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왕조 서원제도 수용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조선 서원 문헌을 중심으로 한 토론 -

        邓洪波 ( Deng Hong-bo ),赵伟 ( Zhao Wei )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9 No.-

        서원은 동아시아 士人들의 공동의 문화교육조직이다. 조선은 명나라 강정 연간에 중국으로부터 서원제도를 수용하였으며 『죽계지』, 『영봉지』, 『오산지』 등 서원지들이 서원의 수용과정을 잘 보여준다. 우선 주세봉은 주자 백록동서원 고사를 따라 처음으로 백운동서원을 설립하고 『죽계지』를 엮었으며, 근사(謹祀), 예현(禮賢), 수우(修宇), 비름(備廩), 점서(點書) 등의 운행제도를 세웠고, 조선서원의 시작과 기초를 닦는 데 공을 세웠다. 다음으로 노경린은 영봉서원을 설립하고 『영봉지』를 엮었으며 사우를 세워 선현들을 모시고 서원을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 그리고 『묘원정의록』, 『학규록』을 제정하는 등 제도적 구축도 처음으로 시도하였는데 서원의 발전에 공이 있다. 그리고 주세봉을 이어서 백운동서원을 운영하였던 이황은 상소를 올려서 사액을 청구하였는데 서원 사액 제도의 시초를 열어주었고, 그 후에 학자의 신분으로 10개소 정도의 서원 건립에 관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백록동서원게시』를 해석하여 널리 보급시키고, 『성학십도』에도 편입하였으며 조선서원 제도를 집대성하는 데 공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academy(書院) was formed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t the end of the seventh century, and later developed into the common cultural and educational institu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East Asia, it has a history of nearly 1,300 years. Korea's academies were introduced from China and formed part of East Asian academies. In its development process, formed its own characteristics. This paper is based on the academy documents of the Korean era, such as Records of Jukgye(竹溪志), Records of Yeongbong(迎鳳志), Records of Osan(吳山志), Records of Yeogang(廬江志),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李朝實錄)and the literature of academy rules and regulations, etc. In view of how the Chinese academy institution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Dynasty, this paper has some different views from the South Korean scholar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BaegundongAcademy(白云洞書院), which was founded by Joo Se-bung(周世鵬), the Governor of Poongki(豊基), in the Zhongzong(中宗) period, was the beginning of the academy of Korea, and also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Chinese academy institution by Korea. However,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s early as in the early years of Shizong(世宗), private academies of Confucian scholars with teaching functions had appeared in the society, which should bring forward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of Korean academies by more than 120 years. Korea's introduction of the Chinese academy institution did not begin during the Zhongzong period, at least as far back as the 21st year of Shizong, more than 100 years ago. By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during the Korean Zhongzong, Renzong(仁宗), Mingzong(明宗) and Xuanzu(宣祖) periods, academies and temples were regarded as institution not found in Korea, which needed to be introduced from China, and Korean academies entered the period of introduction. Generally speaking,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period of Korean academies is about 60 years. The three books compiled in this period, Records of Jukgye, Records of Yeongbong and Records of Osan, can roughly show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academy institution. Joo Se-bung, Rho Gyeongrin(盧慶麟)and LeeHwang(李滉)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academy institution. Joo Se-bung and Lee Hwang both believed in Zhuzi-ology(朱子學), but Joo is considered to be the conservative faction, and his contributions are greatly underestimated by later generations. Zhu Xi's behavior in the Bailudong Academy(白鹿洞書院) became the object that Joo Se-bung imitated. He founded the Baegundong Academy, compiled the Records of Jukgye, and put forward five institutions. His achievement lies in his first creation. Some scholars believe that Baegundong Academy is the earliest academy in Korea, it is thought to be an adjunct to the Mun-sung-gong Temple(文成公廟), but this is not the case. In Joo Se-bung's opinion, the Academy and the Temple are different and parallel, one is to urge people to learn, the other is to worship people with virtue, each has its own function. Rho Gyeongrin founded Yeongbong Academy(迎鳳書院) and wrote the Records of Yeongbong. He built a temple to honor the sage and an academy to support Confucian scholars. But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why academies should be set up when there are official schools. He wrote the Resolution of the Temple and Academy(廟院定議錄) to record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academy institution. In addition, he wrote the Records of Learning Regulations(學規錄), emphasizing the construction of institutions. His contribution was to expand the influence of the academy institution. Lee Hwang managed Baegundong Academy after Joo Se-bung. He begged the king to bestow plaque for the academy, thus establishing the institution of plaques for the academies. Later, as a scholar, he wrote many articles about academies, and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nearly ten academies. At the same time, he explained and promoted the Bailudong Regulation(白鹿洞書院 揭示), and spread it to the whole Korean peninsula and even Japan. His achievement was to perfect the Korean academy institution. Among Joo Se-bung, Rho Gyeongrin and Lee Hwang, Lee Hwang's reputation was the most prominent, which was fully recognized and even suspected of being overpraised. Joo Se-bung's reputation stems from creating Baegundong Academy, but his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academy institution is not recognized. Rho Gyeongrin's work has not received any recognition. If we can make a detailed study of the academy records,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academies in Korea will become increasingly clear.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와 지속・발전을 위한 방안 제안

