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신지연(Shin Ji-Yeo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겪는 생활스트레스를 낮추고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스트레스가 적응에 이르는 구조를 탐색하였다. 이에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파악하여 스트레스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변인인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환경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7개 시․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51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19.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LISER8을 사용한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고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이르는 모형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처방식, 사회적지지는 생활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적응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고 부적응을 조력할 수 있는 매개변인의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여 예방 및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the effect of the parameters of ego-resilience and coping strategy, social support in the context of adaptation to life stress and on adjustment in college lif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to life stress and on adjustment in college life, and to deal with negative stress and positive stress management and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is, how can the role of the parameters? For this reason, we conducted a survey of 510 students from four-year college, located in seven cities. For the analysis of data, basic statistical analyzes were performed by using of SPSS 19.0,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 through the covariance structure model were performed by using of LISREL 8, and the fitness was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stress and on adjustment in college life, ego-resilience and positive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has been found to act as a parameter. Therefore, for counseling students unable to adapt to college life, we have to focus not only the strategy to reduce college stressors but also ego resilience due to high stress of college life, and positive coping strategies, even the reduction of social support.

      • KCI등재

        디스트레스(Distress)에 대한 개념분석

        권영은,전윤화,이경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According to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alth mean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not merely disease-free or fragile. Among the elements that violate well-being status, Desstress is used as a sub-concept of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is confined to psychological distress. In nursing, it is mainly used as a negative concept related to stress on cancer patients. Thus,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in nursing practice by clarifying the clear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detress, which is understood in many senses according to a vague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Walker and Avant conceptual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unpleasant feelings, 2) Negative consequences of various aspects, 3) Stress recognized by subjective symptoms, 4) Condition that the necessity of treatment is accepted. Distress, as seen by the above attributes, is an unpleasant emotion that results in negative consequences due to perceived stress from various aspects, and can be defined as being medically acceptable. Prerequisites for the stress are physical problems such as fatigue and pain, Emotional proble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loss of self-esteem, spiritual and religious problems, social prejudice, family conflict, etc. were identified as social, family problems and everyday problems. Consequences were poor quality of life, negative disease prognosis, psychiatric problems, and waste of time and money.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distress provides the rationale for nursing practice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cale for distress intervention. 건강이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것만이 아닌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안녕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안녕상태를 침해하는 요소 중 디스트레스는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국한되어 우울, 불안 등의 하위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간호학에서는 주로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관련한 부정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스트레스에 대한 개념 확립이 불명확하고 주관적인 해석에 따라 여러 의미로 이해되고 있는 디스트레스 개념의 명확한 속성 규명을 통하여 간호 실무에서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Walker & Avant(2005)의 개념분석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고, 디스트레스의 속성은 4가지로 유쾌하지 못한 감정, 다양한 측면의 부정적 결과, 자각증상으로 인지되는 스트레스, 치료의 필요성이 수용되는 상태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속성을 통해 살펴본 디스트레스는 다양한 측면에서 인지하게 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유쾌하지 않은 감정이며, 치료적으로 수용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디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요인은 피로, 통증과 같은 신체적 문제, 불안, 우울, 자존감 상실 등의 정서적 문제, 영적․종교적 문제, 사회적 편견, 가족갈등 등의 사회적, 가족문제, 일상생활 문제로 파악되었다. 그 결과는 삶의 질 저하, 부정적 질병의 예후, 정신과적 문제, 시간 및 비용의 낭비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디스트레스 개념이 간호 실무에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디스트레스 중재를 위한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정유진(Yu-Jin Jeong),고진강(Chin-Kang Koh)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총 88부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성격특성 중 신경증(r=.356, p=.001)과 스트레스 대처방식(r=.285, p=.007)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신경증(β=.31)은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고, 그 다음이 소극적 대처방식(β=.27)이었다. 이 변수들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18%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이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성격특성 및 대처방식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sonality and coping behavi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which was experienced at clinical practi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the convenience sample of 88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1 to 31, 2016.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version 23.0. The mean score for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1.43±0.62, and the score for student domain (1.73±0.96) was the highest i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neuroticism had positive correlation (r=.356, p=.001) with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Coping behavior (r=.285, p=.007) and passive coping behavior (r=.327, p=.002) also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The significant major predictor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were neuroticism (β=.31) and passive coping behavior (β=.27). The explained variances for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18%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development of a program on enhancing personality and coping behavior to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is needed.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무용성취

