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양육경험이 양육불안과 부모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

        공병호,백승학 한국일본교육학회 2017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저출산이라는 공통의 과제를 안고 있고, 우리와 유사한 가족문화를 가지고 있는 한국 과 일본 부모의 어린 시절의 피양육경험이 현재의 양육불안과 부모로서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과 거 피양육경험이 현재의 양육불안 그리고 부모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한국의 부 모들에게 있어서 과거 피양육경험이 현재의 양육불안 그리고 부모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가? 셋째, 일본의 부모들에게 있어서 과거 피양육경험이 현재의 양육불안 그리고 부모만족에 미 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 일본 모두 어린 시절의 피양육경험이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현재의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어린 시절의 피양육경험이 부모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애정이 만족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통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 역시 동일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양육불안 이 부모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은 양육불안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정 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본은 양육불안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정적 효과와 함께 만족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부적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었다. 따 라서 이러한 결과는 현재 부모의 육아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양육 불안을 낮추기 위한 육 아지원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근거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ing experience on parental anxiety and paren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ime.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past parenting experience on current parenting anxiety and parent satisfac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past parenting experience on current parenting anxiety and parent satisfaction for Korean parent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past parenting experience on current parenting anxiety and parent satisfaction for Japanese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both Korea and Japan, the effects of parenting experience on the current parental anxiety as mediating variabl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lso, it was found that affection had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trol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satisfaction. However, in the effects of current parenting anxiety on parents'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arenting anxiety level, the more static effect that stress level shows, while the higher the parenting anxiety level, the higher the stress level, And the negative effect of low level appeared simultaneously.

      • KCI등재

        어머니의 부모화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권정숙,조용주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9 인지행동치료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 및 과보호 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 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며 현재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기혼여성 430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 과보호 경험, 비합리적 신념, 양육행동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의 경로분석 결과,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부 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부모화 경험과 부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어머니의 부모화 경험은 긍정적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과 비합리적 신념을 통한 간접 적인 영향을 동시에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정적 양육행동에는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과 긍정적 양육행동 간의 경로, 과보호 경험과 부정적 양 육행동 간의 경로에서 비합리적 신념은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어머니의 과보호 경험은 긍정 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행동 모두에 비합리적 신념을 거쳐 간접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s o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overprotective experience on parent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430 mothers who live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s and parenting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overprotective experience, irrational belief, and parenting behavior. Second, in the path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irrational beliefs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irrational beliefs showed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between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mother's parentification experie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an indirect influence through irrational beliefs,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indirectly through irrational beliefs. The pathway between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rrational beliefs in path between overprotective experienc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mother's overprotective experience indirectly influenc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irrational belief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 상담사의 장애 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양수인(Su In Yang),반신환(Shinhwan 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여성 상담사로서의 장애 자녀 양육경험은 어떠하며, 장애 자녀 양육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장애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여성 상담사로서 10년 이상의 근무 경험을 가진 자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7월부터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이들의 심층면담을 통해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자료분석은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결과 상담 전 양육 경험은 원가족으로부터 받은 양육 경험을 그대로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였으며, 상담 과정의 양육경험은 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상담 경험을 통한 장애 자녀 양육은 자녀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며, 자녀를 존중하고 수용하였으며, 상담사로서의 자녀 양육 경험은 부모로서의 자아가 성숙 되고 삶에 대한 감사함으로 이어지고, 자녀는 자녀의 삶을 살고 부모는 부모의 삶을 사는 것으로 연결된다고 하였다. 결론 여성 상담사의 장애 자녀 양육경험을 이해한다는 것은 이들의 경험을 부모 상담에 적용하여 장애 자녀 양육에 토대가 될 것이다. 이는 장애인복지, 가정복지, 교육복지 등에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child-rearing experiences as a female counselor and the meaning of the child-rearing experie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female counselors who had experience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d more than 10 years of work experie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22, and research texts were prepar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Results The parenting experience prior to counseling raised one's own children as it was from the parenting experience received from the family of origin, and the parenting experience during the counseling process started counseling to solve family problems. Raising children through counseling experience understands children, respects and accepts children, and experience as a counselor leads to the maturity of the self as a parent and appreciation for life. Conclusions Understanding the child-rearing experiences of female counselors will be the foundation for raising children by applying their experiences to parent counseling.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integratedly applied to the welfare of the disabled, family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 KCI등재후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원가족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유경화(KyungHwa Yoo)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2021 미래사회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원가족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3세∼만 5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711명을 대상으로 SPSS 24.0와 LISREL 8.5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원가족경험, 자아존중감, 양육행동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원가족경험과 자아존중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고, 연구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모형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투사,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이 양육행동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투사와 정서적 단절이 자아존중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판단과 행동, 자신의 가치가 양육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은 원가족경험과 양육행동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원가족경험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주요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미래사회의 부모역할 위기에 적절한 대처방안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effect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on parenting behavior for parents with children of infancy. SPSS 24.0 and LISREL 8.52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f 711 parents with infant children. Pearson 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 self-esteem, and parenting behavior.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and research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family-of-origin experience and self-esteem on parenting behavio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the model fit test was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 of family-of-origin experience on parent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family projection, emotional disconnection, and family reg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Second, as for the effect of family-of-origin experience on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family projection and emotional disconnec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Third, as for the effect of self-esteem on parenting behavior, it was found that judgment, behavior, and self-worth had a positive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Lastly,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family-of-origin experience and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ental self-esteem is a major parameter in the effect of parental family experience on parenting behavior, and i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programs or counseling that can cope with future social crises.

