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업설계 모형 비교준거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숙경 東亞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6 學生硏究 Vol.24 No.-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요구되는 요인들이 무엇이며 또 어떻게 접근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관심과 노력은 1960년대 최초의 수업설계 모형이 제시된 이후 30여년간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특히 공학을 기반으로 한 각종 교수학습 자료가 수업 설계 원리에 의거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Ely ,1991), 학교 뿐만 아니라 기업체 등 학교교육 외 전문영역에서 인간자원 개발을 촉진시키고자 하는 목적 달성의 수단으로 수업설계를 도입하면서 수업설계 분야는 더욱 성장해 가고 있다 (Anglin,1991). 이와 같이 체계적 수업설계의 적용이 실제적으로 확산되면서 수업설계 분야의 연구 활동도 활발해지고 이에 따라 수업설계 이론 및 관련 모형들이 풍부히 제시되고 있다. Andrews와 Goodson (l 980) 이 주로 체제이론을 기초로 한 40개의 수업설계 모형을 분석하면서 수업설계 모형 비교 들을 제시할 때 이미 실제로는 60여개의 수업설계 모형이 제시되어 있었다. 십 수년이 지난 현재 수업설계 분야에는,종전의 수업설계 패러다임과 는 전혀 상이한 새로운 접근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수업설계의 적용 범위 및 수업환경 도 크게 다양화되면서 수백 개에 이르는 수업설계 모형들이 제시되고 있다. While being in the midst of prolife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s instructional designers as well as scholars have no valuable procedure for compar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especially when alternitives to systems approach emerged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criteria for compar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Specifically, the fundamental components of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re reviewed, and criteria for comparing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re discussed in terms of internal as well as external dimension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s. The common components of various instructional design models could be reduced to needs assessment, objectives, learner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strategies, evaluation and feedback. Five of them excluding needs assessment constitute Glaser model(1962) which, for the first time, considered instruction as a system. Needs assessment was added to ID process during 70s to correct problems identified as results of earlier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s. Comparing criteria based on internal dimension of models discussed are theoretical origins and required expertise. Instructional design models emerged during past three decades since the first model presented in the eartier 60s are mostly based upon systems theory. However, models not based on systems theory are increasingly emerging recent years. Thus, instructional design models can be considered either based on systems or non-systems according to its theoretical origi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lso vary in the amount of expertise required by individuals to apply models. Some instructional models provide step-by-step descriptions of the process of designing instruction which are more appropriate for a novice instructional designers to employ, while other models rely on an expert’s intuition and experience to guide the process Many instructional design models originated in a certain context, in response to the particular needs ot that context. Employing a model from a significantly differant context would result in inefficient solution to instructional problems. Instructional contexts could be one of the following four context Kindefgarten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business and other non-school organizations.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re also intended to plan instruction for different levels of implementa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pulation targeted by the instruction. The six levels of instructional design include mass-level, institutional-level, course-level, unit-level, lesson-level, and module-level. Thus, the level of application becomes one of important comparing criteria for instructional design model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실습생의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방안 탐색

        신재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0 교육과학연구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실습생이 인식하고 있는 수업 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이들 간의 격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실천 방안을 모색할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실습생이 인식하는 수업 설계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비교함으로써 교육실습생이 실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교육실습생이 실천해야 할 효과적인 수업 설계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교육실습생 모두 수업 설계를 할 경우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매뉴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와 교육실습생 모두 수업 설계에서 교수자료 개발, 교수프로그램 개발, 형성평가 또는 파일럿 테스트, 교수자료 수정 및 보완, 교수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등 ’개발’ 영역을 잘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업 설계에 있어서 ‘개발’ 영역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와 교육실습생 모두 수업 설계를 실시할 경우 형성평가를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육실습생은 수업을 설계할 경우 교수 프로그램 적용이나, 교수 지원체제 활용, 교수자료 개발에 너무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보다 다른 항목을 골고루 균형 있게 반영하여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실습생은 학생, 학부모, 사회 등의 요구 분석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요구 분석을 반영한 수업 설계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and analyze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perceived by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us, to investigate practical plan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m as much as possible. It also aimed to explor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plans that pre-service teachers could practice by comparing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plans to be practiced by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First, both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need to develop a program and manual to help implement instructional design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manner. Second, both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y implementing the "development" area in instructional desig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eaching programs, formative evaluation, pilot tests, and th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of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improve their curricula so that they can more effectively develop instructional materials. Third, both incumbent an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ble to design and implement well formative evaluation when doing instructional design. Fourth, when designing a lesson, pre-service teachers need to reflect on all items evenly in a balanced way rather than invest too much time and effort in the application of programs, utilization of teaching assistance system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finally,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able to implement instructional design to reflect the results of needs analysis since they were not so experienced in assessing the needs of students, parents, and society.

