s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2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우리말에서 연결어미가 갖는 기능부담량이 크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의미 생성과 표현에 직접적인 지식으로 연결어미를 교육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체계기능언어학의 기반 위에서 연결어미 교육 방안을 모색한 논의이다. 연결어미는 절과 절의 의미-논리 기능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논리적 대기능, 접속 장치로서 텍스트의 결속성 확보에 기여하며, 절 배열 순서를 조정하는 기능을 통해 주제 구조에 관여한다는 점에서 텍스트적 대기능과 관련된다. 또한 접속 기능을 담당하는 언어 형식들 혹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논리-의미 관계를 가지는 연결어미들의 체계를 상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어미의 선택에는 장르나 사용역과 같은 맥락적인 고려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특성에 비추어 보았을 때 절의 의미를 대기능의 측면에서 해석하고 언어 선택에서 의미가 발생한다고 보는 체계기능언어학적 기반 위에서 의미 생성 기제로서 연결어미의 교육 방안에 대한 폭넓은 모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문법 지식의 실제적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의 실현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의식적으로 언어를 선택하여 문장을 구성하도록 교육하는 것은 의미 생성 및 표현을 위한 문장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earch teaching method of conjunctive ending based 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The conjunctive ending is related to logical metafunction in that it expresses the meaning-logic function between clause and clause. And it is related to textual metafunction in that it is one of connection device in Korean, and engages in thematic structure. It forms a paradigmatic relation and it is chosen according to contextual factors such as genre and register. In this point, education of conjunctive endings as a mechanism for generating meaning can be explored on the basi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This approach can realiz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n term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grammar knowledge. And teaching ‘language as choice’ can contribute to sentence education for meaning generation and expression.

      • 다문화 한국 사회를 위한 이중 언어 교육

        이창덕(Lee, Chang Deok)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1

        이 글에서는 21세기 들어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문제, 특히 이중 언어 교육 문제를 살펴보고, 다문화 사회로 가기 위한 이중 언어 교육 방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한국 사회 소통 환경의 변화와 이중 언어 교육의 개념과 역사, 목적과 방법 등을 다루고, 한국 다문화 가정의 이중 언어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였다. 전통적으로 단일 민족과 문화를 자랑하고 지향하던 한국사회가 21세기 들어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면서 앞으로는 더 이상 단일 민족으로서 국어 교육만을 고집하기 어렵게 되었다. 현재 교육환경에서 소수자로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위한 이중 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것은 다문화 가정 자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구성원 전체를 위한 사회 통합과 국제 경쟁력을 위해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이중 언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이중 언어 교육은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와 문화, 가치관 등 다양한 교육내용이 함께 다루어지 는 총체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했다. 그리고 교사 연수와 학부모 연수가 필요함을 논하고, 자격을 갖춘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다문화 교육 교사로 양성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가올 다문화 사회의 여러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 각 부처와 다양한 학문 영역에 속하는 사람들이 다문화 교육을 위해 협의하고, 구체적 다문화 교육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먼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한 국가들이 걸어간 이중 언어 교육, 다문화 교육의 실행 과정과 성과를 점검하면서 미래 한국사회가 바람직한 다문화 사회, 다양한 구성원들이 상생의 시너지를 내는 사회를 형성하도록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a monolingual, mono-cultural society. However, according to a few recent surveys, Korea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multi-cultural society.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out every school level for all the members of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the mino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this contention, I have explained the concept, history, purpose, and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And I have suggested the methods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First, it must be started on the basis of the requests of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econdly, the contents of bilingual education for minor students should be expanded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comprehensive area needed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 as same as the major students. Thirdly, for the effect positive results, all the other students except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uld be taken to the bilingual education programme. It would be helpful to integrate the various people in the mut-icultural future society of Korea. Finally, I have suggested to have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study and take training for the multilingual education programme. For fre hopeful progress into rrulti-culttrral society integrated with every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authorities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to thrive every effcrts to set up nation-wide plan referring to the examples of the otrer multi-cultural societies.

