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

        신현숙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a) to examine the relations of optimism-pessimism,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b)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optimis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e.g., self-esteem, positive affect), and in the relation between pessim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e.g., depression, anxiety, negative affect). Paper-pencil questionnaires and self-report tests were administered to 534 high-school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al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a) bivariate relations of optimism, adaptive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were all significant; (b) relations between some pessimism measures and some maladaptive coping measures were significant; (c) relations between pessim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ere all significant; (d) except the relation between problem-denial/ignoring coping and anxiety, all the relations between maladaptive coping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SEM demonstrated that adaptive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hat maladaptive cop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ssim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Goodman(Ⅰ) tests reveal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both in the relation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in the relation between pessimism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ere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청소년의 낙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비관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대처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534명을 대상으로 삶의 지향성 검사, 청소년 대처 척도, 긍정적-부정적 정서 목록, 자아존중감 척도, Beck 우울 척도, 상태특성불안 검사 YZ형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상관분석과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낙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적 대처의 매개효과와 비관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대처의 매개효과의 유의도를 Goodman(Ⅰ)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상관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 적응적 대처, 심리적 적응의 측정변수 간 단순상관이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비관성 측정변수들 가운데 일부만이 일부 부적응적 대처 변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비관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모든 측정변수들이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문제부인과 불안의 상관을 제외한 모든 부적응적 대처와 심리적 부적응 측정변수 간 정적 상관도 유의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적응적 대처, 낙관성→심리적 적응, 적응적 대처→심리적 적응의 직접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둘째, 낙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적 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부분매개모형이 완전매개모형보다 경험적 자료에 더욱 적합한 모형으로 밝혀졌다. 셋째, 비관성→부적응적 대처, 비관성→심리적 부적응, 부적응적 대처→심리적 부적응의 직접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넷째, 비관성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대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완전매개모형에 비하여 부분매개모형이 보다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의 실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주혜원,배희분 한국가족관계학회 2020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51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ing data was interpr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Second,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verified to have mediating effect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confirmed. Conclusion: The finding hold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undergraduate students with corresponding complaints at the site of counseling, while they also work as useful reference in solving these problems.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그 경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통제척도, 대인관계문제척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514명의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과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대인관계문제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통해서도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중. 고등시기의 자녀와 다르지 않게 여전히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있는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의 발생과 유지에 기여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담현장에서 이러한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 내담자의 상담 시 환경적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 보다는 인지적 변인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개입하는 것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문제관계에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속화하거나 촉진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를 심화시키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이 높아지고, 높아진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성향은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높여 결과적으로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는 것과 성인형성기의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여전한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친밀감이 주요 과업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을 종합적으로 살펴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개인의 성격적 변인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인지적 변인이라 할 수 있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계를 거쳐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르는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의 대인관계문제를 상담현장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고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초기부적응도식과 장애학생 어머니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박춘희 ( Chun Hee Park ),이지연 ( Jee Yon Le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 어머니가 지각한 초기부적응도식과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장애학생의 어머니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도식과 양육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를,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도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초기부적응도식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는 높아지고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심리적 부적응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초기부적응도식이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부분매개 모형이 선택되었다. 즉 양육스트레스는 초기부적응도식과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초기부적응도식으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장애학생 어머니에게 양육스트레스가 작용하여 심리적으로 더욱 힘들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 부적응(대인예민성, 우울, 적대감, 불안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학생의 어머니에게 부정적인 심리와 우울한 감정을 변화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aladaptive schemas and parenting stress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mot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274 mothers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students and special school students in Incheon city region participated.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all the study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which means that as the mothers have greater maladaptive schemas, they tend to experience mor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ests of mediation effects revealed that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schema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assist mot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e substantial degree of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 psychological maladjustment.