      • KCI등재

        초등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학습 및 경험 분석

        박기용 한국초등교육학회 2018 초등교육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make a thorough investigation into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questionnaires, developed based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made by Reiser, Dick(1996), Park(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9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sampling purpos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l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sign instruction of method, objective, evalu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cours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 of instructional design was that planning contents, objective, method, and evaluation of instruction in the light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could design method, objective, contents of instruction actually, but their confidence were low. Secondl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ostly design lesson’s method, objective, contents based on textbook or teachers’ guideline considering learners’ interest and characteristics. But, wh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alyze contents, they did not reconstruct contents, also did not design objective directly. Lesson’s specific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were designed directly taking into account lesson’s contents, objective and learners’ concerns,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alternative education plans of instructional design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예비 수업설계자’로서 초등예비교사들이 대학에서 수업설계를 어떻게 학습하고 경험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예비교사 3학년 97명을 대상으로 수업설계에 관한 학습경험과 설계경험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설계 학습 측면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은 교과교육 과목에서 주로 ‘방법설계, 목표설계, 내용분석’과 관련된 공부를 통해 직접 수업지도안을 작성하는 경험을 하며, 수업설계를 ‘수업의 목표달성을 위해 학습자 수준, 환경을 고려하여 수업의 내용, 목표, 방법, 평가를 계획하는 것’으로 개념화하고 있으며, 실제로 방법설계, 목표설계, 내용분석은 할 수 있다고 반응한 반면, 수업설계에 대한 자신감은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수업설계 경험 측면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은 주로 차시수업의 방법, 목표, 내용을 지도서와 교과서를 참고하여, 학생의 특성, 흥미, 수준 등을 고려하면서, 대략 내용분석-목표설계-방법설계-평가설계의 순서로 설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예비교사들은 내용을 분석할 때, 학습자 변인을 중요하게 고려는 하지만, 내용 자체를 재구성하지는 않고, 목표도 직접 설계하지 않는다. 수업방법은 ‘목표와 내용 그리고 학생들의 능력과 관심’을 고려해서 주로 수업내용을 설명하는 방식이나 학생들의 학습활동을 직접 설계하며, 평가 역시 목표, 학습자 수준, 학습활동에 맞게 직접 설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등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학습 및 경험에 관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수업설계 교육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를 위한 웹기반 수업설계지원시스템(WIDSS)의 개발 및 적용

