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의심과 공포의 철학적 정당성과 메르스

        이진남(Yi, Jin-nam)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38 No.-

        이 논문에서 의심은 무지의 상황에서 나오는 자연스럽고 필수적인 마음의 상태이고 이를 통해 당면한 문제를 제기하고 풀어나감으로써 의심의 상태에서 벗어나고 안정을 찾게 되는 개념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의심의 철학적 정당성을 메르스 사태에서 나타난 대중의 의심과 그로 인한 공포에도 적용한다 정당한 의심을 받아들이지 않았던 정부와 삼성병원의 실패의 원인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닫힌 지식이 아닌 잘 모르는 리스크에 처했을 때는 공리주의적 편익분석보다는 사전 주의의 원칙에 따라 대처하는 것이 적합한데 정부와 삼성병원의 대처는 전자에 기반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염병 확산을 막지 못했고 대중의 불안과 불신을 키웠으며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 이 사전 주의의 원칙의 근거로 의심을 제기하는 대중이 아니라 의심을 제기 받은 자가 입증의 책임을 져야 무지에의 호소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을 제가한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와 삼성병원의 태도는 무지에의 호소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둘째,정보공개에 미온적이었던 정부와 삼성병원의 태도는 대중의 무지를 전제로 하는 전문가 지배론에 입각해 있었고 그로 인해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회피하고 하향식 지시체계를 고집했다 이에 따라 대중의 불신과 공포,방역의 실패를 초래했던 것이다. In this essay, I suggest ‘doubt’ as a concept which appears in ignorant situations, as a natural and necessary state of mind, and as a process by which we can solve problems and free us from agitation. I also apply this philosophical justification of doubt to mass doubt and horror in the MERS-co V situation. I analyze and suggest two main reasons for the control failure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of Samsung Hospital. First, their strategies are based on utilitarian cost-benefit analysis which is not proper in unknown risk situations when compared with the precautionary principle. They lead to proliferation of communicable diseases, mass horror and tremendous economic loss. As a basis fo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 suggest the fact that not doubtful mass but doubted government should take the burden of proof in order to escape from argumentum ad ignorantiam from which the Korean government and Samsung Hospital are not free. Second, their reluctance to release the information is based on technocratic theory which assumes mass ignorance. It seeks to avoid risk communication and to stick to a top-down order system, which results in total failure.

      • KCI등재

        윤리이론으로서의 신명론

        이진남 ( Yi¸ Jin-nam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7 가톨릭철학 Vol.0 No.9

        1980년대 이후 부활한 신명론은 많은 학자들의 집중적인 공격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하여 윤리이론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신명론이 어떠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생겨났고, 그 정의와 종류들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또한 신명론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을 검토한다. 그리고 나아가 신명론의 진정한 의미가 단지 신의 명령을 따르는 규범이라는 것이 아니라 도덕의 실정적 측면에 있다는 것을 밝힌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신명론에 대한 논의는 신명론 자체에 대한 방어에 급급했을 뿐, 그 내용 다지기에는 다소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신명론이 윤리이론으로서 제대로 자리 매김 하기 위해서는 강한 의미의 신명론이 아니라 약한 의미의 신명론을 채택해야 한다. Divine Command Theory, which has been revived since 1980’s, has fought against various criticisms and has made itself taken as one of major ethical theories. I give historical background, definition and kinds of the theory in this article. I also examine its strong and weak points. The real meaning of the theory is not following God’s command but expanding the positivistic aspect of morality. Most discussion of the theory is focused on the defense of the theory itself. It should be enriched with detailed structures and the way to be applied. For its success, we should adopt weaker concept of the theory instead of stronger one.

