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남미애(Mi Ae Na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4

        본 연구는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14세 이상에서 24세 이하의 청소년이면서 자녀를 양육한 경험이 있는 미혼모이며 이를 위해 전국청소년미혼모시설이나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하고 있거나 지역사회에서 살고 있는 청소년양육미혼모를 조사하였다. 최종 분석한 사례 수는 123건이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으로는 양육 스트레스, 부모 지지, 공동생활가정 이용 유무, 미혼모에 대한 지역사회 편견과 차별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으로는 양육 스트레스, 부모 지지, 미혼모에 대한 지역사회편견과 차별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이는 양육 스트레스, 부모 지지, 공동생활가정 이용, 미혼모에 대한 지역사회 편견과 차별 등 생태체계 요인들이 통합적으로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는 결과로서 향후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심리사회적 적응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서비스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eco-systemic factors effecting depression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mothers. The sample consists of 150 young single mothers whose age range from 14 to 24 years and who are residing in Korea. One hundred and twenty three cases were utilized in the analy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co-systemic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young single mothers are parenting stress, parent support, experience living in a group home,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s young single mothers. 2) Eco-systemic factors influencing global life satisfaction of young single mothers are parenting stress, parent support,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as young single mother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s that psychosocial adjustment and health of young single mothers can improve by integrating youth policy and practice that take eco-systemic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into account.

      • KCI등재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이용우(Lee, Yongwoo)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1

        전체 미혼모의 90% 이상이 입양을 선택했던 과거와 다르게, 최근 들어 자녀의 양육을 선택하는 미혼모가 눈에 띄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령, 교육수준, 노동시장 참여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도 과거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향상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미혼모들이 빈곤을 비롯하여 다양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오랜 사회적 편견과 차별 속에서 자녀 양육과 생계부양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양육미혼모가 직면하는 어려움들은 개인적 특성의 발전.향상만으로 해결될 수 없으며, 미혼모의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사회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 미혼모 지원정책의 전개과정 및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재 미혼모 가족을 위해 제공되고 있는 정책의 현황과 한계를 전반적 정책 기조의 변화 속에서 검토하였다. 한국사회의 미혼모 정책은 200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기존의 입양 중심에서 미혼모의 자녀양육을 지원하는 쪽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현재 양육미혼모에게 제공되는 있는 사회적 지원의 수준은 정책기조의 변화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미혼모가 자녀를 양육하기에는 아직도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미혼모의 자녀양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Unlike the past several decades when over 90% of unwed mothers chose to adopt their children, the number of never-married mothers who determine to raise their children for themselves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However, many unwed mothers are still suffering from a diversity of problems including poverty, discrimination and biased stereotypes.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observ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in Kore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policy paradigm shift, and examine current social services for never-marri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e paradigm shift of social policy for unwed mothers occurred around the mid-2000’s towards helping never-married mothers rear their children. However, social services for them have not kept pace with the paradigm change, which makes still very much hard for unwed mothers to raise their kids on their own. The study concludes with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social services for families headed by never-married mothers.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양육을 결정한 미혼모의 삶 들여다보기

        이미선,김민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가족복지학 Vol.66 No.-

        This study aimed to listen to voices from unwed mothers raising a child in South Korea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Six unwed mothers raising a child in a group home for unmarried single mothers participated in six sessions of photovoice. Participants individually took photos related to four themes they selected (after recognizing my pregnancy, my life after having a child, challenges of childrearing, and my hope toward society as an unwed mother raising a child) and shared their stories behind the photos through group discussions. Findings show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nner turmoil after becoming pregnant, but they became to be excited about meeting their baby and thus, decided to raise the child. After having a child, they realized the value of having a family, and their baby became a priority in their life. However, they faced challenges related being unprepared for child care, taking care of a child without support from other family members, and social stigma toward unwed mothers. Finally, they expressed hope that society would improve its social security system and increase awareness of unwed mothers raising a child, which would help them picture a bright future with their child.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services and policies in social work to help unwed mothers living independently while raising a child.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우리 사회에서 자녀를 양육하며 살아가는 양육미혼모의 삶을 당사자의 목소리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미혼모자공동생활가정에 생활하고 있는 6 명의 양육미혼모들이 총 6회기로 구성된 포토보이스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함께 선정한 4개의 대주제(임신 사실을 알고 난 후, 아이가 생긴 이후 나의 삶, 아이 양육의 어려움, 양육미혼모로서 바라는 점)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였고, 집단토의를 통해 사진 속에 담긴경험을 공유하였다. 분석 결과, 양육미혼모들은 임신을 인지한 이후 내적 갈등을 겪었지만, 점차 아기와의 만남을 기다리며 양육을 결정하게 되었다. 이들은 아기가 생긴 이후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아기가 삶의 우선순위가 되었지만, 양육 준비의 부족, 홀로 양육하는 부담감, 사회의 부정적 시선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양육미혼모에 대한 사회보장의 강화와 인식의 개선을바라며, 아이와 함께 하는 희망적인 미래를 기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양육미혼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며 자립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제도 마련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가와 시설의 양육미혼모 정부지원 차이에 대한 연구