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강원희 ( Won Hee Kang ),유순화 ( Soon Hwa Yoo ),윤경미 ( Kyung Mi Y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남, 여 고등학교, 전문계 남녀공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347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과 정서적 돌봄이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이 있었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 신체증상, 위축의 변인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이 심리적 부적응과 가장 관계가 높았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화 경험에 노출된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해서 학생의 성별에 따라 적절하게 부모화 경험을 다룰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high school students(142 boys and 205 girls).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Second, unfairness of parentification and emotional caregiving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ignificantly, anxiety/depression, somatic complaints, and withdrawal were related to parentification significantly. Third,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counseling services must implement a program for treating cases of parentification in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화(Jiang, Hua),배은경(Bae, Eun-Ky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 · 전남 지역 거주에 거주하는 9-20세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종교가 없는 경우, 한국어능력을 낮게 인식할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적응유연성 수준이 낮을수록 심리적 부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이 완만하게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지만, 적응유연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와 차별스트레스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차별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유연성 변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적응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role of resilience as a moderator.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6 adolescents aged 9 to 20 years o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d no religion, the lower the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they perceived, the higher their levels of acculturation stress, the lower their levels of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y reported. Secon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other words, in the group of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resilience, as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gradually increased. However, in the group with low levels of resilience, as the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ramatically increased. Thir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stress (a subcategory of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ilience can be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lower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ven in an environment with a high level of stress from discri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상대평가와 고등학생의 심리적 적응 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전희정 ( Heejung Chun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상대평가 제도하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심리적 적응의 개인차를 가정하고 심리적 적응의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하여 심리적 적응유형에 따른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 성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부산에 거주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생 27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경쟁기반 학업의 심리적 경험 척도를 사용하여 심리적 적응양상을 측정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모형적합도 정보준거지수, 유의도 검증, 분류의 질 수치를 분석하여, 최종 4-계층 모형을 선정하였다. 각 집단을 부적응, 온건한 비교와 경쟁, 낮은 비교와 경쟁, 높은 비교와 경쟁 집단이라 명명하였다. 각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부적응 집단은 심리적 적응 요인과 친구관계, 주관적 안녕감, 성적에서 모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온건한 비교와 경쟁 집단은 건강한 적응을 나타내는 요인에서 양호하나, 부적응을 나타내는 요인들이 다소 상승한 모습이다. 낮은 비교와 경쟁 집단은 불편한 비교와 경쟁 그리고 부정적 자아상에 동의하지 않으며, 높은 수준의 자기집중을 보인다. 또한 가장 높은 수준의 주관적 안녕감을 보이며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이다. 높은 비교와 경쟁 집단은 긍·부정적 요인들이 혼합되어 있으며, 가장 높은 성적을 보이고, 자기효능감과 진로에 집중하는 정도는 높으나, 부적응 요인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연구 결과는 과반수의 학생은 비교적 양호한 심리적 적응을 보이고 있으나, 성적이 가장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심리적 위험 신호를 보이며,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약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t typ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relative evaluation environment. The participants were 287 students who attend in two general high schools in Pusan. The psychological aspects were measured using the Scale for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Competition-based Learning. In addition, friend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rade were measured as the outcome variable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yielded model fit information, model significance test, and entropy results. The four-class model was selected as the final. The following labels were given: maladjustment, moderate comparison and competition (MCC), low comparison and competition (LCC), and high comparison and competition (HCC) group. The maladjustment group showed high scores in those factors representing maladjustment. In addition, friend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cademic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MCC group showed favorable scores in the factors representing healthy adaptation, but slightly high scores in the factors representing maladjustment. The LCC group disagreed on the uncomfortable comparison/competition and negative self-image and exhibited a high level of self-focus. In additio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The HCC group demonstrate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and career focus along with high scores on the factors representing maladjustment. The HCC group had the highest score on grade. Taken together,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demonstrated fairly good adaptation features. However, the two groups that had either highest or lowest grade showed the risky sign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he need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암미,안도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parents' and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s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via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in Korean junior-high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802 junior-high school students (i.e., 422 males, 376 females, and 2 unidentified) in Seoul, Korea. Their average age was 13.83 years. Measures of parents' psychological environment,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were administered.