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시티 정책 확산의 영향요인 분석 –공간효과를 중심으로-

        이다솔,권기헌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조례 제정과 관련된 정책확산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스마트시티 연구와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둘째, 한국의 지역수준에서 지리적 공간상 존재하는 인접한 지방정부 간 영향을 고려하여 스마트시티 정책확산에 대한 내·외부적인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셋째,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여 스마트시티 조례 제정과 관련하여 실증적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스마트시티 연구와 관련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결과 2016년부터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정치/행정 분야와 정보/통신 분야의 연구 분야에 집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시티 정책 조례 제정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접한 지역을 통해 공간적 파급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마트시티 실행수준, 스마트시티 플랫폼 구축여부, 스마트시티 네트워크 구축여부도 스마트시티 조례 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시티 특성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를 유형화하여 맞춤형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둘째,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해서는 인접한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셋째, 맞춤형 전략 수립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시민들의 욕구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스마트시티 기술 연계 공모전 등을 통하여 각 지자체, 기업,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여 우수 사례를 발굴해야 한다. 다섯째, 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질 높은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스마트시티 추진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규제문제들과 위험요인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의 함의에 대한 비판적 이해

        박준(Park Joon),유승호(Yoo Seung ho)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1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도시관리와 더 나은 도시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스마트시티 논의는2017년 현재 초기의 논의보다 훨씬 더 큰 함의를 가지고 있다. 스마트 가 가지는 일반성과 확장성으로 인해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과 접목된 거버넌스 등도시행정과 커뮤니티 논의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나아가 스마트시티는 기존의 지속가능한 도시 논의를 흡수하고 있는 한편, 단기간에 필수적 도시기반시설을 갖추고자하는 개발도상국의 욕망과도 연결되어 그 영역이 더욱 확장되고 있다. 이논문은 도입 초창기 시점보다 더욱 확장된 스마트시티의 현재적 의미를 네 가지주요 흐름인 정보통신기술, 거버넌스, 지속가능성, 도시개발의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 스마트시티 논의와 정책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개발도상국 시장진출에 활용하겠다는 의도를 보이고 있는 다수의 스마트시티논의에 이와 같은 다층적 차원의 스마트시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개발도상국의 재정 형편을 감안하여 스마트시티가 값비싼 도시기반시설을 넘어선 지불가능성을 고려한 도시기반시설 공급과 미래지향적인 지속가능성 담보에 초점을 맞출 때 한국의 스마트시티 논의는 국제적 확장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Smart city which was initiated with an attempt for effective urban management and better quality of urban life using ICT has far bigger implication at the time of 2017. Generality and expandability of the word, Smart extends its domain to governance, merge discussion of sustainable city , and even get connected to the desire of developing countries who wants to have core urban infrastructure in timely and effective manner.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 current meaning of the expanded smart city focusing on four main pillars of ICT applied urban solution, governance, sustainability, and decent urban development. Many of arguments in smart city discussion in Korea reveal their intention to approach developing countries for their commercial purposes with mere ICT applied urban development. However, sincere discussion over smart city with developing countries requires an approach for sharing the experience in addressing lack of urban infrastructure from rapid urbanisation and current efforts for more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enhanced sustainability in term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n addition, an effort for the provision of affordable urban infrastructure considering the constraint of budget in developing countries can extend the base of Korean smart city further.

