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중학생에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문선,이무식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rt narcissism had a high influence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Third, convert narcissism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con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all youth. Future research need to be continued and compared to ensure that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when the population is surveyed nationwide.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groups. Second, on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except set variables.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various variables in depth and generally. Third, in future research there be an should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일개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의 특성에 맞게 집락무작위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5개 구별 1곳을 선정하여 각 학년별 각 40명씩 총 600명 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된 설문은 총 489부였다.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배경변인으로 성, 학년, 가족관계를, 독립변인으로는 자기애 성향으로 하고 매개변인으로는 대인관계 지향성을 종속변인으로는 스마트폰 중독을 설 정하였다. 연구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 적응 요인 높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인관계 지향성은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적응 요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대 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지향성을 통해 스마 트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내현적 자기 애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도명애(Do Myung Ae),서석진(Seo Seok Jin),박채진(Park Chae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두 달 동안 이루어졌다. 분석 논문은 총 104편이었고, 학술 분야, 연구방법,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시키는 원인,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발생하 는 결과를 분석 변인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양적연구가 101편으로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 조사연구가 92.3%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을 발생 시키는 원인은 개인 정서 및 행동 관련 요인에서 낮은 자기 통제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결과는 개인 관련 요인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그 중에서 우울 발생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를 제시한 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융복합 연구, 스마트폰 중독 중재 실험연구, 스마트폰 중독 조기진단 연구, 스마트폰 중독 치료를 위한 다중체계적 접근 연구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n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Data collection & analysis were done for two months from September until November, 2017. The number of the papers for analysis was 104 in total, and this study set the academic area, research method,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and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as analysis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university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 was found to be researched the most in social science field, and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found to be the most with 101 papers, among which a survey research accounted for 92.3%. Second, concerning the cause of addiction to Smartphone, low self-control was found to be the most in personal emotion and behavior-related factors. Concerning the effect of addiction to Smartphone, the proportion of individual-related factors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mong which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the most. After presenting the research results as above, this study presented the convergence research, Smartphone-addiction intervention experimental research, Smartphone addiction early diagnosis research, and multi-systematic approach research for Smartphone addiction therapy, etc. as a proposal for follow-up researches.

      • KCI등재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관계

        최효식(Hyo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상대방 효과를 확인하고,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구조적 관계를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3차(2020년) 자료의 1,224쌍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상대방 효과 검증을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크기 비교를 위해 차이검증을 하였다. 부모의 스마트폰 중독, 부부갈등, 부모 참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간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최대우도법(ML)에 기초한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도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도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어머니보다 아버지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이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은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 교육 참여를 순차 매개로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은 어머니가 지각한 부부갈등, 교육 참여를 순차 매개로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 모두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지만, 미디어 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은 다름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f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marital conflict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martphone addiction of parents, marital conflict, parental involvement, and media device addiction of their children who go to elementary school. Methods A total of 1,224 pairs of data from the 13th Korean Children's Panel Study (2020) were analyzed wi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In order to compare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an equivalence constraint model was set up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as conducted. Also,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ML)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al smartphone addiction, marital conflict, parental involvement,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diction to media device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positive actor effect on the marital conflict, but a positive partner effect was only confirmed from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actor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be greater in father than mother, however, the partner effect of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 was greater than the partner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father. Third,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was influenced through how she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while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was influenced sequentially by mo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parental involvement on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mother and father's smartphone addiction affec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dia device addiction, but the mechanisms affecting on media device addiction from parents are different.

      • KCI등재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김동일,이윤희,이주영,김명찬,금창민,남지은,강은비,정여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2 청소년상담연구 Vol.20 No.1