        구미나 ( Mi Na Ku ),홍미성 ( Mi Sung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3

        이 연구에서는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무용성취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서울특별시 2개, 경기도 3개, 강원도 1개, 충청남도 1개 지역에 소재한 7개의 예술 고등학교를 선정하여 3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이용된 인원은 278명이었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사와의관계, 학업, 체격, 개인심리, 경쟁스트레스와 인지적우울이 높다. 또한 2학년이 1학년 보다 교사와의관계, 학업, 체격, 개인심리, 경쟁스트레스가 높았으며, 3학년이 1학년보다 동기적우울이 높다. 발레가 현대무용보다 학업스트레스가 높았으며, 한국무용은 현대무용보다 실기스트레스가 높았다. 또한 발레는 한국무용보다 건강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은 5년이상~7년미만이 1년미만보다 학업, 체격, 개인심리, 경쟁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년이상~3년미만이 1년미만보다 정서적우울, 인지적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7년이상이 1년미만보다 실기능력성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사와의관계, 건강,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서적 우울은 높고 교사와의관계, 학업, 체격,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인지적 우울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해능력성취는 낮고, 실기와 개인심리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실기능력성취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술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적우울이 높을수록 무용성취는 낮고, 동기적우울이 높을수록 무용성취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의 실기스트레스와 개인심리 스트레스는 실기능력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에도 영향을 미쳐 무용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무용성취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of dance majors of arts high school. To achieve study purpose, sample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sampling. 300 dance majors were sampled from whole 7 arts high schools in four areas; two from Seoul, three from Gyeonggi-do, one from Gangwon-do, one from Chungcheongnam-do, and, 278 samples were analysed finally. Questionnaires were used as survey instrument, and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sed by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multiple regression. Through that proces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dancer majors of arts high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Female students had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study, physique, individual psychology, competition stress, and perceptional depression than male ones. According to school years, second year students had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study, physique, individual psychology, and competition stress than first year ones, and, third year students had higher motivational depression than first year ones. By Major, ballet had higher study stress than modern dance, and, Korean dance had higher performance stress than modern dance. And, ballet had higher fitness stress than Korean dance. By careers, over 5 years to under 7 had higher study stress, physique stress,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and competition stress than under 1 year, and, over 2 years to under 3 had higher emotional depression and perceptional depression than under 1 year. And, over 7 years to had higher achie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than under 1 year. Second, the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fitness, and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were, the higher emotional depression became, and, the higher relationship with teacher, study, physique, and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were, the higher perceptional depression became. Third, the higher individual psychological stress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got, the lower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bility became, and, the more individual psychology stress got, the lower achie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became. Forth, the higher perceptional depression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were, the lower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ability became, and, the higher motivational depression was, the higher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and performance ability became. Fifth, as results of investigation on causal relationships among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stresses of performance and individual psychology had direct effects on achie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and, it could be said that had indirec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because they had effect on depression. Thus, stress, depression, and dance achievement of students of arts high school had causal relationships.

      • KCI등재후보

        Different Perspectives of Stress Theory and Its Application for Studying Role Changes in Older Adults

        김미령(Mee ryoung Kim)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이론의 차이점을 스트레스 과정론(stress process)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사회적 관점의 스트레스이론과 심리적 관점의 스트레스이론의 대표적인 차이는 스트레스원(stressors)과 스트레스의 매개변수(mediators)다. 사회적 스트레스이론의 대표적인 특성은 사회적인 여러 상황을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또는 스트레스의 매개변수로 본다. 사회적 스트레스이론은 역할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인 역할긴장에 영향을 주는 상황적인 여러 요건들, 즉 연령, 성별, 사회계층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 시켜주는 매개체로 사회적 지지와 극복자원을 중요한 요소로 본다. 반면에 스트레스이론의 심리적 접근은 외부의 상황이 어떠하던지 간에 개인이 외부의 요구를 자신이 갖고있는 자원과 비교하여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서 같은 사건을 놓고도 개인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심리적 스트레스이론의 중요한 점은 개인의 평가나 감정의 성향인 신념, 태도, 동기 등이나 개인이 상황을 어떻게 인지하고 해석하느냐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심리적 스트레스는 개인의 인지과정이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중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이다. 학자의 관심영역에 따라서 사용하는 이론이 다양하겠지만 노인의 역할변화(role change)로 인한 역할긴장(role strain)은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다. 인간이 사회환경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고 이러한 역할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사회적 상황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회적인 스트레스이론에 근거하여 역할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의 해소방안을 사용할 때 효과적인 스트레스의 분석과 해소가 가능하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인 스트레스이론과 심리적인 스트레스이론을 상호배타적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In this paper,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stress theory, specifically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are compar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older adults' role changes, these perspectives a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four domains of the stress process-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stress; the stressors; the mediators of stress; and the outcomes or manifestations of st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stress lies in what they regard as sources of stress and mediators of stress. Sociological theoris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both as a source and as a mediator of stress. Also, they emphasize role strains as important sources of stress.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stress theorists emphasize predispositions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individuals' cognitive appraisals or how people perceive and interpret a situ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every theory has its limitations, the sociological stress model may be more appropriate for studying the stress of role change in older adults because role strains are directly related to social context. However, th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ories cannot be treated as mutually exclusive.

