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D 관점을 통한 초등학교 세계유산교육의 접근 가능성 탐구

        김현욱(Kim, Hyunwook),김종민(Kim, J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유산은 그 민족이나 국가가 보존하고 전승해야 할 것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이 공동으로 지키고 전승해야 할 것이며, 과거에서 현재와 미래로 이어지는 지속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세계유산을 통해 우리는 지구의 유구한 역사와 인류의 행보를 고찰 할 수 있으며, 문화의 다양성과 자연의 숭상, 평화와 인권, 삶의 의미 등에 대해서도 겸허하게 살펴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세계유산은 교육의 보고(寶庫)이나, 국내에는 세계유산교육이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고 보편화되지 못하 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가치교육은 저학년 시기부터 이루어져야 내면화가 될 수 있음에도 이러한 시도가 드물고 교육방법 또한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초등학교에서 이러한 내용을 다루어야 하는 필요성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접근 방향 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세계유산교육은 세계유산에 관한 교육, 세계유산을 위한 교육, 세계유산을 통한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지속가능발전교육과연계하여 교육할 때 상승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세계유산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 육을 초등교육에 접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써 통합적 수업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ESD 관점의 세계유산교육을 초등학교에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 될 것이다. The heritage is our legacy from the past, what we live with today, and what we pass on to future generation. Heritage needs to be regarded as the asset of future, not just as the traces of past. In addition to the conservation of our heritage, our efforts must be made to its educational utilization. So this study is to discus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method based on integrative approach to provide more effective World Herit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We can analyze World Heritage Education into ‘education about world heritage’, ‘education for world heritage’, ‘education through world heritage’. Forgarty’s ‘Threads Approach’ associated with ESD can provide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o have the global perspectives. World heritage is the plentiful educational sources for human right, climate, environment, peace, and human respect. This educational initiatives should be made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s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 KCI등재

        세계문화유산 교육의 새로운 시도

        오영찬(Oh, Youngcha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3

        본 연구는 세계유산의 교육적 가치를 재확인하면서 창덕궁과 경주 양동마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세계유산의 교육적 활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세계유산의 등재와 보존에 기울이는 노력에 비해 세계유산을 대상으로 한 교육적 활용은 미진한 편이다. 유네스코 차원에서 세계유산교육(WHE, World Heritage Education)은 1990 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세계유산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 중 하나는 학습의 대상이 되는 현장에서 학습자가 분명한 동기와 목적의식 가지고 사고하여 직접적인 경험을 통하여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이다. 현장체험학습에서 제한된 시간 내에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본고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를 활용한 교육에 주목하였다.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기기 등 모바일 기기가 교수 학습 도구로서 각광을 받고 있지만, 모바일 기기에서 상용 중인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들은 완성형, 비현장성, 그리고 기술적인 한계 등의 제약 조건으로 인해 교육적 활용에 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교수자가 현장학습에서 사용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직접 ‘저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인 어플리케이션의 저작도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2014 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스마트융합교육연구팀 모바일 기반 세계유산 현장체험학습 연구 중 역사교육 분야의 연구 사례를 소개하였다. 1 차년도에는 세계문화유산 중 창덕궁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을 개발하였으며, 2 차년도에는 대상을 확대하여 경주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동 연구팀에서 개발한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MoFAS, Mobile Fieldwork Authoring System)를 실제 현장체험학습에 적용시킨 실험연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World Heritage, and introduces the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as the World Heritage Education through case studies: Changdeokgung Palace and Gyeongju Yangdong Village that are the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Utilizing the World Heritage as the educational subject has not been active while so much effort has been made to list on and preserve the World Heritage. In the 1990s, for the first time UNESCO has begun to introduce the concept of the World Heritage Education(WHE). One of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s in WHE is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that helps the learners act with a clear motivation, and get the knowledge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 In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us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ICT) may be one of most effective methods to maximize the field experience. Recently, smart-phones or tablet devices are paid attention to as a learning tool, but most mobile applications are restricted to use for the educational purpose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and their incomplete types. Hence, developing the authoring tools that the teachers can directly make and fill out the contents of the application is necessary. Finally, the case study on the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of World Heritage in history class is presented by the smart fusion education team in Ewha Womans University. In the first year, the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for the mobile-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on Changdeokgung Palace was developed. In second year, the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for the mobile based field experience learning on Gyeongju Yangdong Village was developed. In addition, using the authoring tools of the MoFAS(Mobile fieldwork authoring system), the teaching and learning scheme was applied to the field experience education.

