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dia Pluralism in Azerbaijan since the Independence

        OH, Chong-Jin(오종진)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2009 중동문제연구 Vol.8 No.2

        1991년 소연방에서 독립한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카프카스에 위치한 자원부국으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20세기 들어 많은 격변의 시간을 보내면서 큰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변혁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변혁 중 하나가 아제르바이잔에서의 다양한 미디어 매체의 출현이다. 소비에트시기의 아제르바이잔 미디어는 국가의 지원과 통제를 받아 주로 체제선전 매체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1960년대 들어 사회주의와 러시아지배를 비판하는 언론인들이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소비에트의 통제를 벗어난 미디어 출범의 토대를 구축했다. 아제르바이잔은 다른 여느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공화국들보다 (e.g.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자민족 중심적이며 독립적인 미디어 출현과 확산에 노력을 했다. 그 결과 1980년 후반에는 다른 여느 중앙아시아국가들 보다 가장 자신들의(아제리인) 언어와 민족의식, 그리고 문화를 보존한 소비에트 공화국이 되었다. 1991년 독립과 더불어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한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어느 탈 소비에트 독립국가 보다 빠르게 미디어 다원화가 이루어진다. 다양한 민영미디어가 출현했으며 특히 유럽연합의 OSCE (유럽안보협력기구)의 권고로 2005년에는 공영미디어가 출범하게 된다. 외형상의 대중매체 현황만을 고려한다면 오늘날 아제르바이잔공화국은 주변의 많은 탈-소비에트 독립국가와 비교해 볼 때 미디어 다원화가 상당히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즉, 현재 아제르바이잔공화국에는 다양한 국영, 민영, 공영 미디어가 공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아제르바이잔의 미디어 다원성 내면에는 정부의 미디어 검열을 비롯한 다양한 문제점들이 사회전반에 공론화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립 후 아제르바이잔 미디어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발전과정과 그 과정에서 생긴 다양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아제르바이잔의 미디어 다원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은 아제르바이잔의 대중매체 현황뿐만 아니라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사회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아제르바이잔 통계청의 자료와, 아제르바이잔, 터키, 미국 그리고 유럽연합의 다양한 연구기관에서 작성한 설문조사, 보고서 및 논문을 참고하여 보다 심층적이며 균형 있는 아제르바이잔의 대충매체 현황을 조사하려했다.

      • KCI등재

        Mugham in Cultural Paradigm of Modern Azerbaijan

        Zumrud Akhundova-Dadashzadeh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6 국악교육연구 Vol.10 No.2