      • KCI등재

        직무 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Ⅰ) :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이동수,김지혜,한우상,우종민,강동우,고영건,연병길,김이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하게 직무 스트레스(job stress)를 측정하고자 Osipow와 Spokane(1992)의 이론적 모형에 기초한 직무 스트레스 검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방 법 : Osipow와 Spokane(1992)의 이론에 근거하여 한국판 직무 스트레스 검사(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를 제작하였다. 문항분석을 거쳐 최종적으로 직무 역할(Occupational Role Questionnaire ; ORQ), 개인적 긴장(Personal Strain Questionnaire ; PSQ), 개인적 자원〕(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 PRQ) 등 세 가지 하위 영역의 총 140문항으로 검사를 구성하였다. 한국직업사전의 직업분류에 기초하여 총 7개 직종군의 805명(남성 76.5%, 여성 23.5%)에게 검사를 시행한 뒤 직무 스트레스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1) 직무 스트레스 검사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에서 직무 역할(ORQ), 개인적 긴장(PSQ), 개인적 자원(PRQ) 각 하위 영역에 대해서는 .89∼.92 14개 하위 척도에 대해서는 .70∼.88의 높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계수 α를 얻을 수 있었다. 8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을 때의 신뢰도 계수는 .62∼.79였으며, 2개 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판 검사와 영어판 검사를 모두 실시하였을 때의 상관 계수는 .82∼.96으로 나타나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2) 타당도 분석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직무 스트레스의 수준은 대처 자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γ=-.29)를 나타냈고,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γ=.69)를 나타냈으며, 개인의 대처 자원은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γ=-.40). 전체 직무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인 스트레스 요인과 그에 따른 반응,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대처기술,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신체적, 행동적 반응 등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됨으로써, 이론적 모형에 따른 구성타당도가 입증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는 그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됨으로써,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향후 직무 스트레스의 구체적 원인과 그 대처방법을 규명하고 나아가 직무 스트레스와 각종 정신적 신체적 질환의 관련성을 과학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해 고통받는 일반 직장인 및 환자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our newly constructed job stress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K-OSI). Methods : Through preliminary item-analysis, we constructed 140 items of the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K-OSI). K-OSI consists of three subscales measuring three sections, 'ORQ'(Occupational Role Questionnaire), 'PSQ'(Personal Strain Questionnaire), and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respectively. The normative group consisted of 805 adult workers who represented six major job classes in Korea. Results :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ORQ', 'PSQ', and 'PRQ' ranged from .89 to .92, and of those 14 subscales ranged from .70 to .88.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of 8 week duration ranged from .62 to .79, and bilingual's consistency coefficient ranged from .82 to .96. The validity of the K-OSI was investigated by factor-analysis, yielding 3 factors of overall job stress and its responses, personal stress coping, psychological, phys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of job stress. Conclusion :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K-OSI i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job stress.

