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國外 流出 韓國文化財의 還收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조부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2 No.-

        2 세계대전 이후 이들 다양한 협상경로를 통하여 다수의 반환사례가 있었지만, 문화재 의 기원국 반환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높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 내외적으로 불법 반출된 문화재의 기원국으로의 반환문제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1993년부터 한ㆍ불간 외교현안으로 남아있던 외규장각 도서의 반환문 제가 양국간의 끈질긴 양자협상 끝에 최종 합의되어 의궤 297책이 145년만인 2011년 5월 31일 귀환,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일제 때 강탈당한 조선왕실의궤 등 도서 1,200 여 책이 2012년 12월 6일 돌아왔다. 반출된 지 100여년만의 귀환이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이다.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유출은 실로 체계적이고 대규모이다. 일본 내 문화재 반환 전문 연구자인 하야시 요꼬 쇼비대 예술경영학과교수는 2007년 한일 불법문화재 반환촉진포럼 에서 30만점 이상의 한국문화재가 일본강점기에 일본에 유출되었으며, 이중 90%가 민간 소유 문화재라고 밝히고 있다. 2003년 12월 9일 일본이 유네스코(UNESCO)의 「1970년 문화재의 불법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의 금지와 방지 수단에 관한 협약」에 가입함에 따라 한ㆍ일간 문화재 반환에 관한 새로운 국제법상의 환경이 조성된 바, 문화재청은 아래사항 을 이행하여 일본소재 한국문화재의 환수협상에 새로운 물꼬를 트도록 기대한다: (1) 일본 유출 한국문화재 환수 촉진을 위해 양국 문화재 연구자간의 협의체 신설지원, (2) 민간소 유 일본유출 한국문화재의 기증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측면강구 ① 공개촉진의 근본문제 해소를 위한 1988년 미술품의 미술관에서의 공개촉진 관련 법률의 개정유도, 미술품 기증 에 대한 조세제도의 국제적 수준(미국,영국,프랑스 수준)으로의 환경조성에 대한 국제적 권유, ② 「1965년 문화재협정」의 합의의사록에 명시된 “일본정부의 기증권장”에 대한 구 체적 이행 조치의 일환이자, 유네스코 1970년 협약에서 “점령하에서 점령국에 의해 수출 된 문화재”는 반환대상이므로 국ㆍ공유기관소장 한국문화재의 우선적 반환촉구, ③ 일본 에서 재일 한국문화재문제는 개인 소장가의 대부분이 관심이 매우 낮은 바, 한국에서 작품 을 기증한 일본인 수집가가 호의적으로 평가되고 진심으로 감사를 받고 있다는 사례의 심 층홍보로 기증 동기유발. 문화재청은 2007년 10월 22일 1871년 신미양요 때 미군에 빼앗긴 뒤 미 해군사관학 교 박물관에 전시 중이던 어재연(魚在淵)장군기를 최장10년간 빌려 국내에 들여왔다.현 재 미국 내 소재가 확인된 미 해군사관학교 박물관과 미 해병대박물관에서 보관 중인 20여 점 외에 유출 당시의 유물 480여점 중 나머지 460여점의 미국 내 소재가 현재 미확인 상태 에 있다. 이외에도 미 군정기와 한국전쟁기의 혼란된 사회분위기에서 미국으로의 한국문 화재 유출은 일제 강점기에 이어 가장 큰 규모의 유출일 것은 분명하다. 2013년 3월 31일 현재 문화재청 통계에 잡힌 미국 유출 한국문화재는 총 42,325점, 소장기관 121개 처로, 이 중 한국군사문화재 소장기관은 8개처 88건 205점이고, 미국 내 조선왕실의궤(朝鮮王室儀 軌)의 소장처가 새롭게 발견된 바,미 실사 소장기관에 대한 현지실사가 필요하며, 아울러 미국으로의 유출문화재에 대한 심층연구가 요구된다. 불법 반출된 해외 문화재의 경우 그 유출 경위를 철저히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 극적인 환수운동을 벌여야 한다. 그러나 소중한 우리 문화재의 반환을 위해 아직 풀어야 할 난제들이 많다. 왜냐하면 정부에서는 국가 간 외교 마찰이 우려되어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외국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재의 환수를 위해서는 정부에 전 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민간차원의 환수 운동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국외유출 문화재 환수의 활성화를 촉구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행정과 예산을 뒷받침 해주고 민간이 앞장 서는 효율적인 거버넌스(Governance)를 작동하게 되면 세계 도처에 흩어져 있는 불법 유출된 우리 문화재의 환수가 보다 가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Though there have been many return cases through diverse negotiation channels after World War II, it is difficult to say international society has high notion of returning cultural heritages to their original owners. But until recently, more attention is being drawn to the issue of returning cultural properties illicitly imported and exported to the original owners, in and out of country. Domestically, issue of returning the old books of Outer Gyujanggak which have been a diplomatic agenda between Korea and France since 1993 finally reached to an agreement at last after persistent negotiation, returning 297 Uigwe books in May 31st, 2011 for the first time in 145 years, which are stored since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bout 1,200 documents including Uigue stolen under Japanese regime were returned in December 6, 2012. It was a return in about 100 years since they were illicitly exported. But it is only a beginning. Outflow of cultural hproperty under Japanese regime was systematic and done in grand scale. Prof. Hayashi Yoko of Shobi univ, art management, an Japanese