        이해준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We would like to explore and propose measures to foster the cultural heritage valu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4,500-year-old Seowon memorial rites of “Seowon in Korea.” Although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system (Seowon) originated in China, the Korean academy system maintains a unique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which differs from the Chinese academy system that is centered on “semi-style lectures.” A Korean Seowon was a space where a symbolic ancient sage, who was worshipped by each Seowon, was selected as a mentor and revered through ancestral rites. In addition to its role in ancestral rites, it was a space where some of the high class talented persons made contact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Korea is the only place where the Seowon memorial rites are practiced unchanged, and the Korean Seowon memorial rites can be said to be the most completely reproduced Confucian-style memorial rites in the world. The memorial rites of the “Korean Seowons,” collectively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Sites, have been practiced by descendants and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nine Seowons, and have sufficient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value to constitute intangible heritage.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signate the “Korean Seowon” memorial rites, protected under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s a nationally designated intangible heritage by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redefining their value, and establishing a transmission system for them. ‘한국의 서원’이 지닌 4-500년 전통의 서원 제향의례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 제안해 보고자 한다. 서원제도는 중국에서 비롯되었지만 중국 서원이 ‘강학(講學)’ 위주인데 반하여, 한국의 서원은 독특한 ‘제향(祭享)’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한국의서원은 서원별로 추앙하는 상징적인 선현을 선정하여 사상적 멘토를 삼고 그를 추숭하고 제향 하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제향과 함께 고급 인재들이 수시로 출입하고접촉, 교류했던 거점 공간이었던 것이다. 또한 서원의 제향의례가 온전하게 남아 시행되는 경우는 한국뿐으로,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는 세계에서 가장 완비된 형태로 재현되는 유교식 제향 의식이라 할수 있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서원’의 제향의례는 9개 서원의 제향의례는후손, 지방 유림들에 의해 지속되어 왔고, 무형유산으로서 역사적・학술적・예술적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9개 서원의 제향의례 원형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재정립, 전승체계를구축해 나감으로써 세계유산인 ‘한국의 서원’ 제향 의례를 국가지정 무형유산으로 지정하였으면 한다.

