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 작문에 나타난 어휘 다양성 연구 -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7 리터러시 연구 Vol.- No.19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lexical diversity between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and Korean students’ writing. For this, tokens and types of vocabulary were extracted respectively from a total of 120 pieces of writing, and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 it looked at how type-token-ratios (TTR) were shown. The main findings are these: In terms of the quantity of vocabulary shown in each group’s writing,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ce in the result of lexical diversity was bigger than that of extraction of tokens. Notably, as for language group, Chinese students used fewer vocabulary types than Japanese students. Also, as for the group of Japanese students, the figures were nearly consistent, while as for the group of Chinese students, the figures varied - either high figures or not. Next,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extraction of TTR between Korean students’ texts and foreign students’ texts, the results were nearly the same. However, the most remarkable difference was that foreign students’ texts varied greatly compared to Korean students’ texts. That is, there was a gap between a groups of learners who produce a variety of vocabulary and another groups of learners who cannot.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lexical types alone.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that based on learners’ corpus both groups’ TTRs were analyzed objectively through computational lingustics - each group’s pieces of writing were used for this research -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presented.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의 작문이 한국인 대학생의 작문에 비해 어휘적 차원에서 어휘 다양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120편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유형(type)과 구현(token)을 각각 산출하여 분석하여 비교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어휘 다양성(TTR)이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대학생의 작문에서 나타난 어휘 규모 차원에서 살펴볼 때 어휘 구현의 산출 결과보다 어휘 유형에서 더 많은 차이가 난 것으로 드러났다. 언어권별로는 중국인 유학생 집단이 일본인 유학생보다는 어휘 유형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인 유학생 집단의 경우 상대적으로 거의 일정한 수치로 나타났는데 이에 반해 중국인 유학생 집단은 어휘 유형의 수치가 높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다양하게 존재하였다. 그 다음으로 한국인 대학생 작문과 외국인 유학생 작문에 나타난 어휘 다양성의 산출 결과를 살펴볼 때, 그 결과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다만,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은 외국인 유학생 텍스트가 한국인 대학생 텍스트에 비하여 변화 폭이 매우 심하다는 점이다. 즉 다양한 어휘를 생산해 내는 학습자와 그렇지 못하는 학습자의 격차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어휘 유형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고는 학습자 코퍼스를 기반으로 이들의 작문을 계량언어학적으로 접근하여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대학생 집단의 어휘의 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발달과 어휘 사용 양상 연구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 측정을 중심으로-

        강정희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vocabulary development following the proficiency and the lexicon use aspect by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lexicon appearing in the Korean learners’ writing text. The number of lexicon realization and the number of lexicon type increased quantitatively following the proficiency in the writing text calculated by the Korean learners from the level 1 to level 6,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verage number of lexicon by proficienc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fference by proficiency in the speed of the lexicon development. There was remarkable vocabulary development in the level 4 because the number of lexicon increased rapidly. In level 5, the number of lexicon rather decreased so the vocabulary development became stagnant. It was revealed that learners made use of various lexicons only when the level became 6 in terms of the lexical diversity(TTR).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어휘를 양적으로 측정하여 숙달도에 따른 어휘력 발달과 어휘 사용 양상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1급부터 6급까지의 한국어 학습자가 산출한 쓰기 텍스트에서 어휘 구현수와 유형수가 숙달도에 따라 양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숙달도별 평균 어휘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어휘 발달의 속도 면에서 숙달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4급에서 어휘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두드러진 어휘력 발달이 있었고 5급에서는 어휘수가 오히려 감소하여 어휘력 발달이 정체되는 경향을 보였다. 어휘 다양도(TTR)측면에서 6급이 되어서야 비로소 다양한 어휘를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휘 품사별 사용 비율은 1급을 제외한 모든 급에서는 ‘체언>의존형태>용언>관계언>수식언’의 순으로 나타났다. 1급에서는 용언의 사용보다 관계언의 사용 비율이 높아, 기능어의 기능 분담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엇다. 주요 어휘의 사용 비율은 ‘명사>동사>형용사>일반부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일반부사는 사용 비율이 가장 낮은데도 불구하고 가장 높은 TTR 수치를 나타냄으로서 한정된 유형의 일반부사를 반복적으로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어휘 다양성과 학습자의 심리적, 사회적 요인 간의 상관관계

