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 연구

        문한나 이화여자대학교여성신학연구소 2014 여성신학논집 Vol.11 No.-

        This work is about the a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1224~1274). Aquinas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overcame the long habitual thinking according to which the aesthetic is in the same line with the good and revealed the unique meaning of the aesthetic.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ological thinking through the aesthetic. Aquinas had looked at the aesthetic in the metaphysical and theological dimension rather than in the sensual dimension. In his theory, the aesthetic is the reflection of a form existing in the spirit of God and appears in the characteristic of a substantial form(forma), the existence principle of an object. It is considered that something that has a form, or something that exists, is beautiful. He dealt with the aesthetic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ruth and the good, which are considered to be transcendentals that all entities have on their own. In so doing, philosophically and theologically, he maintained that the aesthetic is not any specific position of an object, but the value that an object has on its own as a creature of God. Aquinas defines the aesthetic as things that give pleasure to the eye(quae visa placent), or things that satisfy a desire when recognized. The aesthetic tradition in the Middle Ages saw the aesthetic in the same way as the good. But, by distinguishing the aesthetic from the good, Aquinas considers the good to be that the good itself is desired, and the aesthetic to be that recognition is desired. Pleasure goes with the activities originating from natural instinct. Nevertheless, he also referred to the possibility of another type of pleasure only human beings have, which is the pleasure attendant upon the recognition. Aquinas regarded the indifferent pleasure experienced in the recognition itself,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self-preservation, in the same light with the aesthetic pleasure. The aesthetic pleasure is gained by, the acceptance of an object’s form regardless of any actual profit or availability. According to Aquinas, the aesthetic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ruth as the recognition object of the intellect. The aesthetic recognition, or vision(visio), is not the immediate reaction of the sense, but the cognitive reaction in which the intellect intervenes. The aesthetic pleasure is not the sensual pleasure without the intellect, but the pleasure gained through the recognition reaction to accept an object’s form. When human beings try to recognize an object itself as a purpose, rather than follow the object’s availability and purpose, they come to realize the object’s beauty and experience pleasure. Through the beauty of a form, he overcame the long-existing dualism according to which the world is regarded as inferior and materialistic one, established the aesthetic value of the real world and the beauty of existence itself, and regarded the beauty as the value that a creature of God has. His theory of the aesthetic is not the outcome of speculative interest or romantic sensitivity, but the outcome of the sincere theological thinking about the world he faced. The 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 provides significant insight which is essential in establishing the theological aesthetic, despite the changes in the aesthetic thinking appearing in the modern aesthetic. 미에 대한 관심이 과열된 시대다. 여러 해 전 상영했던 영화 <친절한 금자씨>에서 붉게 칠한 눈매를 하고선 여상한 목소리로 “예뻐야 돼. 무조건 예뻐야 돼.”하고 읊조리던 금자 씨의 모습은 미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을 인상적으로 표상해준다. 모두가 예쁜 것, 아름다운 것을 추구하는 것 같지만 실상은 자본의 논리에 복속하는 획일화된 미적 기준만 존재할 뿐이다. 바우만의 지적처럼 아름다움의 초월적 힘, 우리를 이미 존재하는 세상 너머로 이끄는 이상으로서의 힘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1) 공동화(空洞化)된 미적 수사가 넘쳐나는 시대에 기독교 신학은 아름다움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응답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신앙에는 하나님과 창조세계의 아름다움에 대한 근원적인 확신이 내재한다. 이러한 믿음은 하나님이 세상을 지으시고 보기에 좋다고 하셨다는 창세기의 보도를 비롯하여 성서 곳곳에 경탄의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적 감수성이 신학적 사유로충분히 발전하지는 못했는데, 이는 많은 부분 악의 문제에 대한 기독교 신학의 철저한 인식과 관련된다. 인간이 맞닥뜨리는 고통과 세상의 모순 앞에서 진이나 선이 더욱 절실해질 뿐 미에 대해 생각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미는 간과할 수 없는 하나님의 성품이며 창조세계에 내재한 속성으로서 기독교 신학에서 배제될 수 없는 부분이다. 시대에 대한 응답이라는 실천적 관심과 기독교 신학의 통전성 회복이라는 이론적 목적 모두를 위해 미에 대한 신학적 사유가 요청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은 하나의 사상적 자원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4 ~ 1274)는 미를 선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온 오랜 관습적 사유를 극복하며 미의 독자적 의미를 밝힌 최초의 사상가로서 미를 통한 신학적 사유의 중요한 토대를 형성했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방식에 따라 경험적이고 개별적인 존재자에서 존재 자체로 나아가는 구조 속에서 자신의 형이상학 탐구를 전개시킨 것처럼, 미 사유 역시 구체적인 존재자의 아름다움으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미의 근원인 미 자체에 도달하는 방식으로 펼친다. 그의 미 사유는 가시적인 자연사물의 아름다움을 토대로 하고 있으나 유비적 방법에 따라 물체의 아름다움에서 정신적 아름다움으로 확대되며 창조 세계의 아름다움에서 출발하여 초자연적 아름다움으로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퀴나스는 아름다움을 사물의 존재원리이자 인식근거인 실체적 형상(forma,形相)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파악했다. 그는 사물의 아름다움이 형상에 있다고 보았다. 형상이 아름답다는 생각은 아퀴나스 미 사유의 기본적 입장 두 가지와 관련된다. 먼저 아퀴나스의 미 이론을 이해할 때 중요한 것은 그에게 미는 엄연히 실재하는 것이라는 점이다. 근대 이후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미를 주관적 판단의 문제로 생각하는 것에 익숙하다. 그러나 아퀴나스가 생각하는 미는 주관적 반응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재하는 사물 자체가 지닌 속성이었다. 이러한 도식에서 사물은 주체가 사물을 보고 아름답다고 느낄 때야 비로소 미적 실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아름답다고 느끼기 이전에 이미 미적 실체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세계의 미의 실재성은 신적 미의 확실성으로부터 보장받는다. 아퀴나스는 모든 피조세계를 아름답게 하는 미의 궁극적인 원인이 되는 미 자체(ipsa pulchritudo)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고 이것을 하나님에게로 돌렸다. 그는 하나님이 삼라만상의 조화(consonantiae)와 광채(claritas)의 원인으로서 아름답다고 표명한다. 하나님은 아름다움 자체로서 피조세계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모든 아름다움의 근원이고, 사물은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그의 완전한 미를 분유받기 때문에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렇듯 미를 실재하는 사물의 문제로 보는 관점은 아퀴나스 미 이론의 두 번째 특징인 미의 초월성에 대한 사유와 연관된다. 이때 ‘초월’이란 감각적 경험의 차원을 넘어서는 신적인 차원을 의미하는 개념이 아니라 존재자가 존재하는 한 그 자체로 지니는 가치, 모든 사물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보편적 속성을 의미하는 스콜라적 개념이다. 미의 본질에 대한 아퀴나스의 정의는 존재자, 진, 선과 같이 전통적으로 초월적 특성으로 간주되었던 개념들과의 연관 속에서 논의된다. 이 개념들을 보편성이 아닌 초월성이라 말하는 것은 그 가치의 근원이 초월자인 하나님께 있다고 본 것과 관련된다. 모든 존재자는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그의 진, 선, 미를 부여받았고 또한 끊임없이 공급받는다는 점에서 참되고 선하고 아름답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아름다움이란 존재자의 특정 부분에만 해당되거나 어떤 존재자만이 지니고 있는 특성이 아니라, 미 자체인 하나님의 피조물로서 모든 존재자가 그 자체로 지니는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특성이었다. 즉 존재자는 존재하는 한 아름답다.