      • KCI등재

        도산서원 내사본內賜本의 내사기內賜記 일고찰一考察

        박광헌(朴光憲) 한국국학진흥원 2021 국학연구 Vol.- No.45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이 1560년(명종 15)에 설립한 도산서당으로부터 시작하여, 그의 사후에는 사액을 받아 서원으로 거듭남으로써 영남 유학의 중심지가 되었다. 사액서원이 되었다고 해서 모두가 서적의 반사를 받을 수는 없었다. 따라서 서적을 지수祗受한 서원은 그렇지 못한 서원과 비교하여 정치, 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도산서원에는 임금이 반사한 서적을 주로 보관하였던 광명실光明室이 존재하는데, 현재 광명실의 내사본은 한국 국학진흥원에 위탁 보관되고 있다. 도산서원에 대한 전적의 반사는 1575년(선조 8)에 사액賜額과 함께 반사된 서적을 시작으로 1799년(정조23) 까지 이어졌으며 약 30종의 내사본이 있다. 이 중 18종에서는 내사기를 확인할 수 있다. 내사기는 기술된 위치에 따라 구분하면 면지와 표지에 기록된 내사기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표지에 기록된 내사기는 극히 드문 특별한 기록으로 볼 수 있다. 1793년 당시 사액서원을 포함한 여러 서원 중에서 도산서원, 석담서원 2곳에 내려주었다는 것은 당시의 도산서원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실록 및 국가의 중요기록물을 보관하는 사고史庫에 내사한 인본에서도 면지에 간단히 사고의 이름만 기록한 것과 비교하여, 도산서원 내사본은 표지에 “內賜先正臣左贊成文純公李滉陶山書院”이라고 내사기를 기록한 것을 볼 때 이황과 도산서원이 당시 임금과 관리들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졌다고 볼 수 있다. Dosan seowon started in 1560 as Dosan seodang, which was built by Yi Hwang. After his death, Seodang received a signboard from the king and was reborn as a seowon. and It became the center of Yeongnam Confucianism study. Just because they received the signboard from the king, not everyone received the book as well. The place where keep the books Dosan seowon received from the king is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socially and culturally compared to the place where it is not. In Dosan Seowon, there is the Gwangmyeongsil(光明室), which mainly kept the books given by the king. Currently, the books given by the king are entrusted safekeeping to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It began in 1575 when the king gave a book along with a signboard to Dosan Seowon, and continued until 1799. There are about 30 kinds of books given by kings. Of these, 20 species have records of bestow. The location of the record of bestow is on the end paper or cover of the book. The record of bestow on the cover is extremely rare. In 1793, the king gave books to two seowon, Dosanseowon and Seokdamseowon, which show the high status of Dosanseowon at the time.

      • KCI등재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활동과 그 지향에 대한 일고찰 -17세기 초반의 德川書院ㆍ新山書院과 비교하여-

        구진성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This article focused on Yongam-Seowon[龍巖書院]’ operating leaders action and their direction. Especially, it is mainly discussed what they were kept of scholarship, immediately after Injo-Coup[仁祖反正]. It was memorial that about Nammyung Jo,Sik[南冥 曺植]’ scholarship, in Yongam-Seowon. In 1609, Yongam-Seowon was authorized by government. In the same year, Deokcheon-Seowon[德川書院], Sinsan-Seowon[新山書院] were authorized, too. These three Seowon were memorial place about Nammyung Jo,Sik. In operation policy discussions, their academic features appear. In Yongam-Seowon, Jeong,In-hong[鄭仁弘]’ impact is huge, from the beginning. Jeong,In-hong is excellent student in Jo,Sik school, and in academic attitude, he is most looked like his teacher. Jeong,In-hong, Lee,Heul[李屹], Jeong,On[鄭蘊], Im,Jin-bu[林眞怤], Pak,In[朴絪] were responsible for operating Yongam-Seowon. They kept up about Jo,Sik memorial activity. Around 1635, Deokcheon-Seowon and Sinsan-Seowon operating leaders were discussed who is addendum memorial scholar in their Seo-won. Yongam-Seowon leaders insisted that the most admirable scholar is there in. Because it is one way to respect Jo,Sik. In this discussion, we may know that their three Seowon’ insistenc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 글에서는 陜川 三嘉에 있었던 龍巖書院 운영주체들의 성격과 활동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인조반정 이후 그들이 보여주었던 학문적 지향에 관해 주로 논의하였다. 또한 1609년에 공히 사액되었던 德川書院ㆍ新山書院 등 타 남명 제향 서원의 경우와 비교해 봄으로써,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의 특징을 좀더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용암서원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경 재건되었는데, 이때 관여한 인물 다수가 鄭仁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암서원의 원장ㆍ원임을 맡은 인물로는 정인홍, 文景虎, 李屹, 鄭蘊, 林眞怤, 朴絪 등이 있는데, 정온ㆍ임진부ㆍ박인은 인조반정 이후에도 용암서원 내에서 남명 선양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였고, 덕천ㆍ신산서원의 추가 배양 논의에서도 남명 위상의 제고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임진부는 용암서원에서의 강학을 통해 남명 정신을 강조했고, 박인은 남명 관련 기록물의 정리ㆍ편집을 맡았는데, 이 일들을 정온의 자문을 받아 진행하였다. 정온은 趙任道에게 신산서원 원장을 맡길 만큼 용암서원ㆍ신산서원 내에서 영향력이 있었고, 조임도는 용암서원 측의 입장을 참고하며 신산서원 내의 일을 처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덕천서원에서는 1635년 무렵 覺齋 河沆을 배향하려는 논의가 있었다. 여기서 사액서원의 지위를 포기하면서까지 배향을 강행하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정온 등 용암서원 운영주체 측에서는 사액의 지위를 인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함과 동시에 하항 외에 鄭逑 등 남명 高弟를 함께 배향해야 타당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인조반정 이후 추락해가는 남명의 위상을 제고할 방법을 모색한 것인데, 정구에게서 남명의 영향을 지우려는 집단의 반대로 결국 실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인홍이 생전에 추구했던 남명 선양 정신의 잔존이라 할만하다. 신산서원에서 金宇顒만을 제향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도 이들 용암서원 운영주체들은 정구도 함께 배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이후 덕천서원ㆍ신산서원에서는 서원 내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진 집단끼리 논의하고 충돌함으로써, 반정 이후 바뀐 환경에서 적응할 방법을 모색해 나갔다면, 용암서원은 변신이 불가능할 정도로 정인홍 계열의 영향력이 컸던 곳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점 때문에 인조반정 이후에도 한동안은 정인홍의 정신을 계승하여 남명학의 학습과 교육, 정리와 출판 사업 등이 추진될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후보