      •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의 개념 정립 연구

        소재현(SO, Jaehyun),김태형(KIM, Teahyung),김미정(KIM, Mijeong),강지원(KANG, Jiwon),이호(LEE, Ho),최정민(Choi, Jung Min)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9 No.-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기술의 핵심플랫폼이라 일컬어지는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 등으로부터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의 정의내용들을 수집하였고, 빅데이터 분석방법 중 하나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정의내용에 포함된 단어별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주 언급된 단어들일수록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을 정의하는 핵심내용이라는 가정 하에, 빈도 수가 높은 단어들을 추출하여 범주별로 분류하고, 그 단어범주별 핵심개념들의 조합에 기반한 개념정립을 수행하였다. 국내·외 정의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에 대한 개념을 정립한 결과, 스마트시티는 ‘ICT 혁신기술’, ‘도시기능 향상’, ‘환경 및 기후변화 대응’, ‘사회통합 및 포용성’, ‘경제개발 및 성장’, ‘삶의 질 향상’, ‘시민 서비스’, ‘거버넌스’의 8가지 주요 핵심기능에 의해 정의하였고, 스마트시티 교통부문은 ‘패러다임 변화 및 지능화’, ‘공유화·자동화·전기화·개인교통·통합화’, ‘ICT 기술’, ‘지속가능성 및 안전’, ‘삶·연결·포용·성장’의 5가지 주요 핵심기능에 의해 정의하였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법 재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이재용,한선희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3

        With the com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concept of the smart city is being developed to the next level.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smart city has changed from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smart city infrastructure in new communities to including the governance and innovation concept to solve urban problems effectively and create new jobs. As a result of this evolution, the previous U-City law was substituted by the law of the smart city and has come into force since last September. In this paper, the pros and cons of the law of the smart city are reviewed in detail by examining the expansion of the smart city concept, the smart city industry, and the authentication process of the smart city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U-City law.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스마트시티의 개념은 다음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신도시 지역의 스마트시티 기반시설 인프라 구축 중심에서 거버넌스 및 혁신성까지 포괄하여 도시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염두에 두는 형태로 스마트시티가 진화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이전 U-City법은 스마트시티법으로 개정되어 지난 9월 발효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법이 이전의 UCity법과비교하여 새롭게 추가된 스마트시티 개념의 확대, 스마트시티 산업, 스마트시티 인증 등을 세부적으로검토해 보고 어떠한 점에서 개선되었는지 그 의미를 논의하는 동시에 현재 스마트시티법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 역시 파악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스트림-리즈닝을 위한 실시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처리<sup>☆</sup>

        윤창호 ( Chang Ho Yun ),박종원 ( Jong Won Park ),정혜선 ( Hae Sun Jung ),이용우 ( Yong Woo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3

        스마트-시티는 스마트-시티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디바이스를 비롯한 수많은 인프라를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도시민에게 제공한다. 스마트-시티에서는 스마트-시티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많은 사물인터넷 기기들로부터 끊임없이 발생하는 대규모의 스트림 빅-데이터를 지능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하지만, 스마트-시티에서 대규모의 스트림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에는 실시간 처리와 관련된 제약들이 존재한다. 본 스마트-시티-사업단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스마트-시티미들웨어와 이를 이용한 스트림-리즈닝 방법론 및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시티에서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스마트-시티-사업단에서는 스트림-리즈닝을 사용하는 방법론을 사용한다. 이 스트림-리즈닝은 대용량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후속연구로서 스마트-시티미들웨어의 클라우드-컴퓨팅 플랫폼을 이용하여 스트림-리즈닝을 위한 실시간 분산병렬처리 클라우드-컴퓨팅 방법론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서 발생하는 사물인터넷빅-데이터를 스트림-리즈닝에 사용하기 위하여 이 후속연구에서 개발된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분산병렬처리 연구결과를 소개한다. 스마트-시티의 각종 센서들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스트림-리즈닝하는 데 필요한 클라우드-컴퓨팅 기반의 실시간 분산처리 방법론과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 방법론을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스마트-시티 미들웨어에 구현하여 실시간 분산처리 성능을 평가한 것을 소개한다. Smart Cities intelligently manage numerous infrastructures, including Smart-City IoT devices, and provide a variety of smart-city applications to citizen. In order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needed for smart-city applications, Smart Cities require a function to intelligently process large-scale streamed big data that are constantly generated from a large number of IoT devices. To provide smart services in Smart-City, the Smart-City Consortium uses stream reasoning. Our stream reasoning requires real-time processing of big data.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real-time processing of large-scale streamed big data in Smart Citi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one of our researches on cloud computing based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to be used in stream-reasoning of IoT big data in Smart Cities. The Smart-City Consortium introduced its previously developed smart-city middleware. In the research for this paper, we made cloud computing based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available in the cloud computing platform of the smart-city middleware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so that we can perform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with them. This paper introduces a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stream reasoning with IoT big data transmitted from various sensors of Smart Citie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eal-time distributed-parallel-processing of the system where the method is implemented.

