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화민국 삼민주의 문예론의 출현과 의미 - 미술론을 중심으로 -

        이보연 ( Yi Boyou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 동양예술 Vol.38 No.-

        본고는 1930년대부터 50년대 말까지 중화민국 국민정부에 의해 추진돼온 삼민주의 문예정책과 그 이론을 토대로 중국의 우익미술이론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국민 정부는 우파집권 시기, 쑨원(孫文)의 삼민주의에 대해 유생론(唯生論), 역행철학(力行哲學) 등 우파식 해석체계를 마련하고, 그에 따라 삼민주의, 민족주의, 민족본위, 항전건국, 민생주의와 민주로 이어지는 문예정책 노선을 추진해 갔다. 또한 이러한 사상 및 정책적 모색은 1940년대 이후 「우리에게 필요한 문예정책」(1942)과 「삼민주의문예론」(1953)이라는 두 편의 글을 통해 삼민주의 문예론으로 종합 수립되었다. 특히 후자에서 장다오판(張道藩)은 ‘삼민주의사실주의’라는 개념을 통해 ‘사실주의의 종합’이라는 창작론을 제기함으로써, 사실상 타이완 미술계에서 사실주의(Realism) 미술의 전개를 저지하고, 이를 통해 국가 이념 및 체제에 순응적인 문예계 양성과 운영을 시도했다. This study is about the right-wing theory of art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cy of literature and culture that stood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pursu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China from the 1930s to 1950s, and the theory underlying this policy. During the period of ruling by rightists, the National Government laid the groundwork for interpreting Sun Yat Sen’s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right-wing ideas. In that regard, the government developed such ideologies as vitalism, “Deathbed Teachings of the Premier,” and the philosophy of Li-xing (practice with earnestness). The government then pursued a policy of literature and art that started its course in the era of the Three Principle of the People, followed by nationalism, national standards, the “War of Resistance and Nation-Building,” “Principle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ultimately democracy. Such an ideological and political pursuit culminated in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art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since the 1940s. The idea was represented in two articles: The Policy of Literature and Art That We Need (1942)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and Art Based on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1953). In the latter of the works cited above, Zhang Daofan introduced a theory of creation called “A Synthesis of Realism,” which has its basis in the concept “Realism of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With the aforesaid theory of creation, Zhang attempted to put a halt to the realist movement in the Taiwanese literature and art circle and foster them into a group more acquiescent to the ideology and system of the state.

      • KCI등재

        중화민국헌법의 설계자 우징숑(吳經熊 1899-1986)의 법사상 : 삼민주의(三民主義)에서 자연법으로

        김세호(Sai-Ho Kim)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0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57

        본고는 법률가 오경웅의 법사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지하듯이, 오경웅은 일찍이 서양에 유학하여 홈스, 스탐러, 파운드 등 당대의 유수한 근대 법학이론을 흡수하여 주목할만한 학문적 성취를 거두었고, 그 중에서 특히 미국 실용주의 법률가 홈스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귀국해서는 국민정부의 헌법초안(55헌초)를 기초하고 중화민국헌법을 제정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중화민국의 근대적 법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노력했다. 특히 헌법초안 기초 과정에서 당시 지배적인 법사상인 사회법학의 영향을 받아 삼민주의를 국가이념으로 헌법에 정초하는데 기여했다. 또한 그는 실무형 법률가에 그치지 않고 법철학 및 법사상 분야에 다대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서양의 자연법 사상에 깊이 천착했을 뿐 아니라 중국의 법률문화 전통(특히 맹자 사상)에서 자연법 사상의 흔적을 발견하고 이를 학문적으로 통합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아울러 오랜 시간을 외국에 체류하며 영어로 저술한 그의 저술은 중국의 전통문화를 서양세계에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부제가 말해주듯이 본고는 오경웅의 법사상의 궤적을 ‘삼민주의에서 자연법으로’의 변화로 파악하고자 한다. 중화민국의 최고 규범을 제정하는 산파역을 수행한 것이 법률가로서 그의 최대 업적이지만 이후 그의 지적, 사상적 외연은 인류의 보편적 법이념인 자연법으로까지 확장되는데, 그러한 변화에는 간접적이지만 천주교의 입교와 (유가,도가,법가 등) 중국 전통 법률사상의 훈도(인문적 교양의 영향)가 관련되었다고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고가 파악하는 그의 법사상의 특징은 법률문화에 있어서 ‘동서의 초월’을 통한 ‘고금의 회통’으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legal thoughts of lawyer Wu Jingxiong. As is well known, Wu studied in the West early, absorbing the leading modern law theories of the time such as Holmes, Stamler, and Pound, and achieved remarkable academic achievements, especially from the American pragmatist lawyer Holmes. Upon returning home, he tried to establish the modern legal system of the Republic of China in many ways, including playing a key role in make the Draft Constitution of National Government and enacting the Constitution of Republican Chinat. In particular, Wu contributed to establish Sanminzhuyi(Principle of Three People) as national ideology in the Constitution, which was influenced by social jurisprudence, the dominant legal theory at the time. In addition, he has not only been a practical jurist, but has also made a number of achievements in the fields of legal philosophy and jurisprudence. In particular, he deeply delved into the thought of natural law in the West and futhermore made efforts to discover traces of natural law thoughts in Chinese legal culture traditions (especially Mencius thoughts) and to integrate the two into one coherent dimension academically. In addition, his writings, written in English while staying abroad for a long time, played a big role in promoting traditional Chinese culture to the Western world. As the subtitle says, this paper attempts to grasp Wu’s academic journey in juridical thoughts as a change from “legislator of Three People’s Principle(三民主義) to thinker of natural law”. His greatest achievement as a jurist was to play a key role in enacting the supreme norms of the Republic of China, but since then, his intellectual and ideological extensions are extended to the natural law, which is the universal norm of mankind. Such changes seem to have been related to Catholicism s initiation and training in traditional Chinese thought (Confucianism, Taoism, Legalism etc.).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his juristic ideology that this paper grasps can be summed up as ‘consilience of past and present’ through ‘transcendence of east and west’ in legal culture.