      •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심리상담

        이진남(Yi Jin-Nam)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1 동서사상 Vol.10 No.-

        철학상담의 발전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겪을 수밖에 없는 기존의 상담, 특히 심리상담과의 만남의 과정이 어떠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 2절에서는 철학상담의 출현에 대한 심리상담계의 반응인 김옥진의 견해를 소개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다. 그는 비지시성과 상호성으로 심리상담과 철학상담을 나누는 논자의 구분을 비판하고 철학상담도 심리상담처럼 치료가 될 수 없고 심지어 철학상담도 지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의 구분은 심리상담과 심리치료에 관한 엄격한 구분에 근거하여 아직 현실과는 다른 이상에 머물러있다는 점과 그가 철학상담의 전형으로 여긴 로고테라피는 여전히 심리상담의 영역에 있다는 점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비판이 된다. 제 3절에서는 철학상담 자체를 돌아보면서 그 정체성을 점검해본다. 여기서 논자는 철학상담은 철학적 사유를 하도록 돕는 대화의 과정이므로 비지시성과 상호성은 본질적 측면이 될 수 없고 또한 철학상담은 철학치료, 철학교육, 철학카페와 더불어 철학실천의 네 영역 중의 하나라는 점을 보인다. 제 4절에서는 철학상담과 심리상담의 관계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아헨바흐와 김석수의 주장을 살펴본다. 그리고 철학상담의 내용은 인생의 중대한 결정과 관련되기 때문에 상담사에게 전문적 훈련이 필요한 분야이고 따라서 철학상담의 독자적 영역 확보가 심리상담과의 협업과 경쟁에 선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examine how philosophical counseling should encounter psychological counseling. In section two, I introduce OcJean Kim’s opinion on philosophical counseling, a response from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nalyze its implication. She criticizes my distinction betwee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ccording to non-directiveness and reciprocity. She argues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as well as psychological counseling cannot be a kind of therapy and it has directive aspects. Based on too much rigorous distinction between them, I argue, her assertion does not reflect reality, and logo therapy suggested as a typical philosophical counseling remains in the boundary of psychological counseling. In section three, I t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 show that non-directiveness and reciprocity cannot be substantial character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because it is a process of dialogue to help clients do philosophical thinking and that it is a kind of philosophical practice. In section four, I scrutinize Gerd Achenbach’s and Suk-Soo Kim’s asser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I hold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requires counselors to take professional training because it deals with important decisions in life and that we need to secure its independent territory before its cooperation and competition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 KCI등재

        세네카 분노론의 철학실천적 변론

        이진남(Jin-Nam Yi)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논집 Vol.69 No.-

