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관한 연구

        박항섭,김용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안도 다다오는 초기 주거건축에서부터 그의 건축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한 주택작품으로 건축가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안도는 건축의 시작부터 일본의 전통성과 합리적 모더니즘을 동시에 내포하는 건축을 시도하였으며, 안도 건축의 특징으로는 노출콘크리트, 기하학 구성, 자연의 도입 등을 언급한다. 안도의 주택에는 보편적으로 모더니즘, 노출 콘크리트, 간결한 소재사용과 단순 기하학 구성, 중정과 자연의 도입, 비움과 풍요로움, 비연속적인 동선, 지역성과 인간의 삶, 일본 전통성의 접목, 낭비함이 없는 치밀한 디자인 등이 반영된 안도만의 건축 언어를 내재시키고 있다. 안도의 주거건축에는 건축적인 사고가 투영되어 있으며, 연출적인 공간구성과 동선을 관계시킨다. 본 연구는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역할을 밝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의 연구 및 설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을 조사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과 상호간의 관련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안도의 주거를 선별하여 문헌적인 고찰과 다양한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특이성을 제시하려 한다. 연구대상이 되는 주거는 안도의 대표되는 주거작품을 단독주택으로 한정하여 연대별과 공간구성의 특이성으로 평가된 주택을 선별하였으며, 그 대상의 주택으로는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Sumiyoshi-Azuma House, 1975-1976), 기도사키 주택(Kidosaki House, 1982-1985), 나카야마 주택(Nakayama House, 1983-1985), 고시노 주택(Koshino House, 1983-1984), 이씨 주택(Lee House, 1991-1992), 히라노 주택(Hirano House, 1995-1996)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의 진행은 첫째, 안도의 주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하고 둘째, 안도의 전반적인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조사와 특징을 제시하며 셋째, 선별된 각 주거별에 따른 사례를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며, 끝으로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되어진 내용들을 정리하여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에 대한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앞에서 언급한 6개의 주택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고, 사례분석에서 추출한 내용들을 공간구성과 동선체계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에워쌈과 내부 중심적 공간, 형태성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하였으며, 동선체계는 외벽과 출입동선,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등으로 재분류하여 연구・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주택을 공간구성의 특징, 동선의 특징, 주거의 형태성 등으로 구분하여 표로서 종합 정리하여 서술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안도 주거건축의 공간구성과 동선의 특징으로 추출한 결론은 첫째, 에워쌈과 개방적 내부공간 연출이고 둘째, 내부 중심적 공간구성이며 셋째, 빛과 공간구성이며 넷째, 연출공간과 수직동선 삽입이며 다섯째, 외벽과 출입동선의 유도이며 여섯째, 주거건축에 가구의 적극적 도입 등이다. 본 연구는 안도 다다오의 주거공간에 건축적 신념과 공간의 연출과 의도, 자연 등이 어떠한 방법으로 접목되어 있는가를 밝히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두며 이러한 연구가 주거건축 연구 및 설계에 실무적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ndo Tadao became famous by build things based on architectural concepts he learned from early housing construction. From the beginning, Ando attempted to create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incorporated Japanese traditions and rational modernism, as well as features of relief architecture, including exposed concrete, geometry and the introduction of nature. Ando’s housing embodies his architectural language of modernism, exposed concrete, simple ingredients, and simple geometry, the introduction of nature, the opacity of poverty, the richness of human nature, the ga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and the refinement of Japanese heritage. The work of Ando has an architectural mindset that directly relates to spatial composition and transfer. The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housing architecture, and hopes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ield. (Method) Based on research into and investiga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composition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propose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housing based on research into various materials and research. Houses were screened for housing projects that were designated as single residences, based on detached dwelling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housing and spatial composition, and the homes of the residents of SumiyoshI-Zuuma House, 1975 and 1985 (Kidosaki House, 1982-1985), the Archaeological Site of Nakayama (Republic of Korea), and the Gosino were selected.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amine the dwelling, and to presen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overall residence of Ando, to derive the overall outcome of the housing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overall housing of the screened out housing according to the screening and analysis of each derived dwelling. (Results) In order to extra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analyzed, and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case analysis were analyzed separatel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irculation System. The spatial organization was reclassified as bounded by surrounding areas, and was reclassified as the outer area, and the Circulation System was reclassified to the outer walls, the entrance lines, the direction of circulation and the vertical circulation.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se contents, the classification of houses was organiz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ssel, the morphology of the dwelling, etc. (Conclusions) First,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housing was identified. Seco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interior was identified. Third, the vertical circulation was identified. Fourth, the entrance to the interior of the hous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urniture was done. The study focuses on how to incorporate architectural beliefs and intentions into the residential space of Ando Tadao's residential space, and the ideas and intentions.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be practical for the study and for designing residential buildings.

