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류체계 인용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김성원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2

        For the effective classification of complex subjects, a library classification scheme should adopt multiple division principles (or facets). Each of the multiple principles adopted for the division of complex subjects is sequentially applied at each stage of division. The order of application of these multiple principles during the process of division of complex subjects is called citation order. In order for a classification scheme to be consistent and logical, the citation order of division principles applied to classify complex subjects should be concrete and consistent. Especially, in case of enumerative classification system, decisions on citation order to represent complex subjects significantly affect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There are basic principles and theoretical canons of the classification theory on the citation order and its application, but they cannot be applied solidly i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for practical reasons.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views previous works on classification theories regarding citation order, then explores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for the application of citation order. 문헌분류체계에서 복합주제의 전개를 위해서는 복수의 구분기준 혹은 특성(characteristics)을 적용해야 한다. 복합주제의 세분전개를 위해 채택된 복수의 특성들은 세분의 매 단계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전개된다. 복합주제를 세분 전개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구분기준을 적용하는 순서를 인용순(citation order)이라 한다. 주제를 세분하는 과정에 적용되는 구분기준의 전개순서인 인용순이 구체적이고 일관성을 가져야 문헌분류체계의 일관성과 논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열거식 분류체계의 경우에는 복합주제의 표현을 위한 인용순의 결정이 분류체계의 구성과 체계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용순 및 그 적용과 관련된 분류이론상의 기본 원칙들은 실제 분류체계 구축과정에서 실용적인 이유로 완벽히 적용되기 어렵다. 이에 본고는 분류체계의 구축과정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용순 관련 분류이론과 선행연구를 개괄해보고, 인용순 실제 적용상의 제반 사항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후보

        Landsat-TM의 밴드비 연산데이터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에 관한 연구

        권봉겸,山田淳,仁連孝紹,조명희 한국지리정보학회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밴드간 연산데이터를 재사용하는 방법이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제안되고 검증되었다. 분류항목별로 연산에 사용할 밴드를 결정하기 위해 밴드 6을 제외한 6개의 밴드를 조합이 가능한 수로 조합하고 감독분류의 최대우도법으로 토지피복 분류를 실시하였다. 49가지로 조합된 밴드의 토지피복 분류결과에서, 정확도가 상위 10위내에 분류된 밴드조합에서 사용된 횟수가 많은 두 밴드를 선정하고 연산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연산결과를 재구성하여 다시 토지피복 분류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원 데이터를 사용한 토지피복 분류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연산 결과를 재구성한 데이터와 원 데이터를 사용한 토지피복 분류를 비교?검토한 결과, 연산결과를 재구성하여 사용한 토지피복 분류에서 나지에 대한 정확도가 조금 떨어진 반면 전체적으로 정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공지물에 대한 정확도가 향상되었기 때문에 이후 도시역에 대한 토지피복 분류 및 지표정보를 분석할 때 밴드간 연산데이터를 재사용하는 방법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research, re-using band ratio data was proposed and examined as a method of raising the accuracy in landcover classification which is using satellite data. In order to determine the band which is used to calculation in the classified item, the six bands except the band 6 were combined with the band in which combinatin is possible and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by MLC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result of landcover classification which is combined with forty nine combination. T재 bands which were mostly used by band combination in the accuracy bilonged inside the 10th place of a higher rank were selected and also calculated. landcover classification were performed again after the calulation result had recombinated from the research. In addtition,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result was compared and examined with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the old data. From the result of which was compared and examined the new landcover classification data recombinated calulation result with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original data,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new landcover classification data recombinated calculation result became low in ground but became improved in the all class. Specially The accuracy to urban area is very improved. therefore, it determined that reusing band data is very useful when we need to analyze landcover classification and land information to urban area after that.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분류: 비판과 대안