        이혜정 ( Hyae Jeong Lee ),최명숙 ( Myung Sook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사들이 좀 더 쉽게 수업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현장에 적합한 수업설계모형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여러 가지 관련 정보를 통합한 웹기반 수업설계지원시스템(Web-based Instructional Design Supporting System)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D광역시 소재중등학교에서 교사 288명을 대상으로 수업설계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수업설계모형에 제시된 모든 활동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시간과 전문지식의 부족을 이유로 그 실천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수업설계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교사들의 실태 조사를 토대로 중등학교 현장에 적합한 수업설계모형을 도출하였다. 대부분의 수업설계모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를 핵심활동으로 프로세스화 하고 각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관련 정보’, ‘도움말’, 구체적인 ‘사례’를 개발하여 유기적인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개발된 WIDSS는 기본정보, 수업안 작성 모듈, 수업안 검색 모듈, 포트폴리오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현장적용 평가 결과, 화면구성, 기술적 지원, 내용 구성, 상호작용성, 현장개선 기여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거부감과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아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WIDSS는 다양한 수업설계 지원요소와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다른 사용자(교사)들과 수업설계의 실천적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교사들의 수업설계 전문성 강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Instructional Design Supporting System(WIDSS), based on a suitable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for secondary schools, which makes teachers easier in implementing instructional design for their teach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288 teachers were sampled from secondary schools in Daegu and completed a survey on instructional design in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most teachers thought that all components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are important, but they didn`t put those steps into actions for their teaching due to lack of time and professional knowledge. Second, this study also adopted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as main activities of instructional design, providing with related information, helps, and examples. Third, the WIDSS system consists of basic information, lesson plan module, search module, and portfolio module. Fourth, the results of field test were affirmative in terms of screen design, technical support, contents organization, interaction, and contribution to field improvement. However there were feelings of rejection and difficulties in using new system. In conclusion, the WIDSS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pports various information and process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contributes as CoP(Community of Practice) that helps teachers to share knowledge-in-a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and experiences with other teachers.

