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민희,이소현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어머니-유아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4년도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SKC) 7차에 참여한 유아 및 그의 어머니와 교사이며, 그 중에서 본 연구의 변인과 관련된 조사에 성실하게 참여한 1,090 명이다. 본 연구는 SPSS 18.0과 JAMOVI 1.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나, 어머니-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 인지발달을 23% 설명하는 강력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추가되었을 때 설명력이 1%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유아의 인지발달에 있어서 어머니-유아의 상호 작용보다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ther-child inter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on cih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he research targets were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 wave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ion Child Care and Education in 2014. 1,090 children, mother, and teachers faithfully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related to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JAMOVI 1.1.9.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peer play inter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but mother-child interac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Second, peer play interactions were shown to be a strong predictor of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by 23%, and when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added,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by 1%. Third, in the effect of peer play interaction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importance of peer play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was confirmed as a basic study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 KCI등재

        사이버상호작용의 사회문화적 구성과 대안적 기획

        윤명희(Yoon, Myung-H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3

        이 연구는 사이버상호작용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탐색으로, 사이버상호작용을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효과로 설명하는 기술결정론에서 벗어나 사이버상호작용의 사회문화적 기반 및 재구성하기에 초점을 둔다.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 연구는 사이버 상호작용을 사회문화적 구성의 차원에서 접근한다. 이에 따라 현대의 사이버 일상풍경을 기술적 역능으로부터 창조된 완전한 새로움이라기보다는 사회적 문화적 기반위에 형성된 것으로 파악하며, 사이버상호작용을 과거의 것과 새로운 것, 온라인과 오프라인, 그리고 기존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간의 재연결 및 상호연결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 둘째,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는 사이버상호작용에 대한 기술편향적 확신이 사이버상호작용을 신화화하고 사이버훈육권력을 강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나는 과정을 논의한다. 사이버상호작용에 대한 신화화는 웹 사용자를 자율적 개인으로 일방적으로 맹신하는 데서 생겨난 환상이다. 웹의 자율적 개인이나 사이버상호작용의 능동성에 대한 일면적인 믿음은 성가심을 관리하는 사이버훈육권력의 생산에 대한 요구로 귀결되는 역설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비판적 논의에서 나아가, 이 연구는 사이버 상호작용의 사회문화적 가능성을 동질성에 기초한 보편 목표보다는 공동의 사용에 기초한 다양하고 집합적인 기획에서 모색하고 있다. 사이버 매개된 공동 기획은 완전성의 추구가 아니라 보충적이고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파악한다. Digressing from a technological determinism that illustrate interactivity with the abilities and the effects of media technology itself, this paper is a sociological culture study on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and alternative projects of cyber-interactivity. Detailed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considers cyber-interactiv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 and cultural construction and emphasize cyber-interactivity to be formed through remediation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present, off-line and on-line, and old media and new media. Second, this study asserts that the belief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on cyber-interactivity can actually strengthen cyber myths and disciplinary power in web. The mythologization of cyber-interactivity is blamed on an illusion of freedom, such as overcredulity that web users become autonomous individuals and an active part in web is always possible. And this blind belief leads to provide the disciplinary power for managing harassment in web. Third, this study discuss a creative reconstructuring of cyber-interactivity could be materialized throuth plural and collective projects based on common usage, not common goal. Such ollaborative projects in web are consistently performed through supplementary and complex interactions rather than the pursuit of wholeness.

      •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의 매개효과

        최정윤(Choi, Jung-Yoon),김혜순(Kim, Hye-Soon)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이 나타내는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들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2곳의 만 4,5세 유아 101명이었다. 유아 자기조절력은 유치원 교사가 유아의 평소 유치원 생활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평정되었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본 연구자와 보조연구자에 의해 현장기관에서 관찰되었으며, 유아 지적능력은 본 연구자에 의해 K-WPPSI 검사로 개인적으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실행되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적능력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자기조절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지적능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지적능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는 지적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의존적 상호작용 및 부정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는 각각 지적능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자기조절력 발달이 더욱 중요하나, 의존적이거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지적능력이 더욱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또래상호작용 유형별로 이들 영향요인들을 좀 더 발달시킬 다각도의 교육적 지원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young children at the 2 kindergarte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 s abilities of self regulation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 about their children s behaviors at the kindergarten.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s were assessed in the classrooms by the research team members who were trained for this study and their intelligences were assessed using K-WPPSI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dividually in private places in the kindergarten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dows 1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 self regulations and intelligence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clusion,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when it comes to the young child’s positive peer interaction,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own self regulation is indeed emphasized but in regard to dependent or negative peer interaction, significance of the young child’s intelligence is considere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ngles to make improvements in those influential factors of each type of the pe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fficiently offered.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모자공동생활가정을 중심으로 -