        이 글의 목적은 세네카 분노론이 철학실천적 측면에서 아리스토텔레스나 필로데모스의 분노론보다 오히려 더 현실적이라는 사실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세네카 분노론의 이론적 측면인 분노의 정의, 원인, 발생 단계, 속성을 분석한다. 분노는 ‘부당하게 당한 불의에 대해 복수하려는 욕망’으로 정의되고 정념 혹은 악덕으로 분류된다. 분노의 원인은 불의를 당했고 자신은 잘못이 없다는 생각이고 자발적으로 동의한 악덕이다. 분노는 마음에 들어오는 단계, 숙고를 통해 생기거나 제거되는 단계, 통제 불능의 단계라는 세 단계로 구성된다. 분노는 통제 불능, 백해무익, 원인의 선천성과 후천성, 동의 의존성이라는 속성이 있다. 제3절에서는 세네카 분노론의 실천적 측면으로 분노 예방법, 치료법, 타인의 분노에 대한 대처법을 분석한다. 예방법으로는 격려와 훈계를 통한 훌륭한 성품 기르기, 자존감 높이기, 예상과 성찰, 환경 정비를, 치료법으로는 유예, 초기 진압, 논리적 반박을, 타인 분노 대처법으로는 초기의 기다림, 후기의 수치심과 두려움 유발 전략을 제시한다. 제4절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필로데모스의 분노론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세네카 분노론의 우수성을 보인다. 분노를 부당한 무시에 대한 복수의 욕망으로 규정하고 온화라는 일종의 중용을 추구한 아리스토텔레스와 분노를 헛된 분노와 자연적 분노로 나눈 필로데모스에 대해 분노 개념의 정리와 분노의 현실적 조절 불가능성을 주장한 세네카의 논리로 비판한다. 또한 전자의 이상적이고 넓은 의미의 분노 개념에 비해, 세네카의 현실적이고 좁은 분노 개념이 명확한 타게팅, 통제의 현실성, 구체적 방법론 제시, 자존감 강조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점을 밝힌다. 이 작업은 향후 세네카 분노론에 기반한 철학실천적 분노치료 개발을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use of contrasts and simplifications to aid understanding often makes some people ignore details and distort the arguments of certain thinkers. There has been misconception that Stoic philosophy is an unrealistic idea that imposes extreme self-denial and ignores emotions. Even in the case of Seneca's anger theory, his claim to thoroughly block anger can be misunderstood as an unrealistic method combined with the extreme impression of the Stoics. In this article, I try to reveal the fact that Seneca's anger theory is more realistic than those of Aristotle or Philodemus in terms of philosophical practice. For this, in section 2, I analyze the definition, cause, stage of occurrence, and attributes of anger, which are theoretical aspects of Seneca's anger theory. Anger is defined as “the desire to take revenge for unjustly done injustice” and classified as a passion or vice. The cause of anger is the idea that someone has suffered injustice and that he is not at fault and that he voluntarily agrees to it. Anger consists of three stages: the stage of entry into the mind, the stage that arises or is eliminated through deliberation, and the stage of out-of-control. Anger has the properties of being out of control, harmless, congenital and acquired of causes, and dependence on consent. In Section 3, as a practical aspect of Seneca's anger theory, methods for preventing anger, treatment, and coping with other people's anger are analyzed. As preventive methods, fostering good character through encouragement and admonition, increasing self-esteem, anticipation and reflection, and environmental maintenance are suggested. As treatment methods, probation, initial suppression and logical rebuttal are suggested. And as a method for coping with anger of others, initial waiting, later inducing shame and fear strategy is suggested. In section 4, I introduce Aristotle’s and Philodemus’ theories of anger and show the superiority of Seneca's theory of anger to them. In comparison with Aristotle, who defined anger as a desire for revenge for unjustified disregard, and who pursued a kind of moderation of mildness, and Philodemus, who divided anger into empty anger and natural anger, Seneca, who rearranged the concept of anger and held the realistic uncontrollability of anger, has more appeal. Also, compared with their ideal and broad concepts of anger, Seneca's realistic and narrow concept of anger is superior in four aspects: clear targeting, realistic control, specific methodologies, and emphasis on self-esteem. I expect that this article will b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practice anger therapy based on Seneca's anger theory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실천 그리고 문제해결의 과정과 기법들

        이진남 ( Yi¸ Jin-nam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5 가톨릭철학 Vol.0 No.25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에도 나오듯이, 철학은 당혹감 혹은 의아함에서 출발하여 문제를 던지고 푸는 과정이다.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은 문제해결 그 자체를 실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해결은 철학과 같이 시작되었고 그 바람직한 모델은 철학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논문은 심리학, 교육학 등 여러 분야에서 개발되어온 각종의 문제풀이 방식을 비교하고 그 원형으로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의 다섯 단계를 분석하며, 이 모델들에서 핵심적인 사항들을 뽑아 기존의 철학실천에 적용된 모델들과 비교하고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언스트와 뉴웰, 정보처리론의 IDEAL, CPS, 립맨의 문제해결 모델을 검토한다. 제3절에서는 원형으로서의 존 듀이의 반성적 사고의 다섯 단계를 분석하고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How We Think)의 제1판과 제2판의 차이가 교조적인 적용에 대한 경계와 과거에 대한 검토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인다. 그리고 제4절에서는 듀이의 5단계를 기준으로 여러 문제해결 모델을 비교함으로써 ‘최종 판단의 보류’와 ‘끝없는 탐구’라는 비판적 사고의 정신이 문제해결의 과정에 있어 핵심이라는 사실을 도출한다. 제5절에서는 가족치료의 한 기법인 해결중심치료와 매리노프의 PEACE, 피터 라베의 네 단계 모델을 검토하고 분노치료에 적용한 논자의 모델을 제시한다. Philosophy is a process or an activity to give and to answer the questions with perplexity or wonder as Aristotle says. Philosophy as philosophical practice is to do the problem solving. So problem solving is derived from philosophy, and its desirable model has been developed by philosophers. In this article, I compare various problem solving models developed in several areas such as psychology and pedagogy, and I analyze John Dewey’s five-step model of reflective thinking. I also propose advisable model after I comp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model with those in models applied to philosophical practice. For that, in section two, I examine G. W. Ernst & A. Newell’s four step model, J. D. Branford & B. S. Stein’s IDEAL, CPS(Creative Problem Solving) and Matthew Lipman’s eight stages of problem solving. In section three, I analyze the John Dewey’s five-step model of reflective thinking as the archetype, and show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1st ed. and 2nd ed. of How We Think are caution in its dogmatic application and the importance of examination of the past. In section four, I demonstrate that the spirit of critical thinking such as judgment postponement and ceaseless investigation is the core of problem solving after I compare John Dewey’s model with other various ones. In section five, I examine solution-focused family therapy, Marinoff’s PEACE and Peter Raabe’s four step model, and I suggest my own model for philosophical anger therapy.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 버크의 견해에 대한 비판