expert in cultural heritage return, acknowledged over 300 thousand Korean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illegally exported to Japan under the Japanese regime, and 90% of them are private possessions. In December 9, 2003, since a new circumstances of international law is created as Japan joined 1970 UNESCO Convention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anticipated to make a breakthrough to restitution negoti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y in Japan by fulfilling the following; (1)newly established support to cultural heritage researchers of both countries for promotion of restituting Korean cultural property illicitly exported to Japan, (2)deliberation on policy for active donation of Korean cultural property illicitly exported to Japan in private possession, ①promotion of revision to the act related to public disclosure expedition of art work in art museum in 1988 and international recommendation on establishing conditions of taxation on art work donation to international level(U.S.A, England, France), ②urging of priority return of Korean cultural property possessed by national, public institutions since ‘cultural property exported by occupying nation under the regime of the occupying nation’ is subject to return as stated in the Japanese government’ stated in agreement proceedings of 「1965 Cultural Heritage Negotiation」③ as problem of Korean cultural property in Japan draws little attention from most of private owners in Japan,motivating donation by in-depth promotion of cases that Japanese collectors who donated the heritages are viewed very favorable, and receiving a lot of gratitude. October 22, 200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mported Uh Jae Yeon general flag which had been exhibited in U.S Naval Academy after taken by U.S army in Sinmiyangyo in 1871 into the country for 10 years at maximum.Now, other than 20 items are kept in U.S Naval Academy Museum and Marine Corps Museum, location of 460 items in U.S among 480 cultural heritages illicitlly exported is still unidentified. Rather, it is clear outflow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to U.S in a chaotic era of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and Korean War is the most immense outflow following Japanese regime. According to a research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March 31, 2013, export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to U.S counts up to total of 42,325 items, 121 institutions owning the items, of which 8 institutions own 205 Korean military cultural properties in 88 cases, and as institution holding Uigue is newly discovered, on-site investigation on actual holding institution in the U.S and also, in-depth research on outflow of cultural heritage to U.S is demanded. As f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property in foreign countries, the circumstance of outflow must b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active restitution movement must be given based on the investigation. But there are so many obstacles to restitution of our treasured cultural property. It is because our government has difficulties in acting actively for the concern of diplomatic troubles. So for the restitution of our cultural property dispersed throughout the foreign countries, restitution action on the civilian level should be more active than depending on the government wholly. To promote active restitution of illegally exported cultural heritage outside country, if an efficient governance of government supporting administration and funding with the public in the front is able, more significant and efficient restitution of our cultural properties illegally exported throughout the world is expec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전통공예 기능 분류 연구