        김명애 ( Kim Myung-ae ),선우현 ( Sunwoo Hy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모자공동생활시설에 거주하는 모자가족으로 프로그램 전, 사정평가로 실시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평가(MIM)에서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보인 5가족으로 구성되었다. Sunwoo(2013)에 의해 개발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변화 과정을 질적분석하였다. 또한 사전 및 사후에 상호작용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부모양육태도검사(PAT)와 가족놀이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상호작용, 부모 주도 상호작용, 아동주도 상호작용의 변화가 나타났다. 부모 주도 놀이와 아동 주도 놀이에서 즐거운 놀이경험은 모와 자녀의 주도성을 높이고 긍정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에 변화가 나타났다. 모의 양육태도에서 지지표현과 합리적 설명은 향상되고, 간섭과 비일관성은 감소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가족놀이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정서적 친밀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exerts on changes i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families with a mother and children who live in mother-child group hom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who had difficulty in using interacting using the Marschak Interaction Method (MIM), which was used as a pre-program assessment. Based on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program, as developed by Hyun Sunwoo (2013), the program was organized into total of 8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 the examiner performed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nge process. Additionally,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nteraction, this examiner conducted an evaluation using the Parenting Attitude Test (PAT) and family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drove the changes in emotional interaction, parent-directed interaction and child-directed interaction. Secondly, There were changes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It improved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ression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while diminishing high involvement and inconsequence by ther child. This show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mother-child bonding and positive interaction is effective in changing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 KCI등재

