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 : 이재(이齋) 황윤석(黃胤錫)의 학문 본령과 성리학적 경세관

        최영성 ( Young Sung Choi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3

        호남이 낳은 걸출한 학자 이재 황윤석은 저술이 다양하며 지적 편력이 대단하다. 그는 성리학자이면서 실학자요 박물학자이기도 하다. 황윤석의 학문은 근본에서 응용에 이르기까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학문외연이 매우 넓지만 성리학의 학문 체계로 수렴된다. 이제는 일부분이 아닌, 전체의 측면에서 황윤석의 학문이 조망되어야 할 것이다. 이 글은이런 시각과 관점에 기초를 두고 있다. 황윤석의 학문 기반은 역학(易學)에 있다. 역학은 그의 학문의 대동맥이다. 그는 역학에 바탕을 둔 상수학(象數學)에 침잠하였다. 상수학을 가지고 종래 성리학자들이 가장 취약했던 경제 및 과학.기술 등의 측면을 보완하였다. 그는 성리학에 대해 본체와 응용을 갖춘 완정된 학문으로 인정하였다. 또 성리학의 범주 안에 있는 상수학의 가치를 재발견하였다. 그 과정에서 『성리대전(性理大全)』의 중요성을 다시 부각시켰으며, 『성리대전』에 수록된『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ㆍ율려신서(律呂新書)ㆍ『황극홍범내편(皇極洪範內篇)』ㆍ『역학계몽(易學啓蒙)』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4대 저술은 황윤석이 성리학적 경세론을 펴는데 근간이 되었다. Ijae Hwang Yunseok, a distinguished scholar from Honam area, is of voluminous work and great intellectual experience. He is a Neo-Confucianist, a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cholar and a naturalist. Hwang Yunseok``s study is integrated as one from the basis to its application. The scholarly extension is very wide but it is converged to the system of Neo-Confucianism. Hwang Yunseok``s study now should be viewed in a general aspect, not in a fragmentary manner. This article is based on such perspective. The root of Hwang Yunseok``s study is upon the study of Iching (易學).Study of Iching acts as the main artery of his study. He was immersed in xiangshu xue (象數學, image-number study) which is based on study of Iching. Using xiangshu xue, he supplemented economic,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spects to which existing Neo-Confucianists remained the most vulnerable. He acknowledged that Neo-Confucianism is a complete study equipped with both principle and application. In addition, he rediscovered value of xiangshu xue which is within the category of Neo-Confucianism. In that process, he stressed importance of Songri Taejon (性理大全) yet again and intensively examined Huang Ji Jing Shi Shu (皇極經世書), Lu Lu Xin Shu (律呂新書), Huang Ji Hong Fan Nei Pian (皇極洪範內篇) and Yi Xue Qi Meng (易學啓蒙) and others included in Songri Taejon. This four great work serves as the basis for Hwang Yunseok to develop neo-Confucian thought of governance.

