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사회과 지리영역에서 도시 관련 내용에 대한 다중스케일적 수업 적용 방안 모색

        이동민 ( Dong-min Lee ),권은주 ( Eunju Kwon ),최재영 ( Jae Yung Choi ) 한국지리학회 2016 한국지리학회지 Vol.5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 지리영역에서 도시 관련 내용에 대한 다중스케일적 수업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도시는 다양한 기능과 경관이 복합적인 패턴을 이루며 구성되는 공간이라는 점에서, 한 가지 스케일의 단편적인 이미지로 고착하여 이해하는 대신 `다중스케일적 공간`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의 생활 무대인 동시에 다수의 초등학생들의 일상생활과도 관련되는 공간이기에, 도시 공간의 다중스케일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교육적으로 큰 의미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를 주제로 한 다중스케일적 학습활동을 구성해 보았다. 이 사례에서는 서울에 대하여 `인구가 많은 도시`,`한국에서 가장 큰 도시` 라는 `지역인식의 단일스케일적 고착`에서 벗어나 스케일에 따른 다양한 인구 분포 및 이에 따른 스케일 간의 경관, 기능 차이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이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을 다중스케일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시도가 실제수업에서 활용 될 수 있다면, 학생들이 도시 공간, 나아가 자신들의 삶의 터전이자 맥락이 될 다양한 장소, 공간, 지역 등을 보다 다중스케일적이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the use of a multi-scalar approach to primary geography class focusing on urban contents. A city is a space with complex spatial pattern consisting of diverse functions and landscapes. Therefore, it needs to be approached as a multi-spatial space rather than as a fragmentary image fixed by a single-scalar recognition. The multi-scalar approach on urban space has particular educational importance because a city has a spatial context where children, including primary students, live and grow.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multi-scalar instructional method of primary geography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instructional method focused on overcoming the fixation of a regional recognition by a single scale, such as “Seoul is a crowded city” or “Seoul is the largest city in South Korea.” A multi-scalar regional learning activity was developed to cultivat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calar diversity of landscapes, population, and functions in Seoul, the capital of Korea. This attempt is expected to improve primary geography education, which can encourage primary students` mor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scalar spaces, places, and regions where they live, act, and grow.

      • KCI등재후보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에 나타난 공간스케일의 유형

        이지선,Lee Ji S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글로벌교육연구 Vol.7 No.2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는 다른 조직이나 집단에 비해 지속성, 광범위성, 제도화 및 영향력을 지닌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51개의 유네 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공간스케일 유형은 4개의 기본 스케일과 11개의 연계 스케일 유형이다. 공간스케일 유형의 빈도를 분 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스케일 유형(69.6%)이 기본스케일 유형 (30.4%)에 비해 많이 나타난 것은 개별 공간스케일 중심 활동보다 여러 공간스케 일에서 활동이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둘째, 기본스케일 유형 중 글로벌 스케일 (9.5%) 국지적, 지역적 스케일 유형(각각 7.6%), 인터내셔널 스케일(5.7%)이 나타난 것은 교육 내용이 공정무역, 빈곤감소, 평화, 인권 등 글로벌 수준에서 구성 되어있으며, 내 주변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지역개발을 위한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을 실시함에 기인한다. 셋째, 연계스케일 유형 중 국지(지역)-글로벌 연 계 스케일이 36.3% 나타난 것은 지구공동체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을 지향 하는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공식프로젝트의 교육 내용이 글로벌 차원에서 계 획되었으며 지구공동체의 문제를 나의 문제로 인식하고 주변에서부터 실천하는 프 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Korea UNESCO ESD Official Project sustainability compared to other official organizations and groups and has a wide range of gender, institutionalization and influence. 2011-2014 a total of 51 Korea UNESCO ESD Official Project present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patial scale type of formal education projects are 4 basic types of scale and 11 connection types of scale. First, connection types of scale (69.6%) appeared more than basic types of scale (30.4%) refers to the activities in various space scales than the individual scale space center activities. Second, In basic types of scale the global scale (9.5%), local and regional scale type (7.6%), international scale (5.7%) appears this curriculum is composed in fair trade, poverty reduction, peace, human rights and global levels which is due in solving the problems around me, and carried out various action programs for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ird, regional (local) - global connection types of scale of education represented 36.3% of the contents of Korea UNESCO ESD Official Project orient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global community was planned at the global level in the global community. It is aware of the problem to my problems and found that contains the program to action from the surrounding.