        임대근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4

        This paper argues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contents as the research subjects to pursue the scientific nature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We can see the attitude of ‘compulsion toward the system’ from literature studies. In addition, they did not provide examples of detailed classification. This is due to the broadness and complexity of cultural contents. Therefore, this paper abandon the compulsion of systematic classification, and concentrate on contextual classification. The ‘folksonomy’, which emerged as an alternative concept of ‘taxonomy’, which has contributed to the systematization and structuring of knowledge since the modern era, adds strength to this idea. Classification can be divided into categorization, which is an approach based on a supervised structure, and clustering that is not. Reviewing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the following premise can be established. (1) ‘Classification’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replaced with the term ‘Classification System’, (2) ‘Standards’ must be flexibly understood in the classification, (3) The objects classified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need not always mutually exclusive, and (4) Classification is instrumental. Based on this premise, this article attempts to classify cultural contents. They are as following: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contents media(digital contents and analog contents), based on whether it is based on ‘story’(storytelling contents and non-storytell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sense of users(visual contents, auditory contents, tactile contents, taste contents, olfactory contents), according to the planning and production process and results(purpose contents, tool contents, subject contents), and genre contents(publishing contents, image contents, performance contents, exhibition contents, games contents, festival contents, theme park contents). 이 글은 문화콘텐츠연구의 과학성을 담보하기 위해서 문화콘텐츠라는 연구대상의 분류를 다룬다. 그 선행 논의를 살펴본 바, 대체로 형성 중인 학문으로서 문화콘텐츠연구를 어떤 체계로 구조화할지에 집중하는 ‘체계에 대한 강박’이라는 태도가 드러났다. 또한, 선행 논의들은 결과적으로 세부 분류의 실례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는 문화콘텐츠의 광범위성과 복잡성에서 말미암는다. 따라서 이 글은 문화콘텐츠에 대한 체계적 분류라는 강박을 버리고 맥락적 분류에 더욱 관심을 갖는다. 근대 이후 지식을 체계화, 구조화하는데 기여해온 ‘분류학’(taxonomy)의 대안 개념으로 출현한 ‘폭소노미’(folksonomy)는 이런 구상에 힘을 더해준다. 분류(classification)는 사전에 정의된(supervised) 구조를 바탕으로 한 접근법인 범주화(categorization)와 그렇지 않은 군집화(clustering)로 구분할 수 있다. 분류 개념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전제를 확립할 수 있다. (1) ‘분류’가 반드시 ‘분류 체계’라는 용어로 대체될 필요가 없으며, (2) 분류 행위에 있어 ‘기준’은 유연하게 이해되어야 하고, (3) 분류 결과 구분된 대상이 항상 상호배타적일 필요는 없으며, (4) 분류는 도구적 행위이다. 이 글은 이런 전제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맥락적 분류를 시도한다. 콘텐츠 매개체의 성질에 따른 분류(디지털콘텐츠와 아날로그콘텐츠), ‘스토리’ 기반 여부에 따른 분류(스토리텔링콘텐츠와 비스토리텔링콘텐츠), 향유자의 수용 감각에 따른 분류(시각콘텐츠, 청각콘텐츠, 촉각콘텐츠, 미각콘텐츠, 후각콘텐츠), 기획과 생산 과정 및 결과에 따른 분류(목적콘텐츠, 도구콘텐츠, 주제콘텐츠), 콘텐츠 장르에 따른 분류로서의 장르콘텐츠(출판콘텐츠, 영상콘텐츠, 공연콘텐츠, 전시콘텐츠, 게임콘텐츠, 축제콘텐츠, 테마파크콘텐츠)가 그것이다.