      • 연구논문 : 삼민주의와 동아시아 복지: 사회복지정책 변화와 연구동향이 동아시아 3국에 주는 시사점

        최병목 ( Byoung Mohk Choi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1 No.2

        손문(孫文, 1866-1925)이 주창한 신해혁명의 중심사상인 삼민주의(三民主義: 民族主義·民權主義·民生主義)의 정치강령 민생주의는 복지개념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손문의 삼민주의 중 민생주의(民生主義)는 국민의 생활안정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첫째, 먼저 민생주의에서 주장하는 복지개념이 어떤 것들이 있는 가를 살펴볼 생각이다. 그리고 이 주창이 한국과 일본에 영향을 주었거나, 그런 점을 내포하고 있는지를 조사해 볼 생각이다. 둘째, 신해혁명 이전의 중국, 한국, 일본은 복지측면에서 국가의 리더들이 어떤 생각을 해왔고, 어떤 차이가 있는 가를 살펴볼 예정이다. 셋째, 향후 동양 3국이 함께 사회복지정책에서 추구해야 될 점 또는 시사점을 제시해 볼 생각이다. 손문이 삼민주의의 민생주의에서 역설하였듯이 사회적 경제적 약자를 돕고 지켜주는 확실한 룰을 만들어야 한국, 중국, 일본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양극화현상을 막을 수 있고, 사회 안정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복지는 의식주의 편안함과 의료, 보이는 부분의 사회적 돌봄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 것이 기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혜적 복지는 한계가 있으므로 자기 창조성이 가미된 복지가 필요할 것이다. The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collectively San-min Doctrine(三民主義), is a political philosophy developed by Sun Yat-Sen (or Sun Wen: 孫文, 1866-1925) as part of a philosophy to make China a free, prosperous, and powerful nation. Its legacy of implementation to make the Revive China Society is most apparent in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ROC). Three People`s Principles means that 1) The Principle of Minzu (民族主義, Minzu Zhuyi) is commonly rendered as "nationalism"; 2) The Principle of Minquan (民權主義, Minquan Zhuyi) is usually translated as "democracy"; and 3) The Principle of Minsheng (民生主義, Minsheng Zhuyi) is sometimes translated as "the People`s welfare/livelihood," and/or "Government for the People". The concept may be understood as social welfare and as a direct criticism of the inadequacies of both socialism and capitalism. He divided welfare into four areas: food, clothing, housing, and transportation. He planned out how an ideal Chinese government can take care of these for its people. Sun died before he was able to fully explain his vision of this Principle. And it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debate within both the Chinese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with the latter suggesting that Sun supported socialism. Indeed, the Principle of Minsheng, covering two additional areas of welfare/livelihood: education and leisure, and explicitly arguing that Minsheng was not to be seen as either supporting communism or socialism. Its purpose is to appeal to action rather than to thought. As Sun Yat-sen insisted, a principle is not simply an idea; it is "a faith, a power." Political leaders of the three countries of the Far East Asia shared similar ideas to apply the mind of social welfare to their peoples, such as Hong-Ik-In-Gan(弘益人間) by Dan Gun(檀君) in Korea, 大同世界 by 孔子 in China, Thought of Ya(和) by Prince Showtoku (聖德太子) in Japan. Constitutionally three countries are also utilizing similar contents of social welfare policies and institutions. However, China has some "Last-Mover Advantage" in terms of its financial crisis problems from the operation of various social welfare programs compared to Japan and Korea.