      • KCI등재

        세계유산교육의 연구 및 실천 동향과 최근 쟁점

        한송이(Han, Song Yi)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유네스코(UNESCO)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 Universal Value)를 가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시키고 보호·보 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유산교육이 등장하였다. 세계유산교육은 세계유산을 보호·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 육’과 세계유산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세계유 산의 교육적 가치, 둘째, 세계유산의 교육 콘텐츠화, 셋째, 세계유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분류하고,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현장체험학습 장소로서의 세계유산교육, 둘째, 교과 교육 소재로서의 세계유 산교육, 셋째, 가치 교육의 매개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나누어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세계유산은 풍부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학교 현장 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세계유산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 하고자 세계유산교육의 최근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보았다. UNESCO is trying to list on and protect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which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 way of these efforts, World Heritage Education(WHE) has started. WHE can be divide to ‘WHE as a purpose’ and ‘WHE as a means’. ‘WHE as a purpose’ is intended to protect World Heritage and ‘WHE as a means’ uses World Heritage as a means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siders precedent studies of WHE. In this study, ‘WHE as a purpose’ is categorized as Educational Value of WHE,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for WHE or Educational Program for WHE. And ‘WHE as a means’ is categorized as Field study location, Educational subject matter or Teaching materials of the value education. World Heritage has a wealth of educational values, but is not widely used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sider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primary lssues of WHE to reflect WHE in curriculum.

      • KCI등재

        세계유산의 국제이해교육으로의 가치

        허권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2 국제이해교육연구 Vol.7 No.1

        인류문화 및 자연유산에 대한 관심증대와 함께 이의 교육적, 문화적 활용에 대 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유산은 과거의 기록이자 미래의 자산이다. 종래에는 유산을 한 사회와 민족의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 이의 보존에 집중하였지만 오늘 날에 들어와서는 유산이 갖는 본래적 가치를 다학문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유네스 코는 유산을 지속가능한 발전의 토대, 창의성의 근원, 문화 및 종 다양성의 핵심, 평화와 문명간 이해증진의 상징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하면서 초등교육, 중등교육 뿐 아니라 성인교육차원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에 접목시킬 것을 권고하고 있다. 유 네스코『세계유산협약』에 의거 매년 추가되고 있는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은 국제 이해교육에 매우 유용한 자원이다. 역사와 문화이해 뿐 아니라, 인권, 평화, 과학 기술, 환경, 예술 등 다양한 주제가 녹아있기 때문이다. 특히 성장기의 학생에게 세계를 보는 시각형성에 세계유산이 매우 유익한 주제로 부각되어 전 세계 많은 ASP 및 초등, 중등학교에서 정규교육 내 이와 관련된 과목이 신설되고 다양한 교 육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국도 문화재에 대한 교육 필요성을 느껴 과거의 역사 와 유물에 관한 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나, 유네스코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세 계유산교육 방향과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다. 민족문화의 보존을 위해 우리 학교 현장도 다양한 방법으로 문화재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제이해교육과 연관시켜 세계유산을 가르치는 수준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함께, 관련 교육자료의 개발, 지원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세계유산해석 교육체계 구축방안 연구