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between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participants supported that parents'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had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via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teac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o improv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chool adjustment, parents and teachers should provide positive psychological environments to student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in school setting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이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 적응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리고 학교 적응에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과 심리적 안녕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 7개 중학교의 재학생 총 802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은 부모 및 교사의 심리적 환경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심리적 환경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거쳐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교사가 제공하는 심리적 환경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은 물론 이들의 원만한 학교적응을 도모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가정과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보다 긍정적인 심리적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해 세심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인 이민 1.5세대 청소년의 민족정체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인옥(Jang, Inok),김현아(Kim, Hyun-Ah)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인 이민 1.5세대 청소년의 민족정체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적응(삶의 만족, 불안, 우울, 위기 및 일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에서 17세 사이에 캐나다에 부모를 따라 이민 온 한국인 이민 1.5세대 청소년 150명으로 현재 나이 만 15세에서 24세 이하 평균 연령은 19.2세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11월-2013년 1월까지였고, 연구도구는 Diener 등(1985)의 삶의 만족 척도, Bean 등(2007)의 HSCL-37, Phinney(1992)의 민족정체성 척도, Fuertes와 Westbrooks(1996)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민족정체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순서대로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적 적응의 중요한 예측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한국인 이민 1.5세대 청소년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적 요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였다.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적 요인과 태도적 요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였다. 그 외 우울, 위기 및 일탈행동, HSCL-37 전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가족적 요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인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민족정체성은 심리적 적응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족적 요인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한국인 이민 1.5세대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예측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가 검토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ethnic identity and acculturative stress of 1.5-generation,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living in Canada upon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satisfaction with life, anxiety,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consisted of 15-to 24-year-old Korean immigrant adolescents who had moved to Canada with their parents at the ages of between 5 and 17. A total of 150 samples(M = 19.2)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mean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high familial stress?one of the sub-fa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social, attitudinal, familial, and environmental stress)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for low life satisfaction levels, 2) high familial and attitudinal stress were two significant predictors for high anxiety levels, and 3) familial stres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high levels of depression, externalizing behavior, and overall HSCL-37.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ethnic identity does not have an influence upon any of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 감성지능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심선숙(Sim Sun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COVID-19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 감성지능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방법 W시에 소재한 4년제 간호대학 2학년 168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1일부터 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ANOVA와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으로 하였다. 결과 간호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은 0.88점, 감성지능은 5.35점, 대학생활 적응은 3.57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심리적 건강과 대학생활적응은 부적상관관계(r=-.613, p<.001), 사회심리적 건강과 감성지능은 부적상관관계(r=-.631, p<.001), 감성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상관관계(r=.669, p<.001)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COVID-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확대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생활적응 향상을 위해 다양한 동아리 활동 활성화를 통한 감성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social well-being, emotional intelligence,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OVID-19 situ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April 1 to 5, 2021 on 168 nursing students. Fo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23.0 program using real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and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In this study, the psychosocial well-being score of the nursing students was 0.88, emotional intelligence 5.35, college life adjustment 3.57.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showed that psychosocial well-being and college life adjustment had negaitive correlation (r=.-613, p<.001); psychosocial well-be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r=.-631, p<.001);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llege life adjustment (r=.669, p<.001) had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s will be expanded by activating various club activities to improve college life adjustment, recognizing the importance and expansion of the curriculum to raise the psychosocial well-being level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OVID-19 situation.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방희성 ( Bang Hee-sung ),이영애 ( Lee Young-a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8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종 6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1,001개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Excel 2013과 CMA 2.0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변인 전체 간의 상관관계 효과크기는 .297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심리적 적응 변인 간 효과크기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적응변인 간의 효과크기에서는 학교적응의 상관관계 효과크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학령기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의 각 하위변인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부적응에 대한 개입 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prehensively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by means of meta-analysis. A total of 62 research studies were sampled. From these studies, 1,001 effect sizes were correlated. CAM 2.0 and Excel 2013 were used to code and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effect size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was .289. It was a mid-range effect size. Second, o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observ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s. On the correlation effect size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djustment in school aged children, school adjustment was higher than the others. To sum up,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ppears to be related to various aspect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maladjustment amongst school aged children. This suggests tha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s a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or intervention of child maladjustment.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urther work in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