      • KCI등재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성장과정 및 교육방안 탐색

        박기용 ( Kiyong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3

        수업설계 행위는 객관적 논리와 주관적 판단, 사고와 행동, 이성·감성·실천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전문적 행위이므로, 예비교사는 전문화된 학습경험을 통해 수업설계 전문성을 성장시켜 나가야한다. 본 연구는 전통철학의 이원론을 비판하면서 이론과 실제의 통합, 이성과 감성의 통합, 마음과 세계의 통합을 강조하는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전문성 개발에 요구되는 경험과 그 성장 과정 그리고 교육적 방안을 탐색하였다. 첫째, 듀이가경험의 본질로서 설명한 ‘능동적 요소와 수동적 요소’, ‘경험과 사고’, ‘질성적 사고와 이성적 사고’, ‘계속성’, ‘교변작용’을 각각 해석한 다음, 이 개념들이 모두 통합되어 경험이 재구성되는 과정으로서 설명한 ‘하나의 경험’을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즉, 경험의 재구성은 인간이 행하는 초기의 불확실하고 시행착오적인 단순한 경험이 환경과의 계속적인 교변작용을 통해 질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둘째, 경험의 본질에 기초하여,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설계 경험의 본질을 각각 정리한 다음, 기존의 수업설계모형 관점 및 반성 관점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이 하나의 완결된 경험으로 재구성 즉,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서, 동시에 각 과정에서 교사교육자가 지원 및 제공해야할 교육활동이나 환경을 제안하였다. 즉, 수업설계 경험의 재구성은 초기의 불확실하고 시행착오적인 단순한 수업설계 경험이 환경과의 끊임없는 교변작용을 통해, 지적·정서적·실천적 활동이 서로 어우러지면서 질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교사교육자는 이 재구성 과정을 이해해야함은 물론이고,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질의 직접적 변형”을 가능케 하는 교육적 활동을 만들고 실천해야 한다. 무엇보다 교사교육자는 예비교사를 가르치는 사람이 아니라 공동의 경험을 하는 동반자이며 함께 성장해 나가는 존재이다.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경험의 성장에 관심과 애정을 가지는 교사교육자는 “서로의 관심을 인정하고 자유로운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민주적교사이다. 민주적 교사교육자의 수업설계 교육은 기교에서 예술로 승화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plore the growth and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based on the Dewey’s philosophy. Firstly,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was interpreted. This means trying and undergoing, experience and thought, qualitative thought and rational thought, continuity, transaction. Moreover, the process in which all of these concepts are integrated and experience reconstructed was arranged and comprehended. Secondary, from the standpoint on Dewey’s concept about the nature of experience, the nature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was explored in term of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activity with understanding activity about designed instruction’,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with thinking’, ‘integration of qualitative thinking with rational thinking i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integration of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ransaction with environment i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and thinking’. Lastly, the education plan was explored in five steps based on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experience. In this method is to support the growing process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To sum up, th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ir first instruction design activity sets off the reflective thinking. Then, the tentative idea is derived from reflective thinking activities(defining problem, cause analysis, observation of data) and applied for redesign of instruction. This redesigned instruction was implemented and testified. These processes will continue repetitively until negative emotions are not drawn up about the proven results. The r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is process of the direct transformation of the quality of experience from mere activity throughout interaction with environments. In reconstruction on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proces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ctivities were in harmony not in isolation. The educator teaching pre-servi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e r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design and practic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direct transformation of the quality of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 KCI등재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 수업설계 원리 -설계기반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오영범 ( Young Beom Oh ),이상수 ( Sang Soo Lee ),강정찬 ( Jung Chan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일부 농.어촌 및 도서, 벽지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원어민 원격화상수업을 위한 수업설계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계기반연구방법(Design Based Research)을 적용하여 1, 2차에 걸친 형성적 순환의 반복적인 과정을 거쳐 수업설계 원리를 도출하여 현장에 실천 가능성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 검토, 수업관찰 분석, 한국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성찰 일지 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업은 현장 수업 관찰과 동영상 녹화를 병행하였고, 한국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성찰일지는 이메일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노트(thematic note) 기법과 중요 사건 분석(critical incident analysis)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수업 최종 설계 원리는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의 3단계로 제시되었다. 수업 전에는 한국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협력적 수업설계 원리와 수업설계의 공유 원리가 제시되었다. 수업 중에는 Gagne의 9가지 수업 사태에 따라 제시하였는데, 각 단계의 특징을 구현할 수 있는 수업설계 원리를 원어민 교사와 한국 교사의 역할에 따라 구분하였다. 수업 후에는 수업 과정에 대한 성찰, 사후 점검을 통한 안정성 유지의 원리를 제시함으로써 화상시스템 결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최종 수업설계 원리는 원어민을 활용한 원격화상수업을 실행하는 현장 교사들에게 유용한 안내와 실천적 지침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for videoconference class with a native English speaker which is currently implemented in some countryside elementary schools. Recursive design-based research twice was used to draw the principles and to make them applicable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Data were reviewed by subject matter expert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class observation and reflective journals of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through this repeated researching process. The class was videotaped and observed directly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by e-mails. Thematic notes were transcribed and critical incident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were shown in three stages; pre-class, during-class and post-class. Shared and collaborative designing principles of class are suggested at the pre-class stage. The roles of Korean and native teachers are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ith Gagne` nine events at the during-class stage. Reflection on class and reviews were practiced to support stability during class and to minimize technical problems which might happen during video-conferencing at the post-class stage. The designing principles suggested by this study provide in-service teachers who implement videoconferening class with a native English speaker with valuable practical guidelines.