        박영혜(Younghy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재가 양육미혼모와 시설 양육미혼모의 사회적 지지 중 정부지원의 차이를 조사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최근에는 양육미혼모들이 증가하고 있으나 정부의 지원은 충분하지 못하며, 가장 기초적인 생계유지에도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양육미혼모에 대한 정부지원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재가 양육미혼모가 시설 양육미혼모보다 연령과 학력이 높았으며, 직업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월령 또한 재가 양육미혼모의 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지원과 친자검사를 제외한 정부지원은 시설 양육미혼모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재가 양육미혼모가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양육미혼모들의 안정된 정착을 위한 현실성 있는 정부정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governmental parts in social supports for unmarried mothers at home and those at facilities and to look at policy alternatives. Despite of the rising number of unmarried child rearing mothers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al supports are not sufficient enough to aid even the most basic sustenance. The research on the governmental supports shows that unmarried child-rearing mothers at home were more aged, more employed, more educated and had children of more month ages than those at facilities. Single mothers at facilities were getting more governmental supports excluding crisis support and paternity test than those at home who appeared to be experiencing more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ork, more realistic governmental policies are proposed to help a stable settlement of unmarried child-rearing mothers.

      • KCI등재

        양육미혼모의 자녀 양육 자신감 향상과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문학치료 사례연구

        정영미 ( Jung Young-mi ),김혜미 ( Kim Hye-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출산 후 양육을 선택하여 자활을 준비하는 기관에서 생활하고 있는 미혼모들이 자녀 양육과정에서 혼자 아이를 양육하는 것의 어려움과 새로운 사람이 생겼을 경우에 자녀양육에 대한 의지가 중요하다는 것에 관심을 두었다. 사례자 A는 아이의 실수에 지나치게 예민하고 폭력적인 양육태도를 보이고 있는 양육미혼모로, 그녀가 가진 자기서사를 바탕으로 활용할 수 있는 설화를 선정하였는데, 아버지 없이 혼자서도 성공적인 양육이 가능하며, 자녀양육을 통하여 신성을 획득함으로써 양육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신화 <당금애기>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자녀의 친아버지가 아닌 새로운 이성과 함께 자녀를 양육할 수도 있으며, 그 과정에서 친아버지를 찾고자 하는 자녀의 요구에 대처하는 설화도 제공되어야 한다고 보아 <첫날 밤에 아이 낳은 신부>를 선정하여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설계는 혹시나 모를 위험에 대비하여 한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 승인(HIRB-2020-004)을 받은 후에 진행하였다. 총 9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신화 <당금애기>는 2회기, 설화 <첫날밤에 아이 낳은 신부>는 6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는데, 프로그램을 통하여 양육의지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버려짐에 대한 두려움이 양육을 선택하는 힘이 되었지만 아이를 버릴 수도 있다는 두려움도 있었음을 인정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혼자 아이를 키우는 것의 부담감으로 회피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에서 적극적으로 아이를 지원해줄 수 있는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찾게 된 것이다. 세 번째는 새로운 남자를 만나서 양육을 함께 하고 싶어 했던 의존성에서 벗어나 자신의 성장을 통해 아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양육미혼모의 양육에 대한 의지와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기회를 마련한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양육미혼모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부족한 상황에서 앞으로 보다 많은 사례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폭넓게 문학치료가 활용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hypothesis that unmarried mothers living in institutions/organizations that prepare them for self-support by choosing parenting after childbirth have difficulty raising their children without their fathers, and that the willingness to raise a child is important when a new partner comes into the picture. Case A was that of an unmarried mother who was too sensitive to the child's mistakes and showed a violent parenting attitude. She selected a story that could be used for literary therapy based on how she perceives her epic of self. She needed to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a child successfully without a father. The “Danggeumaegi” myth was selected to show the importance of nurturing and how to attain divinity through it. Another literary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and used, based on the story “A Child Born in Wedding Night,” because it is possible to raise a child with a new partner other than the child's father. The design of this program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approval for research (HIRB-2020-004) from the Bioethics Committee of Hallym University in preparation for any risk that may be unknown. Nine sessions were held. The “Danggeumaegi” covered two sessions, and “A Child Born in Wedding Night” covered six. The willingness of mothers to raise their children was improved through the program. First, the fear of abandonment became a factor in the mother’s choice of parenting, but the mother also admitted that there can be a fear of abandoning the child. Second, the mother showed an evasive attitude due to the burden of raising a child alone; however, she was able to embrace her role as a mother who could actively support her child through this literary therapy. Third, the mother was freed from her dependence on a new partner for the upbringing of her children and could finally believe that her own growth could help in raising a healthy chil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reflecting deeply on her role as a mother improved her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parent.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self-narrative of unmarried mothers through a literary therapy program that used myth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is program provided an opportunity to encourage and promot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unmarried mothers and to improve their will and confidence in parenting. It remains to be verified whether the program can be widely used to examine the issues and dynamics regarding unmarried mothers based on one case. Research on unmarried mothers is limit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can be improved through more cases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re will be an opportunity to verify and utilize literary therapy widely.