        이진남 ( Jin Nam Yi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이 논문에서 논자는 베르논 버크(Vernon Bourke)가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을 같은 주지주의적 전통에 위치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에서 있어 각각 지성적 선호와 이성적 욕구라고 분류하고 있는 것을 비판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제 2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의지 개념을 그의 윤리학 전체의 체계 내에서 살펴보고, 제 3장에서는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을 그의 윤리학의 체계와 관련하여 살펴본다. 그 결과로 논자는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 의지 개념이 그 존재 여부 자체부터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점과 그의 소망(boulesis)과 선택 (Choice: prohairesis) 개념은 목적이나 수단 하나에만 관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의지 개념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보인다. 반면 아퀴나스에 있어서 의지 개념은 선에 대한 이성적 욕구이고 성서적인 전통과 아우구스티누스에서 나왔다는 측면이 더 강하다는 점을 보인다. 그의 의지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와는 달리 독립적인 기능이었고 수단뿐 아니라 목적에도 연관된다. 그리고 아퀴나스에 있어 지성과 의지는 대립하기 보다는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다. 또한 1270년대를 기점으로 보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심리결정론과 같은 주지주의로도 극단적인 주의주의로도 흐르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의지 개념은 물론 그 존재 여부 자체도 의심스럽지만, 철저하게 헬레니즘적 전통에 입각하고 있다. 반면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은 헬레니즘뿐 아니라 스토아, 아우구스티누스, 그리고 헤브라이즘적 전통의 세례를 받고 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를 비교할 때는 이러한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하고, 이러한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의 의지 개념에 대한 버크의 분석과 구분은 여전히 주지주의/주의주의의 구분의 도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가진다. In this essay, I criticize that Vernon Bourke analyzes Aristotle`s concept of will and that of Aquinas as intellectual preference and rational appetite respectively though he posits both of them on the same intellectualistic tradition. For this, I scrutinize Aristotle`s concept of will in section two, and that of Aquinas in section three. I show that the concept of will is doubtful in Aristotle and that there is no counterpart to the concept in his philosophy because wish (boulesis) is related to end while choice (prohairesis) to means. On the other hand, the will in Aquinas is the rational appetite toward the good and it is mainly derived from Biblical tradition and Augustine. It is an independent faculty, and it is related to end as well as means. Intellect and will in Thomas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rather than oppositive. His concept of will did not fall into neither intellectualism nor voluntarism in spite of some expressional changes after 1270`s, Aristotle`s concept of will, if any, is based on Hellenistic tradition whereas that of Aquinas is derived from Stoics, Augustine and Hebraic tradition. We should consider this when we compare Aristotle with Aquinas. Bourke`s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will in Aristotle and Aquinas is limited in the stereotype of intellectualistic/ voluntaristic distinction.