      • KCI등재

        지천 최명길의 사상적 배경과 주화론

        이남옥(Yi Namok)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1

        최명길은 정묘 병자호란 때 주화론을 주장하고 제도 개혁에 앞장선 인물이며, 양명학과 상수 학을 연구한 학자이다. 현재 그의 주화론은 병자호란 때 국난을 극복할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주화론은 權道論, 外藩論, 宗國保存論에 논리적으로 근거하고 있다. 첫째, 조선은 현실적 상황 변화[時]에 따라 후금(청)과의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둘째, 조선은 명나라의 外藩이기 때문에 內服臣과는 다르다. 셋째, 나라를 보존해야 한다. 최명길의 주화론은 기본적으로 유가 철학 전반에 근거하고 있다. 최명길이 양명학을 연구하였 다고 하여 주화론 역시 양명학의 영향으로 보기도 하지만 상대주의적 관점은 스승 신흠을 통해 전해 받은 소옹 상수학에서 계발된 것이다. 그는 상수학을 통해 세상을 음과 양이 서로 의지하는 관계로 인식하였고, 夷狄과 小人의 존재도 현실로 인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명길은 정묘 병자호란 때 후금(청)과 강화를 주장할 수 있었다. 다만, 척화론자들의 비난을 받으면서도 후금(청)과의 강화를 주장해 나가는 과정은 양명학의 치양지에서 영향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비난이라는 외물에 영향 받지 않고 자신의 진실된 마음을 발현 시켜 나갔기 때문이다. Choi Myeonggil(崔鳴吉) was a person who advocates a Juhwaron(主和論) and leads the system reform. And he studied the Yangming and Sangsuhak(象數學). His Juhwaron is currently being evaluated as a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crisis in Jeongmyohoran(丁卯 胡亂)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His argument was logically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Joseon could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Hugeum(Cheong)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change. Second, Joseon was an outer clan of the Ming Dynasty, so it was different from inner clan of the Ming Dynasty. Third, the country must be preserved. He claimed the Juhwaron basically based on Confucianism. Since he studied Yangming, it was also influenced by Yangming. His relativistic viewpoint, however, was developed in the Sangsuhak(象數學), which was passed through the teacher Sin Heum(申欽). Through Sangsuhak, he recognized the world as a relationship in which Yin and Yang rely on each other.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the barbarians and the humble people could be recognized as reality. From this point of view, he was able to assert a peace treaty with Hugeum(Cheong) in Jeongmyohoran and Byeongjahoran. However, it was influenced by Yangming to claim the peace treaty under the criticism of the opponents. It was because it expressed the true heart of oneself without being influenced by the outline of blame.

      • 고대 상수학(象數學)의 현대적 고찰 - 자크 아탈리의 ‘예측’과 육임(六壬)의 현대적 각성 -

        김경희 ( Kim Kyounghee ) 대한풍수연구학회 2015 대한풍수연구 Vol.1 No.-

        본 논문은 ‘예측’이라는 주제로 현시대 최고의 지성인이라 불리는 자크 아탈리가 말한 ‘예측’과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예측서인 ‘육임’을 비교 고찰 하였다. 자크 아탈리는 정치인이자 인문학과 사회과학 저술가이며 미래학의 권위자이다. 『21세기 사전』은 미래 사회인 2100년까지의 변화를 ‘예측’하여 수록된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본 저서에서 예측은 과거의 인문사상을 존중하며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본 논문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상수학임에도 불구하고 그 유구한 역사에 비해 연구가 극히 미비한 ‘육임’을 현대화해야 할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천문학의 입장에서 육임의 사실성을 확인하였다면 인문학적으로 유연성 있게 연구되어야 하지만 종교적이고 미신적 시각을 벗어나지 못해 연구를 꺼리는 현재의 상황을 지적하고 학술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탈리가 예측한 미래의 ‘자연’, ‘점성술’, ‘철학’이라는 주제에 따라 본문의 각 장을 3가지 주제로 나누어 ‘육임’과 비교 고찰을 하였다. 고대의 상수학이 담고 있던 정신과 물질이 하나라는 ‘전일성’과 ‘경천사상’을 배제한 과학적 연구로 인해 오히려 학술적 발전이 저해되고 편협하거나 편향되어 학문이 통합적 발전이 어려워지는 것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면서 육임에 대한 인문적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Themes that ‘Prediction’ With predictions of our age's top intelligence says and Played A Comparison ‘yugim’, In the East, his book of the oldest. ‘Jacques atalli’『 the 21st century of dictionary 』Recorded in Words are words be ‘Prediction’ changes in the latest until 2100. He's a politician and author and dealing with the humanities and Future scholars. What he says forecasting say should be made and respect for the Humanities and ideas of the past. So this paper in the East the old, but it Lack of research is of an ancient sangsuhak ‘yugim’, Pay attention to the need to modernize. If checked for authenticity in the shoes of the verify the yugim Flexibly throughout the humanities research should be given a but Visual were unable to escape the religious and superstitious Research indicate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academic research that deter the current situation Purpose. He predict the future of ‘nature’, ‘astrology’, divided them into under the theme ‘philosophy’ did ‘yugim’ and A Comparison and each chapter of his text with lots and ancient sangsuhak I had spirit and of what is one that by excluding ‘Made from as one’ and ‘Kyungchun ideas’ scientific research into academic generation of humanistic outlook noting research are inadequateI must stress that the necessary. This period is reason and logic can not live only in society. So content mix also further develop the humanities and leave and I can stay at the sky people are not being able to solve the problem I wish to convey a message. That is what the most human like things because it is.