        복설될 연경서원의 현대적 활용 방안

        이상호 영남퇴계학연구원 2015 퇴계학논집 Vol.- No.16

        이 논문은 복설될 연경서원을 어떻게 현대적으로 활용할지에 대한 고 민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경서원이 가진 역사적 배경을 통해 서원에서 계승해야 할 내용들을 확인하고, 현대의 입지와 서원의 현대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는 복설될 연경서원을 지역에 밀착된 교육과 문화체험 공간으로 서의 기능할 수 있도록 활용하자는 것이다. 화암이나 동화천 등이 경관 적 요소를 제공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관광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서원들과 비교할 때 열세에 있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 아파트 숲 속 에 있는 도심형 서원이므로, 그 기능은 지역에 밀착된 교육과 문화체험 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 더불어 서원의 본래 기능이었던 메모리얼 기능을 살려나가는 고민이 필요하다. 물론 그 범위는 지역이 되어야 할지, 아니면 특정 분야로 할 지에 대해서는 건립 이후 고민해야 할 문제겠지만, 공적 담론을 거쳐 현 대적 메모리얼 공간으로 연경서원을 만들어가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좀 더 세밀한 과정과 추진체계, 운영조직 등이 만들 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서원등록』 분석

        최광만 한국교육사학회 2018 한국교육사학 Vol.40 No.1

        This study aims at tracing the change of Confucian Academy in the 17th - 18th century by analyzing the Official Documents of Confucian Academy(書院謄錄).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fficial documents contains 939 cases in total. The 786 cases of them are about the petition of Confucian Academy. And the major items of petitions include the foundation, the elevation of status, the shrine problems and the maintenance. In the regime of Sukjong(肅宗, 1661-1720), the petitions for the maintenance became added to the petitions about the foundation and the elevation. Second, the documents about the policy of Confucian Academy are 76 cases. The policy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The one is the control policy of the foundation and the elevation, and the other is the institutionalization policy of the Confucian Academy. In the regime of Sukjong, the control policy became enforced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policy was brought into being shape. Third, the documents about the adminstration of Confucian Academy are 592 cases. The administration can be categorized as the shrine adminstration and the academic adminstration. In the early period of Youngjo’s regime(1724-1742), the administration of Confucian Academy became arranged and Confucian Academy became recognized as the important institution in the school system. 본 연구는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서원관련 자료인 『서원등록』을 서원 청원, 서원 정책, 서원 행정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원등록』의 총 939건 문건 가운데 786건(83.7%)이 서원 청원에 관한 것이다. 서원 청원에는 청건, 청액, 추향, 위차조정, 훼철(출향), 복설(복향), 지원, 이건 등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으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청건 및 청액과 추향에 관한 것이다. 청건 및 청액은 현종 대부터 급증하고, 추향은 숙종 대부터 증가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숙종 대가 한편으로는 밀려드는 청건 및 청액 요구에 대처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 서원에 대한 조치를 미련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었던 시기임을 시사한다. 둘째, 서원 정책에 관한 문건은 76건이 확인된다. 서원 정책은 크게 서원 억제정책과 서원을 교육제도로 편입시키는 제도화 정책으로 구분된다. 억제정책은 현종 대에 첩설금지정책으로 시작하여 숙종 말년부터 훼철정책으로 전환되었다. 제도화 정책은 억제정책에 비하여 뒤늦게 시행되었는데, 1707년부터 1711년까지 양역변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관련 규정이 마련되었다. 셋째, 서원 행정 관련 문건은 592건으로 확인된다. 서원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서원 행정은 점차적으로 사우행정과 학사행정으로 구체화되었다. 