      • KCI등재

        『풍소궤범(風騷軌範)』의『분류보주이태백시(分類補註李太白詩)』 수용과 재분류

        임준철 ( Lim Junchul ) 근역한문학회 2021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8 No.-

        이 글은 조선 전기 편찬된 『風騷軌範』 수록 李白 시를 대상으로 『풍소궤범』 분류의 실상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分類補注李太白詩』는 宋 楊齊賢이 集注하고 元 蕭士贇이 補注한 현전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이백 시 주석본이다. 『분류보주이태백시』는 세종대 간행되어 조선 전기 문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의 分門纂類 방식은 『풍소궤범』의 분류에도 일부 참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풍소궤범』에 수록된 총 143수의 이백 시는 단일한 문헌으로부터 온 것이라기보다 이백시가 수록된 다양한 문헌을 참조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백 시를 가려 뽑을 때 당시 궁중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문헌들 중 준거가 되었던 책은 『분류보주이태백시』였던 것으로 보인다. 『풍소궤범』에는 『분류보주이태백시』에만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 다수 실려 있으며, 胡無人과 같이 『분류보주이태백시』본의 특성이 드러난 내용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풍소궤범』과 『분류보주이태백시』의 분류 체계와 방식에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분류보주이태백시』가 시체와 제재/주제별 분류를 뒤섞어 21類로 분류하고 있는 데 반하여, 『풍소궤범』은 前集에서 詩體別로 23體 6格으로, 後集에서 類別로 21類 57賦로 분류하였다. 『풍소궤범』에선 樂府體, 閑適類, 懷古類 세 가지 분류방식 외에는 대체로 『분류보주이태백시』와는 다른 독자적 기준으로 이백 시를 분류하였다. 『분류보주이태백시』와 비교할 때 『풍소궤범』의 분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시체와 제재/주제별 분류기준을 일부 따르면서도 더 세분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기존 제재/주제별 분류와 다른 기준을 가지고 새로운 방식의 분류를 시도했다. 셋째 분류할 때 시적 공간과 제재/주제의 특성에 좀 더 초점을 맞추어 구분하였다. 『풍소궤범』의 이백 시 분류는 『분류보주이태백시』 분류의 한계를 일부 보완했다고 볼 수 있다. 『풍소궤범』 이백 시 재분류 방식의 장점은 향후 한국 한시 DB를 구축할 때 제재/주제별 분류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of “Pungsogwebum(風騷軌範: PSGB)” with the case of Li Bai(李白)’s poetry works. “PSGB” is compiled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mpilations from China. Li Bai is the third largest number of works among Chinese poems in “PSGB”, following Su Shi(蘇軾) and Du Fu(杜甫). It seems that the editors of “PSGB” selected a total of 143 poems of Li Bai, referring mainly to “Classified and Annotated Poems of Li Taibai(分類補注李太白詩: CAPL)”, which is the earliest annotated edition of Li Bai’s poetry. It is first annotated by Yang Qixian(楊齊賢) in Song Dynasty and supplemented by Xiao Shiyun(蕭士贇) in Yuan Dynasty. This book was published during Sejong’s time, which greatly influenced the writers of the early Joseon Period.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is book seems to have been partially referenced in the classification of “PSGB”.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PSGB” and “CAPL”. “CAPL” is classified into a total of 21(22) categories by mixing style and subject classification, while “PSGB” was classified into 23體 6格 by styles and 21類 57賦 by subject. In the “PSGB”, Li Bai’s poems were reclassified by an independent standard, which is different from “CAPL”, except for three classification methods: balladmeasure(樂府體), relaxed type(閑適類), reminiscent type(懷古類). Comparing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PSGB” to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CAPL”, reveals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formal characteristics were more clearly identified by more granularity, while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by style in “CAPL”. Second, the classification of a new method was attempted with different criteria from the topic-specific classification criteria in “CAPL”.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the topic was made compared to the “CAPL”. Third, even when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method of “CAPL”, the classification w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objects rather than subject sentiment or recipients of the poem. As seen above, “PSGB” is the result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classification of “CAPL”. However,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as above, some problems are also found in “PSGB”.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of works in “PSGB”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classification recognition in the Joseon Dynasty, and need to be used as a classification standard when establishing the Sino-Korean Poetry’s DB in the future.