      • KCI등재

        윈죄와 죽음의 문제 -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를 중심으로 -

        장재호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39 No.-

        “Original sin” has been a controversial doctrine for most of Christian history. Originating in the writings of St. Paul, it was systematized by Augustine and, in the middle ages, consolidated by Thomas Aquinas. Augustine and Aquinas formed their ideas about original sin with Biblical sources serving as foundational texts, and while some of Augustine and Aquinas’ ideas on the subject are similar,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inkers which deserve attention. Here, I compare Augustine and Aquinas’ respective conceptions of original sin by taking up the following themes: (1) whether humans were created to be immortal before Adam’s Fall, (2) whether humans possessed emotions before the Fall, (3) what the results of Adam’s Fall were, (4) what the relationship is between original sin and the human will, and (5) what the relationship is between original sin and sexual desire. In the second major part of this article, I expound how Augustine and Aquinas each conceive original sin as the cause of death, and how,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onceptions of original sin, it is inherited over generations. I will conclude with some reflections on both the limitations and the value of this comparative study. 본 글은 기독교 신학에서 여러 논쟁을 불러온 ‘원죄’에 대해, 기독교의큰 획을 그은 두 사상가의 원죄론을 비교하여 설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펠라기우스주의자들과 논쟁하면서 원죄론을 처음으로 교리화했다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성서와 아우구스티누스의 글 등을 읽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교부라고 할 수 있다. 아퀴나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을 상당수 받아들이면서도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본론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1) 타락 이전의 인간이 불멸하는지, (2) 타락이전의 인간에게 감정이 있는지, (3) 아담의 타락은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 (4) 원죄와 의지의 관계는 어떠한지, (5) 원죄와 정욕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 두 사상가의 주장을 비교하여 살펴볼 것이다. 본론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원죄론의 난제인 (1) 어떻게 죄가 죽음을 야기하는지, (2) 어떻게죄가 유전되는지에 대해 두 사상가가 어떻게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해 볼 것이다. 요약하면, 원의(original justice)의 상태에서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이 죽을 수밖에 없는 상태에 있다고 본 반면, 아퀴나스는 불멸의 상태에 있다고 보았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담의 타락 이전에정욕이 없었다고 보고, 아퀴나스는 있었다고 본다. 타락 이전의 감정에 대해서는 둘 다 사랑 등의 감정은 있었지만, 두려움, 슬픔 등의 감정은 없었다고 본다. 둘 다 아담이 자신의 의지로 타락했다고 보지만, 타락의 결과에 대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육체가 자신에게 불순종하는 방식으로, 아퀴나스는 성향의 무질서로 답했다. 후손이 원죄를 갖게 되는 근거로 둘 다 아담과 후손은 한 몸임을 강조했고, 원죄와 의지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원죄가 사람들의의지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서 일치를 보이나, 원죄가 의지에 직접적으로영향을 준다고 아우구스티누스가 보는 반면, 아퀴나스는 원죄가 하나의 성품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원죄의 유전에 대해서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정욕을 통한 생식작용으로 유전된다고 보는 반면에, 아퀴나스는 육체적 정욕보다는 ‘품성적인 정욕’에 강조를 두고 있다. 이처럼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는 원죄에 대해 서로 비슷하면서도 다르게 설명하다.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비교·분석한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의 사상을 도표를 만들어 체계적으로 정리한 후에,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이유에 대해 필자 나름의 의견을 개진할 것이다. 또한 본 비교 연구가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도 논할 것이다. 현재로서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의원죄론을 직접 비교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1차 자료에 근거한 본 연구가원죄와 죽음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불러일으키기를 소망한다.