      • KCI등재

        조선 도서학(圖書學)의 효시-권근의 『입학도설(入學圖說)』

        조희영 ( Cho Hie 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2 No.-

        본 논문은 권근의 『입학도설』과 조선 圖書學·象數學의 관련성을 연구한 글이다. 연구 과정에서 이 책이 지닌 학문적 가치를 발견했다. 첫째, 권근의 책은 宋代 상수학에 의거한 바가 적지 않지만 자신의 고유한 시각으로 논리를 전개했다. 易學과 經學의 중요부분을 그림을 매개로 융합화를 시도하였는데 이는 권근 특유의 도서학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후학들에게 도서로 철학을 논하는 틀을 제공했다. 셋째, 『周易』을 경전의 머리에 두고 경학사상을 전개하여 조선유학에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관점``의 다변화를 통해 학문에 있어서 창의와 변화의 방향을 제시했다. 다섯째, 『역학계몽』과 『선천도』를 소개하여 조선역학의 신지평인도서상수학을 처음 열었다. 이런 의미에서 권근은 의리를 겸비한 조선 상수학의 창시자이고 『입학도설』은 조선 도서학의 효시라 부를 만하다. 그가 도서를 통해 보여준 人文精神과 象數의 度數物理論은 오늘날에도 유효한 간학적인 주제이다. This paper is to explain that the Ip-Hak-Do-Seol(『入學圖說』) is the pioneer of the Joseon Dynasty``s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and the exploitation of the I-ching of Images & Numbers(象數學). In the process, I found some academic value with this book. First, Kwon Geun``s(權近) painting & writing(圖說) is the convergence of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tried to picture the dynamics and thread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經學). Second, it provided the framework for discussing the philosophy books the Junior. Third, He propose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to put I-ching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Confucianism. Fourth, a variety of ``perspective``. View of the thing and its functions(體用), view of Conversely(反對), view of Horizontal and vertical(縱橫) etc. Fifth, He first opened a new horizon of I-ching in Joseon Dynasty by introducing new books and Shao-Yong(邵康節), Chu Hsi(朱熹)`` painting & writing(圖說). The Astronomical calendar and Yulryeo(律呂) related painting & writing(圖說) awakened the creativity of the junior. Kwon Geun(權近) is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s I-ching of Images & Numbers(象數學) and The study of Painting & Symbol(圖書學).