      • KCI등재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목표 및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지현,백지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roles of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as conditions for flow experiences in parenting,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flow experiences 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651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Mother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four scales. Path analyses showed that both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others’ flow experiences.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were also directly associated with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ing goal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satisfaction; however, parenting feedback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In the association among parenting goals, feedback, efficacy, and satisfaction, flow experiences mediated the relationships through their indirect effects on parenting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arenting goals and feedback are conditions for flow experience in parenting. Parents may be able to develop or increase the number of their flow experiences, which can enhance thei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in daily parenting, by fulfilling the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se experience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이 긍정적인 경험이 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플로우(flow) 이론을 바탕으로 양육에서 부모가 가지는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의 조건이 되는가를 확인하고 양육플로우 경험은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양육플로우 경험이 변인 간을 매개하는 모형을 가정하고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고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651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1)양육목표 및 양육피드백, 2)양육플로우 경험, 3)양육 효능감, 4)양육 만족 척도로 총 4가지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로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목표, 양육피드백은 양육플로우 경험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이었다. 둘째, 양육목표는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양육피드백은 양육 효능감에만 직접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양육플로우 경험은 양육 효능감과 양육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은 양육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하여 양육 효능감과 역할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양육에서 플로우 경험이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양육목표와 양육피드백이 양육플로우 경험을 형성하는 조건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부모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양육에서 플로우를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맞벌이 부모의 영아기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엄민정,김남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is study examined the parenting experience and meaning of dual-income parents with infants through narrative inquiry. We selected two pairs of dual-income parents with infants. First, the parenting experience of such parents was examined for each family. In the case of Dowon and Heeyeon’s parents, their father experienced depression due to being unprepared for infant rearing, parenting styles following their mother’s mother, and turning points in their lives. In the case of Yerin’s parents, their mother experienced postnatal depression due to maternity leave, a period when the child needs the care of their mother most, and a daycare center teacher offered support regarding child rearing. Second, the meaning of parenting experience was defined as a process of becoming “us” from “me”, parents who gain energy and happiness through their infants, parents who are still new to raising infants but do their best as parents, and parents who grow and develop with their infants and learn and practice true love. Exploring the parenting experience of dual-income parents with infant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and suitable support for their lives.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 경험과 양육 경험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강원도 D시에 거주하는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 2쌍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의 자녀 양육 현장에 들어가기, 현장텍스트 작성하기, 양육 경험을 드러내 줄 수 있는 내러티브 패턴과 주제 찾아 내러티브 구성하기 등을 통해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탐구결과, 먼저 맞벌이 부모의 영아기 자녀 양육 경험을 각 가정별로 살펴보았다. 도원·희연 부모의 경우는 준비없이 시작된 독박육아로 인한 아버지의 육아우울증, 주양육자가 된 친정어머니를 따라가는 양육방식, 내 인생의 또 다른 전환점으로 양육 경험이 드러났고, 예린 부모의 경우는 육아휴직으로 인한 어머니의 산후우울증, 엄마사랑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기, 어린이집 선생님은 최고의 양육지원자로 양육 경험이 드러났다. 이러한 양육 경험은 ‘나’에서 ‘우리’ 되기의 과정, 아이를 통해 삶의 에너지와 행복을 얻는 부모, 아직은 초보 양육자이지만 부모 역할에 최선을 다하는 부모, 아이와 함께 성장하며 진정한 사랑을 배우고 실천하는 부모로 의미가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양육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에 맞는 적절한 양육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유형이 부모역할만족도, 양육행동, 아동권리존중양육에 미치는 영향 : 잠재계층분석을중심으로