        복합상호작용 시각화기법을 통한 정보 표출

        강상구,남두희 한국ITS학회 201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1 No.5

        교통정보를 운영자와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시각화 방법이 사용된다. 데이터 및 정보시각화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와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을 적용한 교통정보 서비스의 디자인 기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데이터 시각화, 정보 시 각화에 대해 기존 연구 사례를 정리하고,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의 정의와 현재 제공되고 있는 교통정보 서비스를 분석하 였다.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 중 선택, 질의, 연결, 필터링, 재정리에 대해서 각각이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복합적 사용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 다. 이러한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은 정보와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보는 것이 아닌 능동적으로 정보 획득이 가능해진다. 교통정보의 경우 사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의사 결정에 반영하는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을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적 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상호작용 시각화 기법이 교통정보 제공 서비스에 적용 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Several Visua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in traffic information area. This work is the basic research for applying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when the traffic information is provided to users. Design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to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Previous studies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with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were investigated, and the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currently provided were analyzed. There are many types of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but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selecting, querying, linking, filtering and rearranging techniques. The users can obtain the proper and more suitable information for theie needs, because each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support interaction between information and users. The traffic information which has one of interactive techniques can be more effective for decision making and utilization. More attention is given to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data and information techniques in transportation field. By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is more effective and can be a foundation work for various interactive visualization techniques in traffice inforamtion.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선우현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ed to helpi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rough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Family members experienced comfort, a naturally physical contact, and pleasure & sympathy of being together and experienced the wait for demand and the positive self-expression. In the meantime, th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me to be more activ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were participate 11 families of child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of peer group in 6 cour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MIM test and family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family play therapy, the parent-child interaction was changed into the positive interaction. In conclusion, the family play therapy can be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positive influence upon parent-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have their significances in terms that can activate the parent-child family play therapy far more for many parent and their children. 가족 간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정서적 및 사회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와 자녀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아동이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지 못할 경우 아동은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 간 상호작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서 및 사회적 문제행동을 갖고 있고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놀이치료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조화된 신체놀이와 협동놀이 그리고 자녀의 욕구에 따른 자유놀이를 통합하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는 예비실험을 위한 1가족을 제외하고 총 11가족 간 상호작용의 촉진이 정서 및 또래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아동과 그 가족에게 나타난 상호작용 특성을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를 통해 실험에 참여한 가족들은 첫째, 자녀의 욕구에 따른 정서적 상호작용에서 변화가 나타났으며, 둘째, 부모-자녀 간 긍정적 상호작용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가족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가족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개방적 의사소통과 긍정적 시각으로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더 나아가 자녀들의 문제행동의 감소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Incidental FonF in Adult EFL Classrooms : Participation Structure and Learner Uptake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incidental focus on form (FonF) occurring in intact EFL classroom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participation structure (i.e., whole class/small group/one-on-one interactions) and learner uptake (successful uptake vs. unsuccessful uptake) across the types of FonF (reactive vs. preemptive FonF) and participation structure. The data from eleven hours of communicative lessons from five clas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incidental FonF, participation structures, and learner uptake. The study found that reactive FonF took place more frequently than preemptive FonF in small group and one-on-one interactions while they occurred at a similar rate in whole class interactions. In addition, during whole class interactions, teachers and students initiated FonF at a similar rate, but, during small group and individual interactions, a majority of FonF was generated by students. When learner uptake was considered, students responded more successfully to preemptive FonF, especially FonF generated by themselves in all participation structures. However, in the case of reactive FonF, unsuccessful uptake took place more frequently than successful uptake in whole class interactions, whereas more successful uptake was observed than unsuccessful uptake in small group and one-on-one interactions. These results provided insights into the role of participation structure as an important mediator influencing the provision of FonF and the quality and quantity of uptake, which may eventually affect the opportunities for L2 development. 본 연구는 의사소통 중심의 성인 영어교실에서 일어나는 즉흥적 형태중심 교수법(incidental focus on form)과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형태, 학습자의 반응이 갖고 있는 관계를 조사하였다. 즉흥적 형태중심 교수법은 반응형태(reactive FonF)와 준비형태(preemptive FonF), 상호 작용은 전체대상 상호작용, 그 룹대상 상호작용, 개인대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분석되었고, 학습자의 반응도 성공적 반응과 비성공적 반응으로 나눠 조사되었다. 다섯 개의 교실에서 수집된 11시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위에 제시된 요소간의 관계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대상 상호작용 시에는 준비형태 방법과 반응형태 방법이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었으나, 그룹, 개인대상 상호작용에서는, 반응형태 방법 사용의 빈도수가 준비 형태 방법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 상호작용에서는, 교사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이 학생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보다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그룹, 개인 상호작용시의 경우에는 학생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이 교사에 의한 준비형태 방법보다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학습자 반응의 경우, 상호작용의 형태와 는 관계없이 학습자는 자신이 제시한 준비형태 방법에는 성공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반응형태 방법 후의 학습자의 반응의 성공여부는 상호작용 형태에 따라 다른 결과를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호작용 형태와 형태중심 교수법, 그리고 학습자의 반응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을 이용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장우혁(Woo-Hyuk Jang),정석훈(Suk-Hoon Jung),정휘성(Hwie-Sung Jung),현보라(Bora Hyun),한동수(Dong-Soo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10

        최근 계산을 통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 중, 단백질 쌍이 포함하고 있는 도메인들 사이의 관계에 중점을 둔 도메인 정보 기반 예측 기법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다수의 도메인 쌍들이 상호작용에 기여하는 정도를 정밀하게 반영하는 계산 기법은 드문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백질 상호작용에 있어 도메인 조합 쌍의 상호작용 영향력을 수치화하여 반영한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을 고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시스템을 구현한다. 일반적인 도메인 조합 기법과 달리, 상호작용 중요도 행렬에서는 상호작용을 위한 도메인간의 협업 확률이 고려된 Weighted 도메인 조합과, 다수의 Weighted 도메인 조합 중 실제 상호작용 주체가 될 확률을 도메인 조합 쌍의 힘(Domain Combination Pair Power, DCPPW)으로 수치화한다. DIP과 IntAct에서 얻어온 S. cerevisiae의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와 Pfam-A 도메인 정보를 사용한 정확도 검증 결과, 평균 63%의 민감도와 94%의 특이도를 확인하였으며, 학습집단의 증가에 따른 안정적인 예측 정확도 향상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예측 시스템과 학습 데이터는 웹(http://code.google.com/p/prespi)을 통하여 내려 받을 수 있다. Recently, among the computational methods of protein-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vast amounts of domain based methods originated from domain-domain relation consideration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t is true that multi domains collaboration is avowedly ignored because of computational complexity.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system based the Interaction Significance matrix, which quantified an influence of domain combination pair on a protein interaction. Unlike conventional domain combination methods, IS matrix contains weighted domain combinations and domain combination pair power, which mean possibilities of domain collaboration and being the main body on a protein interaction. About 63% of sensitivity and 94% of specificity were measured when we use interaction data from DIP, IntAct and Pfam-A as a domain database. In addition, prediction accuracy gradually increased by growth of learning set size, The prediction software and learning data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web site.