        smartphone. In particular, we were interested in examining whether the new medium substituted or complemented the Internet in adults and youths. The participant pool consisted of 3,816 youths and 500 adults around Korea.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s,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s develop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in 2011, along with the Mental Health Problems Scale, were used as measur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normal Internet users in the high-risk smartphone addiction group was 58% for adults and 80% for youths. This suggests that youths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problematic smartphone usage patterns after substituting smartphone for Internet. Second, youths mainly used their smartphones for entertainment purposes, just as they primarily used the Internet for the same reason. Adults, on the other hand, primarily used the Internet to do work, while they used their smartphones to get connected on SNS. Third, 66.1% of youths and 44.8% of adult participants replied that their smartphone usage reduced their time on the Internet. This reveals that youths are more likely to substitute smartphones for the Internet. Fourth, the correlations between addiction levels and mental health revealed tha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s’ Internet addiction level and their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This shows that the mental health of youths is more vulnerable to Internet addiction than that of adults. 본 연구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매체인 인터넷사용이 스마트폰이라는 신규 미디어가 도입될 때 매체이용의 대체‧보완 현상과 중독양상이 성인 및 청소년 세대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 상은 청소년 집단은 수도권, 충청/강원, 호남(제주포함), 영남의 4개 지역 설문 응답자 3,816명 결과를 대상 으로 하였으며 성인집단은 전문설문조사기관에 의뢰하였고 5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2011년 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인터넷중독척도, 스마트폰중독척도와 정신건강척도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는 첫 째, 인터넷중독 수준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수준의 차이를 카이검증 하였는데 인터넷 사용에 있어서는 문제 가 없는 일반 사용자이지만 스마트폰은 중독적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성인의 경우 58%, 청소년은 80%으로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스마트폰이 인터넷에 대체되어 사용되어 문제적 사용을 나타낼 수 있는 높은 경향성 을 나타내었다. 둘째, 스마트폰의 주요용도에 있어서 청소년은 인터넷의 주활용 용도인 엔터테인먼트 기능 이 스마트폰 사용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성인의 경우, 인터넷은 업무용, 스마트폰은 SNS 용도로 매체 간 용도가 구분되어 사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 이후 인터넷사용시간의 감소여부를 물었 을 때 청소년은 줄었다는 응답이 66.1%, 성인은 44.8%로 나타나 청소년이 성인에 비해 스마트폰을 인터넷 에 대체하는 매체로 사용할 수 있는 경향성을 뒷받침해 준다. 넷째,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중독위험군을 대상 으로 중독수준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수준과 정신건강의 수준만이 유의 하게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인에 비해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위험성을 시사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실태와 대응 방안

        이태영(Lee TaeYoung),송병호(Song ByongHo)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1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발표한 2014년 인터넷 중독실태 조사 결 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한 청소년 비율이 성인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한국정보화진흥원(2015)에 의하면 청소년 스마트폰 과 의존위험군은 31.6%(1,704천명)으로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스마트폰 과의존위험 에 노출되고 있다고 한다. 스마트폰의 중독성으로 인한 문제는 시력저하, 안구건조증, 거북목 현상, 팝콘브레인, 손목터널증후군의 건강상 이상 문제와 우울증, 디지털치매, 수면치매, 충동조절장애, 대인 예민증 등 일상생활에 직접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스마트폰 중독 피해는 성인뿐 아니라 청소년들에게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원인에 관해 이용 편리성, 활용성, 일상생활의 보조적 기능성에서 원인을 찾기도 하며, 자기통제력의 부재, 정보윤리의식의 부재 등 개인적 문제에서 원인을 찾기도 한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대책으로 첫째, 정보통신 상 청소년의 법률적 보호 확대를 위한 법률보완되어야 하며 스마트폰 이용 및 중독 중에 노출될 소지가 있는 불건전 정보 유통에 대한 법률적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학교에서는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교과목 선정과 조기 및 지속적 교육이 필요 하다. 셋째, 가정에서는 자녀를 지도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앱의 개발, 가족과 스마트폰 중독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가족프로그램의 개발시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기관 및 전문기관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최적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한계는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직접적 원인에 대한 실증적 분석과 스마트폰 중독 대책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다루지 못한 점이며, 향후 연구과제로 삼을 것과 관심 있는 연구자의 공동연구를 제안한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2014 internet addiction report releas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CY(NIA) the percentage of teens belonging to the smart-phone is three times bigger than that of adults. According to the NIA(2015) the number of teenage smart-phone users is estimated at 31.6%(1,704), and Three out of 10 teenagers are exposed to smart-phones. Smart-Phone Addiction Causes Eye Weakness, Dry Eye Syndrome, Turtle Neck Syndrome, Popcorn Brain, Wrist Tunnel Syndrome, Depression, Digital Dementia, Sleep Disorders, Impulse Control Disorder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It can be Exposure From Harmful Information, Personality Infringement, Information Infringement, Cyber Terrorism, Cyber Crime. Especially, The Damage of Smart-Phone Addiction is More Serious In Adolescents than Adults. The cause of the smart-phone addiction is Convenience, availability, and dialy life, and lack of self-control, such as lack of self-control and absence of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Fist of all, Smart-phone addicts should supplement legislation to increase legal protections for teenagers and strengthen legal sanctions on the distribution of unhealthy information that will expose them to smart-phone use and addiction. Second, the school requires a curriculum selection, an early and continuous education, and a continuing education. Third, families should develop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app for guiding and controling children, and development of family programs targeting children and smart-phones. Finally, education institutes and professional institutes have promoted the quality of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that are currently operating, thereby enhacing the optimal program development smart-phones form becoming addicted to smart-phones. the limits of the study were not to addres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direct caus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measures. Research is required for future research projects and suggested joint research by interested researchers.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