      • KCI등재

        제주지역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혜숙 ( Han Hye-suk ),남진열 ( Nam Chin-yeol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3

        본 연구는 중학교, 일반고등학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의 차이와 영향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중·고등학생 남녀 7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689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전반적인 스트레스 지각은 중학교에 비해 일반고와 특성화고 등학교가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적응은 일반고등학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유형별 모두 스트레스 요인 중 학교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극적 대처방식인 문제중심적 대처는 학교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사회적지지 추구는 학교, 가정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학교스트레스 감소가 필요하며, 스트레스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방식을 사용하면 스트레스와 학교적응간의 관계를 조절하여 학교적응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냈다. This study discovers the differences and influences among a stress factor, a way of handling stress, and a skill to adjust at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tress coping skills in the relationships. A total number of 7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689 were collected and analyzed. SPSS 18.0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overall stress perception, high school and characterization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did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response-rate than others regarding stress coping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Secondly, all students presented that school stress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hen it comes to school adjustment and stress coping skills are related positively with problem-centered management and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s. Thirdly, as an active management, a problem-centered approach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also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t home and school and adjustment at school. In conclusion, this study resulted that reducing stress at school is needed for enhanced school adjustment and active management skills are helpful for school adjustment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djustment at school.

      • KCI등재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Kyung-Hyun Suh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362명(여: 183)이었고, 그들의 연령은 17세에서 33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평균연령은 20.08 (SD=2.45)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부정/긍정 정서, 삶의 동기 및 삶의 기대를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독립적으로 자아탄력성은 생활스트레스보다 주관적 웰빙의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하고 있었는데, 생활 스트레스에 더해 주관적 웰빙을 예언하는 자아탄력성의 추가적 설명량도 유의하였다. 한편,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지만,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대학생이 적게 경험하는 대학생보다 삶의 기대 수준이 낮았는데, 이는 약한 자아탄력성을 가진 대학생들에게서만 유의했다.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의 자아탄력성의 완충작용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26 college students (183 females) living in Seoul and suburb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3, and average was 20.08 (SD=2.45).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life stresses, ego-resilience,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negative/positive emotion, lif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raditional variables of well-being. Ego-resilience accounted independently more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life stress, and additional accountability of ego-resilience for variances of subjective well-being variables with life stress was significant as well. Although it was failed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traditional variables of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life expectancy was found. Students in stressful circumstances had significant lower level of life expectancy than those in less stressful circumstance. But this was only for students with lower ego-resilience. The present study reiterates roles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suggests buffer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Korean J Str Res 2009;17:379∼387)

      • KCI등재

        장애자녀의 일반 초등학교 입학 초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

        장성하,박승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stress factor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transited into the first grade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to rank stress factor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stress levels based on children's variables and mothers' variables. A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A total of 118 mothers' responses to the survey with 24 items was factor analyzed and was analyzed via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 hoc test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Six stress factors were generated and named as followings: factorⅠ, general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s; factorⅡ, problems related to children's basic abilities; factorⅢ, relationships with mothers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factorⅣ,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titudes and expertise; factorⅤ, increased parenting-burden; and factorⅥ, problems related to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levels of stress depending upon children's variables(types and severity of disabilit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hers' levels of stress depending upon mothers' variables(religion and job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d some suggestions to reduce stress of mothers of children who transited into the first grade of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and to improv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Finally, discussion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nd administrative supports were delinea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의 일반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은 무엇이고, 각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 정도는 어떠하며, 자녀 변인(장애유형, 장애정도)과 어머니 변인(직업유형, 종교유무)에 따라 스트레스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2009년 1학기 초에 서울 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입급된 1학년 장애자녀를 둔 118명의 어머니의 질문지 응답이 요인 분석되었다. 그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6개가 추출되었고 각 하위 요인별 스트레스 정도가 산출되었다. 어머니들은 Ⅱ요인 ‘자녀의 기본능력과 관련된 문제’, Ⅴ요인 ‘가중된 양육부담감’, Ⅵ요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문제’에서 보통(3점)이상의 스트레스를 느꼈고, Ⅰ요인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태도’, Ⅲ요인 ‘일반아동 부모와의 관계’, Ⅵ요인 ’특수교사의 태도 및 전문성’ 에서는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지 않았다. Ⅳ요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문제’가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요인이었다. 자녀 변인 중,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서는 자폐성장애 아동 어머니가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고 있었으며,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자녀의 장애가 심한 어머니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다. 어머니 변인은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통합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한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세심한 지원과 장애아동의 초등학교로의 성공적 전환과 입학 초기의 학교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 실시의 필요성을 지적하였고 그를 지원할 후속연구들과 제도적 방안 마련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