        무감(Mugham)은 구전(口傳) 전문 음악의 한 장르로, 아제르바이잔의 국가적 유산이다. 아제르바이잔의 음악문화 전체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무감의 주된 예술 및 구조상 특징을 본고에서 간단히 정리하였다. 오랜 기간동안 형성된 무감은 다양한 정신적 가치와 아제르바이잔이 창출한 모든 종족문화적인 풍유로움을 흡수했다. 아제르바이잔 문화와 예술뿐 아니라, 철학, 종교 신화적 의견, 심리학, 윤리, 미학에서 무감의 농축된 표현을 찾을 수 있다. 어떤 점에서, 무감은 아제르바이잔인의 삶과 역사에 대한 예술적, 음악적, 또는 시적인 비유라 할 수 있다. 정적인 상태, 명상, 심사숙고가 무감 음악의 핵심을 구현하듯이, 사색과 내면의 깊은 곳에 집중하는 성향이 짙은 아제르바이잔의 국민 사고방식에 이 예술이 미치는 영향력은 크다. 아제르바이잔 문화의 근본적인 민족적 관례를 담고 있는 무감의 보전에 관한 문제는 늘 아제르바이잔의 진보 지식층에게 걱정거리였다. 1920년대 강제 소비에트 사회주의 시기에, 무감은 “생명”의 위협을 경험했다. 아제르바이잔의 이런 결정적인 순간에, Uzeyir Hajibeyli (1885~1948)은 유일하게 올바른 입장을 취했다. 작곡자, 과학자, 그리고 교육자로서, 그는 그의 작품과 활동을 통해 국민들의 정신적 유산에 주의깊은 관심의 필요성을 증명했다. 그가 작곡한 작품과 “아제르바이잔 민속 음악의 원칙”과 음악교육에 관한 그의 연구는 현대 아제르바이잔 문화의 전반적 성장의 토대가 되었다. 첫 번째 오페라 “Leyli and Mejnun”의 발상에 기반을 두고, 아제르바이잔의 작곡가들은 더 나아가 교향악 무감(Fikret Amirov)과 재즈-무감(Vagif Mustafazadeh)을 창작할 수 있게 되었다. 아제르바이잔의 독립과 더불어, 전통유산에 관한 주목은 아제르바이잔 문화 정치의 우선 사항이 되었다. 무감의 보존, 개발, 선전을 담당했던 Heydar Aliyev 재단의 역할은 본고에 나와 있다. 무감 기록을 현대식 저장 방식으로 변형, “아제르바이잔인의 무감 백과사전”의 발행, 무감 센터의 건축, maqam문화 분야의 뛰어난 음악가와 전문가가 참가한 큰 규모의 국제 축제 “Space of Mugham”의 조직, National Conservatoi의 설립 등은 그 재단이 진행했던 프로젝트이다. TV Mugham Contests(텔레비전 무감 경연)은 나라의 전 지역에서 온 젊은 연주가의 재능을 발굴하고, 깨우친 무감 감상자를 형성한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략 70년 동안 소비에트 예술 패러다임의 지배와 강화된 세계화 추세는 무감의 본질적 속성을 상실하게 하였고, 단순 연주 장르로 변질시켰다. 현재, 아제르바이잔의 음악과학과 음악교육분야에서는 무감을 국가적 문화 전체의 개념적인 중심축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무감은 위대한 지혜, 미덕, 사랑, 그리고 아름다움을 담고 있기 때문에, 숨겨진 에너지의 원천으로서 무감이 갖고 있는 치유적인 힘은 교육 시스템의 모든 단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Mugham is a genre of professional music of oral tradition and national heritage of Azerbaijan. The main artistic and structural features of mugham, possessing an immense effect on the whole musical culture of Azerbaijan, are briefly highlighted in the article. Forming in a long period of time, mugham absorbed the diversity of spiritual values and all the ethnocultural richness created by Azerbaijani nation. Mugham is expressed and concentrated in not only Azerbaijani culture and art, but also philosophy, religious and mystical opinions, psychology, ethics and aesthetics of the people. In a certain sense, mugham is a peculiar artistic, musical-poetic metaphor of Azerbaijani life and history. The influence of this art on the national mentality with its inclination to contemplativeness, concentration on the internal and deep, is huge, as statics, meditativeness and deliberateness represent the essence of the mugham music. The matter of preservation of mugham, which carries the fundamental national codes of Azerbaijani culture, always disturbed the advanced intellectuals of Azerbaijan. In the 1920s, (the period of forced sovietization), a real threat to the “life” of mugham emerged. In this fateful moment of the history, Uzeyir Hajibeyli (1885-1948) took the only correct position. With his work and activities as a composer, scientist and pedagogue, he proved the necessity of a careful attitude to the spiritual treasure of the people. His composer oeuvre, the research “Principles of Azerbaijan Folk Music” and the concept of the musical education became the basis, on which the whole modern Azerbaijani culture grew. Building on the idea of the first opera “Leyli and Majnun”, the composers of Azerbaijan traced their way to creation of the symphonic mugham (Fikret Amirov) and jazz-mugham (Vagif Mustafazadeh). With restoration of the independency of Azerbaijan, paying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heritage became one of the priorities of the cultural politics of Azerbaijan. The role of the Heydar Aliyev Foundation, directing the agendas on the preservation, development and propaganda of mugham, is mentioned in this work. Among the projects of the Foundation are the transfer of the mugham records in modern storage devices, publication of the “Encyclopedia of Azerbaijani Mugham”, construction of the Mugham Centre, organization of the large-scale international festival “Space of Mugham” with participation of the leading musicians, experts in the field of maqam cultur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onservatoir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V Mugham Contests in revealing talents of young performers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forming an enlightened mugham listener is stressed. However, almost 70 years of the reign of the Soviet art paradigm, as well as enhanced global trends have led to the loss of the core properties of mugham, thus transforming it into a concert genre. Currently, the musical science and education of Azerbaijan solve a task to restore mugham as a conceptual pivot of the whole national culture. The healing force of mugham with its hidden energetic resources should be more actively used in the system of education, at all levels, as mugham contains a great wisdom, virtue, love and beauty.