      • KCI등재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지리교육적 의의와 가능성 -초등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에서의 지역 인식 문제를 중심으로-

        이동민 ( Dong Min Lee ),최재영 ( Jae Yung Cho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지리교육에서 균형 잡힌 지역 인식 함양을 위한 다중스케일적 접근 방안을 탐색 및 제시하는 데 있다. 다중스케일적 접근은 지역을 다양한 스케일들이 다층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이루어지는 공간 단위로 파악하려는 지리적 관점으로, 지리교육에 있어 지역 인식의 단일스케일적 고착 문제, 즉 특정 스케일에 고착되어 지역을 인식하는 문제에서 벗어나게 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역 인식의 기초가 이루어지는 초등지리교육에 이와 같은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적용은 그 의미가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지리학적, 지리교육적 의미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중스케일적 지역학습 활동을 실제적으로 구성해보았다. 학습 활동 구성에 있어 다중스케일적 접근이 학생들이 가진 기존의 단일스케일적 인식에 인지부조화를 유발하여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다중스케일적 지역학습 활동의 구체적인 실례로 아프리카의 기후를 주제로 한 학습활동을 개발하여, 아프리카가 대륙 스케일에서 열대 및 건조기후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스케일에서 여러 기후 패턴을 관찰할 수 있는 지역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지리교육에서 이와 같은 다중스케일적 접근이 지속되고 정착될 수 있다면,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균형 잡힌 인식과 이해를 함양한다는 지리교육의 목표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uggest multiscalar approach to primary geography education in order to build balanced region recognition. Multiscalar approach is a geographical frame of recognition that regards a region as a spatial unit which consists of diverse and multi-level scales, which is expected to break out of the problem of the fixed region recognition of a single scale that is, the problem of recognizing regions fixed to a certain scale in geography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highly significant to apply multiscalar approach to primary geography education, where they lay the foundation of region recogni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geographical and pedagogical meanings of multiscalar approach, and based on them, composes actual regional learning activities of multiscalar approach. This learning activity is designed to induce cognitive dissonance from the conflict between students’ recognition of a single scale and multiscalar approach to a region, for effective learning. By presenting practical examples of multiscalar regional learning activities on African climate patterns, this study tries to find a solution for students to overcome a fixed idea on Africa as a continent of the only tropical and dry climates and recognize the region where they can observe diverse climate patterns on various scales. To continue applying and sustaining multiscalar approach to geography education can contribute to achievement of the goal of geography education: to build balanced region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n various regions in the world.

      • KCI우수등재

        The Politics of Scale: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Korean Housing Politics