      • KCI등재

        나오시마의 특성을 고려한 안도 다다오의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김민정 ( Minjung Kim ),이종협 ( Dongjyeob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주목받지 못했던 나오시마의 자연환경은 장소성을 살려 공간을 구성하는 안도 다다오에 의해 드러나게 된다. 안도는 나오시마의 주요 건축가로, 박물관의 설계에 있어 지역적 모더니즘에 근거한 그의 건축철학에 철저하게 기초하면서도 박물관 건축에서 상식적인 공간 구성과는 다른 특이점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자신의 전시공간을 통해 훼손되었던 장소를 다시 돌아보고, 풍경을 건축물에서 배제하기보다 오히려 강조하면서 예술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공간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오시마를 현재와 같이 재생시키는 데에는 안도 다다오의 사상이 자연스레 녹아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총체적인 상황에 의해 공간을 구성하며 자연과 건축물의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성에 따라 나오시마에 위치한 그의 전시공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우선 나오시마에 위치한 안도 다다오의 미술관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사례들을 통해 자연적 특성과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성격의 상호연관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나오시마 프로젝트에 대한 각종 자료를 통해 나오시마 프로젝트의 배경과 그 특징들에 대해 파악하고, 그 곳에 위치한 안도 다다오의 건축물들에 대해 자료의 조사, 부분적인 답사 등을 바탕으로 하여 이 둘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각 사례를 전시공간의 외부와 내부, 그리고 작품과의 관계에 따른 공간 구성에 대해 구분하여 분석하기 위해 건축물, 공간, 작품과의 관계로 항목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건축물은 지하건축, 좁은 진입, 풍경으로 분류되었고, 공간은 작품에 의한 공간, 공간 내 자연의 유입에 따라 항목을 나누어 서술할 수 있다. 또한 작품에 있어 장소특정적 미술과 공간, 예술, 관객의 일체화로 그 항목을 구분하였다. 또한 건축물, 공간, 작품에 따른 분석 내용을 표로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결론) 나오시마에 놓인 안도 다다오의 전시공간들은 지역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공간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물로 나타난다. 또한 각 전시공간이 가진 작품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로, 사례의 건축물들은 작품과 관객의 만남을 주선하고 더 나아가 공간과 예술, 관객과의 일체화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자연과 건축물의 조화를 중시하며 장소성을 강조하는 안도의 설계방식은 나오시마의 풍경을 보존하고 지역을 재생시키는 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natural environment of Naoshima, which had not been noticed, is revealed by Ando Tadao, who uses space to make space. Ando is the main architect of Naoshima, and his work is based on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based on local modernism in design of the museum. However, it also shows distinctive f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common sense spatial composition in museum construction. He looked back at the place that was damaged, through his exhibition space, and created a space where art and nature blend together, rather than emphasizing scenery from buildings. From this point of view, I think that the idea of Ando will naturally dissolve in reviving Naoshima as it is now. Therefore, in this paper, we want to study his exhibition space in Naoshima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Ando, who is trying to achieve harmony between nature and architecture, which constitutes space by overall situa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museum of Ando located in Naoshima was selected as an example. Through these selected examples, we present the interrelation of natural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Ando’s work. To do this, we first grasp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oshima project through various material about the Naoshima project, as well as the research data and the partial exploration of the buildings of Ando. (Results) In order to classify each case into the spa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works, the items were divided into the relation with the structure, space, and work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classified as underground architecture, narrow entrance, and landscape. Space was divided into items according to the space of works and the inflow of nature into space. In addition, the works were divided into space-specific art, space, art, and audience. In addition, the conten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architecture, space, and works, are listed in the table. (Conclusions) The exhibition spaces of Ando Tadao, located in Naoshima, appear as buildings that harmonize with nature, when the space situation is considered on the basis of loc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of each exhibition space, the architectural examples of the cases arrange the meeting between the works and the audience, and further integrate with the space, the art, and the audienc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esign method of Ando that emphasizes the harmony of nature and architecture, and emphasizes the property of place has an important effect on preserving the scenery of Naoshima and regenerating the area.