        이승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0 No.-

        학문의 영역에서, 비록 주 대상은 아니었지만 공예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분야는 미술사, 미학, 예술 학(미술학), 민속학, 일반 역사학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제 강정기로부터 70여년이 다 되가는 지금까지 공예의 분류 혹은 분류기준은 만들어 진 적이 없으며 공 예에 대한 주 연구 학문분야를 담당해오고 있는 미술사의 영역에서도 아직은 시도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론 공예에 대한 분류는 아니지만 정책적 필요에 의하여 문화재청에서 중요무형문화재의 기능을 변별하기 위한 분류가 있고 이를 보완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성과가 있다고 하기에는 그 분류가 도자, 금속, 목칠, 섬유, 피모, 종이, 돌이라는 7종류라는 분류 기준으로(재료 중심에 품목 첨가) 다소 애매하고 너무 단순하기에 여러 논란이 있어왔다. 본 논문은 학술적 연구나 노력의 부재 속에서도, 현장에서는 끊임없이 그 필요성을 요구 받고 있는 공예의 분류 혹은 분류기준 연구를 시급한 현실의 과제로 인식하며 시작하였다. 본 연구자가 참여하였던 이 분야의 유일한 사전 연구의 성과물을 (공예의 기초적인 특질, 기본요소, 공정별 결합 방식에 따른 기능의 변별 등)본격적으로 종합하고 체계화하여 발전시켰다. 선행 연구의 성과를 최대한 활용하고 부 족하거나 놓쳤던 사항을 (분류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식체계이거나 세계관이라는 것, 특히, 예술과 산업, 전통과 현대라는 한국공예의 이원화된 요인이 분류체계에 그대로 반영되어 여전히 분절되는 모습) 보강하는 작업을 통하여 기존의 연구보다는 좀 더 명료한 분류 기준을 확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기준에 대한 명료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분류의 대상을 공예의 가장 기본적 요 소인 재료, 기술, 공정에 대한 영역과 가장 잘 일치하는 전통공예의 기능으로 제한해야 했고 좀 더 포괄적인 분류는 차기 연구의 과제로 넘기기로 했다. 본 연구 활동을 통해서 예술과 산업, 전통과 현대로 분절된 공예의 영역이 극복될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을 보았기 에 조만간에 있을 향후 추가적적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공예의 분류체계가 더욱 더 체계화되어 설정될 수 있을 것 이고 이를 기반으로 좀 더 단단한 구조적 분류를 개발할 수 있으리라 낙관한다. In the area of study, although it was not the main target, art history, aesthetics, Art (Fine Arts), folklore, general history can be said that they have an interest in the craft sector. However,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until now, 70 years later, the craft category or classification criteria have not been made and never been even attempted by the realm of art history which has played the role of major study on craft. Of course, it is not the classification of craft, but there is the classification for the functional discriminant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made by the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complement for this. But there have been several arguments since the craft was classified into 7 parts of ceramics, metals, mokchil(color on wood), textiles, coat, paper, stone (material-centered and item-added) and it was too vague and too simple to be said there are desired outcomes. Although this paper is yet to seek the academic research or the efforts in the field, the craft category or classification criteria has been constantly asked and this research was launched on the basis of craft’s reality. I, as a researcher on this study, organized, synthesized and developed in earnest the fruits of the prestudy (basic characteristics of craft, the basic elements, the functional discrimination by the combining method for each process, etc.) which is only in this field. Maximize performance and lack of previous studies or missed points (A classification is basically a view of the world or knowledge system, especially, art and industry,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rafts of Korea called two-tiered classification system factors are reflected in the still The appearance segment) through the work to reinforce a more distinct than the previous studies was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However, the clarity about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in order to secure the target of this type of craft paper, which is the most basic materials, technology, process, and for the area that best matches should be limited to the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crafts and more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ver to the next task of the study was. Through this research activity, but the art and industry, both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rafts as articulated in the area can be overcome sooner or later, because many have seen the future possibility of adding a comprehensive study ever craft a more structured system of classification is set will be based on this classification to develop a more solid structure iteurira is optimistic.