      • KCI등재

        이슈분석을 통한 스마트시티 솔루션 도출 방안

        신주호 ( Ju-ho Shin ),이재용 ( Jae Yong Lee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6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9 No.3

        스마트시티 솔루션은 기후변화, 인구증가 등 국가 및 도시현안 문제들을 해결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스마트시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솔루션 도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스마트시티 7개 분야의 솔루션 도출 사례를 살펴보았다. 스마트시티의 분야를 안전/시설물 관리, 물관리, 교통, 에너지/환경, 스마트홈, 공간정보, ICT 7개 분야로 구분하여, 각 분야별 전문가 논의를 통해 이슈에 대응하는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도출하였다. 스마트시티 각 분야별 이슈사항에 대응하는 솔루션의 탐색은 향후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스마트시티 전략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여 할 수 있으며, 스마트시티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 확보 및 정부·기업·시민 간 협력체계를 구성하는데 기반적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Making smart city solutio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s generated by the climate change, the urban population growth, and rapid urbanization and to gain competitiveness for smart city.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o derive a smart city solution, and look over the examples of seven smart city areas. The areas are divided by safety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water management, transportation, energy and environment, smart-home, GIS, and ICT. In response to the issues, this study derives smart city solutions from discussions with the experts in each area. The exploration of solutions which correspond to each area of smart city can contribute to the effective and correct strategy of smart city for years to come. Smart city solutions based on issue analysis can be used to ensure technical competitiveness in smart city markets. Also, they can be applied to establish a fundamental role for government, enterprises, and citizen partnership.

      • KCI등재

        스마트시티 연구동향 분석

        주윤창(朱潤昌),이은욱(李銀旭),서우종(徐宇鍾)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최근 스마트시티는 국가 발전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많은 국가들이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학계에도 스마트시티에 대한 연구가 도시 계획 및 설계뿐만 아니라 법률, 제도, 거버넌스, ICT 플랫폼, 서비스, 도시 경쟁력, 시민의 삶의 질, 시민 참여를 통한 혁신 등 매우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성에 기초한 스마트시티의 융복합적 특성은 스마트시티 연구에 대한 균형잡힌 관점의 형성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연구자들에게 스마트시티 연구에 대한 포괄적이고 균형있는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 최근 3년간의 국내 스마트시티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존 연구들에서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메타분석 기준들과 더불어 본 연구에서 스마트시티 연구의 특성에 맞게 도출한 기준들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스마트시티 연구자들이 새로운 연구 방향을 탐색하고 기획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smart cit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goals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many countrie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realize smart cities. Accordingly, in recent academia, research on smart citie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from various aspects such as urban planning and design, as well as laws, institutions, governance, ICT platforms, services, urban competitiveness, quality of citizens" lives, and innovation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The convergence feature of smart cities based on this diversity makes it difficult to form a balanced perspective on smart city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on domestic smart city papers of the past three years in order to provide smart city researchers with a comprehensive and balanced perspective on smart city research. This research employs the meta-analysis criteria that were us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previous studies, along with the criteria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city research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smart city researchers explore and plan new research direc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 IFEZ 스마트시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상호,조희연,민윤홍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23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8 No.1

