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요문화 전승 현장으로서의 ‘대학 민요 교육’

        박지애 한국민요학회 2022 한국민요학 Vol.65 No.-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folk song classes at universities are a field of folk song transmission. Many researchers argue that the concept and category of folk songs should be expanded. This study also started from the same point of view as the previous research that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boundaries of folk songs and discover new fields. The field of folk song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an educational space for transferring knowledge, but also a field for passing down folk songs to the next gene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discussed in what aspects the field of university folk song education is the same as the field of folk song transmission. In addition, through examples, I discussed how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pass folk songs to the next generation.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eeing the field of folk song education at the university as a field of folk song transmission. Bec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ossibility, a specific study could not be conducted. Therefore, I will further develop this topic in subsequent research. 본고는 대학의 민요 수업 현장이 민요문화의 향유와 전승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색함으로써 민요의 계승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출발하였다. 지금까지 민요공동체의 외연을 확대하고, 전승의 의미망을 확장하는 논의는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고는 민요교육의 현장 또한 지식의 전달이라는 교육의 장만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민요문화를 경험하고 다음 세대로 민요문화를 전승하기 위한 현장으로서 가치를 지닐 수 있음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 민요 교육을 민요문화의 전승 현장으로 바라보고, 전승 현장의 구성 요건이 교육 현장에서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민요 교육을 위해 구성된 대학의 수업 현장은 민요 연행과 전승을 위한 다양한 시도와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민요공동체의 요건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학의 민요 수업 현장은 전승의 주체인 구연자와 청중이 참여하는 소리판이며, 특히 수강생은 유사한 사회적 경험을 공유한 또래 집단의 성격을 지닌 청중이라고 할 수 있다. 수강생들은 단순히 소극적이고 보조적인 청중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민요를 학습, 표현, 문화적 변용 과정을 실천함으로써 적극적으로 민요를 전승할 수 있는 주체라고 할 수 있다. 민요 교육의 대상이 된 대학생들을 민요의 연행과 향유의 주체로 보고 그들을 통해 일상에서의 민요문화를 체험하게 하고 다음 세대로 민요문화를 전승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민요공동체를 체험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민요공동체의 향유와 전승 과정을 준용하여 세 단계의 과정을 제시하면, ‘민요에 대한 학습-민요의 내면화와 표현-변용과 확장을 통한 민요문화의 체험’이 될 것이다. 아울러 대학 민요 교육 현장은 민요문화 전승을 위해 다음의 내용들이 고려되면서 그 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민요는 공동체 문화의 산물인 동시에 개인적 욕구의 발현이므로, 구성된 민요공동체에서 개인의 욕구를 담아내는 방식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민요 교육을 위해 구성된 대학의 민요공동체를 운영할 때에는 수평적 연행을 강화하는 방면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민요문화 전승을 위해 구성된 대학에서의 민요공동체는 향유의 주체가 선호하는 문화적 향유방식으로 전승되어야 한다.