      • KCI등재

        아제르바이잔 체제전환 전략과 경제발전

        김상원(Kim Sangw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본 논문은 체제전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제르바이잔의 체제전환전략 분석과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소련체제의 유산과 국내외 환경은 시장경제로 전환하는 아제르바이잔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이는 체제전환 정책 수립 과정과 연계성을 갖는가? 그리고 체제전환 정책으로 결정된 급속한 개혁 정책의 방법과 내용은 무엇인가? 이러한 체제전환 정책은 아제르바이잔 경제성장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주었는가? 마지막으로 200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의 원동력은 무엇이었으며, 에너지산업은 아제르바이잔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가져다 줄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아제르바이잔은 다른 CIS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시기에 시장 경제로의 체제전환을 실시하였다. 소련이라는 같은 체제에서 출발한 만큼 초기조건은 유사했지만, 풍부한 부존자원은 아제르바이잔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격자유화와 사유화로 대변되는 급속한 개혁정책은 기대보다는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가져다 주었다. 이후 서방기업의 아제르바이잔 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와 국제 에너지시장의 유가상승으로 1990년 경제상황과 유사한 CIS 국가들의 경제와 비교하여도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였다. 이 만큼 에너지 산업은 아제르바이잔의 경제성장을 이룩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보여주듯이 에너지 산업이 의존한 취약한 경제구조의 문제점도 여실히 보여주었다. 향후 아제르바이잔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불균등한 경제구조 개편, 투명한 경제 환경 조성, 새로운 대체 산업의 육성, 부정·부패의 척결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This paper mainly aims to analyse,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 of transition, Azerbaijan's transition strategy and to assess its influence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We estimate and characterize Azerbaijan's conditions inherited from the past and the meaning of its transition strategy, and their impact upon economic performance of the country. How Azerbaijan's transition impact to economic growth, would its affluent resources including oil and natural gas. In transition period Azerbaijan has similar conditions, like CIS Countries. But difference point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Azerbaijan has big potential of energy resource. And transition strategy, including price liberalization and privatization was narrow in its focus and addressed the wrong issues. Relatively quickly Azerbaijan could be overcome economic crisis, as new oil discoveries, alternative pipeline routes and soaring oil prices fuelled the oil boom. Current economy of Azerbaijan is dominated by the oil industry. The Government is giving a special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energy sector and skillful exploration of the national resource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ajor part of economy is based today on oil production and its export, the country moves towards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in all spheres of the economy. For rebuilding of old soviet industry Azerbaijan continues to make efforts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business climat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repreneurship, providing for new work places. Sustainable economic growth depends on program of creating a new legal basis for the economy transformation, updating, and on many cases adopting brand-new pieces of legislation. And the ultimate goal of the Government is to create similar level of trust among foreign investors in the non-energy sector, as it was done for the oil companies.