      • KCI등재

        퇴계 이황의 주역학周易學과 『주역석의周易釋義』

        황병기(黃昞起)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5

        이 글은 퇴계 이황의 주역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그의 주역학을 전체 경학의 차원에서 다루면서 미진한 영역이었던 『계몽전의啓蒙傳疑』의 주역학과 『주역석의周易釋義』에 나타난 주역학과의 연관성을 탐구한 논문이다. 이황의 주역학은 『계몽전의』와 『주역석의』, 그리고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글, 『성학십도』의 태극도 등에서 추출할 수 있는데, 『계몽전의』는 처음부터 이황이 주희의 『역학계몽』의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저술한 것 이어서 상수적 설명이 위주가 될 수밖에 없고, 『성학십도』의 태극도 또한 음양오행 등의 상수학적 설명이 반드시 필요한 것들이며,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글도 대부분 제자들의 상수학적 질문에 응답하는 것들이라서 이황의 주역학이 상수학 편향성을 지닌 것으로 자칫 오해할 소지가 충분히 있지만, 『주역석의』와 함께 놓고 보면 이황의 상수학적 설명들은 의혹 해소 차원에서 불가피하게 전개된 것이다. 이황은 정이의 의리적 해석에 전적으로 의지하면서 정전으로 해소되지 않는 부분에 한해서만 주희의 본의를 활용하였다. 따라서 이황의 주역학을 상수학 계열로 간주하는 것은 근거가 없다. 역시 이황의 성리철학체계에서 리발理發의 작동성ㆍ능동성과 같은 실천적 의지의 목표가 중요한 것이었다면 그의 주역학도 같은 목표의식을 지녔을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계몽전의』에 나타난 상수학이 상수학 자체의 탐구를 목적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의리 탐구의 보조적 수단이었음을 『주역석의』의 구성체제와 내용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paper about characteristics of thoughts in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釋義) and the Annotation of the Zhu xi’s Yixueqimeng (啓蒙傳疑) written by Toegye Yi hwang (退溪李滉) Because The Annotation of the Zhu xi’s Yixueqimeng (啓蒙傳疑) from the beginning was written to address the doubts for the Yixueqimeng (易學啓蒙) written by Zhu xi, focusing on the Symbols and Numbers of the Book of Changes, there were likely to be misunderstood as having a bias. But if we compare and research The Annotation of the Zhu xi’s Yixueqimeng (啓蒙傳疑) with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釋義), we can acknowledge that the notations and interpretations by Yi hwang (李滉) inevitably have been developed to address the allegations. Yi hwang (李滉) quoted the original meaning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本義) written by Zhu xi only about not solved with the morality-oriented notations of Cheng yi (程?), almost completely based on those of Cheng yi. So his thoughts were not oriented to the Symbols and Numbers of the Book of Changes. Yi hwang did not purposed researching only the Symbols and Numbers of the Book of Changes. It was only an auxiliary means. We can acknowledge it through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Book of Changes (周易釋義).

      • KCI등재

        정관재(靜觀齋) 이단상(李端相)의 생애와 사상 (2)-대명의리론과 상수학을 중심으로-

        우경섭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0

        이단상은 17세기 중반 주자학 중심의 조선 사상계에서 象數學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학문을 선도하여, 洛論과 北學으로 이어지는 서인 내 개방적ㆍ진보적 학풍의 단초를 이루었던 인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그는 관직에 진출한 이래, 주자학에 근거하여 청에 대한 복수를 주장하던 송시열 등 산림들과 뜻을 함께 하였다. 1664년(현종 5) 김만균의 출사 여부를 놓고 조정에서 논쟁이 벌어지자, 이단상은 대청복수의 당위성을 주장한 송시열의 의견을 지지하며 서필원ㆍ김좌명 등 벗들과 절교하고 양주 東岡으로 낙향했다. 뒤이어 1666년(현종 7) 淸使가 파견되어 현종이 무릎 꿇고 사죄한 뒤 罰銀을 물게 된 이른바 벌금사, 그리고 1667년(현종 8) 제주도에 표류한 한인 林寅觀 일행을 청으로 압송한 사건이 일어나자, 대명의리를 저버린 조정의 조처를 비난하며 海槎詩를 남겼다. 동강 은거 이후 이단상은 元會運世의 장구한 흐름 속에서 氣數의 운행에 따라 역사의 흥망성쇠를 바라본 소옹의 상수학을 통해 자신이 직면한 명청교체의 현실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은 맹자의 一治一亂說에 입각하여 청 치하의 현실을 잠시의 혼란기로 규정하고 중화문명의 보전을 통해 治世의 회복을 염원했던 송시열의 중화주의적 세계관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在以朱子学为中心的17世纪中叶朝鲜王朝思想界, 李端相先导了以象数学为标志的新学问, 他被看作为开启了传承为洛论和北学的西人内部的开放性、进步性学风的人物。 可是, 自从走上仕途以来, 他同意宋时烈等根据朱子学主张对清朝复仇的山林的意见。 1664年围绕着金万均的出任官职问题展开争论,李端相支持宋时烈的对清朝复仇合理性的主张, 与徐必远、金佐明等朋友绝交, 退隐到杨洲东岗。 接着, 1666年发生了国王向淸使跪着谢罪并交罚银的事件, 1667年汉人林寅观等人漂流到济州岛, 朝鲜王朝把他们押解到清朝, 李端相写了海槎诗, 批判了丢弃对明朝义理的朝廷的行为。 隐居于东岗之后, 李端相通过在元会运世的长久岁月中沿着气数的运行考察历史兴亡更替的邵雍的象数学, 诊断自身当下的明清交替的现实。 这一点, 与宋时烈根据孟子的一治一乱说把清朝治理的当下现实认定为暂时的混乱期, 通过保存中华文明期许回复治世的中华主义世界观并无二致。