        남주연,김영주,유종원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3 No.-

        This study measured speaking lexical diversity and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lexical diversity and L2 Korean learners’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The study collected speaking data from 12 L2 Korean Chinese learners and 12 American learners who were proven as same level learners by using mini-TOPIK. Lexical diversity was analyzed by types, tokens, and D value. Mini-AMTB and SASIQ were applied to measure learners’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respectively. As results, this study found out that (i) learners’ instrumental motiv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ypes, tokes, D value, (ii) L2 contact time, contact frequency and strength had strong correlation with D value. This study claimed, based on those results, that instrumental motivation, L2 contact time, frequency, and strength should be considered as engine to elaborate speaking lexical diversity in classroom practice and learners’ daily life. 본 연구는 구어 어휘 다양성을 측정하고 이어서 학습자의 심리적 요인및 사회적 요인과 구어 어휘 다양성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mini-TOPIK을 활용한 숙달도 측정에서 동일 수준임을 확인한 중국인 학습자 12명과 미국인 학습자 12명의 구어 자료를 수집해 어휘 다양성을 어휘유형, 어휘구현, D값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심리적 요인은 mini-AMTB, 사회적 요인은 SASIQ를 통해 측정하여 어휘유형, 어휘구현, D값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심리적 요인에서 도구적 동기가 세 측정값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 중에서는 한국어 소통 시간, 접촉 빈도 및 강도가 어휘 다양성의 세 측정값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한국 거주기간은 어휘 다양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구어 어휘 다양성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의 도구적 동기, 목표어 접촉 시간과 접촉 빈도 및 강도가 교실 수업과 학습자의 일상생활에 고려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와 쓰기에 나타난 어휘 사용의 종단적 연구

        이수미(Lee, Su-mi)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4 No.-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생산한 말하기와 쓰기 자료에 나타난 어휘사용의 특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를 선정하여 7개월 동안 지속적인 만남을 통한 대화 자료와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면서 생산한 쓰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말뭉치 분석을 통해 TTR 및 어휘 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어휘 사용의 빈도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어휘의 다양도를 측정할 수 있는 TTR은 중급 말하기, 초급 말하기, 초급 쓰기, 중급 쓰기의 순으로 값이 높았다. 어휘 밀도는 중급 말하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초급 말하기, 중급 쓰기, 초급 쓰기 순이었다. 어휘 빈도의 측면에서 조사한 결과, 초급에서는 조사의 빈도가 말하기와 쓰기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중급에서는 말하기 자료에서 다양한 종류의 부사의 사용이 나타나고 쓰기에서는 조사의 사용 빈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생산한 말하기와 쓰기의 실제적인 자료를 통해 어휘 사용의 특성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manifest the attributes of vocabulary presented in the speaking and writing material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In order to fulfil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the study subjects and collected the dialog materials through the continuous meetings with th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writing materials which the learners generated as they were taught with the Korean language. The collected data were assessed by corpus analysis to measure Type-Token Ratio (TTR) and lexical density and derive the frequency of vocabulary usage. As a result, TTR, which can measure the diversity of vocabulary, displayed high values in order of intermediate level speaking, beginning level speaking, beginning level writing, and intermediate level writing. Vocabulary density was the highest in intermediate level speaking, followed by beginning level speaking, intermediate level writing, and beginning level writing. In regard to the frequency of vocabulary, the study result suggested that the beginners exhibited different frequency level of postposi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As for the intermediate level subjects, the use of various kinds of adverbs was observed in the speaking materials while the frequency level of proposition was found to be high in writing.

      • KCI등재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의 다양성

        박정은,김영주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어 교육 Vol.25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lexical diversity of advanced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their writings. Advanced learners are composed of foreign learners and heritage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were employed to collect their writings as comparison group. To meet the goal, the study conducted two different genre-writing tasks and analyzed the writings by number of tokens, and number of types. TTR was implemented to examine lexical diversity and lexical diversity of meaning classes in the writings of three groups. The study found out that (i)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tokens and number of types among three groups, (ii) both number of tokens and number of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oups and writing genres, (iii) no significant relation was found in lexical diversity among groups, but (iv) each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t lexical diversity between the genres. As for results from lexical diversity analysis of meaning classes, heritage learners showed no difference with native speakers in using of concrete and clear vocabulary, time and emotional expression vocabulary,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using of professional and detailed vocabulary, intention and value, and abstract vocabulary; however, foreign learn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meaning classes with heritage learners