      • KCI등재

        아제르바이잔 체제전환 전략과 경제발전

        김상원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This paper mainly aims to analyse,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 of transition, Azerbaijan's transition strategy and to assess its influences on the economic performance. We estimate and characterize Azerbaijan's conditions inherited from the past and the meaning of its transition strategy, and their impact upon economic performance of the country. How Azerbaijan's transition impact to economic growth, would its affluent resources including oil and natural gas. In transition period Azerbaijan has similar conditions, like CIS Countries. But difference point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Azerbaijan has big potential of energy resource. And transition strategy, including price liberalization and privatization was narrow in its focus and addressed the wrong issues. Relatively quickly Azerbaijan could be overcome economic crisis, as new oil discoveries, alternative pipeline routes and soaring oil prices fuelled the oil boom. Current economy of Azerbaijan is dominated by the oil industry. The Government is giving a special importa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energy sector and skillful exploration of the national resource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major part of economy is based today on oil production and its export, the country moves towards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in all spheres of the economy. For rebuilding of old soviet industry Azerbaijan continues to make efforts for the further improvement of business climat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repreneurship, providing for new work places. Sustainable economic growth depends on program of creating a new legal basis for the economy transformation, updating, and on many cases adopting brand-new pieces of legislation. And the ultimate goal of the Government is to create similar level of trust among foreign investors in the non-energy sector, as it was done for the oil companies. 본 논문은 체제전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제르바이잔의 체제전환전략 분석과 경제성장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소련체제의 유산과 국내외 환경은 시장경제로 전환하는 아제르바이잔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고, 이는 체제전환 정책 수립 과정과 연계성을 갖는가? 그리고 체제전환 정책으로 결정된 급속한 개혁 정책의 방법과 내용은 무엇인가? 이러한 체제전환 정책은 아제르바이잔 경제성장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주었는가? 마지막으로 200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의 원동력은 무엇이었으며, 에너지산업은 아제르바이잔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가져다 줄 수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아제르바이잔은 다른 CIS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비슷한 시기에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을 실시하였다. 소련이라는 같은 체제에서 출발한 만큼 초기조건은 유사했지만, 풍부한 부존자원은 아제르바이잔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가격자유화와 사유화로 대변되는 급속한 개혁정책은 기대보다는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가져다주었다. 이후 서방기업의 아제르바이잔 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와 국제 에너지시장의 유가상승으로 1990년 경제상황과 유사한 CIS 국가들의 경제와 비교하여도 높은 경제성장을 기록하였다. 이 만큼 에너지 산업은 아제르바이잔의 경제성장을 이룩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보여주듯이 에너지 산업이 의존한 취약한 경제구조의 문제점도 여실히 보여주었다. 향후 아제르바이잔의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불균등한 경제구조 개편, 투명한 경제 환경 조성, 새로운 대체 산업의 육성, 부정·부패의 척결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및 과제

        남은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4 한국언어문화학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앞으로 이곳의 한국어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있다. 이에 아제르바이잔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을 크게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으로 나누어설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의 다른 나라에 비해서 한류의 확산 속도나 그 수준이 미미하 며 이곳의 한국어 교육은 현재 총 네 군데의 대학교에서 한국어학과나 한국어센터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 곳 의 사설 한국어 학원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자발적으로 한류 문화를 즐기는 모임이 생겨났으며 이들 중에는 독 학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자들도 있다. 이처럼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학습자들은 큰 폭은 아니지만 꾸준히 유지 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로,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아직 한류 열풍이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전략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을 키 우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둘째로, 현지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자료가 매우 부족하다. 현지의 특성을 살려 이들을 위한 적합한 교육 자료 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로, 제대로 된 자질을 갖춘 한국어 교원이 필요하다. 한국어 석. 박사 과정 및 현지인 한국어 교원 양성을 위해서라도 교원의 전문성이반드시 요구된다. 넷째로, 현지에서 채용된 한국어 교원의 처우 개선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열악한 교원 처우와 불안정한 고용이 지속된다면 질 좋은 한국어수업은 보장할 수 없다. This studyexamines the Korean education system in Azerbaijan to develop thefuture of Korean education in Azerbaijan. The Korean education systemcan be divided into academic degree and non-academic degree courses inAzerbaijan. Issues and challenges on the course come up with this study. This year is the 20th anniversary of Azerbaijan Korean education. However,the Korean Wave does not spread faster than any other countriesand does not have high level of achievement. Korean companies inAzerbaijan make good impression of Korea that Azerbaijani have afeeling of familiarity with Korean. There are four universities operate Korean classes such as in Koreanlanguage departments and Korean language centers. There are also threeprivate schools teach Korean. Some other people study Korean bythemselves and several private meetings increase gradually. There are some reasons why they have less interest in Korean Languagethan other countries. Firstly, the Korean Wave has not come yet inAzerbaijan that people are less concerned about it. We need to think howAzerbaijani get more interested in Korea. Secondly, there are not enoughacademic materials and textbooks for Azerbaijani. Less study causes lackof qualified educational materials and textbook. Thirdly, there are notenough qualified teachers. Most of the teachers are good at Azerbaijanilanguage but poor at Korean education system. There is also not enoughstudy of Korean language.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the teachingmore depth study is needed. Fourthly, Korean language lectures need to be given better than treatment. Moreover the study should be progressed with locality that helps to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zerbaijan.