      • KCI등재

        백워드 수업설계를 적용한 ‘가족생활 설계’ 영역 수업이 학습자의 이해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유세종,이연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the instruction for 'Family Life Planning' based on backward design and measured the learners’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for testing validity. In shor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students could explain significant concepts, knowledge, and principles for the planning of family life; they could interpret and apply them; they have perspectives on them; they could empathize them; and they could have self-knowledge. The students could also accomplish high achievements for important concepts related to the field of family life plan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ed instruction was very effective for the students to achieve fruitful results, accelerating the learners’ persistent understanding. Second, the learners had high satisfaction on the instruction of Family Life Planning based on backward design with the average score of 3.68 out of the perfect score 4. The students could be satisfied with the developed instruction since they could have high interest in the class thanks to diverse learning materials, and they could take an active part in the learning tasks based on group activities and questions. Also they could apply the contents that they learned through task performances to new situation and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proved that the developed instruction enhanced the learners’ satisfaction on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수업설계를 ‘가족생활 설계’ 영역에 체제적으로 적용한 교수- 학습과정안을 바탕으로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자의 이해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백워드 수업설계에 기초한 ‘가족생활 설계’ 영역의 체제적 수업 개발안을 적용하여 S고등학교 학생 1학년 10학급 218명(남 116명, 여 102명)을 대상으로 11차시 수업을 직접 실시하였다. 수업을 실시한 후 학습자들의 이해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과제 결과물과 수행과제 외 다른 결과물을 수집하였다. 수행과제 결과물로는 가족생활 설계와 관련된 홍보물과 실천적 추론과정을 적용한 가족생활 주기에 따른 가족생활 설계 포트폴리오를 수집하였다. 수행과제 외 다른 결과물로는 차시별 학습자들의 개별학습 일지를 통한 자기평가 결과, 모둠별 학습활동 결과, 사후 형성평가 결과 등을 수집하였다.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설문지 조사와 학급의 모둠별 대표들과 그룹 면담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학습자의 이해 정도와 관련된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Wiggins & McTighe(2005)가 제시한 ‘이해’의 여섯 가지-설명, 해석, 적용, 관점, 공감, 자기지식-측면(phases)에서 근거 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 SPSS/WIN(ver.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test 등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분석은 SPSS/WIN(ver.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이해도 측면에서 살펴볼 때 학습자들은 ‘가족생활 설계 및 가족생활 진단의 주요 개념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었다(설명)’, ‘주어진 자료를 통해 가족생활 설계의 필요성과 가족생활 진단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었다(해석)’, ‘가족생활 설계와 관련된 지식과 기능을 이용하여 홍보물을 제작하거나 자신의 실생활 적용하여 가족생활을 설계 할 수 있었다(적용)’, ‘가족생활 설계를 위해서 가족생활의 절차 및 방법, 가족생활 설계를 위한 주요 내용을 비판적이고 통찰력 있게 분석할 수 있었다, 가족생활 설계와 관련된 홍보물 및 포트폴리오 과제에 대한 자기 평가 및 동료평가를 한 후 이를 비판적이고 통찰력 있게 다시 생각할 수 있었다.(관점 가지기)’, ‘가족생활 설계를 할 때 우리 가족 구성원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족생활의 가치, 목표와 요구 등을 고려할 수 있었다(감정이입)’, ‘자신이 만들어낸 수행의 결과물들을 평가 준거에 따라 스스로 평가할 수 있었으며, 가족생활 설계를 실천하는데 있어 나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었다, 그리고 과제에 대한 자기평가를 한 후 이를 교정할 수 있었다.(자기지식)’과 관련된 이해의 측면을 달성할 수 있었다. 또한 ‘가족생활 설계’ 학습내용과 관련된 사전-사후 평가의 점수 변화를 살펴보면 모든 학습 주제에 대한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생활 설계’ 영역에 백워드 수업설계를 적용하여 체제적으로 개발한 수업설계 안은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촉진시키며 학습에 대한 성취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는 학습자들은 ‘가족생활 설계’ 영역의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는 전체 문항의 평균 점수 ...

      • KCI등재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박기용,배영직,강이철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과정 및 방법을 심층적으로 관찰하는 데 있으며, 더불어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예비교사들의 수업설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4주간의 교육실습에 참가한 97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의 무엇을 어떻게 설계하는지, 이 과정에서 무엇을 어려워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확인함과 동시에 수집된 자료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총 4가지의 자료수집 방법(설문, 심층면담, 수업관찰, 성찰일지)으로 삼각측정화(triangulation)시켰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목표와 수업활동에 관심을 두고 설계하는 반면, 평가도구 개발에는 관심과 실천이 부족하였으며, 수업설계 영역별로 목표 달성 여부 및 적합성, 학습자 특성과 수준 고려, 수업활동의 효과성, 학습자들의 반응과 적절한 피드백에 초점을 두고 설계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 영역들 간의 연관성과 특히 학생 특성 파악에 어려움을 보였으며,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예비교사들이 수업을 설계할 때 겪는 어려움들을 교재, 학생, 교사, 상호작용, 환경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적합한 향후 수업설계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역량 요구분석