      • KCI등재

        영남지역 서사형 시집살이노래의 통시적 변화와 특징 -<중이 된 며느리> 유형을 중심으로-

        박지애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3 No.-

        This study examines how women’s taste for folk songs changed over time, and more specifically, it analyses the characteristic of today’s female folk songs. The daughter-in-law, who occupies the weakest position in the household, sings in the closed environment of the women that share the same situation. By singing <Sijipsari-norae>, she purifies her own feelings and suffering. However, the social status of the singing women is no longer the same. Indeed the changed social environment has affected women’s consciousness, modifying the repertoire of the songs that they like. For the past 30 years, the taste of women regarding <Sijipsari-norae> has considerably changed. In the past, they liked singing <The daughter-in-law who became a nun>. Now, this song is not as much sung as it was before. In this song, the elements dealing with the opposition to the in-laws have been weakened. Indeed the theme of the love for the husband in this song relative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current <The daughter-in-law who became a nun> rather to describes the love for the husband. The reason for this thematic shift is that the women who sing <Sijipsari-norae> are no longer the daughters-in-law. Indeed they are now the husband’s mothers-in-law, and thereby, favour the theme that reflects their new status. 이 글은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에 조사된 민요 자료와 2000년대 후반~2010년대 초반에 조사된 민요 자료를 비교하여 30여 년 동안 여성민요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영남지역의 서사형 시집살이노래를 대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가정 내에서 가장 약자이며 소외된 처지의 며느리가 자신과 같은 처지의 또래 여성들과 폐쇄적인 환경에서 구연하던 시집살이노래는 구연자들에게는 단순한 ‘노래하기’의 행위가 아니라, ‘말하기’를 통한 감정의 정화 과정이자 치유 행위였다. 사설 속 화자와 가창자 자신의 동질적 공감을 확대하면서 구연되는 시집살이노래는 가창자가 처해 있는 현실 및 의식과 밀접한 연관을 가질 수밖에 없고, 가창자를 둘러싼 문화적․환경적 토대가 변하면 그들이 선호하는 시집살이노래 또한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 글에서는 30여 년의 간극을 두고 영남지역의 서사형 시집살이노래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피기 위해 『한구구비문학대계』와 <한국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사업>에서 조사된 자료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서사형 시집살이노래의 향유층들은 1970~80년대만 하더라도 <중이 된 며느리> 유형을 가장 선호하였지만, 현재는 <중이 된 며느리> 유형의 전승력이 미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하위 유형의 선호도 변화가 뚜렷한 <중이 된 며느리> 유형의 경우, 시집식구들에 대한 응징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노래의 전승력은 약화되고 남편과의 애정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노래의 전승력은 상대적으로 강화되었다. 즉 과거의 시집살이노래가 주로 시집식구와의 갈등이나 그 해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면, 지금의 시집살이노래는 ‘남편과의 애정’에 대한 비중이 확대되었다. 이는 지금의 여성민요 연행자들이 시어머니의 위치에서 과거를 회상하며 구연하거나, 혹은 현재 자신의 현실적 처지에 유효한 모티프에 공감함으로써 구연하다보니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민요 구연에 참여하는 후속 세대의 부재, 여성민요 향유층들의 문화소비 취향의 변화 등도 이러한 결과를 낳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KCI등재

        중국 설화의 수용과 문학적 상상력 - <양산백과 축영대>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박지애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7 No.2

        The story of The Butterfly Lovers, which is one of the China’s Four Great Folktales, has been narrated in China in various literary forms, such as tales, novels, plays, and even music the preference of which depends on the epoch and the region. After its introduction in Korea during the Goryeo era, the story of The Butterfly Lovers was used in a variety of ways as it went through many genre variations, from narrative literary forms such as tales, novels, or myths, to narrative folk songs.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t aspects of these genres which were infused with literary imaginativeness and creatively transformed after the Chinese Butterfly Lovers folktale was assimilated into the Korean culture. In other words, as this paper looks into the Korean prototypes in the assimilation-transformation process that produced under the same title of The Butterfly Lovers a wide range of literary forms, the discussion also addresses the identity of each forms that is distinguished according to its genre and disparate factors such as the level of responsibility and assimilation, the time period, and the usage of the genre. The interest and taste of the public as well as the varied thematic consciousness can be defined as the common features which appear in the assimilation process of the Chinese Folktale The Butterfly Lovers. After the story was assimilated into the Korean culture, the transmission group, the level of enjoyment, and the differences between genres can be accounted factors in its various transformations.