        Yeon-Taek Ryu(류연택)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는 한국 주택정치에서의‘지리적 스케일의 사회적ㆍ정치적 구성(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을 분석하였다. 최근 미국 및 유럽에서 도시지리학을 포함한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관심을 끌고 있는 주제 중 하나는‘지리적 스케일의 사회적ㆍ정치적 구성(또는 생산)’이다. 이에 관한 논의의 출발점은 바로 공간적 스케일은 존재론적으로 미리 주어지거나 고정되어 있다기 보다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정치적인 경쟁의 대상물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다. ‘스케일의 정치(politics of scale)’ 또는‘지리적(공간적) 스케일의 사회적ㆍ정치적 구성(생산)’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운동(social movement)에서 서로 다른 공간적 스케일이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접목되었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스케일의 정치’관련 논문들은 사회운동에서의 스케일의 역할을‘스케일 상승(up-scaling)’또는‘정치적 행동의 스케일(scales of activism)’위주로 논의하였다. 반면에 풀뿌리 시민사회운동에서의 스케일의 역할 연구라는 특성으로 인해‘스케일 하강(down-scaling)’또는‘규제의 스케일(scales of regulation)’논의는 미약하다. 한편, ‘스케일의 정치’논의는 스케일의 이용을 통한 소수정치세력 및 사회소외층의 정치적ㆍ사회적‘임파워먼트(empowerment)’과정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하지만, 기존의‘스케일의 정치’와 관련해서 어떻게 스케일이 (특히‘스케일 하강’이) 무특권 사회집단을 소외하고 배제시키는지에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공간의 생산 및 재생산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한국 정부는 주택시장 관리 체제 및 제도 하에서‘스케일 도약(jumping scales)’구체적으로‘스케일 하강’을 통해 여러 지리적 스케일에서의 주택 공간 생산 및 재생산에 대한 헤게모니를 가지게 되었다. 한국 정부는 주택 개발에 대한 다스케일적(multiscalar) 정책을 사용함과 동시에 중앙 정부, 지방 자치단체, 정부 산하 주택 관련 기관, 그리고 한국 다국적 기업(재벌) 간의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네트워킹을 통해‘스케일 도약’능력을 점점 더 획득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지리적 스케일은 분석의 공간 단위 또는 범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지리적 스케일은 사회적 내포(social inclusion),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정당화(legitimation)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연대할 또는 배제할 기관 또는 조직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조직 네트워킹시의 공간적 스케일의 선택과 범위의 결정을 수반하며, 이는‘정치의 스케일 공간성(scale spatiality of politics)’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다양한 형태의‘규제의 스케일’을 전개해 온 한국 정부는 정부의 주택 개발 논리의 정당화를 위해 재벌, 고소득층, 중산층을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시켰으나, 국지적 스케일에서의 서민 조직들과 사회소외계층을 의사결정 과정으로부터 제외시켰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in conjunction with Korean housing politics. Recently, attention has been drawn to the issue of the social and political construction of geographical scale. Spatial scales have increasingly been regarded as socially constructed and politically contested rather than ontologically pregiven or fixed. The scale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to how different spatial scales can be used or articulated in social movements, with an emphasis on ‘up-scaling’ and ‘scales of activism’ rather than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 Furthermore, the scale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aspect of empowerment. However, it is worthwhile to examine how scale ? especially ‘down-scaling’ and ‘scales of regulation’ ? can be used not only for marginalizing or excluding unprivileged social groups, but also for controlling the (re)production of space, including housing space. Under a regulatory regime,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gained more control over the (re)production of housing space at geographical multi-scales by means of ‘jumping scales,’ specifically ‘down-scaling.’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increasingly obtained the capacity to ‘jump scales’ by using not only multiscalar strategies for housing developments, but also taking advantage of various scales of institutional networking amo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Chaebols, across the state. Traditionally, scale has been regarded as an analytical spatial unit or category. However, scale can be seen as means of inclusion (and exclusion) and legitimation. Choosing institutions to include or exclude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choices and range of spatial scale, and is closely connected to ‘scale spatiality of politics.’ Facilitating different forms of ‘scales of regulation,’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ncluded Chaebols and upper- and middle-income groups for the legitimization of housing projects, but excluded local-scale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unprivileged social groups as decision-makers.

      • KCI등재

        지명의 스케일 정치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0 문화 역사 지리 Vol.22 No.2

        지명 영역은 사회적 주체들이 실천하는 권력관계에 의해 끊임없이 경합되고 변동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지명 영역의 특성은 권력을 동반한 지명 영역의 확대와 축소에 주목하게 하며 자연스럽게 사회적, 정치적 구성물로서의 스케일과 스케일 정치 개념을 떠오르게 한다. 지명을 매개로 한 영역 경합의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스케일 정치가 작동한다고 판단한 필자는 지명 영역의 스케일이 사회적이고 정치적으로 구축되는 과정과 특정한 사회적 주체들이 자신들의 의도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그들이 지지하는 지명의 영역을 확대시키거나, 동시에 타자의 지명 영역을 잠식하여 그 스케일을 축소시키는 스케일 정치의 과정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주체가 권력관계를 통하여 특정한 지명 영역을 인위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과정이 담긴 스케일 하강과 상승 지명을 공주목 진관 지명을 사례로 분류할 수 있었고, 권력관계에 의해 지명 영역이 스케일 상승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면 지명, 읍 지명, 군현 지명이라는 세 개의 지명 영역 층위에서 확인하였다. 이 지명들의 스케일 상승 과정에는 해당 지명 영역에 거주하던 당시 일본인 거류민과 일부 조선인 유지 집단, 그리고 해당 촌락이 소유한 행정적, 경제적 중심성이 일정한 권력관계로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olitics of scale generally works on the processes of territorial contestation over place names. The contestation between place names represented and appropriated by social subjects is involved in the processes obtaining boundaries and territories in a definite geographical scale, while enlarging their territories of place names. These processes are just to construct the scale politically and socially. Furthermore, these are the processes regarding the politics of scale that specific social subjects intend to shrink and enlarge the existing scales, or generating new scales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themselves. Therefore, these processes can be analyzed by the the view-point the politics of scale implying scalar strategies, such as scaling down and scaling up. Consequently, there are the place names of enlarged territory called the place names of scaling up, and the place names of shrunk territory, i.e. the place names of scaling down accompanied by reorganizing administrative districts. Then I have performed some case studies on scaling up of place names?territory related to the territorialization of place names through the power relations. Especially, the power relations of Japanese residents, some Korean dominant groups, and central functions of specific villag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influence on the processes of territorialization.