        이상로 ( Lee Sang-r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본 연구는 특수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설계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수업설계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수업설계 역량의 우선순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BSTPI에서 제시한 수업설계 역량 표준안 23개를 기초로 연구목적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설문도구를 제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집합연수에 참여한 특수교사 221명을 대상으로 집합조사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PA를 활용하여 특수교사 전체, 근무기관, 학교급에 따라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요구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 전체에서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수업설계 역량은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설계’로 도출되었고, 다음으로 ‘수업전략을 설계하기 위한 기법 선정 및 적용’, ‘기존 수업 자료 선정 및 수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기관별 수업설계 역량의 요구 차이를 살펴보면, 특수학교 교사는 ‘다양한 형태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학습자 요구 평가 능력’에서, 특수학급 교사는 ‘수업설계 개발 모델 선정 및 적용’, ‘수업 자료 개발’, ‘수업설계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능력’, ‘수업 산출물과 프로그램의 효과적 활용’에서 서로 다른 요구를 보였다. 셋째, 학교급별 수업설계 역량의 요구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 특수교사는 ‘수업설계 분야 연구와 이론의 적용’, ‘수업설계 개발 모델 선정 및 수정’, ‘수업 관리 체제 설계’에서, 중등 특수교사는 ‘다양한 형태의 효과적 의사소통’, ‘수업 자료 개발’, ‘수업 산출물과 프로그램의 효과적 활용’에서 서로 다른 요구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수업설계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수업설계 역량 표준안 개발과 근무기관, 학교급별의 특성을 반영한 연수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riority of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necessary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is, a survey to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23 standards of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suggested by IBSTPI. Data was collected from 221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ing in a group training. Using IPA, the degree of needs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who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rvice institution, and level of school. The main results are like following. First, the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y the most preferentially needed to the whol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the design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depending on each service institution, there were different needs like 'various-types of effective communication' and 'needs evaluation ability' to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election/applic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development model', etc., to special class teachers. Third, regarding differences in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 competenc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school, there were different needs like 'application of researches/theories of instructional design area', etc., to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various-types of effective communication', etc., to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수업설계 교육을 통해 나타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특징 탐색

        정한호(Hanho Jeo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교육을 통해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특징 및 인식의 변화를 탐색하고 수업설계와 관련된 교원양성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 A대학 사범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27명)의 ‘수업시연 기반 수업설계 보고서’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도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선언적인 차원’에서 ‘학습자의 개인차및 수준 고려’, ‘학습자의 수업참여 및 활동 강조’ 등과 같은 ‘학습자에 초점을 둔 수업설계’를 실시하 고자 노력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과 지도에 적합한 수업설계 이론 탐색’, ‘교과 지도에 적합한 교수자 역할 탐색’ 등 ‘교과 지도에 효과적인 수업설계’를 수행하고자 노력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수업설계의 중요성 및 필요성 이해’, ‘수업설계의 본질적 의미 파악’ 등과 같은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원양성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수업설계 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struction design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instructional design of pre-service teacher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eacher training courses in college of educat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instruction design based on demonstrative lesson’ reports from 27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A tool for analyzing the critical essays was produced. Through this paper, first,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tried to design instruction ‘focused on learner-centered’ in ‘declarative dimension’, such as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and levels of learners’, ‘emphasizing learner s participation and activity in class’. Second,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tried to design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for course lesson’, such as ‘exploring instructional design theory for course lesson’, ‘exploring the role of teacher to teach course contents.’ Third,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experienced ‘changes in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design’ such a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structional design’, ‘identifying the essential meaning of instructional design’ to teach students in classroom.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suggestions both for practice and theory regarding ‘instruction design education’ to train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