      • KCI등재

        학교교육 정책에서의 창의성 교육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지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This study examines school problems defined by creativity education discourse and how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expected to solve these problems over the past 25 years. Moreover, the way in which these problem-solutions constrain educational thinking and behavior is critically evaluated. The study employs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orman Fairclough (1980, 2003) to examine 21 policy documents published after 1995. Results show that the existing school education was described as ineffective in facilitating creativity by making students find only the correct answers, operating in an inelastic manner, and failing to help them achieve self-realization. Accordingly, creativity education is conceptualized as diversifying, flexiblizing, and optimizing the curriculum, enabling each student to obtain a customized education and explore their career paths. Since the discourse conceptualizes the world as an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infinite competition between free individuals and countries, it becomes difficult to understand education as an activity free from competitive pressure. Furthermore, there is a social effect that makes students responsible for managing themselves and prevents teachers from thinking about "why" and "what" to teach. This study suggests that an alternative discourse is required to counter the problematiz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discourse. 이 연구는 최근 25년의 학교교육 정책에서 창의성 교육 담론은 무엇을 학교교육의 문제로 규정하며 창의성 교육이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문제-해결책이 어떻게 우리의 사유와 행동을 제한하는지를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5년 이후 창의성을 학교교육의 주요 목표로 강조한 정책 문서 21편을선택하고, 이를 Norman Fairclough(1980/2015, 2003/2012)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학교교육은 학생들에게 정답만 찾도록 하고, 비탄력적으로 운영되며, 학생의 자아실현을 돕지 못함에 따라 창의성을기를 수 없는 것으로 소묘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창의성 교육은 개별 학생이 자신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고 주도적으로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다양화, 유연화, 최적화하는 것으로 개념화되었다. 이러한 담론은 세계를 자유로운개인, 국가 사이의 무한 경쟁이 이루어지는 사회로 재현함으로써 경쟁에서 자유로운 교육을 사유하는 것은 어렵게하였다. 더불어 학생들에게는 자기 자신을 경영할 책임을 지우며 교사들에게는 ‘왜’, ‘무엇’을 가르칠지에 대해 생각할수 없게 하는 사회적 효과가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창의성 교육 담론의 문제화 방식에 대항할 수 있는 대안 담론을형성하는 것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내방가사를 통한 여성의 자기표현과 부부관계의 구성 - 『두암제영』 소재 <노부탄>과 <답부사>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애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paper analyzes two matrimonial dialogue-style gasa written in Hangul, ‘Nobutan(老婦歎)’ and ‘Dabbusa(答婦詞)’, from Duamjeyeong (斗庵題詠) by Kim Yak-ryeon(金若鍊, 1730~1802)’s. The objectiv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within the family community and the place of the wife as an autonomous being. In the Joseon society where Confucianism was firmly established as institutional discourse, women were perceived as beings who were devoted to and had to sacrifice for their family, rather than individuals with their own voices. In a cultural environment that emphasized collectivist culture in particular, married women’s silence and sacrifice were praised as virtues. However, unlike the institutional discourse that praised women’s sacrifice and womanly virtues(婦德), women in the daily life built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members in a more active and autonomous w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status of women within the family. This paper seeks to redefine the place of women within family relationships by carefully examining matrimonial dialogue-style gasa written in Hangul. ‘Nobutan’ and ‘Dabbusa’ are two matrimonial dialogue-style gasa which consist of the wife’s lament and the husband’s response to it. These literary works do not reflect the sole voices of noble men and noble women, and rather provide a real insight into the similarities and divergences in the spouses’ discourses on the same matters, as well a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wife and husband. In that sense, they constitute invaluable materials to achieve successful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이 글은 부부가 주고받은 화답 형태의 가사 작품 <노부탄>과 <답부사>를 대상으로 아내의 주체적 면모가 가사 작품에 드러나는 양상과 남편에게 수용되면서 부부관계가 구성되고 조율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두 가사 작품이 지닌 가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노부탄>의 시적 화자는 가정경제와 가정경영에 대한 뚜렷한 가치관을 갖고 치산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남편을 설득하면서 18세기 이후 사회경제적 가치의 중요성이 확산되던 시기의 모습과 가정경제를 책임지던 아내의 적극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시적 화자의 모습은 여성의 주체성과도 연결지어 파악할 수 있다. 자율적 주체의 개념을 ‘자기-규율’과 ‘자기-결정’, ‘자기-통치’라고 한다면, <노부탄>의 시적 화자는 자신의 의지에 따른 분명한 가치관을 갖고 이에 따라 행위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통제하는 주체적 면모를 보여주었다. 또한 <노부탄>과 <답부사>에서 보여준 시적 화자의 주체적 면모는 부부관계를 조율하는 것에서 나아가 가족담론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약련은 두 가사 작품을 기록함으로써 부부의 대화가 사적인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가족 담론으로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답부사>를 통해 가족 구성원 개개인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가족관계가 구성된다는 그의 가족관을 드러냈다. <노부탄>과 <답부사>를 통해 ‘열쇠꾸러미’로 상징되는 가족경제의 주축인 여성이 가족경영 과정에서 남편의 유교적 가치관을 설득하는 과정과 그 속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주체적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사를 통해 부부간의 대화가 문학적으로 표출되고 기록됨으로써 가정 내에서 또는 부부관계 구성에서 여성의 지위를 확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두 작품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소설의 무가화에 따른 특징과 의미- <양산백전>과 <치원대 양산복>을 중심으로 -