      • KCI등재

        우정의 정치학

        유지황(Lew, Jiwhang)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2 No.-

        토마스 아퀴나스와 자끄 데리다의 우정 이해는 제각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 이해에 다른 의미의 뿌리를 둠과 동시에 비판적 입장을 취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상호 공통의 관계에 기초한 형제애와 법의 형이상학적 가치를 전제한 정의의 합법성을 통해 공동체적 삶에 기여할 수 있는 우정의 정치를 주장한다. 그러나 토마스 아퀴나스는 우정을 신과의 합일을 향한 신앙적 덕성 함양 과정으로 해석함으로써 공동체적 삶을 향한 우정의 정치적 효과를 크게 중시하지 않는다. 바른 공동체적 삶을 향한 정의 구현이 정치라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우정은 좋은 정치적 원리로서의 시민적 우정이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우정은 현실 정치보다 내세의 복락을 지향하는 신앙적 덕성 함양 과정이다.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 모두 정의의 잣대로서 법의 정당성을 인정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와 달리 아퀴나스는 정의 구현을 위한 우정의 능력을 제한적으로 보았음을 뜻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우정의 정치성은 법과 정의 실현을 위한 현실의 문제였지만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그것은 내세에서 완성되는 신앙의 문제였다. 이와 관련해 자끄 데리다는 동질적 형제애에 기초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정 이해와 그것을 신앙적으로 재해석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우정 이해가 갖고 있는 법의 폭력성을 비판하면서 인간 삶을 구체적으로 배려하는 다원적 우정의 정치를 주장한다. 동시에 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역설한 우정의 정치적 가능성과 토마스 아퀴나스가 주장한 우정에 깃든 사랑의 힘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그는 상대적 권력 조직에 의해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법의 폭력성을 해체하고 저마다 특수한 인간 삶의 여러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피고 유연하게 해결할 수 있는 정의로운 우정의 정치를 제기한다. 이것은 늘 친구로 남을 수 있는 상호 동등성과 불변의 배타적 우정이 아닌 언제라도 적이 될 수 있는 다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서 부단히 탄력적인 접촉 대화와 사랑의 연대를 추구하는 우정의 정치로서 고대 그리스와 기독교 전통의 우정 이해를 넘어선 시민 우정의 다원적 정치성을 보여준다. Thomas Aquinas and Jacque Derrida have respectively posed their own understanding of friendship as a way of both acknowledging and criticizing Aristotle"s view on friendship. Aristotle argued the political possibility of friendship for the good communal life through fraternity based on the mutual common relationship and the presupposed legitimacy of justice founded on the metaphysical value of law. But Thomas Aquinas has taken little of the political effect of friendship in such a way that he interpreted friendship as a process of virtue formation for the ultimate union with God. Supposed politics to be the realization of justice for the good social life, friendship for Aristotle is a good political principle while friendship for Thomas Aquinas is a limited principle of politics in the real life of this world. Thomas Aquinas thought of, unlike Aristotle, the actual power of friendship for justice as being imperfect, despite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both accepted the legitimacy of law as the actual criterion of justice. The politics of friendship through the realization of law and justice is, for Aristotle, a real matter, yet it for Thomas Aquinas is a theological matter. In this regard, Jacque Derrida criticizes Aristotle"s exclusive idea of fraternal friendship and Thomas Aquinas" concept of friendship as a theological formation of virtues, and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ir cannonical ideas of friendship. However surprisingly, Derrida suggests the politics of friendship significantly in relation not only to Aristotle"s argument about the politics of friendship but also to Thomas Aquinas" emphasis on charity as the crucial element of friendship. He asserts the realization of justice through the politics of friendship that deconstructs the violence of law actualized by finite and relative power realities, and that tries to see and solve the specific particular problems of human social life. His politics of friendship rejects the exclusive form of friendship grafted on homogeneous mutuality, yet tries to contact and talk and thereby forms the solidarity of love in spite of difference on the constantly emerging brink of friend and enemy. This is the politics of friendship by which Derrida both critically overcomes and critically reconstructs the ideas of Aristotle and Thomas Aquinas on friendship.