      • KCI등재

        무인항공기와 군사혁신(RMA)

        오종택,신진 세종연구소 2021 국가전략 Vol.27 No.4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impact of UAV(Unmanned Aerial Vehicles) on the change of war paradigm and suggest directions for UAV and RMA(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in future warfare.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in terms of RMA by analyzing the concept of Azerbaijan's UAV combat performance by war level in the Second Armenia-Azerbaijan W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cept of Azerbaijan's UAV combat performance by war level, Azerbaijan used UAV’s at a strategic level to shoot precision strikes on Armenian forces and then uploaded these videos to SNS. Such psychological warfare was aimed at weakening the Armenian army's will to war. At the operational level, Azerbaijan's UAVs precisely and simultaneously hit the various depths of the Armenian army. As a result, the UAVs used a parallel warfare that paralyzed the enemy's command and control. At the tactical level, Azerbaijan's UAVs disrupted the enemy's defense system by removing the enemy's equipment, troops, and major facilities in the defensive line. This created the conditions for the deployment of the Azerbaijani ground forces. In this way, Azerbaijan not only introduced the advanced weapon system, but also succeeded in realizing the concept of combat execution that can be used efficiently by war level. Azerbaijan has achieved RMA based on social formation theory.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ive elements in the direction of RMA for the military operation of UAVs: refining the concept of combat performance, strengthening interoperability between weapon systems, preparing air defense systems, preparing pilot training programs, and preparing operational continuity support plans. 본 논문은 무인항공기가 전쟁패러다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전에서 무인항공기의 군사적 운용을 위한 군사혁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차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아제르바이잔의 무인항공기 전투수행개념을 전쟁수준별로 분석함으로써 군사혁신 측면에서 함의점을 도출했다. 아제르바이잔의 무인항공기 전투수행개념을 전쟁수준별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아제르바이잔은 전략적 수준에서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아르메니아군을 정밀타격하는 장면을 촬영한 후 이 영상들을 SNS에 업로드하였다. 이러한 심리전은 아르메니아군의 전쟁 의지를 약화시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아제르바이잔의 무인항공기는 작전적 수준에서는 아르메니아군의 다양한 종심을 동시에 그리고 정밀하게 타격하였다. 이로써 무인항공기는 적의 지휘통제를 마비시키는 병행전을 구사하였다. 전술적 수준에서는 아제르바이잔의 UAV들이 방어전선에 투입되어있는 적의 장비와 병력, 주요시설물을 제거함으로써 적의 방어체계를 와해시켰다. 이로써 아제르바이잔 지상군의 투입여건을 조성했다. 이처럼, 아제르바이잔은 첨단무기체계를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투수행개념을 전쟁수준별로 구체화시키는데에 성공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은 사회형성이론에 기반을 둔 군사혁신을 이룩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의 군사적 운용을 위한 군사혁신 방향으로 전투수행개념 구체화, 무기체계간의 연동성 강화, 방공체계 마련, 조종사 양성프로그램 구비, 작전지속지원 방안 마련 등 5가지 요소를 제시했다.