      • KCI등재후보

        안도 다다오 건축의 가벽 표현 특성 연구 -1985년대 이후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박시원 ( Siwon Park ),윤성호 ( Sungho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의 가벽이라는 개념은 과거의 보호를 위한 그 이상의 역할과 의미로 확대되었다. 과거 벽이라는 단 순한 보호로서의 기능이 아닌, 보다 차별화 되고 진보된 미적 건축 양식으로 그 역할을 한다. 건축의 구조물로 역할 하는 벽이 아닌 기하학적 표현 방법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는‘가벽’이라는 단어로 정의하고 현대적 의미에서 가벽의 건축적 특성이 잘 표현된 안도 다다오 건축 작품을 통해 형태적, 기능적 표현특성을 연구하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가벽에 대한 안도의 건축 철학과 가벽의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 1985년대 이후 나타난 안도의 건축 작품에서 나타나는 가벽의 표현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사례연구를 통해 가벽의 표현 특성을 형태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안도의 가벽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표현특성은 기하학적 형태에 가벽이라는 건축요소를 다양한 배치, 조형 방식 이용하여 건축 공간 성격에 맞는 높낮이와 물성을 이용한 가벽 형태를 취한다. 기능적 표현특성은 시선의 분리, 새로운 성격의 공간을 형성, 유도 역할을 하며, 일정 부분의 가벽을 길게 잘라내어 그 틈을 이용한 외부공간을 유입하는 등으로 기능한다. (결론) 그 결론으로 안도는 섬세한 일본 고유의 미의식과 사상에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가벽 표현은 간결하고 순수한 형태, 재료로 주변 자연환경과 지역주민, 건축물 그리고 도시와 조화를 이루며, 이들과의 관계를 통해 안도만의 건축 철학에 입각한 해석, 방문자에게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 공간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본질을 이해, 전달하고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번 연구가 앞으로 안도 다다오의 건축과 다양한 형태, 기능의 가벽에 관한 표현 특성연구에 있어 도움이 되길 바라며, 건축 전반적인 분위기를 좌우할 수 있는 가벽이라는 요소의 표현특성 연구를 통해 지속적 기술 발전으로 변화될 건축 공간 연출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배경으로 한 새로운 시도가 학문과 실무 분야의 체계적인 접근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The modern concept of the freestanding wall has been expanded from the role of protection it had in the past. The freestanding wall now plays a role as a differentiated and advanced aesthetic element of architecture. This study defines the freestanding wall as a part of the geometrical expressional method, not just as an architectural structur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m and function through the architectural works of Tadao Ando, in which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reestanding wall were expressed properly in the contemporary meaning. (Method) In this study, a theoretical review was carried out by examining architectural philosophies of Ando, advanced research on the freestanding wall, and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reestanding wall in architectural works of Ando after 1985.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reestanding wall were classified into form and function. (Results) Characteristics of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are displayed in freestanding walls in buildings; the geometric variety of construction elements used in freestanding walls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paces, including shapes, height, and properties.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expression, gaze separated, a space for the new personality, and the role of the induction, cut long freestanding wall certain parts, functions, such as by flowing the external space by using the gap.(Conclusion) Ando was influenced by delicate and unique Japanese aesthetics and thought. His freestanding wall representation uses concise and pure forms and materials to link the natural environment to local residents, buildings, and urban harmony. The present study examined Ando’s various architectural forms in the hope that they will be useful in the future study of freestanding walls. The freestanding wall can affect the atmosphere of an entire architectural structur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its elements are studied in the hope that the backgrou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al space produc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ll change the progress of ongoing technology and will bea useful systematic approach in the field of academics and practice.