      • KCI등재

        한국미술의 뿌리와 무교(巫敎)

        Jon Cater Covell,진경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0 No.-

        이 글은 일본미술사를 전공하면서 그 뿌리가 한국미술에 있음을 간파한 후, 한국미술과 한국문화 전반에 대해 깊 이 있는 연구를 수행한 바 있는 존 카터 코벨의 『Korea’s Cultural Roots』 중 제1장“ Shaman Roots”를 번역한 것이 다. 그동안 『전통문화논총』에 제2장과 제3장을 각각 ‘한국미술의 뿌리와 불교’(2011년 9호), ‘한국미술의 뿌리와 유교’(2010년 8호)로 옮겨 실었는데, 이번 ‘한국미술의 뿌리와 무교’ 연재로 이 책을 완역하게 된다. 저작권 등 사 정 때문에 단행본으로 출간할 수 없었지만, 이 논문집에 나누어 연재하는 형식으로 완역하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 한다. 이 책은 한국미술과 한국문화의 뿌리를 이해하는 데 유효한 길라잡이가 될 것으로 믿는다. 이번 ‘한국미술의 뿌리와 무교’는 본문의 길이가 긴 관계로 역자의 주석은 최소한만 달기로 한다. 본문에 딸린 많은 삽화 중에서도 역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일부만 싣기로 한다. ‘한국미술의 뿌리와 불교’에서처럼 충실한 역 주를 달거나,‘ 한국미술의 뿌리와 유교’에서처럼 다양한 삽화를 첨가하지 못해 아쉽다. 기회가 닫는 대로 보완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한국 현대시론에서의 ‘전통’ 연구 - 조지훈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중심으로