        노경민,김영재 한국건축역사학회 2023 건축역사연구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system for World Heritage interpretation applicable to World Heritage sites and to design an education program for World Heritage interpretation by applying the developed edu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definition of interpre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and education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analyzed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heritage interpretation due to the paradigm transition in the capacity building of World Heritage sites. Next, the educational status of World Heritage interpretation was analyzed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al subjects, and curriculum examples.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a method for establishing a World Heritage interpretation education system should be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interpretation curriculum planning by interpreters should be proposed focusing on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OUV) of World Heritage sites. 세계유산 실무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세계유산해석의 교육체계 구축방안을 제안하고, 교육체계를 적용한 세계유산해석 단기 교육과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서 유산해석의 정의 및 해석과 교육의 관계를 파악하고, 세계유산 역량강화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인한 세계유산해석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해서 분석한다. 다음, 교육기관의 커리큘럼 사례를 통해 세계유산해석의 교육현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구성에 따른 세계유산해석 교육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이 교육체계를 적용한 세계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및 유산가치 중심의 세계유산현장 해설사를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세계문화유산의 교육적 활용 경향과 가치 탐색

        이지혜(Lee, Jihye),김미경(Kim, Mikyoung),신동희(Shin, D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 연구에서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의 교육적 활용 경향과 포함된 가치를 파악해 세계문화유산의 교육적 활용을 독려하고자 했다. 분석 대상은 1996년 1월부터 2016년 2월 까지의 최근 20년 동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 국내외 문헌 45편이다. 분석 결과 세계문화유산 활용 교육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이 대부분이었다. 활용된 세계문화유산 소재는 역사적 수도 지역의 종교 신앙과 정치 등과 관련된 것이 많았다. 세계문화유산 활용 영역이 역사와 미술 교과 또는 그 둘의 통합 교과에 한정되었고, 중학생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가장 많았다. 교육 방법으로는 강의, 현장 학습, 멀티미디어가 많이 활용되었다. 세계문화 유산의 활용 목적에 따른 네 가지 유형인 세계문화유산을 위한(for) 교육, 세계문화 유산에 대한(about) 교육, 세계문화유산을 통한(through) 교육, 세계문화유산에 의한 (by) 교육은 소재로 활용된 특성, 유네스코 이념 가치 포함 여부, 교육 목표 수준 등 에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등의 다양화가 필요함이 드러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trends of educational availability of the World cultural heritage(WCH) and value, and then encouraged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of WCH. We analyzed 45 paper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f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UNESCO WCH over the past 20 years (from January 1996 to February 2016). As a result, most of the educational studies using WCH were abou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Whereas there were many programs using WCH about the religion and faith, and political history in historical capital. The subjects of WCH education programs were limited to history and art, or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ncluding art and history, and the educational objects were mostly aimed at middl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for the learning methods, lectures, field trips, and multimedia have been widely used. There showed a difference in the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s educational materials in terms of education for WCH, education about WCH, education through WCH, and education by WCH. The results revealed the necessity of variety in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문화유산교육의 방향 탐색 : 초·중등 사회과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건수,김다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4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include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s a major learning content since the 1st curriculum. As globalization accelerates and the iss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spread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requested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reconstruct cultural heritage education which has been conducted from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s that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education needs to reflect the perspectiv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global level. This paper analyzes content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uggests the following direction. First, even though the necessit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for learning Korean history and culture is acknowledge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overcome nationalistic approaches. It should be based on universal human values and learn and share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Third, we need to develop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Fourth,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go with the local community. Fifth, there are needs to diversify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역사 교과를 포함한 사회과교육에서 문화유산교육은 제1차 교육과정기에서부터 지금까지 주요한 학습내용으로 자리잡고 있다. 세계화, 지속가능발전, 세계시민성 교육이 요청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그간국가적 차원에서 민족주의적 시각으로 행해 온 문화유산교육으로부터 세계시민교육 관점을 반영한 문화유산교육으로의 변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사회과교육과정의 문화유산교육의 내용분석을 토대로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에서 실행하고 있듯이 문화유산교육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 학습을 위한 문화유산교육을 포함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유산교육에서는 한국 문화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파악하고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 중심의 교육을 넘어서서 한국 문화유산이 갖고 있는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에 주목하고 세계인과 함께 향유, 보호하려는 태도와 주인의식, 실천적 지식과 기술을 포함하는 교육으로 확장해 가야 한다. 둘째,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기반한 문화유산교육을 제안하였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과 연계한 문화유산교육을 제안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와 연계한 문화유산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문화유산교육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협동학습을 적용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탐색 연구