      • 여수 안도패총 발굴조사

        윤온식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9 동원학술논문집 Vol.10 No.-

        본 논고는 2007년 1월 2일에서 4월 1일까지 실시된 안도패총 발굴조사의 내용을 담은 것이다. 안도는 행정구역상 여수시 남면 안도리에 속하며, 안도패총은 1992년 국립광주박물관이 실시한 남해도서 지표조사로 처음 알려졌다. 안도패총은 전라남도에서 발굴된 신석기시대의 네 번째 패총유적으로 다양한 유구와 유물을 다량으로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남해안 지역 전체로 보았을 때에도 안도패총의 매장 방식이나 대외교류 관련 유물들은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이러한 자료는 남해안 지역과 일본 규슈 지역의 신석기시대 매장 풍습과 문화교류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Ando Shell Mound was first known in a site survey for cultural properties conducted by the Gwangju National Museum in 1992. Ando shell mound is formed in the west islet, which is the western part of the Ando-ri village. The date of the relics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eriods: the period of shellfish layer formation and the post-formation period. Given the applique decorated pottery excavated from the shellfish sediment layer as an indicator, the period of the shellfish sediment layer formation corresponds to the early Neolithic period.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shellfish sediment layer formation is the middle and late Neolithic period. Ando shell mounds are considered to serve as an important springboard to a broader understanding of burial customs and cultural exchanges during the Neolithic period in the south coast and Kyushu region, Japan.

      • 일본전통 스키야(數寄屋)의 형성과정과 현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안도 타다오 작품을 중심으로-

        ( Il Young Jang ),( Jin Seon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안도 타다오의 작품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스키야의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그 의의를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전통 미의식인 스키야 미학이 안도 타다오 작품에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문헌사료와 사례작품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상의 공간은 전통적 미의식 스키야의 특성들인 빛, 재료, 기하학적 구성을 통하여 형태의 구성을 은유적으로 변화시키고 시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안도 타다오의 작품은 형태나 양식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스키야적 특성을 통하여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 등의 관계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것을 해석함으로서 작품의 본질을 찾고자 하였다. 즉, 현대사회와 문화에 대한 비판과 일본의 전통적 개념에 대한 해석이다. 이것은 단순히 전통적 이미지나 형태만을 작품에 반영한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겨있는 정신과 감성을 담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안도 타다오의 작품 속에서 지속적으로 자연과의 일체성을 중시한 미의식을 도입하고자 한 것은 자연과 친숙하게 연결되어 열려 있는 일본 전통 공간의 특성을 현대 사회의 상실된 공간 속에 회복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인간과 자연이 서로 만날 수 있는 장소는 건물의 내부에서 만들어진다고 보았다. 안도에게 빛과 바람은 그것들이 외부 세계와 단절된 형태, 즉 작품의 내부로 도입될 때에 비로소 의미를 갖게 된다. 그의 작품에 있어서 스키야 미학은 인간과 환경 상호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며, 이러한 미학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형태가 아니라 정신을 채용하고, 새로운 전체성의 이론을 창조하여 작품이 그 환경에 순응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단순성의 강조에 있어서는 일본의 전통적인 스키야의 미학을 계승하고 다시 형태와 공간의 구성에 있어 모든 부수적인 사물들의 제외, 자연재료에 대한 관찰, 단순한 형태구성 그리고 비어 있는 공간의 구축 등으로 표현되어진다. 특히, 안도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중정의 비어 있음이나 마치 껍질을 벗겨버린 듯한 노출의 벽 표현은 이러한 정신을 잘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characteristics in Skiya(數寄屋), which are shown in his work, and further to understand its significance, through researching into Ando Tadao`s work.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documentarily historical materials and a case work on how Skiya aesthetics, which is Japan`s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was changed in Ando Tadao`s work. Summarizing the findings, they are as follows. First, it is what the space of mental image is expressed poetically by metaphorically changing composition of a form through light, material, and geometrical composition,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Skiya that is traditionally aesthetic consciousness. In this way, as for Ando Tadao`s work, the aim was to pursue the essence of the work by closely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between a human being and nature and by analyzing it, through Skiya-based characteristics, not simpleimitation on a form or a mode. In other words, it is the analysis on criticism for modern society and culture and on Japan`s traditional concept. This is not what simply reflected only the traditional image or form, but what aims to contain spirit and sensitivity, which are included inside it. Second, what aimed to adopt aesthetic consciousness, which continuously emphasized combination with nature in Ando Tadao`s work,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intention of re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Japan`s traditional space, which is opened familiarly to the nature, in the lost space of modern society. He saw that a place where a human being and nature can meet each other is made inside a building. As for Ando, the light and wind come to finally have significance when they are adopted to the discontinued form from the external world, namely, to the inside of a work. In his work, Skiya aesthetics offers an important clue in grasping correlation between a human being and environment. To revive this aesthetics, it will be necessary to allow a work to be in sympathy with the environment, by employing spirit, not a physical form, and by creating a theory in new allness. Third, the emphasis of simplicity is expressed with succeeding to aesthetics of Japan`s traditional Skiya. The composition of a form and space is expressed with excluding all the auxiliary things, observing on natural materials, forming simple form, and implementing empty space. Especially, the expression of emptiness in an inner court or of the exposed wall as if having peeled is well showing this spirit in Ando`s work.