사우행정은 설립허가, 사액조치, 추향허가 등의 업무이고, 여기에 사우를 관리하는 데에 필요한 인적․물적 지원도 포함된다. 학사행정은 정원관리, 유생고강, 강회의 개최 등과 같은 업무이고, 학사운영을 위한 인적․물적 지원도 포함된다. 서원 행정이 정비되는 과정에서 서원은 점차 제도권에 편입되었고, 기존의 향교와 함께 조선후기 교육제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처럼 『서원등록』은 기본적으로 서원의 증가와 그에 대한 대책을 담고 있는 자료이지만, 한편으로는 서원이 교육제도에 편입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기도 하다. 이점에서 이 시기의 서원과 관련된 현상은 기존의 남설과 훼철이라는 일반적 도식에서 벗어나, 서원의 제도권 편입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재조명의 노력은 18세기 중반 이후의 서원과 관련하여 더욱 요청된다.

      • KCI등재

        서원 경관의 보존ㆍ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1 No.-

        우리나라 서원은 조선시대 성리학이라는 시대정신을 품고 있는 교육적 장소이자, 자연과 인간이 평화롭게 공존하는 생태건축의 아름다움이 담겨져 있는 문화경관이다. 최근 서원의 세계유산적 가치가 재조명되면서, ‘한국서원 세계문화유산등재 추진준비위원회’는 조선시대 서원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기 위해 서원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를 추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중에 있는 전국의 9개 서원을 대상으로 세계유산 적 가치를 건축 보다는 외부공간과 경관적 측면에서 새롭게 조망하여 보았다. 현장조사를 통해서는 서원의 경관훼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존ㆍ관리적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단순히 건축물에 한정된 물리적 경계가 아닌 서원의 장소적ㆍ입지적 맥락을 고 려한 합리적인 문화재지정구역의 재설정을 통해 보존ㆍ관리해야할 서원의 경관범위와 대 상을 명확히 해야 한다. 둘째, 서원 주변지역의 과도한 개발과 편의를 위한 시설들의 무분 별한 설치로부터 서원과 외부의 주요경관요소 사이에 상호ㆍ시각적 개방성과 가시성을 확 보하여 보존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서원경ㆍ내외 원형경관의 고증을 통 해 향후 정비ㆍ복원 계획시 우선적으로 반영해야 하며, 추가적으로 건축ㆍ조경에 대한 세부 지침을 마련하여 서원의 주변경관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역사문화경관이 조성되도록 유도 해야 한다. Korea's Seowon or Confucian Shrines and Academies preserve Joseon Neo-Confucianism spirit, serving as education institutions, and offering a cultural landscape that encompasses the beauty of ecological architecture involving a peaceful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s. Recently, the world heritage value of Seowon is being highlighted again, and thus the Committee for Listing Korean Seown as World Cultural Heritage is pushing to register Joseon Seown as UNESCO World Heritage. This study examined the world heritage value of the nine UNESCO candidate Seowon from a landscape perspective rather than from an architectural perspective. Based on onsite investigations, Seowon landscape damage problems were determined,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thereof were propo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based on not only Seowon structures's physical boundaries, but also on cultural heritage areas, cultural heritages should be re-designated in the context of Seowon's places and locations, and Seowon's landscape scope and targets to be preserved and managed should be distinctively defined. Second, Seowon should be protected from excessive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facilities in the surrounding areas so as to secure visibility and open spaces between major surrounding landscape elements and the development areas. Third, based on diverse data, as well as on the verification of the original landscapes inside and outside Seowon premises, Seowon should be improved and recovered. Also, detailed guidelines for construction and landscaping should be prepared to create not only surrounding landscapes of Seowon but also overall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 옥산서원과 여주이씨