      • KCI등재

        孫中山과 中國 民主憲政의 發展

        邱榮擧(CHIU RONG-JE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 No.2

        21세기 초를 살고 있는 우리가 동양 근대사와 정치지화에 대해 함께 토론한다는 것은 실로 그 의미가 크다. 과거 19. 20세기 동양 근대사에서 중요한 정치 변혁과 정치 변혁 중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지화의 정치적 성과의 중요성, 공헌 및 영향력이 어떠한 지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현재 동양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자신의 국가 발전을 추구함에 있어 과거 정치 선배들의 정치사상과 정치성과를 참고하고 그 당시 국가 발전사, 인류 발전사에서의 역사적 위치를 이해함으로써 지금의 국가발전 혹은 인류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근대중국은 내우외환 속에서 서방세력이 압력을 가하고 사상이 충돌하는 대변혁의 시기를 겪었다. 당시 중국의 조정과 재야 인사들은 중국 정치의 대변혁을 위해 중요한 정치적 영향력을 가졌던 정치운동을 펼쳐나갔다. 洋務運動(自强運動), 太平天國運動, 變法運動(維新運動), 立憲運動, 辛亥革命, 5ㆍ4運動등이 그것이다. 손중산(孫中山)은 이런 신구 정치사조와 정치변환의 대시대 속에서 혁명과 건국을 영도한 정치지다로서 전 중국의 국가발전을 어떻게 추진해야 할지를 항상 고민하였다. 그의 정치사상의 핵심은 간단히 말해서 三民主義(民族主義, 民權主義 및 民生主義)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三民主義와 五權憲法이며, 五權憲法은 바로 三民主義 특히 民權主義에 뿌리를 둔다. 五權憲法은 손중산의 三民主義가 정치제도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라 할 수 있는데 그는 그 정치사상을 헌법 제정을 거쳐, 구체적인 정치제도로 실현시켜, 중국을 民主憲政 국가로 하루 빨리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때문에 손중산의 정치사상에는 民主憲政과 관련된 부분이 매우 중요하며 그 民主憲政 사상은 주로 三民主義의 民權主義와 五權憲法을 가리킨다. 아울러 혁명 건국 3단계(軍政, 訓政, 憲政)를 제기했는데, 특색 있었고 기여한 바가 많았다. 이는 현재 대만 즉 中華民國(1912년 건국, 1945년 10월 25일 대만 통치 시작. 1949년부터 현재까지 사실상 대만 통치)과 중국 대륙 즉 中華人民共和國(1949년 성립, 1949년부터 현재까지 대만을 통치하지 못함)의 국가발전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본문의 연구제목은 ‘손중산과 중국 民主憲政의 발전’으로 주된 연구동기는 손중산이 현재 대만인 중화민국과 중국 대륙인 중화인민공화국 모두에 중대한 정치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주 연구목적은 손중산과 臺灣海崍兩岸의 民主憲政 발전의 관계 여부를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손중산의 民主憲政 사상은 무엇인가? 2.각종 유형의 五權憲法制를 어떻게 해석 할 것인가? 3.손중산과 兩岸의 民主憲政 발전에는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 제목과 같은 문제를 다룬 연구 문헌이 상당히 많다.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모두 관련 연구에서 상당한 성과가 있었고 기타 대한민국, 일본, 미국 등과 같은 민주국가도 적지 않은 결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각 종 유형의 五權憲法制에 대해서는 줄곧 그 차이를 구별할 수 없고 심지어 五權憲法制를 總統制, 內閣制, 委員制, 雙首長制 등 중앙정부 체제와 같이 놓고 평가해 혼란과 오해를 낳았는데 이것이 가장 큰 결점이라 하겠다. 