        장경화 ( Jang Kyung-hwa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챙김과의 관계 속에서 추후 대학생을 지도하는데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6년 6월 경상북도에 위치한 4년제 종합대학교 여름 계절학기수업을 수강한 남녀 재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마음챙김과 스마트폰 중독에 대해 조사하였다. 누락된 응답내용이 있는 것을 제외한 1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살펴본 결과에서는 스마트폰중독 수준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하루에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긴 대상자가 스마트폰 중독 수준 정도가 높았다. 둘째, 마음챙김의 하위변인인 자각행위, 비판단, 관찰, 비자동성, 기술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자각행위, 비자동성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마음챙김이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변인별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마음챙김의 자각행위와 비자동성이 스마트폰 중독의 일상생활장애와 내성에 영향을 미치고, 가상세계지향성과 금단은 비자동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마음챙김이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중독 성향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for grasping the relation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mindfulness. As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conduc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n smart phone addiction and mindfulness for smart phone users of summer session students in D university in June 2016. This study analyzed 116 responses exclusive of responses with any omission out of all respondent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the degree of women`s smart phone addic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men`s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subjects who used smart phone for a longer time had a higher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 of sub-variables of mindfulness degree such as self-awareness behavior, non-decision, observation, non-automatism and technology upon smart phone addiction. For this, from the results of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higher self-awareness behavior and non-automatism were, the lower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was. From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 of mindfulness upon each sub-variable of smart phone addiction, it is found that self-awareness behavior and non-automatism were found to affect daily life disorders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olerance, and that virtual world orientation and withdrawal were found to affect non-automatism. From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found that as the mindfulness got increased, the propensity of smart phone addiction got decreased. According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be utilized as basic materials to develop meditation programs based on mindfulness to prevent and heal smart phone addiction.

      • 스마트폰 중독과 사이버 범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학범 한국중독범죄학회 2013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3 No.2

        이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이 사이버 범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밝혀 향후 스 마트폰 중독의 대책을 세움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수준과 사이 버 범죄 가해경험 여부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고위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성보다는 남 성이 상대적으로 고위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 수준과 사이버 범죄와 의 관련성 측면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사이버 범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이 기존의 중독영역과 다른 특이성을 가지고 있 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이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차후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는 스마트폰 중독이 가져오는 사회적 병리를 명확히 밝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의 비교

        김윤경,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8 No.1

        목적 :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감각처리능력의 차이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유아 124명이었고, 연구 기간은 2019년 9월부터 동년 12 월까지이었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로 일반적 특성, 유·아동 스마트폰 중독 관찰자 척도, 단축감각프로 파일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와 중독군에 따른 감각 처리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 하였다. 결과 :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집단 간 스마트폰 중독의 차이는 스마트폰 중독합계(p=.000)와 현저성 (p=.027), 충동·강박적 사용(p=.019), 금단(p=.046), 내성(p=.003), 대인 간 갈등(p=.046)에서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 감각처리능력의 차이는 SSP 총점(p=.000)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42). 결론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능력의 차이가 있는 것을 확 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y depending on the time of smartphone usage by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4 toddlers in a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Measurements in this study included a questionnaire on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subject,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a short sensory profile.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22.0.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depending on smartphone usage time in terms of total smartphone addiction, salience, impulse-compulsive use, withdrawal, tolerance, and interpersonal conflict among toddler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ory processing ability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total Short Sensory Profile score (and in all sub-domains; p=.000 ∼ .042).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and sensory processing ability depending on the smartphone usage time of toddlers at risk of smartphone. It is meaningful because it raises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use of smartphones by toddlers.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따른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비교 연구