      • KCI등재

        徐花潭 학술에 대한 후대 문인들의 인식 코드

        崔有鎭(Choi, Yu-jin) 한국고전번역원 2016 民族文化 Vol.48 No.-

        花潭 徐敬德(1489~1546)이 구축한 道學의 성격은 조선 전기라는 시대적 맥락과 관련하여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즉 宋代 性理學의 표면적 수용에서 나아가 심화와 연역 단계로 진입하였다는 지표가 됨과 동시에 그 사상 체계 전반이 주로 北宋의 邵雍과 張載에 연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순수 朱子學과는 일정 정도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화담 철학의 이 양면성은 후대에 도학의 수준을 격상시킨 공로는 인정받지만 도학의 순정성 차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되어 조선 성리학의 주류로 편입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그러나 후대에 창작된 서경덕에 관한 시들은 학적 비판 대상으로 그려지기보다는 인간적․학문적 측면에 대한 헌사로 이루어진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크게 나누어 보자면, 조선 전기 도학의 심화에 대한 공로를 인정하였던 점과 17세기 이후 소옹의 象數學이 새롭게 관심의 대상으로 부상하였던 점을 들 수 있다. 화담의 학문 태도는 그 궁극적 지점에 있어서 前代 先賢의 書冊을 내면화하여 自得의 경지에 이르는 데 있었다. 이러한 학문 태도는 활달한 인격 지향의 전범으로서 曾點의 형상에 투영되어 후대 도학자들의 심미적 경계의 단초를 여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17세기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서양 天文曆法은 반발과 수용이라는 양상을 보이며, 반발적 성향의 학자들에게 동양의 전통 역법과 상수학으로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때에 와서 서경덕은 소옹의 상수학을 자기화한 학자로서 새롭게 주목받게 되었다. 따라서 후대 시에 그려진 서경덕의 형상은 소옹의 학문체계와 오버랩되면서 특징적인 문학적 코드들을 통해 형상화되기도 하였다. 결국 서경덕의 학문은 退溪와 栗谷 등의 학적 비판을 거치며 순수 주자학이 아닌 異學으로 판정되었지만, 후대의 시대적 요구와 함께 면면히 그 생명력을 이어갔다고 할 수 있다. Tohak(道學) theory of Hwa-tam Sŏ Kyŏng-tŏk(花潭 徐敬德, 1489~1546) had two simultaneous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epochal context of the early Chosŏn period. That is to say, his philosophy was an indicator that referred to the fact that it entered the stage of deepening and deduction beyond the level of superficial accommodation of Songs Neo-Confucianism(宋學), and at the same time to the fact that there was a distance between the whole system of his philosophy and pure Zhuism(淳朱子學) as it originated from Northern Songs Shao Yong(邵雍) and Zhang Zai(張載). Though this duality of Hwa-tams philosophy had been recognized for its achievement in pioneering the level of later periods Tohak theory, his theory was not recognized by Chosŏns mainstream Neo-Confucianism as containing the pure essence of Tohak theory. Most of the poems created for him in later periods made more tributes to him on his humanistic and academic sides than treated him as a subject of academic criticism. The general reason for this is that his contribution to the deepening of Tohak theory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as by this time generally acknowledged, and that Shao Yongs Sangsuhak(象數學) had risen as a novel subject of interest since the 17th century. Hwa-tams scholastic attitude lied ultimately in the state of self-realization through his internalization of earlier sages books. This scholastic attitude played the role of opening later Tohak philosophers aesthetic realms as it was reflected in the figure of Tsen Tien(曾點) as an example of vivid personality. Moreover, while the western astronomy and calendar introduced through Qing in the 17th century was both rejected and accommodated, scholars rejecting them were invited to have interest in the traditional oriental calendar and Sangsuhak. At that moment, Hwa-tam attracted attention as a scholar who internalized Shao Yongs Sangsuhak. He was thus often figured in poems in later periods through characteristic literary codes, with his figure overlapped by Shao Yongs. Though his theory after all was judged as a non-pure Zhuism heretical philosophy by Toegye(退溪) and Yulgok(栗谷)s academic criticisms, its vitality continued with later epochal requirements.

