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19세기 공도회의 운영과 변화

        최광만 교육사학회 2019 교육사학연구 Vol.29 No.1

        공도회는 조선 후기 지방 유생의 학업진흥책이자 소과와 관련성이 높은 인재선발제도였다.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공도회의 심층연구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18∼19세기 공도회의 운영 양상을 조사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도회의 운영방식은 『속대전』에 관련 규정이 마련된 이래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특히 영조 대에 탕척 규정 신설과 10월 시행 원칙이 정해진 후, 조선 말기까지 동일하게 운영되었다. 둘째 공도회의 선발인원은 신설지역 확대, 선발인원 증원 등으로 증가하였다. 정조 대에는 수원부, 광주부에 신설되고, 고종 대에는 덕원부, 춘천부, 영흥부, 경흥부, 청주목, 북청부 등 6개 지역에 신설되었다. 그 결과 선발인원도 『속대전』 당시 69명에서 고종 31년(1894)에는 107명으로 증가하였고, 이들이 식년감시 복시에 차지하는 비중도 12.1%에서 17.6%로 증가하였다. 셋째 공도회의 설행 양상은 영조 대에 탕척 규정이 시행된 이후 매년 마감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러한 기조는 정조대까지 이어졌으나, 19세기에는 연기되는 경향이 강해졌다. 특히 고종 대에 심했는데, 다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각 지역에서는 지속적으로 공도회를 설행하려고 노력하였다. Gongdohoe had an important role in the local education and selection as an incentive scheme for study and selection system for talented student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But there is no serious study about it by now, so it is necessary at present to portrait the outline and provide a direction for it. This study aims at discovering the basic facts of Gongdohoe system in the 18th∼19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erious change in the Gongdohue system. Especially, when king Youngjo(英祖) established ‘Tangcheuk(蕩滌)’ rule and changed the examination period, the typical system of Gongdohoe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Dynasty was completed. Second, the number of selected local students in Gongdohoe increased from 69 to 107 each year. And the proportion of them in Sogwa Bogsi(小科 覆試) was maintained between 12.1%~17.6%. Third, the conduction trend of Gongdohoe changed as time passed. The annual conduction was a principle in 18th century, but the principle was weakened in 19th century and the triennial conduction cases increased.

      • KCI등재

        대전 도산서원(道山書院)의 강학 관련 자료와 시사점

        최광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본 연구는 대전 소재 도산서원의 강학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조선 후기 서 원 강학 활동에 관한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주요 자료는 이택재(도산서원 전신)의 운영규정인 「이택재중대소사해식」・「일과정업」, 도선서원의 「원규」, 그리고 1750년에 시행한 춘추도강의 강회입규이다. 이 들 자료를 검토한 결과 확인된 사항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택재의 운영규정은 권시가 1653년에 기존의 서당을 확대하면서 작 성한 것으로, 연령별・능력별 운영방식을 제시한 내용이다. 그런데 권시가 이 러한 조치를 취할 당시에는 지역 수령이 취반승・보직・시탄 등 공적인 지원을 하였고, 여기에는 1651년에 제정된 「교수제독의구례복설사목」이 영향을 미쳤 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택재의 설립은 권시 개인에 관한 사실을 넘어, 지방 교육 진흥책의 추진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주목된다. 둘째 도산서원의 「원규」는 18개 조항으로 구성되는데, 1~5조는 「이산원규」 를 반영하고, 6~18조는 「문헌서원학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산서원이 남인계 서원과 서인계 서원을 절충한 것을 보여주지만, 다른 면으로는 「이산원규」를 통해 위기지학의 이념을 제시하고, 「문헌서원학규」를 통해 운영세칙을 정리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원규를 바탕으로 서원 의 유형을 구분하는 데에는 보다 신중한 태도가 요청된다. 셋째 강회입규는 1750년에 시행한 춘추도강의 운영규정인데, 그 직접적 인 계기는 1749년 12월에 반포한 영조의 「권학문」이다. 이것은 18세기 중반 에 미사액 서원까지 교육행정체계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운 영방식을 감안할 때, 춘추도강은 학습자 개인의 학업 증진보다는 도산서원 전 체의 학업 완성이라는 상징적인 의례 행사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이 것은 서원의 강학활동에는 일상적 활동 이외에 다양한 층위의 활동이 있었음 을 시사하고 그만큼 강학 관련 자료를 그 성격에 따라 유형화할 필요성을 제 기한다.