      • KCI등재

        안도 다다오 미술관 건축에서 나타난 장소성에 관한 연구

        윤의향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1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architecture and place derived from the space of architecture by Tadao Ando and consequently innovated architectural place elements in the Naoshima Project. The researcher plans to focus on the specific analysis of the place properties of Tadao Ando's architecture, which attracted attention when the local economy, which had been stagnant, emerged as a high-valued economic site called the Island of Culture and Arts during the Naoshima Project. Tadao Ando's architecture developed specificity of unique place cultural properties as he showed his respect on the local life style such as the nature, traditions, culture, history, institutions, customs, etcetera. of Naoshima region. As a detailed research method,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and discuss the placeness appeared in the architecture of Tadao Ando with Benesse House Museum and Chichu Art Museum of Naoshima as samples, while focusing on the placeness that appear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e of Tadao Ando. Above all, this study emphasizes the achievement of the architecture referring to the placeness such as the island’s natural environment that is the geographical properties of Naoshima and the uniqueness of the local culture, which developed the island entirely into an open cultural art spa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es that the architecture designed as a place situation communicating with nature, human and society can be an effe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an extended horizon. 본 연구는 나오시마 프로젝트 중 안도 다다오 건축공간에서 파생된 건축과 장소 간의 상호 영향과 결과적으로 혁신된 건축의 장소적 요소들을 살펴보는 것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침체 되었던 지역 경제가 문화예술의 섬이란 고부가 가치의 경제 사이트로 급부상시킨 나오시마(直島)프로젝트에서 새삼 주목을 끈 안도 다다오 건축의 장소적 본질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논의의 중심을 맞추고자 한다. 안도 다다오의 건축은 미술관 건축물에서 그 지역의 자연과 전통 문화‧역사‧제도‧관습 등의 삶의 방식들을 존중함으로서 고유한 장소적 문화 속성의 특정성을 형성하였다. 세부 연구 방법으로는 안도다다오 건축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장소성에 주목하며, 나오시마의 베네세 하우스 미술관과 지중(地中)미술관을 표본 대상으로 안도 다다오의 건축에 나타난 장소성을 중심으로 해석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나오시마의 지형적 특성인 섬의 자연환경과 지역 문화의 고유성 등의 장소성을 참조한 건축이 거둔 성과로 섬 전체를 열린 문화예술 공간으로 실현 시켰다는 점이다. 아울러 자연과 인간, 사회와 소통하는 장소적 상황으로 설계된 건축이 확장된 지평 위에서 지속 발전적 효과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해 보이는 연구이다.