      • KCI등재

        17~18세기 노론계 문인의 소옹의 시문 수용 양상

        이효숙(Lee Hyo-sook)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5

        본고는 조선 후기 17~18세기 노론계 문인들이 소옹에 대해 공통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양상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두 차례의 외침과 잦은 예송논쟁의 여파로 중앙 정계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던 인물들은 부침을 겪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소옹의 상수학을 접하게 된다. 그들은 소옹의 상수학에서 자연의 순환적인 질서를 인식하는 한편, 시를 통해 이를 구현하려고 하였다. 17세기 후반에 노론계 문인은 그 세거 지역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송시열을 중심으로 한 호론 계열과 김수증을 중심으로 한 낙론 계열로 분화의 조짐을 보인다. 소옹의 시문을 수용하는 데에 있어서도 이러한 정황은 시를 통해 드러난다. 송시열 계열의 문인은 시체를 본받거나 순환적 질서에 기반한 ‘모고 의식’을 드러내는 시를 주로 썼다. 반면에 김수증 계열의 문인은 상수학을 구체적인 경물로 구현하려고 하려는 실천적 경향을 드러내며, 시에서 주변 자연 경물로 소재를 다양화시키는 등의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것은 단순하게 소옹의 시문을 모방한 것을 넘어서 자기화의 노력으로 파악할 수 있다.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tendency that the literary men of Elders in 17~18 century commonly had interest in So Ong who were confucianism philosophist of Northern Sung(one of old dynasty of China). Meanwhile this paper is also trying to find what was their ultimate goal to achieve through So Ong after clarifying why literary men of Elders in this period had concern on So Ong and how they understood and accepted him, In 17 century there were frequent political fluctuation due to conflict on decorum issue two time. So Ong's Sangsu philosophy which explains nature through divination and his poets which made many sceneries of the season surrounding poetic naturally influenced to the people who should be in exile due to political unstable situation or isolation. Song Si Youl made many poets relating to So Ong, adopting directly So Ong in wording of letter through mainly imitating the form of poet or borrowing rhyme. Through this paid attention to circulating order and made poets based on loyalty to old love. On the contrary Kim Soo Jeung stayed in isolated area and followed poor and isolated life of So Ong practically. In poet made rather similar contents than imitation of So Ong's style, followed the poet spirit of So Ong indirectly by using the methods of diversifying materials and so on.