        김종훈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8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세계시민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의 하나로 협동학습의 타당성을 탐색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교수학습(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세계시민교육은 유엔(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4.7에 포함된 글로벌 교육의제로 그 역할과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공교육 과정에 반영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중․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과 구체적인 교수학습(안)에 대한 실천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해 협동학습은 긍정적 상호의존성, 개인 책무성, 집단과정, 촉진적 상호작용, 대인관계 및 사회적 기술을 본질적 요소로 하는 구조화된 교수학습 모형으로 그 자체에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는 데 효과적인 학습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른 어떤 교수학습 모형보다 세계시민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임을 분석․규명했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들 중에서 직소 모형을 적용하여 인류 및 자연의 역사가 집약된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소재로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안)을 개발․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안)은 교육 현장에서 자신의 정체성형성, 타인에 대한 이해, 책임의식 함양, 지역․국가․세계차원에서 공동체간의 상호작용과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연계를 강화하여 학습자 중심의 변혁적 세계시민교육 구현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idity of cooperative learning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and to suggest lesson plan that can be used in an educational setting. With the inclusion of GCED as part of global education agenda through the UN SDG 4.7, its role and importance has been highlighted globally and many countries started to reflect GCED into their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re is lack of practical research on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GCED that can be applie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alyzed and identifi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appropriate in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in comparison with othe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because of its efficient learning structure which includes positive interdependence, individual accountability, group processing, promotive interaction, interpersonal and small group social skills as its essential elements. On the basis of this, jigsaw model, among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was applied and a lesson plan on GCED based on UNESCO World Heritage, an important repository of the history of humankind and nature, was developed and presented. The proposed lesson plan would strengthen learners’ ability to shape identities, understand others, raise sense of responsibility, link knowledge and action related to issues affecting interaction and connectedness of communities at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in an educational setting, and thus it will be useful in actualizing the learner-centered transformative objective of GCED.

      • KCI등재

        초등학교 문화유산 교육 현황과 방향 제언 - 교육 과정 분석 및 교사의 문화유산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건수,김다원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 practices for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primary school. We analyzed a primary school textbook for each of five subjects (Korean, social studies, music, art, physical education), surveyed ten teachers with cultural heritage education experience, and analyzed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we made the following five suggestions: First, the goal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foster citizenship. Second, in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o organize the content systemat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student environment, local community environment, and subject content. Third, cultural heritage education should be linked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so that cultural heritage can be passed on from the present generation to future generations. Cultural heritage has characteristics, such as universal values of humanity, that transcend national boundaries, regional identities, dialogue and understanding between civilizations, and sources of creativity, and thus serves as the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urth,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ep-by-step teacher training programs. The success or failure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schools depends on teacher training. Fifth, the degree to which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s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should be strengthened, allowing learners to be educated so that they can cultivate knowledge and critical thinking about cultural heritage, enjoy and protect it, and connect with a sustainable society. 본 연구는 초등 교육에서 문화유산이 학교에서 어떻게 교육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는 문화유산 교 육을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의거하여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 해 초등학교 5개 교과서를 살펴보고 문화유산 교육 경험이 있는 1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 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제언하였다. 첫째, 문화유산 교육의 목표를 시민성 함양으로 확대해야 한다. 둘째, 문화유산 교육에서 무엇을 교육 내용에 포함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학생 환경, 지역 사회 환경, 교과 내 용 등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내용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문화유산 교육은 문화유산이 현재 세대에서 미래 세대로 이 어질 수 있게 지속 가능 발전 개념과 연계되어야 한다. 문화유산은 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인류의 보편적 가치, 지역별 정체성, 문명 간 대화와 이해, 창의성의 원천 등 특성을 갖고 있어서 지속 가능 발전의 토대가 된다. 넷째, 학교에서 문 화유산 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는 단계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교에서 문화유산 교육의 성패 는 교사 연수에 달려 있다. 다섯째, 문화유산 교육을 교육 과정에 통합하는 정도를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문화유산에 대한 지식과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여 향유하고 보호하고 지속 가능 발전 사회와 연결해 나갈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