      • KCI등재

        다문화 시대의 미디어 문식성 교육을 위하여

        이미숙(Lee Mi-sook)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2

        본고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미디어 문식성이 갖는 의미와 그 문식성을 신장하기 위한 매체 언어 교육의 방향, 그리고 구체적인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정리한 논문이다.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 미디어와 관련된 언어 능력이 갖는 더 중요한 의미는 미디어는 언어기능을 넘어서서 언어문화의 장이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소통에서 ‘미디어’의 위상은 ‘미디어’가 새로운 문화를 중계하고, 창조하는 현상의 중심에 있다는 점에서, 특히 다문화 교육과 중요한 관계를 맺는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에게 필요한 한국어 사용 능력에 ‘매체 언어 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에게 있어 미디어 문식성이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보았다. 먼저 언어 공동체로 편입 혹은 새로운 언어 공동체의 주체가 되고자 할 때에 멀티미디어 문식성이 이 학습자의 전통적 문식성을 확장하고 심화시키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다문화 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나아가는 능력이 된다는 점을 살폈다. 이어 다문화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매체 언어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먼저 다문화적 정체성을 성찰하는 매체 언어 교육을 위해서 ‘일상생활 매체로부터 시작하기’, ‘학습자로 하여금 자기 정체성 표현 기회를 제공하기’의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문화적 소통방식을 탐색하는 매체 언어 교육으로는 ‘시각이미지의 적극적 수용’과 ‘인터넷과 휴대전화 매체의 영향력 고려하기’와 관련한 내용들을 다루었다. 언어문화 경험은 한 개인의 정체성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언어 기능만 가르치는 다문화 교육으로는 부족하다는 현실 인식에서 출발하여, 매체 언어 교육을 통한 멀티미디어 문식성 신장을 새로운 목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a thesis which is organized based on cases for the significance that media literacy has on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objective of media language education for raising such literacy and the specific methods. The more important significance that language ability related to media has on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that the media is a place for language culture which goes beyond the function of language. The position of 'media' in the communication of modern society forms an important relationship especially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fact that 'media' relays a new culture and is at the center of creating status quo. The 'media language ability' has to be considered in the ability to use Korean which is necessary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significance which media literacy has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been considered as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it is the fact that multimedia literacy plays a key role in extending and deepening the traditional literacy of the learner while entering the language community or trying to become a subject of new language community. Second, the fact that it becomes an ability to maintain and develop multicultural community has been examined. Next, a media language education objective for raising multi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has been proposed. First, the cases of 'starting from the daily life media' and 'providing the student an opportunity to express self identity' have been examined for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to self-examine the multicultural identity. And for the media language education to search for multicultural communication method, the details related to 'active accommodation of visual image' an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internet and cellular phone media' have been dealt with. The language culture experience is in charge of a key role in developing the identity of one individual. Starting from the awareness of reality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teaching only the language in the traditional standpoint, the extension of multimedia literacy through media language education was attempted to be presented as a new goal.

      • KCI등재

        국어교육 정책의 방향 ;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방향

        전은주 ( Eun Joo Jeon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다문화 가정 학생에게 언어 교육은 언어 권리를 실현하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다문화적 상황은 외국인 근로자 가정 보다 국제결혼 가정에 의하여 사회적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특정이 있다. 그리고 분단국가라는 상황에서 발생한 새터민 가정 역시 다문화적 상황에 노출된 언어적 소수 집단이라는 점이 다른 나라와 차이가 난다. 또 귀국 가정 학생 역시 언어와 문화로 인하여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한 유형으로 포함하여야 한다. 학교 교육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은 다문화 가정 학생의 유형과 우리나라의 다문화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 학생을 위한 언어 교육 정책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 지원 정책의 대상이 분명해야 한다. 둘째, 언어 교육의 목표 역시 대상에 맞게 설정되어야 한다. 셋째, 언어 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넷째, 언어 교육 지원에 필요한 사전 연구와 개발이 충분히 되어야 한다. 다섯째, 언어 사용 현상과 언어 교육에 대한 중장기적인 연구 계획이 필요하다. 여섯째, 언어 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추진 체계가 수정되어야 한다. Language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tudent is a way to realize his language right. Multi-cultural situation in our country is characterized by predominance of international marriage rather than by foreign laborer family. Besides, a migrants or defectants from North Korea on the background of a separated nation are a linguistic minority, which adds to the multi-cultural situation. Moreover, returnee students need some educational support because of unaccustomed language and culture and, therefore, should be included as one type of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Both the typ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and th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language educational policy for such students at school. For this,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at our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ulti-cultural family students should be improved as follows; First, the target population for the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clear. Second, the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level of the target population. Third, the specialization of the teachers for the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warranted. Fourth, preliminary research and development necessary for language education support is needed. Fifth, long-term research plan is needed for language use and language education. Sixth, booster system needs to be corrected for efficient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