        이수환 ( Lee Soo-hwan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본고는 조선시대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인 옥산서원과 그 제향자인 이언적 가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주의 驪州(驪江)李氏는 본래 경기도 驪州牧 土姓으로 고려후기까지 여주의 戶長職을 세습하다가, 고려 말에 본관을 떠나 영남으로 내려온 것 같다. 영남에 정착한 초기에는 迎日에 살다가 이언적의 조부 李壽會가 경주인 生員 李點의 사위가 되어 경주로 온 것이다. 이 가문이 경주 지방에서 확고한 재지적 기반을 갖게 된 계기는 이수회의 아들 李蕃이 손소의 사위가 되면서부터이며, 이로 인해 그의 처가 소재지인 양좌동은 마침내 손·이 양 성의 세거촌이 되었다. 경주 여강이씨 가문은 17세기 이후 급격히 족세가 번창하면서 경주권의 어느 가문보다 대·소과 합격자를 많이 배출하여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名祖 이언적이 사후에 ‘宗廟配享’[明宗]과 ‘文廟從祀’라는 人臣으로서 또는 학자로서 최고의 영예를 향유한 데서 이후 이 가문은 영남의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옥산서원은 이언적 사후 경주 지역 사림들이 이언적의 학통을 계승하기 위해 1572년(선조 5)에 건립하였다. 옥산서원은 당시 慶州府尹 李齊閔이 權德麟(이언적 門人) 등 鄕中士林 13명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를 監司에게 보고하자, 감사 任說이 禮曹에 狀請하여 창건하였다. 옥산서원은 설립 후 당시 조선왕조의 서원진흥책에 힘입어 급속한 발전을 보게 되었으며, 특히 제향자인 이언적이 1610년(광해군 2)에 ‘동방 5현’의 한 분으로 文廟에 종사되자 그 영향력은 더욱 크게 증대되었다. 이후 옥산서원은 막대한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경주부의 유림사회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면서 지역 유림들의 교육 및 정치·사회적 활동의 중심지로 역할하였으며, 나아가 당시 중앙 정계의 치열한 정쟁 속에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 남인의 정치적 명분 제공과 이들의 상호결집을 위한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옥산서원은 인조반정·갑술환국 등 중앙 정계의 정쟁에서 남인 세력이 점차 실세함에 따라 院勢가 상당히 위축되었지만, 영·정조 대에 와서 다시 중앙 정계로부터 주목받았다. 영·정조 두 왕은 『대학』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이때 주자의 『大學章句』의 결유된 부분을 보완하여 『大學章句補遺』를 다시 편한 이언적의 학문이 주목되면서 그를 봉양하는 옥산서원도 중앙으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옥산서원은 경주권을 넘어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으며, 대원군의 전면적인 원사훼철 때에도 文廟從祀諸賢의 서원으로서 남게 되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Oksanseowon, a representative academy in Youngnam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Lee clan who were responsible for Confucian ritual at the academy. The Yeoju Lee clan in Gyeongju came from Yeoju-mok, Gyeonggi-do where their ancestors lived until the late Goryeo dynasty, some of them served as Hojang in Yeoju. The clan is believed to have left Yeoju and moved to the Youngnam region aroun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Early in their settlement in the Youngnam region, they lived in Youngil until Lee Su Hee, grandfather of Lee Eon Jeok married to a daughter of Lee Jeom, a saengwon in Gyeongju and the entire clan moved to Gyeongju. The clan came to power in academic aspects in Gyeongju when Lee Beon, a son of Lee Su Hee, became a son-in-law of Son Soh. Finally, Yangja-dong, home to his wife’s household, became a village of residence for generations of both Son and Lee clans. The Yeogang Lee clan in Gyeongju enjoyed prosperity all of sudden since the 17th century, produced more successful examinees in national civil service exams than any other clan in the Gyeongju area, making the clan establish itself as a representative noble family. In particular, after his death during the reign of Myeongjo, Lee Eon Jeok enjoyed the highest honor as a subject to the king and as a scholar such as Jongmyobaehyang [Myeongjong] and Munmyojongsa, which was a key influence to make this clan a leading noble family in the region. Oksanseowon was built in the 5th year of King Seonjo in 1572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area after his death with the aim of inheriting academic tradition of Lee Eon Jeok. The academy was established as the then Gyeongju mayor Lee Jae Min accepted a suggestion of 13 Confucian scholars in the village including Gwon Deok Lin, a pupil of Lee Eon Jeok and reported it to Governor Im Seol E, who recommended to the Ministry of Rites. Since its foundation, Oksanseowon witnessed a rapid growth with the help of academy promotion policy of the then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when its former ritual manager Lee Eon Jeok was enshrined as one of the five sages in the Orient in the 2nd year of King Gwanghae in 1610, its influence grew stronger than ever before. Afterwards, with enormous economic resources, Oksanseowon became a symbol of Confucianism in Gyeongju, playing a center of education, politics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Beyond that, as a representative academy of the Namin camp in the Youngnam region together with Dosanseowon, Oksanseowon played a role in providing a political cause for the entire Namin camp and uniting them amid fierce political struggles in the then central government. While the academy’s influence considerably decreased, as the Namin camp began to lose power in political struggles in the central government such as Injobanjeong and Gapsulwhanguk, it drew attention again of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Youngjo and Jeongjo. The two kings had special interest in Daehak. Accordingly, while the two kings ruled, much attention was paid to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Lee Eon Jeok who supplemented missing parts of Daehakjanggu of Chu Hsi and re-complied Daehakjangguboyou, and therefore, the academy which enshrined him was treated speciall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the academy established its firm status as a representative academy in Gyeonggju and Youngnam region and survived Daewongun’s full-scale destruction of academies and temples as an academy of sage enshrined in a Confucian shrine.