        김수정,구은미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4

        연구목적:본연구는어머니의아동기경험의유형을탐색하고, 이경험유형이부모역 할만족도, 양육행동, 아동권리존중양육에미치는영향을살펴보고자하였다. 방법:유아교육기관에자녀를보내는503명의어머니를대상으로잠재계층분석, 다항로 지스틱분석, 다중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첫째, 어머니아동기경험은3개의잠재계층으로구분되었으며, 이는어머니가자신 의부모로부터아동기때받은양육경험중에서독립성조장과수용을받았던경험의 수준에따라‘부정적경험집단(5.3%)’, ‘중간수준경험집단(28.4%)’, ‘긍정적경험집단 (66.2%)’으로명명하였다. 둘째, 어머니아동기경험‘긍정적경험집단’이‘부정적경험 집단’에비해부모역할만족도, 양육행동, 아동권리존중양육수준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결론:어린시절아동기경험유형은성인이되어부모가되었을때부모역할만족도, 양육행동, 아동권리존중양육수준에영향을미치는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어린시절부모로 부터독립적성향의조장과자신을있는그대로수용받는아동기경험의중요성을강조하며 부정적인아동기경험을받았다면치유되고회복될수있도록도우며이를예방하기위한 전략으로예비부모교육이나긍정적인부모교육프로그램등다양한방안마련이필요함을 시사하고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childhood experiences by mot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ir childhood experience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Methods: Latent hierarchical analysis,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with 503 mothers who send their childre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sults: First,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potential classes. These are labelled here as the ‘negative experience group' (5.3%), the 'medium-level experience group' (28.4%) and the ‘positive experience group' (66.2%). Seco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positive experience group' of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than the ‘negative experience group'.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childhood experience in childhood affects parental role satisfaction, parenting behavior, and the level of parenting that respect children's rights when reaching parenthood. Thes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stering independence from parents in childhood and the importance of receiving children's experiences as they are, helping them to heal and recover from negative childhood experiences, and as a strategy to prevent them, education for prospective parents. However,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various measures such as positive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양육경험이 부모상담에서 작용하는 의미에 대한 연구