      • KCI등재

        안도 요시시게(安藤義茂)와 부산 근대 화단

        김정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to redefine his times in Busan in various viewpoints by focusing on Yoshisige ANDO who was a painter for the western drawing and called as a pioneer in the modern arts in Busan. On the other hand, it is purposed to reveal how his experience in Busan made influence on the progression of his painting. It was 1927 when he reached to Busan after graduating from the Tokyo Fine Arts School and working as a drawing teacher for a long time. Since then, he stayed about 8 years and continued his vibrant activities in diversity such as holding the arts exhibition in Busan, organizing the arts association and operating the training school. Consequently, it is hard to deny that his absolute influencing power in Busan hindered the diversification on the world of arts, and the official academic traditions oriented to Tokyo Fine Arts School made influence on the Busan modern artist circle. But it will be necessary to newly evaluate that h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local world of the arts and distribution of the arts against the central world of the arts. Actually, the world of arts in Busan had transformed rapidly since the emergence of Ando. Thousands of spectators visited the exhibition hall to appreciate the art works of the era. The emergence of the first generation painters for western drawing in Busan was backgrounded with the growth of the world of contemporary arts in Busan. On the other hand, Busan was a place for him to be granted with the possibility of new creation as a 'painter' who lived his life as a teacher while working on drawing teacher since his graduation from Tokyo Fine Arts School. Especially, Busan was a motive of creation which opened his new potentiality as a painter beyond the simple colonial area to Ando who had drawn colonial Korea consistently since his arrival as he was so attracted to the custom and landscape of colonial Korea. In this viewpoint, his career during the era in Busan can be said to show his living as a Japanese painter resided at Busan as marginal man among the inland, colonial Korea, central and local region. 본 연구는 부산 근대 미술의 아버지로 불렸던 서양화가 안도 요시시게(安藤義茂, 1888~1967)에 주목하여 그의 부산 시기를 입체적으로 복원하는 한편, 부산의 경험이 안도 개인의 화업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동경미술학교를 졸업하고 오랜 기간 도화교사로 근무하던 그가 부산으로 건너온 것은 1927년으로, 이후 약 8년간 체류하며 개인적인 작품 활동뿐 아니라 부산미술전람회 개최, 미술단체 조직, 강습소 운영 등 다방면에 걸쳐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결과적으로 전문적인 화가가 드물었던 부산에서 이러한 그의 절대적인 영향력이 화단의 다변화를 저해하고 동경미술학교 중심의 관학풍이 지역 화단에까지 영향을 미치는데 일조한 점은 부정하기 힘드나, 중앙 화단에 대응하는 지역 화단으로의 성장과 미술 보급에 기여한 점은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실제로 안도의 출현 이후 부산 화단은 급속히 변모했다. 수천 명의 관중이 당대 미술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전시장을 찾았으며, 부산 1세대 서양화가들의 등장은 이러한 부산 근대 화단의 성장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한편, 동경미술학교 졸업 직후부터 도화교사로 근무하며 교육자로서 삶을 살았던 안도에게 부산은 ‘화가’로서 새로운 창조의 가능성을 부여해준 장소이기도 했다. 특히 부산의 풍속과 풍물에 매료되어 귀국 이후에도 지속해서 작품 제작을 이어간 안도에게 부산은 단순한 식민지를 넘어 화가로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창작의 연원이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그의 부산 시기 이력은 내지와 조선, 중앙과 지방의 경계인으로 존재했던 在釜 일본인 화가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안도 다다오 건축에 나타난 물과 빛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오현정 ( Hyun Jung Oh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3

        인간이 더불어 살아가는 자연 환경 중에서도 물과 빛은 기존의 일률 단편적이며 무미건조한 물질적 재료에서 벗어나 건축 공간에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감성적 공간을 연출 할 수 있는 자연요소이다. 근 현대적 환경에서의 건축가 중에서도 안도 다다오는 누구보다도 공간을 창조하는데 있어서 자연 소재를 통한 자신의 철학적 사고를 깊이 드러낼 수 있으며 자연환경을 겸허히 받아들이며 자연요소가 가지고 있는 물과 빛의 물질적이며 정신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을 잘 나타내고 있다. 안도 다다오의 건축 작품은 기본적으로 공간적 개념과 시간적 개념의 연구와 형태적 차원에서의 시각적, 공감적 이론을 통하여 물과 빛의 조형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 물과 빛의 무형, 무색의 자연요소를 건축적 공간으로 창조한 안도 다다오는 그만의 공간 해석을 물과 빛의 물질적 표현분석과 정신적 표현분석 그리고 시간적 표현분석을 통하여 보다 깊이 있는 조형적 특성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도 다다오 건축에서 자연적 공간 구성요소에 대한 세부적 요소인 물과 빛의 표현 분석을 통하여 자연이 가지고 있는 체험적이며 시지각적 사색의 이해와 더불어 치유작용과 관련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작품의 연구 문헌과 실례를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 한다. 그럼으로 인해 안도 다다오만의 물과 빛을 통한 현대건축의 공간구성에 대한 표현특성과 가능성을 함께 알아본다. Among environmental components which humans live with, water and light are not uniform and monotonous physical materials but natural elements that add various and abundant sensitivity to architectural space. Of all modern environmental architects, Ando Tadao can reveal the best philosophy of all his own in making space, take natural environments in a humble way, and make a good physical, spiritual and symbolic expressions of water and light in natural elements. The architectural work of Ando Tadao basically represents well the modeling of water and light through the study of concept of space and time and through the theory of vision synesthesia and sympathy in the morphological dimension. Ando Tadao who has created architectural space with shapeless, colorless water and light in nature represents the profound characteristic modeling by his own interpretation of the space and analysis of physical, spiritual, time expression of water and light. In this study, I suggest the experienceable and visual-cognitive speculation in the architectural work of Ando Tadao by analysis of expression of water and light as detailed elements in natural organization of space, and I also arrange systematicall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of human and nature related to cognitive healing procession by examples and documents in his works. Through light and water in architectural works of Ando Tadao, I study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 organization and its possibilities in modern architecture.