      • KCI등재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복합적 성격과 대외정책에의 함의

        김영진 국제지역학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historical-cultural sources of Azerbaijani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aspects of the Persian, the Turkish and the Russian influences, and to illuminate its complex characteristics. Then it will be examined the impact and consequences that the Azerbaijani identity exerted on its foreign policy. In the modern world, identities are formed and represented within a variety of shifting soci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discursive contexts. Such understandings can have exclusionary consequences, particularly in pluralistic environments. Since its independence, the PFA government resorted to the arguments of ethnic origin and Azerbaijan’s Turkishness to achieve its goals. Domestically, the failure of the ethnicity-based foreign policy was so great that even Azerbaijani Kurds, who under the Soviets had been virtually absorbed into the Azeri population, felt alienated and betrayed. Internationally, Azerbaijan turned Russia and Iran against itself and reduced bargaining power of Turkey since the latter grew increasingly concerned not to exacerbate its relations with Russia. 본 논문은 아제르바이잔의 정체성을 형성해 온 역사적․문화적 원천을 페르시아, 투르크, 러시아의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복합적인 성격을 해명하고, 1991년의 독립 초기 그것이 아제르바이잔의 대외정책에 미친 영향과 그 귀결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의 세계에서 정체성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에서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맥락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변화 속에서 형성되고 표현된다. 이러한 정체성의 표출은 다원적인 환경에서 종종 배타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독립 이후 PFA 정부는 아제르바이잔의 풍부한 문화적 유산과 다면적인 정체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종족적 기원과 아제르바이잔의 터키성(Turkishness)을 강조하는 논리를 내세웠다. 국내적으로 볼 때, 종족․민족에 기반을 둔 대외정책은 소비에트 하에서 아제리 민족에 흡수되었던 아제르바이잔의 쿠르드인조차도 소외감과 배신감을 느꼈을 정도로 심각한 실패에 직면했다. 국제적으로 볼 때, PFA 정부의 대외정책은 러시아와 이란으로 하여금 등을 돌리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터키가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함에 따라 터키에 대한 교섭력도 약화시켰다. 이에 따라, PFA 이후에 집권한 헤이다르 알리예프는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네 가지 요소(페르시아적인 정체성, 투르크적인 정체성, 러시아적인 정체성, 아제르바이잔적인 정체성)를 모두 활용하여 대외정책의 방향을 결정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아제르바이잔 한류 팬을 통한 음식문화에 관한 연구

        마심리레일라 ( Masimli Leyla ),박미숙 ( Misuk Par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음식문화는 집단의 정서를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인들을 보다 깊게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제르바이잔 한류 팬의 한국 음식문화 인식을 통해 아제르바이잔 음식문화와 비교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증가하는 아제르바이잔인을 이해를 돕고자 한다. 연구는 한국음식에 관심이 많은 아제르바이잔의 한류 팬 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음식 재료, 식사하는 방법, 식사 예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제르바이잔은 대부분 소고기와 양고기를 이용한 음식이 많으나 한국 사람들은 육류보단 채소를 즐겨 먹으며 건강을 우선시 하였다. 둘째, 한국의 젓가락 문화와 다르게 아제르바이잔은 손가락으로 먹는 문화가 아직 남아 있으며, 찌개를 같이 먹는 한국의 음식문화를 신기해하였다. 셋째, 한국 사람들은 음식을 먹으며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을 중시하지만 아제르바이잔 사람들은 개인중심의 서양문화와 이슬람 문화가 공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에 거주하는 아제르 바이잔 사람들의 음식문화를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food culture is so helpful to understand foreigners because it encompasses group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with the food culture of Azerbaijan through recognition of Korean food culture of K-Wave fans from Azerbaijan. Through this, we want to help understand Azerbaijan growing in Korea.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K-Wave fans from Azerbaijan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food and analyzed them by dividing them into food ingredients, how to eat, and table manners. First, the Azerbaijan used to eat beef and lamb, but Koreans enjoy eating vegetables and put health first. Second, the way to eat food is different from the Korean chopsticks culture, Azerbaijan still has finger culture and they are curious about the Korean food culture of eating stew together. Third, Koreans value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food while the Azerbaijan had a mix of individual Western culture and Islamic culture. As such, Korean food culture and Azerbaijan food culture are many different.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to understand food culture of Azerbaijan people living in Korea.