본문은 연구 접근(Approach)을 「외재적 연구 접근」(External Approach)과 「내재적 연구 접근」(Internal Approach)으로 나누었고 연구방법 (Method)은 문헌 분석법과 비교연구법을 채택하였다. 본문의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근대정치 변혁 속의 수많은 저명한 정치지도자 중에서 손중산은 정치사상을 내놓고 정치활동을 펼쳤으며 나아가 정치제도에 중대한 변혁을 낳은 걸출한 정치지도자다. 2.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의 내용은 상당히 다양하고 풍부하며 특색을 갖추었고 공헌한 바가 크다. 3. 손중산이 창시한 五權憲法制와 그후 발전한 다른 유형의 五權憲法制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필자는 “五權憲法制의 原形과 變形”이라는 새로운 견해를 가지고 각종 유형의 五權憲法制를 효과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소위 五權憲法制의 원형은 손중산이 구상한 五權分立 구도의 憲政體制만을 지칭한다. 그후 손중산의 五權憲法 구도를 참작하여 연구해 발전된 오권분립 구도의 헌정체제는 五權憲法制의 변형이라고 칭한다. 4. 정치학, 헌법학적으로 중앙정부 체제를 논할 때 五權憲法制를 總統制, 內閣制(혹은 議會內閣制), 委員制, 雙首長制(혹은 混合制나 半總統制)등과 혼동하면 안되나 五權憲法制와 三權憲法制는 같은 선상에 놓고 말할 수 있다. 5.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은 현재 대만해협 양안의 民主憲政 발전과는 뗄 수 없는 관계이며 특히 대만 즉 중화민국의 民主憲政 발전에는 더욱 큰 영향을 주었다. 손중산의 정치사상 중 民族主義, 民生主義, 國體論, 革命論, 黨軍論, 黨國體制 등도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에 의미와 영향이 크고 공헌한 바도 많지만, 民主憲政 사상과의 관련성은 적으므로 본문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한 국가가 君主 중심의 專制政治體制에서 國民 중심의 民主政治體制로의 전환은 쉽지 않은 상당히 어려운 과정이다. 손중산의 정치사상은 모든 大중국의 발전 혹은 華僑圈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고 특히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이 사실상 현재의 대만 즉 중화민국에 미친 영향은 절대적이다. 그 원인은 中國國民黨이 집권했던 중화민국은 대만을 반세기 이상 효율적으로 통치했는데 손중산은 중국국민당의 總理이자 중화민국의 國父였기 때문이다. 대만은 중국국민당이 집권하는 중화민국 통치 하에 있어 三民主義와 五權憲法을 대대적으로 선양하고 실천에 옮겼다. 비록 이론과 실제와는 거리가 있고, 중화민국이 실시했던 民主憲政과 오늘날 중화민국 헌법과 수정 조문 상의 규정에도 차이가 있지만 五權分立 구도의 헌정체제 및 威權政治體制에서 民主政治體制로의 전환은 현재의 중화민국이 진정한 민주국가가 되도록 만들었다. 대만이 民主憲政을 하게 된 것은 대만 국민과 수많은 대만 정치지도자들의 공헌이 컸던 것 외에도, 손중산의 民主憲政사상과民主憲政 발전에 영향을 끼치고 많은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고로 향후 대만해협 양안의 발전에 있어, 중국 대륙이 소위 社會主義國家 民主主義의 중화 인민공화국이든 대만의 소위 資本主義國家 民主主義의 중화민국이든 간에 民主憲政을 이루려면 각 민주주의 국가 정치 지도자들의 民主憲政에 관한 주장을 연구하고 참고해야한다. 여기에 손중산이 중국의 民主憲政 발전에 공헌한 바는 바로 우리가 고려하고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삼민주의(三民主義)와 삼균주의(三均主義)에 나타난 민(民) 의식 연구