        프로젝트의 평가란 프로젝트의 진행상황과 결과물을 평가하는 과정이다.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들은 시스템 구성요소별(인프라, 서비스, 플랫폼)로 프로젝트가 나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서비스별로 프로젝트들이 동시에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추가 프로젝트를 통하여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확장되기도 한다. 이렇게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가 목표 및 전략에 맞추어 진행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기적인 프로젝트 평가가 필요하다. 본 논문이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는 스마트시티의 기획, 설계, 구축 및 운영의 전 단계에서 발생하는 프로젝트에 대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를 반영하여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지표를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평가체계로부터 도출된 지표는 의사결정자가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개발 방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의 종료 이전에도 프로젝트의 성과를 중간 평가하고 이로부터 얻은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평가체계의 적용 방법을 소개하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의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사례에 개발된 평가체계를 적용하였다. 또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항목별 개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평가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종합적인 계획 및 관리가 가능할 것이며, 프로젝트의 우선적인 개선 요소를 파악하는 데 본 연구가 참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스마트’용어의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스마트시티’의 개념정립을 위한 연구

        최봉문(Bong-Mo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최근 스마트폰을 비롯한 스마트 기기와 스마트 홈 등 스마트 공간들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공상과학이나 영화에서나 존재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바야흐로 지금은 “스마트” 용어의 시대이다. 하지만 짧은 기간 동안 스마트라는 용어가 무분별하게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개념적 혼선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과 향후 스마트시티가 나아가야할 방향 등 정책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스마트 용어가 도시 및 공간에 적용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대하여 살펴보고 스마트시티의 발전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스마트’ 용어의 적용사례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란 용어는 ‘지능화, 첨단적’의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스마트시티의 정의는 다양한 견해로 보이는 걸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 + 도시(city)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들고자 하는 의미로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옳다고 할 수 있다. Smart scope, such as smart equipments, smart homes, and smart phones, has been appeared lately being developed. Such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close and practical to our daily lives, not regulated in a science fiction and a movie .It is just the peak of a smart term period. However, with the result from imprudent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in the various fields in a short term, the concept of the term Smart City has been nebulou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sign the obvious concept of Smart City and figure out the political improvement how it will make the direction in the future. That is to study the Smart City which applies the term smart in its city and space,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s. After studying the application of the term smart, we determine this word has intelligent and high-tech concepts and is used variously in the diverse fields. But we conclude that the term Smart City in these fields is defined differently. From these perspectives, the term is not a simple creature consists of smart and city. It is to be designed as the meanings of making the cities smart.

      • KCI등재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중국의 스마트시티 정책을 사례로

        이승욱(Lee, Seung-Ook),배덕현(Bae, Duk Hyun),김성온(Kim, Soung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4

        이 연구는 스마트시티 개발을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성장동력이자 민주주의 고양으로 당연시하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시선을 비판하고자 한다. 특히 스마트시티를 통해 투명한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하고 민주주의를 도시생활에서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기존의 담론에 문제를 제기함과 동시에, 오히려 스마트시티가 가져올 부정적인 정치적 영향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스마트시티에서의 통치 문제, 즉 거버넌스 및 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스마트시티에 대한 서구의 비판적 논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도시 기업가주의의 고착화, 기술통치체제(Technocracy)의 확장, 디지털 감시체제의 일상화 이상 세 가지 측면에서 스마트시티 거버넌스가 가지는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다. 둘째, 중국의 스마트시티 정책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확대가 단지 효율성, 편리성, 지속가능성, 시민들의 정치 참여 확장으로만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민주주의에 대한 새로운 위협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특히 중국의 현실에 대한 분석은 스마트시티를 정부의 전략적 목표로 선정하면서 각종 지원과 혜택을 약속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 유의미한 성찰의 기회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riticize the dominant vision in our society that a smart city will serve as a new growth engine and facilitate democrac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particular, we question the existing discourses that smart cities will create a transparent governance system and substantially realize democracy in urban society, and pay attention to negative political impacts. For this, we review the western literature on smart city governance and democracy, and identify three problems in terms of smart city governance: consolidation of urban entrepreneurialism, expansion of technocracy, and routinization of digital surveillance. In addition, we examine China’s smart city policies as a case to specifically reveal these problems and claim that the expansion of smart cities will not lead to the enhancement of efficiency, convenience, sustainability and civil participation in politics but become a new threat to democracy.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hinese case will provide us with a meaningful opportunity for reflection upon our reality to prioritize and privilege smart cities and promise a variety of benefits and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