      • KCI등재

        무성서원지의 체제와 특징 -1884년본을 중심으로-

        권이선 ( Kwon¸ E-sun ),박정민 ( Park¸ Jung-min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7

        무성서원은 신라 말에 태산태수로 부임한 최치원의 유풍을 간직하고, 대원군의 훼철에도 남아 전라도의 道院 역할을 수행했던 곳이다. 최익현을 중심으로 태인유림들이 일어난 丙午倡義의 중심지였고, 이후에도 중요 역할을 수행하여 2019년 세계문화유산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상징성이 있지만 무성서원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 가운데 가장 적은 자료를 소장한다는 아쉬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84년에 간행한『무성서원원지』는 이들 서원지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당대뿐만 아니라 1615년에 설립된 태산서원의 자료, 사액을 받을 때의 기사 등을 기재하여 높은 사료적 가치를 보유하고 있다. 원래 무성서원은 원지가 없었는데 여러 정황상 1868년 서원 철폐 이후 復戶·保奴의 복구와 관련된 지난한 과정을 겪으면서 그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1884년 판 원지는 상·하권으로 구성되었는데 상권은 9개 내용과 31개의 하위 항목, 하권은 8개의 내용과 29개의 하위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지의 특징은 ①무성서원과 최치원의 관련성 강조, ②무성서원이 철폐된 후 폐지된 복호와 보노의 복구 과정, ③무성서원의 연혁을 기재한 갑을기사, ④무성서원의 강습례, ⑤1872년에 많은 책을 기증한 안재호 장서기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처럼 『무성서원원지』는 무성서원의 역사적 사실을 복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수 있는 훌륭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Museong Seowon maintains traditions handed down by Choi Chiwon, who was a viceroy of the Taesan region during the Shilla Dynasty era. Museong Seowon served as a provincial lecture hall in Jeollanamdo Province despite an order of demolition issued by Regent Heungseon Daewongun, and was a center for the Byeongochangeui (丙午倡義), an uprising by Taein Confucian scholars led by Choi Ikhyeon. Museong Seowon has continued to play significant roles in Korean history, and was designated a UNESCO cultural heritage site in 2019 as one of Korea’s notable seowon. Despite its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nine seowon designated as UNESCO cultural heritage sites, Museong Seowon has the fewest historical records. Notwithstanding, Museongseowonwonji is one of the earliest seowonji publications, as it was published in 1884. The book contains records, including material on Taesan Seowon, which was built in 1615, and articles written when the name of the seowon was given by the king. Hence, Museongseowonwonji has immense historical value. Initially, Museong Seowon did not have a seowon publication, and the need probably arose after the arduous restoration of Bokho (復戶) and Bono (保奴) after the seowon closed down in 1868. The 1884 edition of Museongseowonwonji comprises two volumes. The first volume has nine themes and 31 subthemes, and the second volume has eight themes and 29 subthemes. Some notable characteristics of the Museong Seowon publication include: (i) an emphasis on the relation between Museong Seowon and Choi Chiwon; (ii) a course on the restoring of Bokho and Bono, which had been abolished since the 1868 closing of Museong Seowon; (iii) gapeulgisa that documented the history of Museong Seowon, (iv) the ritual of lectures at Museong Seowon; and (v) notes on books by Ahn Jaeho, who donated a large volume of books to the seowon in 1872. Museongseowonwonji is a repository of valuable historical records that bridge historical gaps regarding Museong Seowon, and its utility is multifaceted.