      • KCI등재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수업의 질, 대학생활 만족 간의 관계 구조분석

        신소영,권성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8 평생교육 · HRD연구 Vol.1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satisfaction to prevent dropout and improve level of satisfaction in college. As a results of analysis for 1,258 college students in C province,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instructional quality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a college life satisfactio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influenced instructional quality,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d interaction with professor. Additionally, instructional quality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interaction with professor and satisfaction. Particularly, indirect effect of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was more powerful than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erefore, to improve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as well as both peers and professor in cla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Especially,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had not only direct but also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the instructional quality on satisfaction, and their indirect effect size were greater than direct effect. So, the impotance of instructional quality should be highlighted to enhanc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 제공을 위해 대학생활만족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분석을 하였다. C시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1,258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만족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수업의 질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 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적 학습활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수적으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각각에서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수업의질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수업의질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과 함께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등 학생 상호 간,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 만족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효과보다 더 높은 간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대학교육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상호작용 모달리티의 표현모드 특징 - 퍼스 기호학적 접근

        서준호 ( June-ho Suh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상호작용 모달리티(interactive modality) 디자인의 다양한 표현 양태와 특성을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서 파악하여 상호작용 공간을 읽고 쓰는 문해(literacy)가 가능하게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상호작용 모달리티 디자인은 공간이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공간이 가지는 감각 양상과 사용자의 감각 간 대화적 상호작용을 작동하게 한다. 이것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반응과 피드백의 반복이 아닌 기호 의미화 작용으로서 세미오시스(semiosis)를 이룬다. 공간디자인에서 이와 같은 기호의 의미화는 상호작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상호작용 모달리티 디자인에 의해 가능하다. 이는 퍼스 기호학적 관점에서 기호의 형식적 조건인 삼원적 요소를 갖춘 기호로서, 상호작용 모달리티의 표현 양태는 퍼스의 범주적 특징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퍼스의 기호 삼분법에 의해 분류된 10개의 기호 분류와 그에 따른 사례 분석을 통해, 보다 세분화한 상호작용 모달리티 디자인의 표현모드(mode of presentation)를 파악한다. 퍼스의 기호학은 사물이나 사건의 현상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것이 세미오시스의 체계이며 이는 기호 작용을 통해 의미 관계를 형성하고 각각의 기호가 표현되는 과정에서 표현의 층위도 기호의 삼원적 관계에 의해 나타난다. 각 기호 분류에 따른 공간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디자인과 연출 및 매체에 나타나는 표현모드를 확인하였고, 퍼스의 기호 삼분법 분류에 따른 표상체적, 대상적 그리고 해석체적 관계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상호작용 모달리티 디자인은 상호작용 공간을 읽고 쓸 수 있도록 하는 수사적 체계와 기술적 구축 형식 그리고 디자인을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하는 기호적 문해 특징을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of presentation in the design of interactive modality according to Peircean semiotics and to apply the literacy of reading and writing interactive space to them. The interactive modality design, which enables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users, creates conversa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modal aspects of space and the user``s senses. This, in turn, is the semiosis between a sender and a recipient and not the repetition of response and feedback, but a signifying action that creates semiosis. In space design, such signification of signs is made possible by the interactive modality design that enables interaction. Moreover, it is in line with the triadic elements that are the formal conditions of a sign according to Peircean semiotics, while the presentation aspects of interactive modality show Peirce``s categorical features. In the present study, the presentation mode of a more segmented interactive modality design is studied in further detail by categorizing the ten signs according to Peirce``s trichotomy of signs and conducting case studies on them. Peirce``s theory of semiotics deals with the presentation of things and events that, in turn, refers to the system of semiosis. In addition, the layers of presentation of each sign will be depicted through the triad of signs, while their semantic relations are established through semiosis. By analyzing the case studies of space design by the categorization of signs, presentation modes where space design, production, and media space enable interaction are identified, and the features of representamen, object, and interpretant are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eircean triadic classification of signs. The interactive modality design has a rhetorical system that enables the reading and writing of interactive space, a technical construction type, and a semiotic literacy that allows communication via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