        강하영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find out play therapist's parenting experience and meanings in Parent counseling. For that purpo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Three play therapists who were interviewed in depth on their parenting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parent counseling. All of thre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orked as a play therapist for more than 10 year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eriences in parent counseling of play therapist who have parenting experience includes 'The difference between counseling and parenting', 'Viewing the closest point of empathy: deepening empathy', 'Changes in the aspect of parents's anger', 'Shifting of gaze in parent counseling : From child to mother', and 'Helping parents with vivid advic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researcher interpreted three meanings as follow. Participants in this study discover 'Keeping the boundary of empathy as a play therapist', 'To recognize the limits of a play therapist : through their parenting experience' and 'Go with parents: Becomming companion'.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치료자들이 양육을 통해 무엇을 체험하고, 부모상담에서 치료자의 양육경험이 어떻게 나타나고 작용하는지 변화의 과정을 들여다보며, 그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양육경험이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놀이치료자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경험이 있는 놀이치료자들의 부모상담 체험은‘상담과 양육이 다른 영역’임을 경험하며「안다」는 것과「살아낸다」는 것의 차이를 절감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이는 어머니들의 세계와 입장에 대한「이해와 공감」의 계기가 되었고, 특히‘엄마의 화’에 대한「변화된 관점」을 생성하면서 부모상담 시‘어머니의 시선을 비중 있게 다루게’되었다. 또한 자신의 양육경험을 바탕으로 어머니 개개인에 맞추어‘생생한 조언’을 하고, 상담 시간을‘효율적으로’쓰게 되었으며, 어머니의‘한계치를 고려’하며 상담을 진행하는 등의「태도의 변화」도 체험에 동반되었다. 이러한 체험들은 양육경험이 있는 놀이치료자에게「상담자로 공감의 경계 지키기」,「상담자의 한계 인정하기」,「부모- 치료자, 함께 가는 사람」으로 거듭나는 것을 의미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양육경험이 부모상담에 도움이 된다는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결과를 넘어, 양육과 상담 사이에 상호작용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실제적으로 아동상담자가 아이를 키우면서 겪는 경험들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들의 양육경험이 상담의 또 다른 주체인 어머니들과의 만남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변화의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부모상담 과정에서 양육경험이 나타내는 의미와 부모상담의 본질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더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반려견의 양육이 의사소통 및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아람,송근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Effects of Rearing Companion Dogs on Communicationand Emotional ExperienceAram Han & Geunho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rearing companion dogs on emotional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within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increased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n Korea. In the social index report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of 2018 in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MDIS), the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people who were rearing companion dogs and people who were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there were more communication between colleagues and neighbor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within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panion dogs. Second, through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there were more experiences in valuable work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ird, through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there were less experiences in anxiety, worry, and depres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was helpful for social communication between colleagues and neighbors, increase of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decrease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could be ultimately utilized for increasing the life quality of human, a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companion animals on human in the future. Key Words: Companion Animal, Companion Dog, Rearing, Communication, Emotional Experience 반려견의 양육이 의사소통 및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한 아 람*ㆍ송 근 호**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반려동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견 양육이 다양한 집단 내 의사소통과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방법: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MDIS)의 2018년 대전광역시 사회지표보고서 중 반려견을 양육한 사람과 양육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이번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반려견의 양육을 통해 직장 구성원, 이웃 간의 의사소통이 더 많이 이루어졌으나 반려견 양육 수에 따른 집단 내 의사소통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반려견의 양육을 통해 행복과 일이 가치 있다는 경험과 삶에 대한 만족 경험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반려견의 양육을 통해 근심, 걱정에 대한 경험과 우울에 대한 경험이 더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반려견의 양육이 직장 구성원, 이웃 간의 사회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고, 긍정적 정서 경험은 증가시키고 부정적 정서 경험은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궁극적으로 반려견의 양육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앞으로도 반려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반려동물, 반려견, 양육, 의사소통, 정서적 경험 □ 접수일: 2022년 9월 26일, 수정일: 2022년 10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박사수료(First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hanarram@naver.com)** 교신저자,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songkh@cnu.ac.kr)

      • KCI등재

        반려견의 양육이 의사소통 및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아람,송근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Effects of Rearing Companion Dogs on Communicationand Emotional ExperienceAram Han & kunho S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rearing companion dogs on emotional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within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increased number of companion animals in Korea. In the social index report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of 2018 in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MDIS), the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conducted targeting the people who were rearing companion dogs and people who were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there were more communication between colleagues and neighbor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communication within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mpanion dogs. Second, through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there were more experiences in valuable work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ird, through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there were less experiences in anxiety, worry, and depres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was helpful for social communication between colleagues and neighbors, increase of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decrease of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aring of companion dogs could be ultimately utilized for increasing the life quality of human, a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companion animals on human in the future. Key Words: Companion Animal, Companion Dog, Rearing, Communication, Emotional Experience 반려견의 양육이 의사소통 및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 아 람*ㆍ송 근 호**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반려동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려견 양육이 다양한 집단 내 의사소통과 정서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방법: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MDIS)의 2018년 대전광역시 사회지표보고서 중 반려견을 양육한 사람과 양육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빈도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이번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반려견의 양육을 통해 직장 구성원, 이웃 간의 의사소통이 더 많이 이루어졌으나 반려견 양육 수에 따른 집단 내 의사소통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반려견의 양육을 통해 행복과 일이 가치 있다는 경험과 삶에 대한 만족 경험이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반려견의 양육을 통해 근심, 걱정에 대한 경험과 우울에 대한 경험이 더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반려견의 양육이 직장 구성원, 이웃 간의 사회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고, 긍정적 정서 경험은 증가시키고 부정적 정서 경험은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및 제언: 궁극적으로 반려견의 양육이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앞으로도 반려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반려동물, 반려견, 양육, 의사소통, 정서적 경험 □ 접수일: 2022년 9월 26일, 수정일: 2022년 10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박사수료(First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hanarram@naver.com)** 교신저자,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 Email: songkh@cnu.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