      • KCI등재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

        유경동(YOO Kyoung-Do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4

        일반적으로 현대 뇌과학의 기억 이론은 하나의 보편적 체계로서 기억체계가 아니라, 다양한 기억체계의 집합으로 본다. 역사적으로 기억을 다양한 기억체계로 분류한 최초의 시도는 어거스틴(Augustine)의 『고백록』에서 찾을 수 있다. 어거스틴의 기억 이론은 최근 신경과학의 자서전적인 삽화적 기억(episodic autobiographical memory)을 잘 보여주며, 이는 최근 기억에 관한 심리학적, 신경과학적, 인지과학적 연구에 이론적으로 상당히 근접해 있다고 평가된다. 한편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특별히 기억이론을 구성하지 않았지만 어거스틴의 기억에 관한 이해를 근거로 『신학대전』에서 기억을 감각적 기억(sensory memory, passions of the first sensitive)과 지적 기억(intellectual memory), 두 종류로 구분한다. 아퀴나스는 정신적 상(image)을 저장하는 것은 기억이 아니라, 심상(imagination)의 기능으로 설정했다.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학계 내에서 신학과 뇌과학의 학제 간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양자 간 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서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정리한다. 기억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적 이해를 이해함으로써, 현대 뇌과학연구 및 이론과의 대화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세 가지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첫째, 뇌과학의 기억 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에 대한 예비 검토의 이론적 틀을 구성한다. 둘째,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통하여 뇌과학적 관점에서 기억의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살펴본다. 셋째,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비교 검토하고, 각 이론이 현대 뇌과학의 기억이론과 어떤 상관관계가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신학적 관점에서 뇌과학과 통섭의 가능성을 전개한다. 필자는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통하여 기억의 영성적 본성에 대한 강조와, 범주화와 연결된 공동체성, 그리고 기억의 주체성을 강조한다. Memory is a faculty in the nervous system of the brain by which we remember the stored information and reconstruct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Modern neuroscience gives us an insight into how we can understand the biological function of cognition and percepti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memory is also very important because it encompasses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faith and eternal life. Memory is not only a function of the brain, but also a spiritual substance that God use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logical view of memory and that of neuroscience,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are invi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memory in the context of theology. Augustine explores the contents of memory and describes it as a repository store that allows us to recollect senses, language, desire, and eventually the truth of God. He concludes in his questions about memory that the faculty of memory is by nature not identified with God but is rather a vehicle leading us to understand eventually the meaning of time and eternity. Thomas Aquinas distinguishes between sensory memory and intellect memory. He emphasizes intellectual memory as the principle of human activities that enables us to understand human experience of memory as subject. After reviewing their examinations on memory,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need for a deeper study in order to deal with such issues as the spiritual nature of memory, the normative categorization of memory, and the restoration of subjectivity based on memory.

      • KCI등재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예정론 비교 연구

        장재호 한국조직신학회 2019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4 No.-

        The notion of “predestination” has been controversial throughout Christian history. A specifically Christian understanding of predestination seems to have emerged from the writings of St. Paul, then systematized by St. Augustine, and later, in both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language, thoroughly consolidated by Thomas Aquinas. Augustine and Aquinas both rooted their reflections on predestination in the Bible, but also expanded upon the ideas given in the Biblical material, making significant, original contributions. Some of their ideas on predestination are similar, but others are not. Here I would like to compare their thoughts on predestination, and the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is a comparison of the ideas of Augustine and Aquinas on predestination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topics: (1) The main agent of predestination (God or humans), (2) the purpose of predestination, (3) whether human free will can intervene in the predestining of events or not, (4) the changeability of predestination, (5) why some people are destined to reprobation, and (6) Christians’ lives after predestinatio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is a brief examination of the problem of ‘justification’ with respect to predestination. Augustine and Aquinas attempted to defend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ithout undermining the belief in the availability of God’s grace for everyone, but their approa- ches do diverge to some extent, in virtue of their different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texts. I will conclude my paper with some brief reflections about the importance of com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the notion of predestination for Christian believers today. 아우구스티누스 이전에는 예정론에 대한 깊은 논의가 별로 없었으며, 사실 이 개념이 정확히 정의되지도 않았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예정론은 앞선 교부들보다 상당히 진보된 것이었고, 그로 인해 예정론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다. 중세에 들어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예정론을 좀 더 발전시켰다. 종교개혁 이후에도 예정론은 상당히 많이 논의되었지만, 예정론의 토대를 마련하고 발전시킨 두 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를 비교 연구하는 글을 별로 없다. 따라서 본 글은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를 비교 분석하여 기독교에서 예정론이 갖는 의미와 난제를 파헤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사상가의 생각을 나열하기보다 예정론을 잘 드러내주는 몇몇 주제들을 선정해 두 사상가의 예정론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글을 진행할것이다. 본론의 첫 부분인 II장에서는 (1) 예정의 주체는 누구이고 (2) 예정하는 목적은 무엇이며, (3) 예정에 인간 의지가 개입할 수 있는지, (4) 예정이 변화 가능한지, (5) 왜 제한적으로 선택하는지, (6) 예정된 성도의 삶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 두 사상가가 각각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를 비교할 것이다. 요약하면,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는여러 성서적·논리적 근거를 이용해 설명하면서, 예정의 주체가 전적으로 하나님임을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다. 예정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에게서는 인간이 거룩하게 되어 하나님을 찬양하게 하기 위해서이고, 아퀴나스에게서는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기 위해서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둘 다 예정의 근거를 인간의 측면이 아닌, 전적으로 하나님의 측면에서 가능한 것임을 말하고 있다. 예정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둘 다 자신의 의지와 무관한 하나님의 예정이 결코변화될 수 없는 것임을 말하며, 둘 다 예정이 “제한적 선택”일 수밖에없음을 말하고 있다. 예정된 성도의 삶에 대해서는, 아우구스티누스는 거룩한 성도의 삶이 하나님의 예정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또한이 예정이 누구로부터 말미암은 것인지 잊지 않기 위해 필요하다고말하다. 하지만 아퀴나스는 성도의 삶이 예정을 변화시키는 않지만, 결과적인 측면에서 예정에 영향을 준다고 말한다. III장에서는 예정의 정당성 문제를 고찰할 것이다. 두 사상가가 어떻게 논란의 대상인 예정론에 대해 나름대로 옹호하고 있는지를, 그리고 자신들의 논의가 한계에 부딪히면 어떻게 해결하려 하는지 등을살펴볼 것이다. 요약하면, 아우구스티누스가 모든 사람이 죄인이라는 관점에서 예정의 정당성을 논하는 반면, 아퀴나스는 우주적인 질서의 조화 속에서 예정의 정당성을 논한다.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이아퀴나스도 예정의 주권이 전적으로 하나님에게 있는 것으로 보는데, 둘 다 버림받기로 예정된 사람들의 질문인 “왜 하필 나인가?”를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의 사상이 어떻게 서로 유사하고 다른지를 고찰해 볼 것이다. 나아가 이들 예정론의공헌과 한계를 살펴보며, 각 시대의 산물인 두 사상가의 예정론이 현시대에는 어떻게 이해되고 받아들여져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것이다.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소유론 ― 사적 소유의 신학ㆍ도덕적 정당화