        김윤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3 No.-

        본고의 목표는 ‘전통’이라는 관점에서 한국 현대시론의 한 경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 주된 논의 대상은 조지훈의 시론이다. 1930년대 시문학파나 문장파의 시론이 조 지훈에게 계승되어 온 점에 주목하여 그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1930년대 후반 이병기, 이태준, 정지용으로 대표되는 문장파는 우리 언어로 다양한 예술적 모색을 도모한 점과 동양적 고전정신에 충실하고자 한 점에서 ‘전통적’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들의 상고 취미나 고전전통에 대한 심취는 일종의 ‘반근대’ 혹은 ‘비 근대’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문장파의 전통지향성은 조지훈에게서 ‘멋’의 미학으로 드러난다. 조지훈은 전통을 역사적․문화적․가치적․집단적․주체적 개념으로 파악하고, 전통 논의의 연장선에서 고전을 중시하는 특유의 정신주의를 드러낸다. 나아가 전통에 대한 그의 관심은 민속학과 역사 연구로 발전하였다. 한편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순수시론을 최초로 제기한 것은 시문학파이다. 특히 박 용철은 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언어의 절차탁마요, 마음의 순정성을 노래하는 것 이 시의 궁극이라고 생각하였다. 시문학파의 현실도피적 관점이나 귀족주의적 풍 모는 유가적 선비의 전통에도 잇닿아 있다. 또한 정지용은 박용철의 시론을 계승했 지만, 신앙이나 고전과 같은 정신적인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시론에 서도 조지훈은 문장파를 충실히 계승․심화하였는데, 그것은 ‘순수시론’으로 나타 났다. 그는 문학이 정치에 복무하는 것을 배격하면서 순수한 시정신을 고수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 점에서 그의 순수시론은 좌파 문학에 대한 대결의식의 소산이다. 그 의 시론은 생명문학론과 시 자율성론이라는 두 가지 이론적 토대 위에 서 있다. 한국 현대시에서도 전통적 요소와 외래적 요소가 혼효된 가운데 상호 경쟁하면서 발전해 갔다. 이제 우리에게는 전통성과 근대성에 대한 균형있는 시각이 요청되는 시점이다. 이에 조지훈의 전통론과 순수시론을 재론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look at one trend in the Korean modern poetics in terms of ‘tradition'. This paper discusses mainly the poetics of Cho-jihun’s. I intend to discuss his thoughts about tradition and ‘pure poetics’, by noting that his views succeeded those of ‘Simunhak’ group and/or ‘Munjang’ group in the 1930s. In the late 1930s, ‘Munjang’ group that was represented by Lee-byunggi, Lee-taejun, Chung-jiyong can be called 'traditional' in that they attempted a variety of Korean languages and devoted to the spirit of Oriental classic. Their appeal for classical tradition or their infatuation for worshiping ancient culture means their 'anti-modernity' or 'non-modernity'. The traditional orientation of ‘Munjang’ group represents as the aesthetics of ‘Mut(멋)’ in Cho-jihun. He understanded the tradition as a historical, cultural, valuable, collective and subjective concept, He revealed his unique mental note that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lassics by extension of discussing tradition. Further his interest in tradition developed toward the study of Korean folklore and history. Meanwhile, in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Simunhak’ group raised ‘pure poetics’ first. Especially Park-yongchul thought that refining language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oertry, that singing pure sincerity of mind was the ultimate of poetry. Their attitude of an escape from reality or their noble appearances in ‘Simunhak’ group was connected to the tradition of Korean Confucianist scholar. Also the poetics of Chung-jiyong’s succeeded to that of Park-yongchul, but his emphasis on faith or the spiritual such as the classic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m. Poetics of Cho-jihun’s faithfully handed down and deepened that of ‘Munjang’ group; it was reprensented as a ‘pure poetics’. He rejected literature to serve for the political and emphasized on adherence to ‘pure Poesie’. Therefore, his pure poetics was come from the conflict awareness of Socialism literature theory. and his poetics was based on two theoretical foundation; Life literature and Autonomy theory of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traditional elements and imported elements were developed while competing and mixed together. We now need to have a balance between traditionality and modernity. It will be worth rediscussing about Cho-jihun’s theory of traditionality and his ‘pure poetics.’

      • KCI등재

        문화유산 데이터 분석 및 정보 시각화 방안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데이터를 중심으로-

        김보람,이종욱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문화유산의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서 문화유산의 정보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분석하였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문화기술연구개발사업 중 하나로 ‘실감형 문화유산 체험을 위한 애셋 기반 지능형 큐레이션 및 서비스 운영기술 개발(CHIC 프로젝트)’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함께 진행하고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의 e뮤지엄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능형 큐레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해당 과제를 분석하고, 과제 일부분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진행한 데이터의 속성 및 관계 분석과 시각화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문화유산 정보의 관리 방향성을 확인하기 위해 2장에서는 디지털 큐레이션의 정의와 문화유산 온톨로지를 연구한다. 특히, 해당 연구는 대표 문화유산 온톨로지인 CIDOC CRM과 CIDOC CRMdig을 중심으로 하였다. 3장에서는 CHIC 프로젝트를 기술하였으며, 지능형 분석/검색/가시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연구한 문화유산 정보 데이터의 속성과 관계 정의서를 기술하였다. 해당 속성과 관계는 문화유산 정보 모델을 위한 온톨로지를 참고하여 개발되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의 e뮤지엄 유물 설명 데이터를 분석 및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어서, 4장에서는 e뮤지엄 데이터에 속성과 관계를 부여하기 위한 작업 절차가 진행되는 방식을 2장에서 소개된 CIDOC CRM에 적용하여 시각화하였고, 태깅을 위해 개발된 어노테이션 툴의 작동 방식을 소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작업 절차를 투명화하였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정의된 속성과 관계로 분류된 e뮤지엄 데이터의 결과를 간략히 분석하였고, 온톨로지 데이터 관리 도구인 프로테제(Protégé)를 통해 일부 데이터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시각화 예제로 향후 시각화의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해당 연구는 Sarah Higgins가 2008년에 주장한 디지털 큐레이션의 생애주기 중 데이터의 접근과 사용, 재사용(access, use & reuse)의 활동을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데이터를 통해 실현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문화유산 데이터를 관리하고 재활용하여 최종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객관적으로 서술함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통문화 이해를 위한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 규명 필요성 - 산수유 사례를 중심으로