      • 달크로즈 스케일을 적용한 초급 바이올린 연주자를 위한 효과적인 스케일 연습 방안 연구

        신은희 한국달크로즈학회 2015 한국달크로즈저널 Vol.- No.24

        유리드믹스 그리고 즉흥연주와 함께 달크로즈 교수법의 3대 주요 영역 중 하나인 달크로즈의 솔페즈는 그 자체로도 뛰어난 교수법이지만 그것을 적용함에 있어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기존의 어떤 솔페즈 방법들과도 견줄 수 없는 고유한 교수법이다. 그 중에서도 달크로즈가 그의 학생들에게 솔페즈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 고안해 낸 달크로즈 스케일은 방법의 창의성과 그것을 적용함으로써 얻는 실제적인 음악적 발전을 생각할 때 달크로즈 솔페즈에 있어 가장 결정적이고 획기적인 교수법의 도구라고 할 수 있다. 현악기는 다른 악기들과 달리 연주자에 의해 음의 정확도가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며 달크로즈 스케일을 적용하여 바이올린 현 위에서의 반음과 온음을 내리고 올리는 원리를 통해 플랫 세 개와 샤프 세 개까지의 스케일을 정확하게 연주 하는 것을 목표로 8주간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달크로즈스케일의 체계적인 원리들은 초급 바이올린 연주자들의 스케일 연습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달크로즈스케일을 활용한 스케일연습의 구체적인 적용 과정과 그 결과를 담고 있다. Dalcroze solfège,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Dalcroze method with its eurhythmics and improvisation, is a truly unique pedagogical method. It is an excellent pedagogical system and has unlimited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 Dalcroze devised the Dalcroze scale system to effectively teach his students solfège. It is the most decisive and innovative pedagogical tool for solfège as evidenced by the real improvements that students achieved achieve after being trained in the scale system. In this study, I applied the Dalcroze scale practice. The students used Suzuki 2 and Hohmann 1 as their main text books. Precise pitches of the violin depend on the pitches that violin players’ fingers make. Therefore I sought to show that the Dalcroze scale would be very helpful in their practice because of its focus on half steps and whole steps. My students and I aimed to accurately play scales and hymns with at least three flats or three sharps, after practicing scales with the Dalcroze scale system. In this paper, I analyzed some of the results that I obtained after applying the Dalcroze scale, a systematic and effective system, to scale practices for violins.

      • KCI등재

        해수담수화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오염에 대한 스케일 억제제 효과 연구

        강남욱(Nam Wook Kang),이석헌(Seock Heon Lee),권지향(Ji Hyang Kweon) 大韓環境工學會 2011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3 No.9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 스케일은 주로 산을 주입하거나 혹은 스케일억제제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고분자 형태의 스케일 억제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성상의 스케일 억제제 세개를 선택하여 CaCO₃ 무기질 오염에 대한 제어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가 1.43, 2.5 및 5일 때 Spectra Guard를 사용하여 회수율, 즉 농축계수에 따른 제어능을 비교하였고 농축계수가 2.5일 때 SHMP, Spectra Guard, Flocon 150 N을 사용하여 억제제별 제어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축계수별 제어능 실험은 농축계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필요로 하였으며, 필요량은 농축계수 5의 범위까지 거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계값보다 적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주입했을 경우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스케일이 형성 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세 종류의 스케일 억제제는 모두 스케일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억제제별로 스케일 제어에 필요한 시간과 적정 주입량 등에 차이를 보였다. Spectra Guard는 주입농도가 0.6 mg/L 이상이면 바로 스케일 제어효과를 나타내었다. SHMP은 적정 농도는 0.4 mg/L로 작았으나 스케일 제어효과가 나타내는 데까지 약 30시간 이상이 걸렸다. Flocon 150 N은 3 mg/L 이상의 주입농도와 30시간 이상의 운전시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적정 농도 및 제어 반응시간의 차이는 억제제 성분에 따른 억제 기작의 차이로 보이며, CaCO₃ 스케일 억제제로 polyacrylate계의 Spectra Guard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es have several operational problems. Fouling by inorganic scale occurs on membrane surface due to increases in concentrations over solubility by retaining ions on feed side of the membrane. Inorganic scales could be controlled by antiscalants or acid addition. In this study, three antiscalant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nd evaluated on efficiency of CaCO₃ scale control. The CaCO₃ scale was inhibited by the antiscalants: 0.4 mg/L for SHMP, 0.6 mg/L for Spectra Guard, and 3 mg/L for Flocon 150 N. Increasing concentration factors of simulated sea water resulted in increases in antiscalant doses for the scale control. The increases in doses were positiv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e factors used in this study. Spectra Guard, one of the polyacrylate type antiscalants, was the most effective to control CaCO₃ scale. The antiscalants with the different scale inhibition time and doses implied the different control mechanisms.