      • 양육미혼모의 삶의 조건과 모성권

        이해진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4 젠더연구 Vol.- No.19

        This study is about the life conditions of unwed mother and research was through the depths interviews. Lately as the number of unwed mother increase, the number of single mother with child also increase. Despite of the social disgrace and prejudice of the unwed mother, they start to choose to claim for their maternal right. This change is due to the older age of unwed mother and high level of their education and the change of relative law that allowing a single women can register a child to her own family regardless of her marital status. So far, adoption policy of Korea was in the boundary of marriage system because Korea society was considering only giving a birth and raising a child in the marriage was moral and legal. However as the number of unwed mother raising their child is increasing, the conversion of a policy is required. A lot of unwed mother have difficulties because of lack of policy support. In particular, with the ratification of ‘The Hague Convention on Intercountry Adoption’ ahead, strengthen of policy can support direct nurture by unwed nother is needed but current policy support only restricted to the birth of unwed mother. Although having lot of trouble coming from social prejudice, economic problems and patriarchal laws and systems, unwed mother affirm their decision and want to ensure their maternal right. So the government have to show their effort to improve the systems and complement the fault of law to support unwed mother's own custody. 이 연구는 양육미혼모들의 삶의 조건을 심층면접을 통해 조사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 미혼모의 수가 증가하고 양육미혼모 또한 늘어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오명과 부정적 시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성적 행동에 책임을 지고 모성권을 선택하는 양육미혼모들이 늘어나고 있는 점은 그동안 우리 정부가 취해왔던 바 입양중심의 정책 변화를 제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를 고려할 때 양육미혼모를 위한 지원정책 마련이 시급하지만 아직 미혼모 출산지원 정책에 머물러 있는 것이 현실이다. 양육미혼모들은 사회적 편견과 경제적 문제, 가부장적 법과 제도 등으로 어려움에 시달리면서도 모성권을 선택한 자신의 결정을 긍정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한 의지를 잃지 않는다. 따라서 정부는 이들에게 불리한 각종 제도를 개선하고 법의 보완을 통해 이들의 직접 양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

      • KCI등재

        영유아 양육미혼모의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다중매개효과

        박화옥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2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양육하는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설 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14명의 양육미혼모 설문조사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경로분석을 수행한 결과, 양육미혼모가 인식하는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는 양육효능감의 향상을 통해 자립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갖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양육효능감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양육미혼모의 사회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관계를 보였으나 양육스트레스의 감소 효과는 자립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를 키우는 양육미혼모의 자립의지는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사회적 지지를 통하여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유아기 자녀와 양육미혼모 가족의 양육 기능과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설미혼모의 양육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안재진,김지혜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This study examines 1) the differences between unmarried mothers who chose adoption and those who chose child-rearing and 2)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on the child-rearing decision of unmarried mothers. Total of 132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collected from 6 institutions for unmarried mothers in Ko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age, education level, family structure, cohabitation with other family members, reasons for the child birth, and the reaction of baby's father. Second, the support from family members did not affect the child-rearing decision of unmarried mothers, while the conflict with family members affected chid-rearing decision in a negative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from and conflict with the father of the baby both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ild-rearing decision of unmarried mothers. Interestingly, the effect of conflict with the baby's father was opposite to that of conflict with the family members. ◈본 연구는 양육을 원하는 미혼모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양육을 선택하는 미혼모들의 특성과 이들의 양육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6개 미혼모 시설에 입소해있는 미혼모 13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혼모들 가운데 양육선택 집단과 입양선택 집단은 연령, 교육수준, 가족동거여부, 가족구조, 출산결정요인, 임신에 대한 미혼부의 반응 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미혼모의 양육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미혼모의 연령, 직업유무, 가족의 동거여부, 임신희망여부, 미혼부의 지지와 갈등, 가족과의 갈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관계의 이중적인 특성인 지지와 갈등을 모두 살펴보는 것이 미혼모의 양육결정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들 관계망에 대한 개입을 통해 미혼모의 양육결정 및 양육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혼모의 자녀양육 의지와 현황