        신현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4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3 No.-

        전통문화에 등장하는 각종 식물들의 경우 대부분 한자(漢字)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 들의 실체에 대한 이해가 없이 문화를 해석하고 있어, 일정 부분 전통문화 해석에 있 어 오류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전 문헌에 나오는 수유(茱萸)의 실체를 파악함으로써 전통문화를 달리 해석할 수 있는 사례를 보여주고, 전통문화 이해를 위해서는 식물의 분류학적 실체 규명이 필요함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산수 유로 번역되는 수유는 크게 산수유(山茱萸)와 오수유(吳茱萸)로 번역될 수 있음을 살 펴보았고, 왕유가 지은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에 나오는 수유 는 산수유가 아니라 오수유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수유(茱萸)로 기록된 식물을 번역할 때에는 문맥의 상황에 따라야 할 것이다. Although many plant names recorded in the traditional cultures were written in chinese letter, until now the traditional cultures were understood without the correct taxonomic identities of plant names. Therefore, there were some mistak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cultures. In this study, to address the needs to clarify the taxonomic identities of plants for the re-understand the traditional cultures, the taxonomic identity of su-yoo was clarified and the traditional culture related to san-su-yoo were re-understood based on the clarified concept of san-su-yoo. The chineses letter ‘su-yoo’ written in the old books was proved to mean two species; one is san-su-yoo in the Samkuyusa, and the other is o-su-yoo in the Wang Wei’s poetry, Double Ninth, Missing My Shandong Brothers.

      • KCI등재

        왜 문화유산이 문제인가? : 문화유산을 통한 한ㆍ일ㆍ중 3국의 분쟁과 왜곡

        김희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8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1 No.-