        김준수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4 No.-

        본 논문은 소유권 이론의 역사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소유론을 고찰한다. 아퀴나스의 소유론은 소유의 문제를 일차적으로 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다루는 전통적 소유론 가운데 하나의 독특한 유형이다. 그리고 사유 재산제를 둘러싼 논쟁사에서 아퀴나스는 근본적으로 사적 소유를 옹호하는 진영에 속한다. 아퀴나스가 물려받는 교부들의 전통, 그가 활동한 13세기의 사회 상황, 탁발 수도회에 입단한 그의 개인적 신념이 반소유적 경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을 자신의 신학적 자연법론에 수용하면서 사유 재산제를 정당화하려고 시도한다. 비록 아퀴나스가 소유의 문제를 여전히 전통적 패러다임 속에서 논의하고 있지만, 그의 소유론은 신학이라는 새로운 토대 위에서 사적 소유의 정당화 논변을 보다 더 정교하고 체계적인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며, 일정 부분 전통적 소유론의 틀을 넘어서서 근대적 소유권의 개념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관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아퀴나스의 소유론을 ① 사적 소유의 허용 가능성, ② 사유 재산제의 자연법적 필연성, ③ 아퀴나스의 자연법론에서 소유권의 지위, ④ 사적 소유권의 범위와 한계라는 4가지 물음에 따라 분석한다. Dieser Aufsatz, der sich als einen Teil der Reihenstudie über die Geschichte der Theorien des Eigentumsrechts versteht, ist eine Untersuchung der Eigentumslehre des Th. von Aquins. Seine Lehre vom Eigentum stellt sich als einen eigenartigen Typus innerhalb der traditionellen Eigentumstheorien dar, die das Problem des Eigentums in erster Linie von sozialethischem Geschichtspunkt aus betrachten. In der Geschichte der Kontroversen um das Privateigentum gehört Th. von Aquin im Grunde zum Lager von dessen Verteidigern. Die Tradition, die er von den Kirchenvätern übernahm, die soziale Lage des 13. Jhs., worin er tätig war, und seine individuelle Haltung als eines Bettelmönchs weisen eine eigentumsfeindliche Tendenz hin. Trotzdem versucht er das Institution des Privateigentums zu legitimieren, indem er die politische Philosophie von Aristoteles in seine theologische Naturrechtslehre rezipiert. Und obwohl er das Problem des Eigentums noch innerhalb des traditionellen Paradigmas diskutiert, bringt seine Eigentumslehre doch ein Legitimationsargument in einer noch subtiler und systematischer Gestalt und auf einer neuen Grundlage der Theologie bei und zeigt in gewissem Maß eine Betrachtungsweise, die über den Rahmen der traditionellen Eigentumslehre hinausgeht und den modernen Begriff des Eigentums hinweist. Um diese These nachzuweisen, analysiert dieser Aufsatz die Lehre vom Eigentum bei Th. von Aquin nach den vier Fragenstellungen, nämlich der Frage nach 1) Erlaubtheit des Privateigentums, 2) naturrechtlicher Notwendigkeit des Privateigentums, 3) Stellenwert des Eigentumsrechts in der thomistischen Naturrechtslehre und schließlich 4) Tragweite und Grenze des Privateigentumsrechts.