      • KCI등재

        이동동사로 실현되는 ‘-로’구문의 중국어 대응형식 연구 — 의미구조의 통사적 구현을 중심으로 —

        림 문연 한국중국언어학회 2017 중국언어연구 Vol.0 No.72

        Korean postposition phrase ‘NP-로’ which is preferred by locomotive verbs can indicate a basic meaning as ‘goal’ and two transferred meanings as ‘direction’ and ‘via’. In this paper, we found that each ‘NP-로’ corresponds to two kinds of Chinese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those meanings: one is Preposition phrases; two is the objects of relevant verbs. For the corresponded preposition phrases of Chinese, there are ‘到NP’, ‘朝/向/往NP’ and ‘从NP’. For the linking of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s and syntactic structures, there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In Korean, the basic meaning of ‘NP-로’ comes from the locomotive verb's lexical structure, so the arguments between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and syntactic structure can be linked directly. For those transferred meaning usages as ‘direction’ and ‘via’ of ‘NP-로’, ‘adjunct correspondence rules’ are needed in order produce the transferred meaning in specific constructional contexts, on the basis of their basic lexical meanings. Hence, it is concluded that correspondence rule interpretation is needed for the linking of conceptual semantic structural arguments and syntactic structural arguments in Korean. In Chinese, each preposition phrase can express only one basic meaning. This basic meaning of the Chinese preposition phrase also comes from the related verb's lexical structure. Besides, the objects of Chinese verbs are also depended on the related verb's lexical structure. Therefore, lexical structure interpretation is mainly used for the linking of conceptual semantic structural arguments and syntactic structural arguments in Chinese. 본고는 의미구조의 통사적 구현을 중심으로 이동동사로 실현되는 ‘-로’구문의 중국어 대응형식에 대한 연구를 전개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경우에 경로 논항으로 쓰이는 ‘NP-로’는 의미구조의 통사적 구현에 있어 의미형성규칙과 부가어 대응규칙이 모두 적용된다. 둘째, 한국어에서 이동동사와 공기하는 [목적지], [방향], [경유지]의 의미로 해석되는 ‘NP-로’는 두 가지 형태로 실현되는 중국어 논항과 대응된다. 하나는 전치사구의 형태로 실현되는 경로 논항이고, 또 하나는 목적어 명사구의 형태로 실현되는 경로 논항이다. 전자의 전치사구로 실현되는 경우로는 [목적지]의 의미를 나타내는 ‘到’전치사구, [방향]의 의미를 나타내는 ‘朝/向/往’전치사구, [경유지]의 의미를 나타내는 ‘从’전치사구가 있다. [목적지], [방향], [경유지]의 의미로 해석되는 ‘NP-로’와 대응되는 중국어의 경로 논항들은 전치사구의 형태로 실현되든 목적어의 형태로 실현되든 모두 공기하는 이동동사의 어휘의미적 특성으로 설명된다. 결국 의미구조의 논항들이 통사구조의 논항으로 실현되는 데 있어 한국어와 중국어는 모두 의미형성규칙이 필요하지만, 한국어의 경우에는 의미형성규칙 외에 [방향] 부가어 대응규칙과 [경유지] 부가어 대응규칙을 더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 나타난 어휘 다양도 및 어휘 밀도 연구

        배도용 한국언어과학회 2012 언어과학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xical variation and lexical density shown in writing of KFL learners. In summary, first, the language-specific TTR of NNS subjects was no more than 40% of all. Second, the rate of TTR was as follows: Vietnamese < Japanese < Chinese. Third, TTR was in inverse proportional to text-length. Fourth, the analysis of titled word/morpheme TTR showed various aspects from their languages. Fifth, spoken text and written text were told to have less and more than 40% of LD respectively(McCarthy, 1990), yet the Korean learners' LD did not exceed 40% although the learners' LD was written text. Thus the theory of Faerch(1984) which states LD was decided by text-type seems to be more persuasive. Sixth, it was not easy to identify NNS and NS when a text type of LD was similar. Seventh, comparing to common noun which has high proportion of LD rate of NNS, verb was two times lower than that of common noun. Eighth, LD rank of NNS was followed by common noun, verb, adjective and common adverb

      • KCI등재

        한국어·중국어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어휘 다양성

        최지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어 교육 Vol.28 No.4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lexical diversity in the “Frog Story” narratives of Korean-Chinese bilingual children. Six bilingual speakers of Korean children- four boys and two girls- were audio recorded as they produced narratives based on pictures from the Mercer Mayer book “Frog, where are you?” The order of narration was counterbalanced. The vocabularies from narratives were analyzed by type, token, TTR (type-token Ratio) and D value using the CLAN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 program.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pattern of lexical diversity in Korean is similar with the Chinese, but the TTR and D value of Chinese still remain low in comparison with those of Korean. In addition, Korean language seems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hinese in the language usage pattern and vice versa.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에 나타난 어휘 다양성 측정 -D값을 중심으로-

        남주연,김영주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5 No.-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lexical diversity in speech production of learners of Korean. A proficiency test(mini-TOPIK) and a speaking task were conducted to 55 intermediate learners who were at 2, 4, 6, 8 ranks by proficiency scores. The study applied D value to analyze lexical diversity of learner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at of native speakers. The results showed that lexical diversity of learners has improved in a similar pattern with that of native speakers, but D-values of nouns and verbs still remained low in comparison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 KCI등재

        중급 수준 다문화 청소년 학습자와 외국인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어휘 다양성 연구

        구다영 ( Ghu Da Young ),김영주 ( Kim Youngjoo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와 정보 사회 Vol.29 No.-

        This study investigated lexical diversity in the writings of intermediate level(TOPIK 4) multi-cultural adolescent learners and foreign learners who prepare for the college entrance in Korea. The study employed 20 multi-cultural learners(MCL), 20 foreign learners(FL) and 20 Korean native speakers(NS) at the age from 18 to 24.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three types of writings that were analyzed by D value using CLAN. The findings showed that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amount of types and tokens, showing that NS group was always first and MCL group and FL group follow, (2) D values among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ut it depended on writing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