        이상준 ( Sang June Le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중, 고등학교 청소년 84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은 각각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각 중독유형에 대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상대적 설명력을 확인해 보며,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공통적인 요인과 상이한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차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청소년 중 스마트폰 중독은 22.7%, 스마트폰 게임중독은 3.9%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요인이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 모두에서 보호요인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과 스마트폰 게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위험요인은 우울, 충동성,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통제, 스마트폰에 대한 친구의 영향력으로 나타났고, 공통적인 보호요인은 교사지지로 나타났다. 또한 각 중독유형에 대한 상이한 요인은 보호요인에서 자기효능감과 모-자녀 개방적 의사소통이 스마트폰 중독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게임중독에서는 친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 examine the youth`s smartphone addiction and smartphone game addiction, relative influence of protective and risk factors in each addiction type, and common and different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smartphone addiction types. A total of 842 youth in Daegu were surveyed, and the findings were as below: Firstly, 22.7% of the surveyed youth were addicted to smartphone, 3.9% had smartphone game addiction. Secondly, in each addiction types, the risk factors gave severer influence than the protective factors did. Thirdly, among the smartphone addiction types, the common risk factors were depression, impulsiveness, parents` control, and friends` influence, while the protective factor was teacher`s support. A different protective factors included self-efficacy, and mother-children open communication the in smartphone addiction, while in the smartphone game addiction, included friend`s support.

      • KCI등재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에 나타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 변인 연구

        김나경,임나영 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선별도구로서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의 활용가치를 밝히고 나아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나타난 그림반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 3곳의 재학생 1∼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769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 였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자가진단척도(S-척도)와 한국판 청소년 자기 행동평가 척도(K-YSR), 청소년 정 서행동 그림검사(EBDT)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EBDT 하위변인과 주요 변인과의 상관분석 실시 후, 위계 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EBDT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중독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의 선별을 위한 설명력을 탐색하기 위해 절단점을 구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중독 위험군의 그림반응 특성에 대한 질적 해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EBDT의 하위 변인인 ‘내면적 위축’과 ‘적대적 표출’이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위축’은 중독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을 선별할 수 있는 고유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림반응 특성의 차이로는 중독 위험군은 신체적으로 무기력하며 위축 되고 타인에게 방관적인 태도를 보이며 현실 회피적이라는 3가지 반응이 나타났으며 ‘힘없는 나무’, ‘칼’, ‘굴뚝’ 자극 그림만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하위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선별에 있어 투사적 그림검사가 가진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 가 기존 객관적 자기 보고형 검사로만 제공되던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한계를 보완하여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을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목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eal the value of the use of the Emotional Behavior Drawing Test (EBDT) as a screening tool that predicts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response that appeared in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attending their first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the capital area, and a total of 769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The research tools included the S-scale of smartphones, K-YSR, and EBDT. After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BDT subfactor and the main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EBDT on smartphone addiction. Biparti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istinguishing the breakpoints fo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election of the addiction risk group and the general smartphone user group. Finally, the pictur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isk group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subfactor of EBDT, the ‘Internal withdrawal ,’ and ‘Hostile expression’ predict smartphone addiction, of which ‘Internal withdrawal’ had a unique explanatory ability to select between risk groups and general user groups. Differences in picture response showed three pictorial responses: being physically lethargic, being withdrawn, having an onlooker attitude, and avoiding reality. Only ‘Drooping tree,’ ‘Knife,’ and ‘Chimney’ of the stimulus picture cards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s. This study identified the usefulness of projective picture tests in selecting risk groups for smartphone addiction. We hope to see EBDT as a potential aid for preventing problematic behavior of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and setting appropriate treatment goal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smartphone addiction measures that only provides self-reporting t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