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에 의거한 장애인 복지정책 및 서비스의 분석

        허창덕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2

        지난 수십년 간 법적․재정적․정책적 발전을 통해 한국사회의 장애인 복지정책은 과거에 비해 그 수준이 많이 증가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는 장애인에 대한 세계 환경의 변화와 사회의 각계각층, 특히 장애인 자신의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거시적․권리적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서의 장애 및 장애인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장애인의 사회통합이라는 궁극적 장애 복지정책의 방향성을 고려해 볼 때, 한국의 각종 장애인 복지서비스는 아직 그 갈 길이 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한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장애인 복지서비스 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현행 실시사업 모형의 네 가지 체계 속에서 분포 현황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현행 한국 장애복지 서비스 사업의 대부분은 미시적 측면에 국한되고 정책적 성격 또한 시혜적․수동적․소비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한국사회의 장애 정책은 보다 확대된 방향으로서 중간․외․거시 체계적 요소들을 포함하는 정책적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사실과 그 성격 또한 적극적․능동적․가치창출적인 방향을 지향해야 한다는 점과 함께 그것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제안하고 있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welfare of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has been developed in regard to: paradigm change, modified regulations and laws, increased budget,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etc. Many factors influenced these achievements; disabled people's endeavor for their right and welfar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achievements. Nevertheless,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do not seem to meet the ultimate goal of the welfare, because the current social welfare policies are based upon micro perspective of disability polic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using a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theory was adopted to examine whether th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 implementation were well developed and delivered. Bronfenbrenner's four systems: microsystem, mesosystem, exosystem, and macrosystem were used as reference to identify the balance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welfare delivery system heavily concentrated on the microsystem.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delivery system treats the recipients as passive demander and consumerists.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welfare service should be balanced with broader ecological system such as meso, exo, and macrosystem. By examining the current welfare with Ecological systems theory,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policies should be the ones which invites disabled persons as active and valuable contributors to their community.

      • KCI등재

        생태학적 보육환경을 중심으로 한 보육시설운영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소고

        최윤이(Choi Yun-Yi),김경희(Kim Kyung-Hee)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0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9 No.2

        보육시설의 공공성과 투명성 확립이라는 전제 아래,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법적 실행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현재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시행지침이 가지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생태학적 보육환경을 중심으로 한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해 몇 가지를 제언하였다. 우선 현행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지침은 두 체제 간 여러 이질성에도 불구하고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을 그대로 원용하되, 시범실시시간 등의 질적 재고 기간을 두지 않고 시행하는 것이 우선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이용자수 대비 운영위원회의 위원 정수 선정, 부모와 지역사회의 자율적 참여와 보육활동 지원보다는 관리감독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는 어려움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한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역동적 체계이며 따라서 미시적, 중간적, 외적 환경을 비롯한 제 환경과의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관점을 토대로 운영위원회를 설치ㆍ운영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첫째, 미시체계 자원을 활용한 보육시설운영위원회의 구성, 둘째, 중간체계 자원의 역동성을 통한 대가족 대체 효과, 외체계 자원을 통한 보육활동 멘토링 기능 등이 포함되었다. By the time of institutionalization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this study looked forward to a method for activating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focused on the view of Bronfenbrenner"s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In the cause of this method, through arranging current management standard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a number of problems were revealed. First, a term for the enactment of legislation and a public display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s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was not enough. Second, the total number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should be reconsidered. Third, the function of autonomic participation and childcare support should be more strengthened than control or manag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ing on the ecological childcare environment, is proposing following method for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First, organizing of childcare center steering Committee, utilizing microsystem resource. Second, alternative effect of an extended family, through dynamics of mesosystem resource. Third, strengthening function of childcare management mentoring, through exosystem resource.

      • KCI등재

        디지털 기술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비판적 고찰

        황재운,정제영,박지애,정영식,박주형,김인재 한국교육행정학회 2024 敎育行政學硏究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digital technologies on education, utilizing a revised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A scoping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digital technology within the education ecosystem. Findings indicate benefits such as personalized and digitally-supported education at the microsystem level, but also highlight stress and physical side effects. In the mesosystem, enhanced parent-teacher communication emerges as positive, while content management at home poses challenges. The exosystem benefits from goal-setting support, though disparities in resource access are identified as concerns. At the macrosystem level, improvements i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negative effects of misinformation spread are noted. The chronosystem reveals that the success of digital technology use is context-dependent. Strategies to address these dysfunctions are proposed, aiming to guide the education ecosystem towards a new equilibrium in the face of evolving digital technologies.

      • KCI등재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가족지원교육활동 경험 실태 분석:미시 체계 변인과 중간 체계 변인을 중심으로

        김진성,이병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cological variables about the family support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 around family support education activities, and sought a change in direction for effective family support based on needs and concerns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93 parents of young special education children living in area “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proves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a family vary depending on the parents’ age,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nurturing and education environment at home, the family members’ attitudes towards nurturing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parent-professional relationship, residential environment, and economic levels. Second, when it comes to the attitudes towards participation in nurturing depending on the parents’ occupation, fathers who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job tend to participate in nurtur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more active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researched the family support education activities aimed at parents and professionals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in the era of emphasizing the quality substantiality and social environment as the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crease continually. 본 연구는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가족지원교육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로, 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지원교육활동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과정에서 나타난 요구와 문제들을 토대로 효과적인 가족지원교육활동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A’ 지역에 거주하는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자녀를 둔 93가구 부모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연령, 가정에서의 양육 및 교육환경,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전문가 관계, 주거환경, 전이 지원 등에 따라 가정마다 이루어지고 있는 가족 중심의 가족지원교육활동이 이질적이면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직업에 따른 양육 참여 태도와 관련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아버지일수록 가정에서의 양육 및 교육활동 참여가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특수교육대상아동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가족지원교육활동에 대한 질적인 내실화와 사회적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기에 가정과 지역사회 안에서 부모를 중심으로 가족지원교육활동 경험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