        동아시아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긴장감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어 있다. 한ㆍ일ㆍ중 세 나라의 긴장뿐 아니라, 북한과 미국의 정치군사적인 갈등까지 겹치면서, 전에 없던 긴장감이 동아시아에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7년 미국은 교 육, 과학, 인권, 그리고 문화 분야를 아우르는 국제기구인 유네스코를 탈퇴하였다. 이 배경에는 유네스코가 최근 팔레스타인의 한 문화유산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시켰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네스코 내에서 문화유산 관련 업무는 아 주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지만, 이 문화유산과 관련된 영향력은 실로 엄청난 것으로, 유네스코에서 가장 큰 분담금을 부담하였던 미국 탈퇴의 원인이 되었다. 그렇다면 이렇게 국가 간의 소리 없는 전쟁을 만드는 문화유산이 왜 현재 한․일․중 3국의 외교 분야에서 문제가 되는 것일까? 문화가 각국의 외교정책에서 중요해진 시점은, 소프트파워 용어의 등장과 더불 어 시작되었으며 점차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화전략에 있어서 한국은 미들파워 국가로서 그 잠재력이 매우 크며, 향후 동아시아 지역 및 세계에 큰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는 예측이 우세하다. 다양한 문화의 형태 중에서 특히 문화유산은 그 나라, 지역, 그리고 민족의 정체성을 보여주며, 이러한 측면에서 다른 문화 요소들 과 가장 크게 구분된다. 또한 대체할 수 없고, 돌이킬 수 없다는 문화유산의 고유한 특성으로 말미암아, 외교문제, 영토문제, 정치군사 문제 등 모든 문제가 있을 때마 다 상징적으로 등장하는 주제가 된다. 따라서 본 원고에서는 문화유산을 통한 한․일․중 세 나라의 소프트파워 전략 은 어떻게 발전되고 있으며 또한 문화유산을 통한 외교분쟁 및 왜곡은 어떠한 양상 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 보다 면밀하게 고찰 해 보고자 한다. 일본이나 중국보다 군사, 경제 등의 하드파워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북한이라는 무거운 숙제를 안고 있 는 한국은 향후 문화유산을 통한 어떠한 소프트파워 전략을 세워야 할지 또한 알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원고에서는 문화유산을 통한 외교가 현재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행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한ㆍ일ㆍ중 세 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문화유산을 둘러싼 왜곡 및 분쟁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이 동아시아 지역의 미들파 워 국가로서 취해야 할 관련 전략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고찰 해 보고자 한다. Today, unprecedented political tensions in East Asia engender serious and grave threat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Not only the ever-changing tensions among the Chinese, Japanese and Korean(CJK) regions, but also the North Korea’s threats against the United States have amplified the political tensions. In this circumstance, recently the United States withdrew from UNESCO where was responsible for coordina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education, science, culture and communication. What the US claims to withdraw was due to the organization’s “continuing anti-Israel bias” over the past few years and the newly listed World Heritage Site(WHS) in Palestine in 2017. The world heritage body is actually a tiny part of UNESCO in general, however, it influences greatly o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at is witnessed by the US’s withdrawal from UNESCO. Then why are the heritage related issues more than significant ever especially in the diplomacy? While the soft power concept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by Joseph Nye of Harvard University, the power of culture has been become very important. In terms of a strategy for Cultural Diplomacy, South Korea as a middle power has a great potential towards East Asian regions and the rest of the world in advance. Among the various types of culture, cultural heritage conveys national, regional, and groups’ identities. And due to the influences of the identity issue, cultural heritage becomes all th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ypes of culture. Moreover, the ‘irreplaceable’ and the ‘irrevocable’ characters of cultural heritage often become strong symbols and tools for the all the issu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Heritage Diplomacy particularly, and the very historic base with its context in China-Japan-Korea region while investigating Heritage Diplomatic issues. In the CJK region, there has been subsequent distortion of history while locating the cultural heritage issues in the midst of the conflict. Thus, the study addresses South Korea’s Heritage Diplomacy strategy who has middle-power identity while answering the reason why South Korean Heritage Diplomacy needs to be developed. For securing these issue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types of Heritage Diplomacy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analyses the conflict and distortion, so called the political war over the CJK region. Furthermore, the study seeks to an adequate position of South Korea in Heritage Diplomacy in order to balance between China and Japan where increase to gain global attentions including cultural heritage issues.

      • KCI등재

        韓國書藝의 傳統的 美意識

        이은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3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1 No.-