      • KCI등재후보

        16~17세기 忠南地域 敎育中心圈域의 變化

        최광만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3 남명학연구 Vol.15 No.-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Chosun Dynasty, 16C-17C. At that time,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system seemed to be fundamental, and the educational situation seemed to develop in a different direction afterwards. What is the nature of the change? The answer needs a new approach, not micro but macro, for the curtain of the change can not be uncovered by some facts of individual schools. But until now, such macro approach was not tried. So I can not help narrowing the range of study down to Chungnam province cas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fucian public schools[Hyanggyo(鄕校)] were linked to central schools by Dohoe(都會) in the late of 15C. And they formed one or two educational districts in every provinces though loosely. In Chungnam province, Gongju(公州) public school and Hongju(洪州) public school were the central schools which the others were linked to. Second, the two educational districts in Chungnam province became weakened by the emergence of new strong private academies[Seowon(書院)] in 16C-17C. They were 'Chunghyun Academy(忠賢書院)' and 'Donam Academy(遯巖書院)'. In the first half of the 17C, they became educational centers in the province, and the confucian scholars turned their steps to these new schools. Afterwards, the earlier educational system couldn't recover its educational power. Third, the importance of the change is not only in the shift of the educational center. The real nature of the change is that the educational equity was destroyed. For the earlier educational district functioned as a equality mechanism of the education and selection as possible. Now the fruits of education was no more given to every confucian scholars. >16-17세기 朝鮮은 정치나 학술의 측면만이 아니라 敎育制度 상으로도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15세기말 전후까지 朝鮮은 官學敎育을 강화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그 결과 成宗 대까지 각 府, 牧, 郡, 縣 마다 鄕校가 건립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16세기 중반부터 관학의 보완이자 대안인 書院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이전의 교육제도에 일정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고는 교육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巨視的인 觀點에서 이 시기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조선 전기의 교육체제를 구성하는 한 중요한 요소로서 敎育中心圈域에 주목하였다. 교육중심권역이란 都會라는 제도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각 지역의 중심향교와 인근 향교의 권역을 말한다. 忠南地域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 이 지역은 15세기부터 16세기 전반까지 公州牧과 洪州牧 등 2개의 중심향교를 중심으로 교육권역이 형성되었으나, 16세기 후반부터 공주목 동부(孔巖 및 儒城地域)와 동남부(連山地域)에 새로운 교육중심지가 부상하기 시작하여, 17세기에는 기존의 교육중심권역이 거의 무력화되고, 동부 및 남동부지역으로 교육중심권역이 재편되어 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단지 敎育圈域의 變化만이 아니라, 관학교육체제가 지향하는 敎育機會 擴大의 公的 原理가 後退하는 결과를 의미한다고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Differential protein expression associated with heat stress in Antarctic microalga

        최광만,이미영 한국바이오칩학회 2012 BioChip Journal Vol.6 No.3

        We used proteomic approaches to study the survival and defense mechanisms of Antarctic microalga under heat stress. The microalga was cultured for optimal growth at 4℃,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o 15℃, and the resultant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induced by heat stress were analyzed by mass spectrometry following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Orthologues of 22 proteins showed more than two-fold changes in abundance; of these, 8 proteins were up-regulated, and 14 were down-regulated. In addition, changes in the enzyme activities and isozyme profiles of catalase, aldehyde dehydrogen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reductase, and ascorbate peroxidase were investigated using an in-gel activity-staining method. Alterations in protein express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Antarctic algae may be related to survival and defense mechanisms against elevated temperatures.

      • KCI등재

        영조 대 성균관 시학 연구

        최광만 교육사학회 2020 교육사학연구 Vol.30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Confucian National University Symposium in Youngjo regime an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educational promotion policy in Joseon dynasty. Young-jo carried out the symposium three times in his regime, ie 1733, 1742 and 175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jo wanted to educate the scholars of National University by himself through the symposium. He visited the university 19 times in his regime and showed his interest in the education. The symposiums were held in his visits. Second the symposium wqas planned as a special momentum. So the holding time was irregular. The 1733 symposium was held after settling the fuss in 1726, the 1742 symposium was carried out after the entrance ceremony of his young prince, and the 1756 symposium was planned suddenly after a political event in 1755. Third the symposium was a special academic ceremony to give educational effects to the scholars by a many-sided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One is a direct communication dimens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seminar hall (Myunglyundang, 明倫堂), another is a indirect communication dimension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the scholar audience, and the other is a direct communication dimension between Young-jo and the scholars. Fourth the symposium shows the characteristic of the education promotion policy in Joseon dynasty. It was to educate the scholar as a true confucian and loyal subject. It also reflected the double sideness of Young-jo as a philosopher-king. 본 연구는 영조 대에 시행한 성균관 시학(視學) 사례를 분석하여, 그것이 가지는 장학책으로서의 성격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조는 성균관 시학을 통하여 성균관 유생에게 직접적인 교육적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였다. 그는 재위기간 동안 평균 2.7년마다 행학하였고, 조선 후기에 유일하게 성균관 시학을 시행하였다. 둘째 영조 대 성균관 시학은 일반적인 행학과 달리 특별한 계기를 배경으로 시행되었다. 영조 9년의 사례는 무신란(戊申亂) 진압이 계기가 되었고, 영조 18년의 사례는 원자의 입학과 『태학생원점절목』의 제정이 배경이 되었다. 그리고 영조 32년의 사례는 전 해에 있었던 을해옥사(乙亥獄事)가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셋째 성균관 시학은 다양한 소통 방식을 통해 성균관 유생에게 교육적 영향력을 미치는 학술 활동이었다. 성균관 시학은 강론 참여자 사이의 직접적 소통, 강론을 지켜보는 성균관 유생과의 간접적 소통 그리고 임금과 성균관 유생 사이의 직접적 소통 등 3중으로 진행되었다. 넷째 성균관 시학은 조선적인 장학책의 성격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임금과 성균관 유생의 관계는 군주와 (미래의) 신하라는 정치적 관계이자, 스승과 제자라는 교육적 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조선시대 성균관 장학의 핵심은 성균관 유생이 경전의 본뜻을 체득하여, 임금을 보좌하는 탕평 정치의 인재로 양성하는 데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