        이미정(Mi-Jeong Lee)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11 이화젠더법학 Vol.2 No.2

        최근 아이를 양육하려는 미혼모가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관심이 우리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다.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과거에 비해 약화되었고 정부의 지원서비스도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미혼모 대다수는 사회적 편견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있다. 좋은 직장에서 일하던 여성도 미혼모가 되면서 빈곤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아이를 키우는 미혼모의 경제적 상황을 검토하였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시설 미혼모에 근거한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양육 미혼모 대상 자료 수집을 위해서 초점집단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17명의 미혼모가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시설에서 아기를 낳지 않은 미혼모의 경우 소득수준이 시설에서 아기를 낳은 미혼모보다 높았다. 36개월 이상의 자녀를 키우는 미혼모들은 소득과 지출수준에 있어서 여타 미혼모 집단보다 높았다. 36개월 미만 미혼모들은 부모나 친지와 사는 경향이 더 높았는데, 이것을 통해서 현물지원을 받는 것 같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36개월 미만의 자녀를 키우는 미혼모 가족에게 적절한 복지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노인이나 장애인과 달리 미혼모 가족은 어린자녀를 양육하는 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기초생계급여 등 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적절한 복지 서비스는 미혼모 가족이 인간다운 삶을 살아나가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Alo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unwed mothers raising their childre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unwed mother families in Korea. Despite weakened social prejudice against unwed mothers and improved government support, the majority of them are still suffering from economic difficulties and social prejudice. Women who had been employed at a solid workplace often fall into poverty after becoming an unwed mother. This paper tries to review the economic situations of unwed mothers raising their children living in community.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based on unwed mothers residing in fac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rvey are employed to collect data. 117 mothers responded to the survey. Those unwed mothers without maternal facility experience tend to have higher income compared to those once resided in facility. Those mothers with children aged 36 months old and over have higher level of income and expenditure than those with less than 36 months. The proportion of the mothers with children less than 36 months living in parents or friend residence is higher than the others. Through these living arrangements, they seem to have in-kind support from their parents or friends. Adequate welfare support should be given to specially those mothers with children less than 36 months old. Unlike the old and the disabled, unwed mothers tend to need welfare services for a limited time period. Adequate welfare services would help unw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to lead a decent life.

      • KCI등재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과정에서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지영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양육미혼모의 출산과 양육 경험이 어떠하며, 이러한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이용하여 질적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현시대에 맞는 양육미혼모를 위한 목회적 돌봄이 어떠한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 모집 기준에 맞추어 18세 자녀를 둔 40대 양육미혼모 영주를 선정하고,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삼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서 분석하였다. 양육미혼모인 연구참여자의 출산과 양육 경험의 논의는 첫째, 상호인정으로서의 출산과 양육 경험, 둘째, 부정으로 인한 트라우마 경험, 셋째, 상호인정의 공간 안에서의 성장과 회복의 경험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양육미혼모를 위한 목회상담의 실천적 시사점은 기독 상담가는 양육미혼모의 사회적 관계에서의 트라우마 경험을 이해하고 몸 중심 상향식 상담 접근법을 활용해야 하며, 삼위일체 하나님의 상호주관적 상호인정을 통한 회복을 추구해야 함을 제시하며 연구를 마친다. This study attempted a qualitative study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 unwed mother who experienced childbirth and child-rearing. Though this research, I suggest pastoral care for unwed mothers should be like in this era.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xperiences of an unwed mother in her 40s with an 18-year-old child using the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and attempted to understand various essential experiences in a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childbirth and parenting as a unwed mother are, first, the experience of childbirth and raising as a mutual recognition, second, the experience of trauma due to 3 denials, and third, the experience of growth and recovery within the space of mutual recognition.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for pastoral counseling, which is God's care, for unwed mothers who have experienced such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