      • KCI등재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에 나타난 주희의 서원관

        범혜한 한국서원학회 2015 한국서원학보 Vol.3 No.-

        본 연구에서는 남송 대 백록동서원이 부흥되는 과정에서 드러난 주희의 서원관을 구명하는 것에 논의의 중심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백록동서원의 운영 및 교육 실제를 고찰함으로써 그의 서원관을 밝혔다. 「白鹿洞書院記」와 주희가 조정에 올린 각종 上奏文에 따르면, 주희는 이학을 백록동서원의 전통으로 융합시켜 백록동서원의 새로운 `사학정신`으로 부여하였다. 또한 백록동서원의 부흥 과정에서 그는 적극적으로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였다. 주희는 사학정신을 중심에 두고 관학 제도를 보조적으로 이용한 `官私合辦`의 모델을 가장 이상적인 서원 운영 모델로 설정하였다. 다른 편으로 주희는 「백록동서원게시」를 제정함으로써 `사학정신`을 문서화, 구체화시켰다. 또한 교과목을 선정하고 다양한 교학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새로운 교육 이상을 실천할 서원의 교학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서원교육을 제도화, 체계화시켰다. 주희 이후에는 서원 발전에 정부의 개입이 점차 증가하였다. 남송 후기에 산장 제도가 발전됨에 따라 백록동서원의 관학적 성격이 강해지고 정신이 약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 결과 주희가 최초에 설계한 서원모델과 점점 멀어졌다. 南宋時期,白鹿洞書院在朱熹的主導下走向復興。本文通過考察白鹿洞書院的運營和敎育的實際情況來探究此過程中呈現出的朱熹的書院觀。根据對《白鹿洞書院記》和朱熹向朝廷上呈的各種奏折的分析結果可知,朱熹把理學白鹿洞書院的傳統結合在一起,賦予了白鹿洞書院新的`私學精神`。幷在此基礎上,積極尋求政府對復興白鹿洞書院工作的各項支持。朱熹把以私學精神爲主,官學制度爲輔的`官私合辦`模式當作理想的書院運營模式。?外朱熹通過頒布 《白鹿洞書院揭示》,使`私學精神`書面化,具體化。幷通過制定課程,采用多祥的敎學方法把新的敎育理想付諸實踐,使書院敎育走向制度化、體系化,開創了他的書院敎學模式。朱熹離開白鹿洞書院之后,政府對書院發展的干預不斷深化。南宋后期,隨着山長制度的發展,白鹿洞書院的官學性質不斷增强,私學精神不斷被弱化。這和朱熹最初設想的書院模式漸行漸遠了。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