      • KCI등재

        행복과 공동체

        이진남(Yi, Jin-Nam)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1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1 No.1

        현대인들은 자신들의 행복 개념이 심하게 왜곡되어있지만, 그 사실을 모른 채 행복을 무작정 추구하며 산다. 이 글의 목적은 현대인의 행복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고중세의 행복 개념이 간직했던 공동체성을 확인한 후, 건강한 행복 개념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논자는 현대인의 행복 개념이 개인주의적 편향과 심리주의적 편향으로 물들었다고 비판한다. 행복을 위해 객관적 세계에 관심을 끊고 자기 자신에만 몰입했으며, 행복을 욕구의 만족이나 기분, 편안함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상식처럼 되어버렸다. 이에 논자는 현생 인류의 발생과 더불어 행복은 집단적 성격을 가진 개념으로 만들어졌고 고중세, 근대 초기까지 종적이고 사회적인 성격을 가진 개념이었다는 사실을 밝힌다. 그리고 이러한 행복의 성격은 형이상학과 신, 신화에 기반을 둔 것이었는데, 현대에 들어 이 기반을 잃어버려 행복 개념이 개인적이고 심리적인 것으로 축소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어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건강한 행복을 만들기 위해 건강한 신화와 형이상학의 복원, 사회적 환경과 질 향상, 자존감을 가진 개인의 관상생활의 회복, 친애와 축제의 부활을 제시한다. In this contemporary era, we are seeking for happiness without knowing the fact that our concepts of happiness have been seriously crooked. In this essay, I try to critically analyze the concept of happiness in contemporary, to check communal characteristics in Ancient and Medieval era, and to suggest some ways to recover the healthful concept of happiness. I criticize the contemporary concept of happiness as infected with individualistic and psychologistic bias. We stop caring for objective world, we are absorbed in ourselves, and we tend to consider happiness as satisfaction of desire, good feeling or comfortableness. I show that the concept of happiness had been formed as communal concept from the beginning of Homo Sapiens Sapiens and that it maintained that kind of characters until early moderns. I also show that this characters were based on metaphysics, gods and myths, and that loss of those bases in contemporary world cause individualistic and psychologistic bias. I suggest recovery of healthful myths and metaphysics, improvement of social environment and quality, contemplative life of individuals full of self-respect and revival of festival with philia.

      • KCI등재

        인지주의치료와 스토아철학

        이진남(Yi, Jin Na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9

        스토아철학은 비록 철학사에서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 못하지만 지속적으로 실천적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세기에 들어서서 인지주의치료의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리고 21세기에 들어와 논리기반치료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스토아철학이 인지주의치료와 논리기반치료에 제대로 쓰였는지 확인하는 작업은 철학 실천계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인지주의치료와 논리기반치료가 스토아철학을 어떻게 사용했는지 하는 문제와 더불어 치료이론으로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하는 문제에 대한 평가 작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합리정서행동치료가 스토아철학의 이성 개념을 협소하게 만들고 덕윤리의 깊이를 놓쳐 이분법적 단순화와 긍정주의에 빠졌으며 지나친 개입으로 내담자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문제점을 노정한다는 점을 보인다. 제3절에서는 논리기반치료가 인과에서 추론으로 전환했다고 주장하는 것이 과장되었다는 사실과 과도한 전문성이 내담자에게 주는 부담의 문제, 그리고 절충주의적 접근으로 인해 스토아철학으로부터 결별하고 불완전한 덕이론으로 귀결되었다는 점을 지적한다. Stoic philosophy has enjoyed significant practical application despite its occasional periods of decline throughout history. In particular, it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birth of cognitive therapy and of logic-based therapy (LBT) in the twentieth and twenty-first centuries.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how these therapies utilize Stoicism in the area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this essay, I assess the use of Stoic philosophy in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REBT) and LBT, and highlight its problematic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rapeutic theory. To this end, in Section Two, I show that REBT narrows the concept of reason as it is understood in Stoic philosophy, engaging in dualistic simplification and positivism, while overlooking the profundity of virtue ethics, and impeding the counselee’s autonomy through excessive intervention. In Section Three, I point out that Cohen’s assertion of the transition from causality to inference is exaggerated, that excessive specialization lays unnecessary burdens on counselees, and that its eclectic composition results in imperfect virtue theory as well as a departure from Stoic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