      • KCI등재후보

        토마스 아퀴나스의 그리스도 부활론에 대한 개혁파적 평가

        유창형 개혁신학회 2018 개혁논총 Vol.46 No.-

        Aquinas’s views of Christ’s Resurrection are very similar to Reformed views. He quotes and espouses the comments of Augustine, Ambrose, Chrysostom, Gregory, and many biblical passages. He demonstrates thoroughly, in detail, that the resurrection of Christ is true, dedicating the many pages of his Summa Theologica to this issue. Surprisingly, it does not include a single line doubting the truth of Christ’s resurrection. In this regard, he wrote before the Enlightenment, at a time when people broadly believed the Bible. The present age is predisposed to doubt the resurrection due to the influence of current scientific thought. In this situation, it seems significant to investigate Aquinas’ views that disallow any doubt of Christ’s resurrection. Aquinas states that the power of the Son was the cause of Christ’s resurrection. But, better than his biblical reference, is Romans 1:4, “Who through the Spirit of holiness was declared with power to be the Son of God by his resurrection from the dead: Jesus Christ our Lord.” This verse implies that Christ rose by his own power, namely his divine power. Aquinas states accurately that Christ’s resurrection was by the power of the Trinity, in his Compendium Theologiae. However, Aquinas’ statement that Christ passed through her womb without rupturing the hymen of Mary is not biblical, and differs entirely from the Reformed view. Further, Aquinas’ view on the manifestation of Christ’s resurrection is similar to Reformed theology. Finally, the opinion that Christ raises the souls of the righteous and not the evil, created controversy at time. This can be understood when we consider Aquinas’ view that after death Christ went to hades and condemned the evil, while declaring the completion of salvation to the just and bringing them to paradise. Aquinas’ second view on the resurrection of souls is the regeneration of souls by repentance. But, it is not natural to connect such a concept with the resurrection of Christ’s soul, for His soul has never died of sin.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한 아퀴나스의 견해는 정통에 아주 가깝다. 아퀴나스는 어거스틴, 암브로스, 크리소스톰, 그레고리 등을 인용하고 많은 성경 구절들을 인용하고 해석했다. 그는 신학대전에서 이 주제를 길게 다루면서 그리스도의 부활이 사실이라는 것을 잘 논증했다. 아퀴나스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상세하게 서술하는데 그리스도의 부활 사실 자체를 의심하는 진술은 단 한 줄도없다. 그만큼 그의 시대는 아직 계몽주의가 태동하기 이전의 시대이고, 성경을 철저히 믿는 시대였다. 현 시대는 과학의 영향으로 부활을 점점 의심하고믿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상황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에 대해 일체의 의심을 허용하지 않는 아퀴나스의 견해를 살펴보는 것은 나름 의미가 있다고 본다. 분석과 평가를 다시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퀴나스는 성자의 능력도 자신의 부활의 원인이라고 했는데 보다 좋은 성경 구절은 로마서 1장 4절“성결의 영으로는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사 능력으로 하나님의 아들로 선포되셨으니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니라” 이다. 이 구절은 성자 자신의 능력으로 부활하셨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아퀴나스는『신학강요』에서는 그리스도의 부활이 삼위일체의 능력임을 잘진술하였다. 둘째, 부활한 그리스도의 질적 특성에서는 그리스도가 출생 시에마리아의 처녀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냥 통과했다는 아퀴나스의 진술은 성경적이지 않고 개혁파의 입장과 아주 다르다. 셋째, 부활의 현시에 관해서는아퀴나스와 개혁파와 별 다른 차이가 없다. 넷째, 그리스도의 부활의 인과성에서 의인들의 영혼은 그리스도가 부활시키나 악인들의 영혼은 부활시키지않는다고 한 아퀴나스의 진술이 다소 혼란을 야기한다는 것을 지적했다. 이런혼란은 첫째, 아퀴나스가 죽은 후에 그리스도의 영혼이 음부에 가서 악인들에게 심판을 선언하고, 조상림보에 있는 의인들에게 구속의 완성을 선포하고 그들을 해방시켜 낙원으로 이동시켰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비로소 이해될 수 있다. 둘째, 의인들의 영혼의 부활은 회개를 통한 중생을 의미한다. 그러나 둘째 개념을 그리스도의 영혼의 부활과 연관시키는 것은 다소부자연스럽다.

      • KCI등재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치사상(2)