      • KCI등재

        스타트업의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의 IPA 분석

        윤혜미,남정민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startup founders within 7 years of founding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scale-up entrepreneurial ecosyste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scale-up policy by component using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ince the perception of founder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affect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start-ups,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and diagnose the perception of scale-up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entrepreneurial ecosystem, companies that emerge from startups to scale-up and unicorns must be produced, and for this, elements for the scale-up entrepreneurial ecosystem a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ranking of the components of the scale-up entrepreneurial ecosystem recognized by founders was in the order of "Financial support by growth stage," "Support for customized scale-up for enterprises," "Improvement of regulations," "Funds dedicated to scale-up," "large-scale investment," and "nurturing technical talents." Second, the factors that should be intensively improved in the importance-satisfaction matrix in the future were 'Pan-Government Integration Promotion Plan', 'Scale-Up Specialized Organization Operation', 'Company Customized Scale-Up Support', 'Regulatory Improvement', and 'Building a Korean Scale-Up Model'. As a result, various and large financial capital for the scale-up entrepreneurial ecosystem, diversification of scale-up programs by business sector, linkage of start-ups and scale-up support, deregulation of new technologies and new industries, strengthening corporate-tailored scale-up growth capabilities, and providing overseas networking opportunities can be deriv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olicy practice and academic work with research that derives the components of the domestic scale-up entrepreneurial ecosystem and diagnoses its percep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가 수준에서 스케일업 창업생태계의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현재 수준)를 창업 후 7년 이내의 스타트업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구성요소별 스케일업 정책 방향을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창업생태계의 주체자인 창업자들의 인식은 창업의 양과 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스케일업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을 분석 하고 진단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국가 경제와 창업생태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스타트업에서 스케일업, 유니콘으로 부상하는 기업들이 배출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스케일업 창업생태계를 위한 요소들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들이 인식하는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의 중요도 순위는‘성장단계별 자금 지원’,‘기업 맞춤형 스케일업 지원’,‘규제 개선’,‘스케일업 전용 펀드’,‘투자 대형화’,‘기술 인재 육성’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요도-만족도 매트릭스에서 향후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요인은‘범정부 통합 추진 계획’,‘스케일업 전문 조직 운영’,‘기업 맞춤형 스케일업 지원’,‘규제 개선’,‘한국 스케일업 모델 구축’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케일업 창업생태계를 위해 다양하고 대형화된 금융자본, 사업 분야별 스케일업 프로그램의 다양화, 스타트업과 스케일업 지원의 연계, 신기술 및 신산업 분야의 규제 완화, 기업 맞춤형의 스케일업 성장 역량 강화, 해외 네트워킹 기회 제공 등을 시사점으로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스케일업 창업생태계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인식을 진단한 연구로 정책 실무와 학술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페미니스트 공간연구에 다중스케일적 접근 접목하기