        조덕제 ( Cho Deok J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5 No.-

        손문과 조소앙의 역사적 맥락은 일제와 제국주의에 기초한 자본주의 및 세계주의에 맞서 항전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손문은 서구세계와 의 충돌에서 드러난 중국사회의 한계를 절감하고 개혁이 아닌 혁명이야 말로 중국이 생존할 활로임을 알았다. 그는 중국인민을 사회의 주체로 규정하고 국민을 수탈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했다. 이것은 국민에게 권리를 돌려주는 것이며 국민이 자유민임을 확인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소수의 정치세력이 주도한 개혁의 한계성을 절감한 결과였다. 손문은 프랑스 혁명의 평등 자유 박애의 가치를 민족 국민의 권리 국민의 복지로 재해석하면서 중국사회의 혁명을 이끌었다. 이러한 혁명성은 동일한 역사적 배경을 가진 한국의 상황에 이식되었다. 그 결과 3.1운동 이후 전개된 대한민민국 임시정부의 건국강령에 용해되어 들어갔다. 이러한 가교역할을 수행한 인물이 조소앙이다. 조소앙은 손문의 삼민주의를 수용하여 삼균주의를 제창했다. 조소앙의 삼균주의는 삼민주의의 혁명사상을 바탕으로 정립된 한국적 혁명사상이다. 이 두 혁명사상은 역사적 현실적 동질성에 기초하고 있다. 그것은 일본 제국주의 파시즘에 대항하고 자유와 독립을 위해 항전하는 것이다. 내부적으로는 전제군주제의 수탈을 타파하고 민주공화제로의 혁명적 전환을 목적하였다. 이 두 혁명사상은 민을 권리를 행사하는 자유로운 존재로 규정하고 있다. 새롭게 규정된 민은 독립국가의 헌법적 기초를 이루었다. 본 논문은 손문과 조소앙의 사상을 혁명사상으로 규정하고 이들이 규정하였던 민의 역사적 정치적 지위를 비교함으로써 민주개념의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Son wen and Cho so-ang's ideological commonality is againt Japannese imperialism, Fascism, and Globalism. Son wen realized the limitations of china in the war with the west. and he realized that the revolutionnot, not reform, is way to survive. He defined the Chinese people as the subjects of the state and tried to free them from exploitation. This is to return the rights to the people and to confirm that the people are free people. In addition, this was the result of reducing the limitations of reforms attempted by several political forces. Son wen led the revolution in Chinese society by reinterpreting the values of equal freedom and philanthropy in the French Revolution as national, people's rights,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His revolutionary ideas were transplanted into Korea, which shared the same era. As a result, it was cited in the code of founding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Cho so-ang is a key figure in the exchange between Chinese revolutionary ideas and Korean revolutionary ideas. Cho so-ang was influenced by Son wen's people’s Three Principle) and advocated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Cho so-ang's Three Equalities is a revolutionary idea in Korea. The two revolutionary ideas have the same environment of the times. So the purpose is homogeneous. Their purpose is to break down the fascism of Japanese imperialism and win freedom and independence. As a domestic problem, It destroys the exploitation of the despotic monarchy and converts it into a democratic republic. The two revolutionary phases define the people as subjects of rights and as free people. The newly defined people became the constitutional basis of an independent state. This paper defines Son wen and Cho so-ang's ideas as revolutionary ideas. And compare the political status of the people in these two ideas. By doing so, we confirm the value of democracy.

      • KCI등재

        삼민주의 인터내셔널 — 혁명중국의 자기표상과 질서구상 —

        유용태 중국근현대사학회 2023 중국근현대사연구 Vol.99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ttempts of Revolutionary China to establish ‘the Sanminzhuyi(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International’(三民主義國際, SI) as a new agency leading the World revolution of the oppressed. The SI benchmarked the Communist International(共産國際, CI) and aimed at competing with CI for the leadership of the liberation movements of the oppressed in the East. The idea of SI was raised in 1924-25 and widely shared in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by 1942. The discourses of the SI show the efforts of Revolutionary China as the top leader of the oppressed in the East to form the Sino-centric international order in the world bisected into the Comintern and the League of Nations. The Kuomintang’s ardent desire for the leadership of the East oppressed nations and Sino-centric international order as such led to Mao Zedong's conception of the Communist “Intelligence East Bureau”(東方情報局) in 1947-53. Neither of them has reached the actual establishment, but it can be said that both conceptions are a new development of self-awareness of the international status and role of China that had been revived through revolution. Both conceptions imply a self-consciousness that the Chinese themselves, as a semi-colonial oppressed, should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colonial oppressed in the East and support/lead their liber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revolutionary way to recover the ‘Chineseness’(中國性) recognized by the self and others before the so-called “Hundred Years of Humiliation” in the new conditions.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제1차 국공합작 및 국민혁명에 대한 한국인의 반향