        박지애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Characteristics and meaning having appeared while a novel changed to a shaman song-Through <Yang-San-Baek-Jeon> and comparison of <Chi-Won-Dae and Yang-San-Bok>-Park, Jee Ae(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이 글은 <양산백전>과 <치원대 양산복>을 통해 소설이 무가화되면서 어떠한 특징들이 나타나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소설이라는 고정된 독서물이 무당의 개성과 연행 환경에 따라 변개가 가능한 유동적인 연행물인 무가로 변모하면서 두 가지 측면에서의 변화가 나타났다. 먼저 경험적 세계가 확대되고 여성 인물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소설에서와 같은 초경험적인 요소와 이를 통해 형성된 인물들의 비범성은 무가의 창자와 청중들로 하여금 감정이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지상으로 하강한 선녀, 옥황상제께 득죄하여 지상으로 하강한 선관은 현실의 고통을 굿을 통해 위로하고자 하는 청중들과 심리적 거리를 좁힐 수 없는 존재이다. 굿의 연행 담당자는 소설의 기본적인 줄거리는 유지하면서도, 초경험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경험적인 요소를 확대하여 무가의 인물들과 창자청중 사이의 거리를 축소하는 것이다. 한편 무가는 소설에 비해 여주인공인 치원대가 문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인다. 소설에서 여성 인물이 소극적인 면모를 보이는데 반해 무가의 경우 언술의 초점이 치원대에게 맞추어져 있고, 치원대의 역할도 소설에 비해 적극적인 면모를 보인다.기록된 소설이 구술되는 무가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분량이 감소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그러나 무가화되면서 일반적인 분량과 갈등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특정 장면은 오히려 확장되어 있다. 동일한 구조의 전승축을 유지한 채, 무녀의 개성에 따라 개성축을 확장하여 청중들의 흥미를 자극하고 있는 것이다. 소설은 독자에게 흥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작된다. 이에 반해 굿에서 연행되는 무가는 주술적인 목적을 지니게 된다. <치원대 양산복>은 특히 망자의 저승길을 닦는 문굿에서 연행되는 무가인 만큼 주술적인 성격이 요구된다. <치원대 양산복>은 불교적 사설을 결합하여 저승 세계를 구체화시킴으로써 망자를 축원하며,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하게 될 관중들까지도 위로하고 있다. 또한 소설에서 고난과 좌절에 해당되는 부분만 선별적으로 취하여 고난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무가의 주술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설화 <양산복과 수영대>는 소설에 비해 무가와 친연성을 지니고 있다. 무가에 비해 경험적 세계는 더욱 확대되었으나, 여성인물에 대한 초점화는 유지되고 있다. <치원대 양산복> 무가와 설화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무덤에서의 애정 성취는 서사민요 <이사원네 맏딸애기>나 시집살이노래에서도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 해결 방법은 고통스런 현실에 대한 역설적인 해결책으로의 의미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