        황진태(Jin-Tae Hwang),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1

        본 연구는 서구 여성주의 지리학을 비롯한 일군의 비판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발달해 온 스케일(scale) 논의를 재검토함으로써 기존 국내 여성운동 연구에서 나타나는 공간성에 대한 인식과 방법론적 한계를 보완하는 논의의 장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운동 연구에 있어서 스케일개념의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페미니즘 연구에서 종종 무분별하게 양산되는 공간 메타포는 사회운동의 공간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는 데 오히려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메타포로서의 공간에 그치지 않고 사회운동에서 실제로 중요한 인식론적, 실천적 도구가 되는 공간에 대한 탐색을 심화시키기 위해 본 연구는 마스턴과 브레너를 중심으로 제기된 2000년대 이후 스케일 논의의 주요 쟁점을 수용하여 이러한 논의가 여성운동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둘째, 상대적으로 덜 연구된 미시 스케일의 역할을 조명함으로써 미시와 거시가 연결된 다중스케일적 접근을 옹호하고자 한다. 여성주의의 오랜 투쟁의 대상이었던 공적/사적 분리는 위계화된 스케일 인식, 즉 거시 스케일이 더 영향력 있고 중요하다는 인식과 종종 맞닿아 있다. 그러나 여성의 영역이라고 인식되는 재생산 영역은 거시 스케일상의 생산과 정치경제와 불가분의 관련성을 지닌다. 본 연구는 공적/사적 분리와 위계화된 스케일 인식을 단번에 허무는 지점, 즉 사적인 것이 곧 공적인 것이 되고 지구적인 것이 곧 로컬한 것이 되는 지점을 파헤친다. 이를 위해 한미 FTA 반대운동에서 등장했던 유모차 부대의 사례를 간략히 소개함으로써 다중스케일적 접근이 한국 여성운동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 지를 탐색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complement the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lack of spatial thinking in Korean women’s movement research and to facilitate further discussion on this field of research, by drawing on recent academic discussion on scale developed particularly among the Western critical and feminist geographers. The purposes of the paper are following. First, it addresses the need to utilize the concept of scale in women’s movement research. Numerous spatial metaphors often proliferated with indiscretion in the feminist approach have rather tended to hinder fully understanding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In order to examine the spatiality of social movements as both conceptual tool and praxis, not merely as metaphor, the paper incorporates main issues in recent scale discourse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ebate between Marston and Brenner, and explores their implications for women’s movement research in Korea. Second, it emphasizes the multi-scalar approach by highlighting the role of micro-scale, the less studied side in social movement literature. The public and the private divide, the long time battle ground in feminist research, is often intermingled with the hierarchical scalar understanding which considers the global as more powerful and important than the local. The reproductive realm, however, is indispensably related to production and political economic realm. The paper explores the very site where both the public/private divide and the hierarchical scalar understanding can be dismantled. It is the site where the private becomes public and the local becomes the global (and vice versa). Drawing on a brief example of an anti-FTA movement of women with strollers in Korea, it examines the way the multi-scalar approach advances the understanding of Korean women’s movement.

      • KCI등재

        글로벌 창업기업 스케일업(Scale-up) 지원 정책 분석을 통한 국내 스케일업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홍대웅,전병훈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6

        The second venture "boom" diffusion strategy can be confirmed to be focused only on financing investment and finance, including achieving 5 trillion won annually in new venture investments, creating 20 unicorns, activating M&As and creating dynamic recovery markets. Of course, existing studies show that the fund is a very important policy for corporate growth, but various policy support will be needed to effectively scale up.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scale-up support policies already in operation are analyzed by introducing scale-up policie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Britain. It also aims to analyze domestic scale-up policies to draw up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scale-up policies. Academically, we are very lacking in research on scale-up at home and abroad, and we propose suggestions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of policy case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e scalability aspects of future research topics related to scale-up. 최근 국내 창업지원 정책은 스타트업 중심에서, 스케일업 중심으로 전환기를 맞고 있다. 제2벤처 ‘붐’ 확산 전략(2019.3.6.)은 신규 벤처 투자 연 5조원 달성, 유니콘 기업 20개 창출, M&A 활성화와 역동적 회수 시장 조성을 발표하는 등 국내 스케일업 정책이 투자/금융 등 자금지원에만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물론, 기업 성장을 위해서는 자금지원이 정책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은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으나, 스케일업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미국, 영국 등 이미 스케일업 정책을 도입하여 운영 중인, 해외 선진국의 스케일업 지원정책을 문헌 등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스케일업 정책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스케일업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정목표인 일자리 창출과 국가경제 성장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스케일업 지원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술적으로는 국내외 스케일업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이번 정책사례 비교연구를 통해서 시사점을 제안하여 향후 스케일업 관련 연구주제의 확장성 측면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활성화 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정책사례로는 미국은 ‘ScaleUp America Initiative’, EU는 ‘the Start-up and Scale-up Initiative’ 정책, 영국은‘Scale Up Institute’, 독일은 ‘German Accelerator’, 프랑스는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 정책, 중국은 중관촌 등 스타트업의 핵심거점의 정책을 중심으로 문헌 등 자료조사를 통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