      • KCI등재

        18세기 노론 낙학파(洛學派)의 현실인식과 대응논리 -『성리대전』에 대한 황윤석의 인식을 중심으로-

        최영성 ( Young-sung Choi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조선 후기 집권 노론의 낙학파는 성리학의 이념으로 국정을 이끌면서 종래의 ‘정신적’ 측면에 급급했던 데서 벗어나 ‘물질’에 대한 관심으로 정계와 학계의 분위기를 전환했다. 이런 움직임을 주도했던 세력이 김원행(金元行)을 중심으로 한 석실서원(石室書院) 계통의 학인들이었다. 그러나 소수의 진보적 학자-북학론자들을 제외한 대다수 낙학파 학자들은 청나라의 실체를 내심 인정하면서도 종래의 성리학적 전통에서 벗어 나지는 못하였다. 그들은 정권의 존립 기반을 위태롭게 하는 북학론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종래의 성리학적 전통과 조선중화주의의 이념을 지키면서도 청나라의 문화 수준에 이를 방안을 모색하였고, 그 과정에서『성리대전』에 집약된 경세학 체계의 복구를 대안으로 인식하였다. 황윤석은 낙학파의 이런 대응논리를 대변하였던 성리학자다. 그는 성리학의 범주 안에 들어 있는 상수학의 가치를 재발견하였고, 『성리대전의』중요성을 다시 부각했다. Nakron School of the ruling Noron Party in late Joseon Dynasty was at the helm of state with Neo-Confucian ideology and it came out of being obsessed with conventional ``spiritual`` aspects and changed both political and academic atmosphere with interests in ``matters.`` The power leading such a change was scholars in Seoksil Seowon (石室書院) which centered around Kim Won-Haeng (金元行). However, except for few progressive scholars-Bukhak scholars (北學論者), most of Nakron scholars secretly acknowledged the actuality of Qing Dynasty but they failed to get out of old Neo-Confucian traditions.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accept Bukhak theory which jeopardized the existence of administration. They sought plans both to keep Neo-Confucian traditions and Sinocentrism in Joseon and to reach the cultural level of Qing Dynasty and in that process, they recognized restoration of the statecraft study (經世學) summarized on Seongridaejeon as an alternative. Hwang Yun-Seok is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 in such response of Nakron. He rediscovered value of the science of xiangshu in the Neo-Confucian category and highlighted importance of Seongridaejeon yet again.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중국역학사(中國易學史) 인식 - 『역학서언(易學緖言)』을 중심으로

        임재규 ( Im Jae-kyu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종교와 문화 Vol.0 No.32

        본 연구는 다산의 중국역학사 인식이 어떠한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적인 틀로서 『四庫全書總目提要』의 중국역학사 분류법인 `양파육종`을 제시했다. 그리고 연구 자료로 다산의 역학 저서인 『역학서언』을 활용했다. 본론에서 필자는 『역학서언』의 자료를 활용해 `양파육종`에 대한 다산의 인식이 어떠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즉, 다산 역학은 `양파`의 분류법상 상수파에 속하며, `육종`의 분류법상 한대漢代 상수학에 속한다. 다산 정약용의 중국역학사 인식에 대한 연구는 우리 학계의 다산 역학 연구에 있어서 최근까지 연구되지 못한 분야이며, 따라서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다산 역학의 역학사적 위치와 그 근거에 대해 새로운 논의와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Tasan Cheong Yakyong`s understanding about the Chinese History of Yiology. For this purpose I us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Chinese Yiology in Siku Quanshu(四庫全書), that is `Liangpai Liuzong(兩派六宗)`. And I made use of Yixue Xuyan(易學緖言) as a basic research material. In the body of this article, I analyzed the Tasan Cheong Yakyong`s understanding about `Liangpai Liuzong(兩派六宗)`. From this analysis, I ha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asan`s Yi studies belong to the School of Images and Numbers(象數派), and also belong to the School of Images and Numbers in the Han period(漢代象數學). Studies on Tasan Cheong Yakyong`s understanding about the Chinese History of Yiology up to recently are not carried out, so this article has a significance of the new research in this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