        박은구 숭실사학회 2013 숭실사학 Vol.0 No.31

        『신학대전』가운데 법률론(ST IaIIae. 90-97)은 신의 존재 증명에 관한 담론(ST Ia. 2)과 더불어 아마도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부분일 것이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는 법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1) 법률은 공동체 의 관리를 책임진 자에 의해 공포된 공공 선을 이루기 위한 이성의 명령 이다. (2) 법률이 이성의 명령이니만큼 법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합리 이다. (3) 법률의 기반은 무엇보다도 공동체이다. (4) 법률은 공동체의 공 공 선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합리적 명령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법률의 유형을 신법, 영원법, 자연법, 인정법으로 구 분하고, 영원법을 ‘우주의 통치자인 신의 입장에서 행하는 모든 사물들에 대한 합리적 관리’라고 규정하였으며, 또한 자연법을 영원법 바로 아래 위 치시키면서, 이를 ‘합리적 피조물에 의한 영원법에의 참여’로 그 개념을 정의하였다. 성 토마스의 자연법 이론의 독창성은 매우 분명하다. 인간은 본성적 성향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자연법을 알게 되며, 자연법에 관한 이 지식이 합리적 보편적 용어로 체계화한 것이 만민법이고, 이 만민법은 시 민법과 함께 인정법의 유형들로써, 인정법도 자연법에서 유래된 만큼 만 약 인정법이 자연법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그것은 결코 정당한 법률이 될 수 없다는 등이 그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에 따르면, 인간 이성은 ‘인간의 본성적 성향이 명하는 바에 따라’ 무엇이 인간에게 유익한지를 깨닫는 능력으로서, 실제로 인간 이성은 ‘유익한 것은 행하고, 악한 것은 피하라’는 본성적 명령을 모순 없 는 자명한 원리 즉 자연법적 규범으로 간주하였다. 특히 성 토마스의 자 연법 논의에 탄력성을 부여한 요소가 분별력(prudentia)과 형평(epieikeia)의 개념이었다. 예를 들면 그는 만물을 공유하고 보편적 자유를 누리는 것이 자연법적 규범의 일부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그는 ‘사유재 산과 노예제가 자연법에서 직접 유래된 것은 아니지만, 그러나 이들은 인 간 생활의 유익을 위해서 인간 이성에 의해 만들어졌다’라고 해명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사유재산제도와 노예제도에 현세적 정치적 합법성을 부여 함과 더불어, 굶주린 사람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경우 부과될 수 도 있는 사유재산에 대한 규제 조치에도 자연법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에 대한 목적론적 접근방식은 ‘정의로운 전쟁 론’에서도 분명하게 확인된다. 그는 정의로운 전쟁의 조건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였다. (1) 자신의 의무가 공화국의 방어인 통치자에 의해 선포된 경 우, (2) 정당한 명분 특히 자기방어적 명분을 가진 경우, (3) 올바른 의도 와 목적을 가진 경우, (4) 필연적으로 불가피한 최소한의 폭력만을 사용하 는 경우 등이 그것이다. 토마스의 이 같은 견해는 오늘날 핵전쟁의 도덕 성에 관한 논의 등과도 결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와 정치에 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견해는 오늘날 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의 군주정부론, 노예제론, 유대인관, 여성관, 이단에 대 한 태도 등은 사실상 수용되기 어렵다. 실제로 프로테스탄트 이론가들은 성 토마스의 낙관적 윤리관과 과도한 합리주의를, 그리고 과격파는 사회 제도란 인간의 규제와 경제적 구조들에 의해 제한받는 동시에 ‘본성적 제 도’이기도 하다는 토마스의 시각을 비판하였으며, 또한 자유주의자들도 그 의 사상에 포함된 성직자주의, 함의적 권위주의, 남성우월주의, 계서적 사 회관 등이 기본적으로 자유보다는 질서를 우선시한다고 비판하였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회적 정치적 견해는 1960년대 2차 바티칸 공 의회 이후 현저한 위상의 하락을 가톨릭교회 내에서조차 경험하였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20세기 네오토미스트들은 토마스의 사회/정치사상을 민 주주의, 자유, 인간의 기본권, 종교적 다양성에 대한 변론으로 재해석하였 고, 오늘날도 그것은 많은 가톨릭 사회이론가들로 하여금 폭 넓은 분배에 기초한 사회 질서, 노동조합의 결성, 노동자에 대한 최저임금제 보장 등과 같은 인간중심적 대안들을 모색케 하는 근거가 되고 있으며, 여전히 그것은 과도한 자본주의적 개인주의와 사회주의적 집산주의의 폐해를 동시에 극복하는 공동체주의적(communitarian) 사회이론의 논리적 근거로서 변 함없는 영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토마스 아퀴나스가 수용했던 신의 섭리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신 앙과 그가 충실히 따랐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논리의 융합은, 인 간 특히 개인의 삶이 의미를 가지며, 그 의미는 인간 이성에 의해 해명될 수 있다는 신념을 구체화시켰다. 그는 이성의 역할이 가지는 한계와 그 가능성의 모델을 협량한 경험적 논리적 지평에서가 아니라, 증거에 근거 하여 충실하게 검증되고 또한 자신의 가설에 입각하여 명료하게 진술된 폭넓고 방대한 추론의 지평에서 구축하였다. 이 같은 토마스류의 사회정 치적 가설과 신념이 오늘날도 사회적 정치적 법률적 구조들을 평가하고 개혁하는 토대 바로 그것이다. 여기에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사상을 그의 추종자들이 영원한 철학(philosophia perennis)이라 부르는 이유가 있다. St. Thomas Aquinas responded to the challenge which was posed to medieval Christianity by the rediscovery of the full corpus of Aristotle’s works including <Politics>, which had not been available to the West before 13th century. Thomas Aquinas, as a christian aristotelian, believed faith and reason were both valid and divinely legitimated sources for ‘true’ human knowledge and admitted the legitimacy of temporal rule in the sacral age. In addition to re-legitimizing political life, Thomas discussed about the best form of government, and defended the admixture of constitutional and republican elements in the basically monarchic system. “The Treatise on Law”(ST IaIIae 90-97) is probably best known part of <Summa Theologiae>. Thomas defined law as an ordination of reason for the common good, and natural law as the participation in the eternal law by rational creatures. Thomas built his theory of natural law by taking a number of Aristotelian concepts such as prudentia, epieikeia and combining them in a unique way. He shared with his mentor Aristotle a belief in human capacity to identify goals, values, and purposes(“teleology”) in the functioning of human person within the structure of society. St. Thomas Aquinas’ social, political, legal theory is important for 3 reasons. (1) It reasserts the value of politics by drawing on Aristotle to argue that politics and political life are morally positive activities that are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God for man. (2) It combines traditional hierarchical and feudal views of the structure of society and politics with emerging community-oriented and incipiently egalitarian views of the proper ordering of society. (3) It develops an integrated and logically coherent theory of natural law that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source of legal political and moral norms. These accomplishments have become part of the intellectual heritage of the West, and have inspired political, legal theorists and social, religious movements down to the present day. In short, St. Thomas Aquinas’ christian belief in the providence of God and his Aristotelian doctrine of teleology combine to convince him that life has meaning, and that meaning is partially at least comprehensible to the human reason. Still we can share St. Thomas’ central belief, that man should use his intellect critically to resolve human problems of individual and social conduct. This basic assumption is an important reason of the continued attraction to the St Thomas Aquinas’ political thought and to “philosophia perennis”, what his followers like to call.