        한상도(Han Sang-Do)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5

        일제 침략기 한인들은 중국 제1차 국공합작과 국민혁명의 성공을 한국의 독립과 해방을 위한 선행단계로 인식하였다. 국공합작과 국민혁명의 이념이었던 三民主義에 대한 해석은 대체로 좌경적인 경향을 띠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삼민주의이론 자체에 내포되어 있는 친공산주의적인 성향과, 1920년대 식민지 한국사회 지식인그룹의 진보적인 역사관이 어우러진 결과로 평가할 수 있다. 國共合作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는, 공산당원의 개별적인 국민당 입당 사실이 國民革命의 성취를 위한 것이요, 공산혁명의 ‘즉각 실현’을 위한 것은 아니라고 함으로써, 공산주의운동을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의 테두리 안에서 파악하였다. 한인들의 국민혁명 참여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양상을 띠었으며, 북벌전 참전으로 실천에 옮겨졌다. 적지않은 한인이 희생된 北伐戰場에서의 체험은 한인독립운동의 역량 강화와 항일진로 설정의 필요성에 대한 자각으로 이어졌으며, 그 같은 고민은 항일민족운동전선을 재정비하려는 노력으로 구체화되었다. 한인들은 국공합작 결렬의 일차적인 책임을 국민당 우파에게 묻는 등, 친공적인 경향을 띠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이는 다음의 사실과 인과관계에 있을 것이다. 일차적으로 ‘先安內後攘外’를 포함한 국민당정부의 정치노선에 대한 저항감을 꼽을 수 있겠다. 제국주의세력의 침략을 물리치는 일이 일차적 목표인 민족해방운동의 입장에서 볼 때, 제국주의 침략 세력과 타협적이고 때로는 굴종적인 모습마저 보이기도 하는 국민당정부의 입장은 쉽게 용납되지 않았을 것이다. 반면에 반외세반제국주의 투쟁이라는 선명한 기치를 내건 중국공산당의 모습은 젊은 한인혁명가들의 기대와 동경을 채워줄 수 있었을 것이다. 국공합작의 붕괴를 분기점으로 하여, 중국국민당정부 관할구역에서 활동하던 한인공산주의그룹은 활동기반을 상실하였고, 중국공산당의 구심력 안으로 흡인되고 말았다. 그리하여 1920년대 후반이후 중국관내지역에서 전개된 한인독립운동의 양상은 기본적으로 중국국민당정부와의 연대ㆍ우호관계를 대전제로 한 민족주의 우파세력과 좌파세력의 공존 및 대립 구도를 밑그림으로 삼기에 이르렀다. 이와 함께 한인독립운동이 國共合作과 國民革命이라고 하는 중국근대사의 흐름에까지 그 외연을 확대함으로써, 동북아시아 피압박민족의 반제국주의 민족해방운동의 일환이라는 성격을 띠기에 이르렀고, 이어지는 1930년대 ‘파시즘과 반파시즘체제의 대결’이라는 세계사 흐름에도 조응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운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던 것이다.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ic invasion Koreans conceived the First Coalition of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and Chinese Nationalist Revolution as a preliminary stage for their independence and liberation from Japan. There was a tendency that Koreans' understanding of these political movements was tinged with communism Pro-communist elements inherent within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and the revolutionary idea of history prevalent among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20s are combined together and produced such a communist interpretation of Chinese politics. Communism at the time was accepted as almost identical with anti-imperialism and nationalism. Koreans' participation in Chinese Nationalist Revolution was voluntary and active. They even took part in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in which not a few Koreans died in action. Such an experience served to awaken Koreans a strong spirit of independence and reinforce their campaign for independence. Koreans had a pro-communist tendencies. That explained why they attributed the failure of coalition to the right wing of the National Party. To Koreans whose primary concern was to stop the Japanese imperialist invasion, the government of the Chinese Nationalist party appeared to be too reconciliatory toward and too submissive to Japan. It was generally recognized that Chinese communist party was inflexibly anti-imperialistic, and thus seen favorably by young revolutionary Koreans. But with the collapse of the coalition, the group of Korean communists lost its base of revolutionary activities in China, since it was located within the confines of the government of Chinese Nationalist Party. And they were forced to be assimilated into Chinese Communist Party. The importanc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China cannot be overestimate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as associated with, and became part of the turbulent history of modern China, sharing its lot with the First Coalition of Nationalist and Communist Parties and Chinese Nationalist Revolution. And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Korean resistance to Japan's imperialism was made not only for Koreans themselves but for all the oppressed in the northeast Asia: the caus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became more and more universal, transcending its regional character. Thus the experience of such an resistance activity matured into an autogenous force to deal with an international situation such as the confrontation between fascism and anti-fascism in 1930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