      • KCI등재

        해외건축가 작품에서 표현된 제주 지역성 연구

        조윤설(Jo, Yoon Seol),오창윤(Oh, Chang Yo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다양한 장소들의 탄생과 이동성의 증가로 장소들은 밀접한 관계들을 맺고 있다. 여러 도시의 호텔, 공항, 쇼핑몰 등 생활 어디에나 존재하는 장소가 많아지며, 이에 세계는 급속히 동질화되어 가고 있다. 이는 장소성의 결핍으로 이어지고 있다. 장소성의 결핍은 환경과의 관계를 맺고 있는 건축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장소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소성의 결핍 해결방안을 지역성에서 찾고자 한다. 장소성과 지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장소성과 지역성에 대한 개념과 장소성의 구성요소 3가지(물리적, 행태적, 의미적 요소)로 나누고 있으며, 물리적 요소에서 포함 된 지역성을 더 세분화하여 제주도 지역성을 자연환경, 인문사회 환경, 건축환경으로 나누어, 이를 바탕으로 제주도에 지어진 여러 건축물 중 해외 건축가 작품 중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준 작품에서 나타난 지역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 준 작가의 제주도에 있는 건축물 총 6개의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풍토에 적합한 조형물은 억지를 부려서는 안 된다.’라는 말은 이타미 준작가의 말이지만 작가 두 명의 건축물들의 구성요소 중 대지환경에서 제주도의 경관을 거스르지 않고 대지로 스며들고 있다. 이 6개의 건축은 제주도의 지역성을 충분히 인지함과 동시에 건축가 개인이 제주도에서 느낀 장소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품들이다. 많은 관광객들과 전문가들은 제주도와 어울리는 건축물을 생각 할 때, 대표적으로 안도 다다오와 이타미 준 작가의 건축물을 떠올리며, 방문한다. 작가는 지역성과 토착성을 바탕으로 건축물로 표현하고 있다. Places now have closer relations thanks to the births of various places and the increase of mobility. There are a variety of places in cities, such as hotels, airports, shopping malls, etc., which ubiquitously exist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e world is rapidly becoming homogeneous. However, this rather causes a lack of place features. A lack of place features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architecture field, as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such reality, the importance of researches on place features has grown. This research also intends to identify solutions for the deficiency of place features from localities.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lace features and localities, the concepts of place features and localit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physical, behavioral, and semantic elements). In addition, the physical element of the localities of Jeju Island are further sub-divided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humanities & social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environment. Based on thos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n the architectural works done by Ando Tadado and Itami Jun among the numerous buildings built by foreign architects on Jeju Island.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ver the six buildings built by Ando Tadao and Itami Jun on Jeju Island. As Itami Jun once said that “Sculptures, which are well suited to the natural characteristics, should not persist stubbornly,” those buildings built by those two architects are naturally permeated into the Mother Earth without going against the landscape of Jeju Island. Those six buildings were constructed over the architects’ full recognition of the localities and the place features, as they felt on Jeju Island. Indeed, many tourists and experts come to visit Jeju Island, thinking of the buildings built by Ando Tadao and Itami Jun. Localities and indigenousness are well expressed through those buildings by the archit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