      • KCI등재후보

        아퀴나스의 덕윤리 -매킨타이어의『덕의 상실』관점에서 다시 읽기

        강영롱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3

        이 글은 『신학대전』에 나타난 아퀴나스의 윤리를 목적론적 도식에 맞게 재구성하고, 『덕의 상실』에 드러난 매킨타이어의 현대적 덕윤리 개념–덕, 전통–을 적용해 아퀴나스를 재해석한 글이다. 고전적인 목적론 도식에 따라, 『신학대전』에 나타난 (1) 인간영혼의 본성적 능력과 인간의 자연적 한계를 다루고, (2) 인간의 의지가정향된 참된 목적–참된 행복–이 무엇인가를 밝혔으며, (3) 가능태를 현실태로 만드는 덕론을 자세하게 살폈다. 아퀴나스의 덕론은 하나님에게서 비롯된 주입된 덕(대신덕)과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자연적인 덕목(사추덕)이라는 이중의 층위를 갖는다. 그러나 인간의 삶을 통일성있게 구성하는 최종적인 텔로스는 하나님께 참여할때 비로소 성취할 수 있기 때문에, 아퀴나스의 윤리는 하나님의 은혜 없이는 불가능한 ‘은총의 윤리’라고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적 토대를 가지고 아퀴나스를 평가하면, 덕이 실현되는 경험적 실천의 장을 넘어서고, 신학적인 논증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렇지만 아퀴나스는 중세 공동체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신학적 전통과 합류시켰다고 볼 수 있다. 특별히 아퀴나스는인간을 과정중에 있는 ‘도상(途上)의 인간’으로 전제하였으며, 성서적인 내러티브를 신학적인 언명으로 재구성하였다. 결국 다양한 전통이 충돌하는 중세적인 컨텍스트에서 덕론을 중심으로 전통을 확대하고 변용시켰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at restructuring the ethics of Aquinas in accordance with the teleological scheme and reinterpreting Aquinas by applying the modern concept of virtue–virtue, tradition–in Alasdair MacIntyre’s After Virtue. Following the classical teleological scheme, it investigates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in Summa Theologiae : (1) the natural power of human soul and the limits of human nature, (2) what is the human telos - true happiness - to which the human will is oriented? (3) the theory of virtue that makes man-as-he-happens-to-be into man-as-he-could-be-if-he-realizedhis-essential-nature The theory of virtue in St. Thomas Aquinas has two layers–first, the virtues implanted by God(the Theological Virtue) and second, natural virtues. But it can be pointed out that it to be ‘the ethics of grace’ which is impossible without God’s grace,because the ultimate telos that gives human life unity is possible only when it engages in God. When we estimate Aquinas on the Aristotelian foundation, it goes over the empirical-practical field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ological arguments. But it is true that Aquinas weaved Aristotelian philosophy with the theological traditions including Augustinus. In particular, Aquinas assumed that all humankind is on the way(‘man on the way’), reconstructed biblical narratives into theological statements. Finally he accomplished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 by accepting theory of virtue as the central theory in the context of Middle Ages where various traditions conflicted each other.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 버크의 견해에 대한 비판

        이진남 ( Jin Nam Y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에서 논자는 베르논 버크(Vernon Bourke)가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을 같은 주지주의적 전통에 위치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에서 있어 각각 지성적 선호와 이성적 욕구라고 분류하고 있는 것을 비판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제 2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지 개념을 그의 윤리학 전체의 체계 내에서 살펴보고, 제 3장에서는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을 그의 윤리학의 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본다. 그 결과로 논자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 의지 개념이 그 존재 여부 자체부터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점과 그의 소망(boulesis)과 선택 (Choice: prohairesis) 개념은 목적이나 수단 하나에만 관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의지 개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보인다. 반면 아퀴나스에 있어서 의지 개념은 선에 대한 이성적 욕구이고 성서적인 전통과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나왔다는 측면이 더 강하다는 점을 보인다. 그의 의지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와는 달리 독립적인 기능이었고 수단뿐 아니라 목적에도 연관된다. 그리고 아퀴나스에 있어 지성과 의지는 대립하기 보다는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또한 1270년대를 기점으로 보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심리결정론과 같은 주지주의로도 극단적인 주의주의로도 흐르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의지 개념은 물론 그 존재 여부 자체도 의심스럽지만, 철저하게 헬레니즘적 전통에 입각하고 있다. 반면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은 헬레니즘뿐 아니라 스토아,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헤브라이즘적 전통의 세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를 비교할 때는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하고, 이러한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에 대한 버크의 분석과 구분은 여전히 주지주의/주의주의의 구분의 도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In this essay, I criticize that Vernon Bourke analyzes Aristotle`s concept of will and that of Aquinas as intellectual preference and rational appetite respectively though he posits both of them on the same intellectualistic tradition. For this, I scrutinize Aristotle`s concept of will in section two, and that of Aquinas in section three. I show that the concept of will is doubtful in Aristotle and that there is no counterpart to the concept in his philosophy because wish (boulesis) is related to end while choice (prohairesis) to means. On the other hand, the will in Aquinas is the rational appetite toward the good and it is mainly derived from Biblical tradition and Augustine. It is an independent faculty, and it is related to end as well as means. Intellect and will in Thoma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rather than oppositive. His concept of will did not fall into neither intellectualism nor voluntarism in spite of some expressional changes after 1270`s, Aristotle`s concept of will, if any, is based on Hellenistic tradition whereas that of Aquinas is derived from Stoics, Augustine and Hebraic tradition. We should consider this when we compare Aristotle with Aquinas. Bourke`s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will in Aristotle and Aquinas is limited in the stereotype of intellectualistic/ voluntaristic disti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