      • KCI등재

        국제사회 :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복합적 성격과 대 외정책에의 함의

        김영진 ( Young Jin Kim ) 국제지역학회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2

        본 논문은 아제르바이잔의 정체성을 형성해 온 역사적?문화적 원천을 페르시아, 투르크, 러시아의 영향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복합적인 성격을 해명하고, 1991년의 독립 초기 그것이 아제르바이잔의 대외정책에 미친 영향과 그 귀결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의 세계에서 정체성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맥락에서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맥락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변화 속에서 형성되고 표현된다. 이러한 정체성의 표출은 다원적인 환경에서 종종 배타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독립 이후 PFA 정부는 아제르바이잔의 풍부한 문화적 유산과 다면적인 정체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종족적 기원과 아제르바이잔의 터키성(Turkishness)을 강조하는 논리를 내세웠다. 국내적으로 볼 때, 종족?민족에 기반을 둔 대외정책은 소비에트 하에서 아제리 민족에 흡수되었던 아제르바이잔의 쿠르드인조차도 소외감과 배신감을 느꼈을 정도로 심각한 실패에 직면했다. 국제적으로 볼 때, PFA 정부의 대외정책은 러시아와 이란으로 하여금 등을 돌리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터키가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함에 따라 터키에 대한 교섭력도 약화시켰다. 이에 따라, PFA 이후에 집권한 헤이다르 알리예프는 아제르바이잔 정체성의 네 가지 요소(페르시아적인 정체성, 투르크적인 정체성, 러시아적인 정체성, 아제르바이잔적인 정체성)를 모두 활용하여 대외정책의 방향을 결정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historical-cultural sources of Azerbaijani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aspects of the Persian, the Turkish and the Russian influences, and to illuminate its complex characteristics. Then it will be examined the impact and consequences that the Azerbaijani identity exerted on its foreign policy. In the modern world, identities are formed and represented within a variety of shifting social,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nd discursive contexts. Such understandings can have exclusionary consequences, particularly in pluralistic environments. Since its independence, the PFA government resorted to the arguments of ethnic origin and Azerbaijan`s Turkishness to achieve its goals. Domestically, the failure of the ethnicity-based foreign policy was so great that even Azerbaijani Kurds, who under the Soviets had been virtually absorbed into the Azeri population, felt alienated and betrayed. Internationally, Azerbaijan turned Russia and Iran against itself and reduced bargaining power of Turkey since the latter grew increasingly concerned not to exacerbate its relations with Russia.

      • KCI등재

        한국어와 아제르바이잔어 합성명사 대조 연구

        마심리 레일라,박미숙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아제르바이잔어의 합성명사 구성 요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대조연구이다. 연구방법은 한국어 합성명사와 아제르바이잔어 합성명사 구성요소를 품사유형에 따라 대조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합성명사를 형성하는 품사는 아제르바이잔어보다 한국어가 훨씬 다양하다. 둘째, 합성어의 선행요소와 후행요소에 있어서는 한국어와 아제르바이잔어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어에는 부사와 명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가 많지만 아제르바이잔어는 부사와 잠재명사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합성어가 대부분이다. 넷째, 수사와 명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는 공통적으로 존재하지만 대명사와 명사, 부사와 부사의 합성어는 아제르바이잔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는 아제르바이잔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의 합성명사 형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의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zerbaijan syntactic components. For this purpose, the synthesized nouns of Korean and Azerbaijan languages were collated according to the parts-of-speech type. And the results, first, the parts of the compound nouns are more diverse than the Azerbaijan language. Second, Korean and Azerbaijan were different in the leading and trailing elements of compound words. Third, in Korean, there are many compound words composed of adverbs and nouns, but in Azerbaijan most of them are compound words made up of adverbs and a combination of nouns. Fourth, compound words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rhetoric and noun are common, and the compound words of pronoun and noun, adverb and adverb are rarely used in Azerbaijan language.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o help Azerbaijan students learning Korean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synthetic nouns in Korean and become basic data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