        서예의 기원은 한자의 발생과 그 궤를 같이 한다. 우리나라의 서예는 한자가 유입된 시점 으로 기원을 삼는다. 이로부터 중국서예의 영향을 받은 것이 사실이지만 그것이 토착화되 면서 서가의 개성과 민족적 미감이 가미되었다. 한국서예에 내재한 전통적 미의식을 추출 하기 위하여 몇 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시대별 미의식을 탐색하였다. 제1기는 한자의 전래와 더불어 서예문화가 탄생하는 삼국시대로서 미숙기에 해당한 다. 각각 다른 미적 유형을 보이는데 이는 민족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서예 에는 拙樸의 미를 추구하며, 포용의 정신과 여유를 가지고 다하지 않는 有餘美가 있다. 백 제의 서예에는 인간적인 자연미와 온유한 인간미가 있다. 신라의 서예에는 꾸미지 않아도 된다는 순박한 마음이 있고, 자연에 순응하려는 마음이 있고, 그때의 감정에 따르려는 마 음이 있다. 달리 말하면 不工의 淳樸美, 法自然의 順心美, 수시처변의 率意美가 있다. 이 시 기는 토속적인 한국성이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제2기는 당의 문화가 직래하여 서의 법이 확고히 뿌리를 내리고 정착하는 통일신라와 고려시기로서 成熟期에 해당한다. 왕희지와 구양순의 서법을 전형으로 삼고 이와 동일시 하려는 현상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사경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晉唐 서법의 구현에는 中 和美가 있고 寫經에는 경외의 마음으로 표현하는 崇高美가 있다. 중화미의 추구는 이후 조 선시대까지 이어져 한국서예사의 전통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제3기는 송설체의 유입과 유행, 그리고 중국서법의 토착화가 심화되는 조선초기와 중 기로서 完熟期에 해당한다. 진당의 서법에서 송설체로 전이가 이루어지며, 전반적으로 중 화미가 지배적인 가운데, 지류로서 거리낌 없는 자유분방한 표현으로 放逸美를 실현한 작 가들이 서예사의 진폭을 확장시켰다. 제4기는 중국서법에 대한 자각과 반성으로 복고와 탈피를 꾀하는 조선후기와 말기로 서 老熟期에 해당한다. 필법전수서로서 서론이 출현하며 이에 따라 서예의 학문적 심화가 이루어졌다. 미의식의 측면에서는 왕서를 전형으로 삼는 전통을 이어받아 중화미를 추구 하고, 창의적인 작가들이 서로 다른 미의식을 추구하는 개별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예를 들어 창암은 무법을 주장하며 노장적 자연미를 추구하고, 추사는 서한의 고예에서 ‘여유를 가지고 다하지 않는 뜻’(有餘盡之意)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추구하였다. 축약하면 有餘美이다. The origin of calligraphy has the same course as the birth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 the origin of calligraphy started when Chinese characters were introduced. Even though Korean calligraphy was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calligraphy from the beginning, it did have the individualities of calligraphers and the national sense of beauty added to it in the indigenization process. This study set a couple of criteria and investigated aesthetic consciousness by the periods in order to identify traditional aesthetic consciousness inherent in Korean calligraphy. Period 1 of immaturity falls in the days of Three Kingdoms when calligraphic culture was born along with the transmission of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period, the Three Kingdoms showed different types of aesthetics, which was attributed to racial characteristics. The calligraphy of Goguryeo sought after the beauty of Jolbak and had the aesthetics of leisure with the spirit of tolerance and leisure. The calligraphy of Baekje had human natural beauty and gentle humanness. The calligraphy of Shilla had a simple heart of requiring no decoration, trying to comply with nature, and following the emotions of the moment. The period offered the best presentation of folk Korean nature. Period 2 of maturity corresponded with United Shilla and Goryeo when the calligraphy of Tang Dynasty was transmitted, took roots, and settled down. The mainstream found a model in the calligraphy of Wang Xizhi and Ouyang Xun and tried to identify with it, in the middle of which the development of Sagyeong was prominent. There was Junghwami(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following the standards, controlling individual expressions, and pursuing harmony) to implement the calligraphy of Chin and Tang. Sagyeong had sublime beauty to express with the mind of awe. The pursuit of Junghwami continued into Joseon and was established as part of trad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Period 3 of full maturity falls in the early and middle Joseon Dynasty when the Songxue style was introduced and became in vogue and the indigenization of the Chinese calligraphy was further reinforced. There was a transition from the calligraphy of Chin and Tang to that of Songxue. With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Junghwami, calligraphers who performed the beauty of irregularity with free expressions expanded the amplitude of the calligraphic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