      • KCI등재

        등급분류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주요 국가별 등급분류체계 고찰 및 국내 등급분류체계 개선방안

        김민창,홍석만,한민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9 스포츠와 법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 도입된 증거기반등급분류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하여 과거 장애인스포츠 등급분류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주요 국가의 자체 등급분류시스템 운영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등급분류 시스템의 정착과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으로 문헌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는 등급분류 초기부터 새롭게 도입된 등급분류까지로 설정하였다. 문헌조사 단계에서는 해외 주요 국가별 등급분류 관련 보고서, IPC 등급분류 관련 자료, 연구논문, 국내 관련보고서 및 서적 등의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전문가회의 단계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등급분류전문가, IPC관계자, 특수체육 박사학위소지자, 대한장애인체육회 직원, 경기단체 직원 등 총 6명으로 구성된 전문가집단 회의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IPC 주도의 등급분류시스템의 변화를 살펴보고, 국내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새로운 등급분류시스템의 등장에 대응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한 연구결과는 첫째, ‘IPC 등급분류시스템 대응을 위한 국내등급분류 관리 표준화 시스템 구축’, 둘째, ‘등급분류시스템 전담매니저 배치를 통한 선제 상시대응 및 지속관리’, 셋째, ‘대한장애인체육회 주도의 등급분류 관련 국내외 전문인력 양성’, 넷째, ‘동아시아 등급분류연합 결성’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hange process of the disability sport classification system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evidence-based classification system led by IPC newly introduced in January 2018 and also to provide the settlement of system and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disability sports classific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leading countries . To achieve this research, this research i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expert consultation. The rang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disability sport classification to newly introduced classification in January 2018.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process of classification, domestic condition, evidence-based classification newly introduced in IPC, and the international trends related to classification system of leading countries. To do this research, we analysis and collect data such as report about classification of leading countries, data about IPC’s classification, thesis, report and publication in domestic. Based on the analyzed data, expert meeting is composed of two persons in disability sport field, a classification expert, a person interested in IPC, two persons who have a doctorate in special physical education, a person who worked at the Korea paralympic committee, and two persons from sports association to study about this research. Through this process, we suggest a practical way for Korea to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led by IPC by analyzing the domestic condition and real difficulty.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these research processes,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 These are ways for Korea to respond to change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system led by IPC. The ways are ‘Establishment of standardization management system for domestic classification’, ‘Preemptive response and sustainable management through deploy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manager.’, ‘Training professional manpower about classification led by Korea paralympic committee’, and ‘organized United Classification of East Asian.’

      • KCI등재

        음식문화 분야 인터넷자원 분류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십진분류법의 항목명 확장에 관한 연구

        정연경,이미화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4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is based upon academic disciplin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lassify for Internet resources due to its lack of up-to-datedness and practicality. Especially, heading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need to reflect practical aspects and it should be also developed for classification of web based resour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directory classifications in Internet resources and to suggest additional headings of KDC as a practical library classification as well as a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rnet resources. Directory classification systems of Naver, Yahoo, Kyobo Internet book store, Amazon were selected and their food and culture subjec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headings of KDC were compared to them and new possible headings were suggested with reference of NDC and DDC in the area of food and culture. This study provided a way of developing KDC for a classification system for Internet resources as well as library materials. 듀이십진분류법(DDC)은 문헌분류체계로 도서관에서 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을 분류하는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DDC가 주기적이며 지속적인 용어 확장을 통해 최신성과 실용성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십진분류법(KDC)은 비정기적인 개정 주기로, 용어의 최신성과 실용성이 떨어진다. KDC가 도서관뿐만 아니라 인터넷자원 분류에도 활용 가능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인 분류 항목명이 반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원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와 KDC에서 사용하고 있는 분류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KDC에 추가할만한 분류항목명을 확장 제안하였다. 네이버, 야후, 교보문고, 아마존의 디렉토리 분류체계에서 음식문화 분야의 용어를 분석하였으며, 다른 분류체계를 참조하여 KDC로의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KDC에 추가적인 분류항목명이 필요한 분야는 식품위생, 음료기술, 식품공학, 식품과 음료, 식사 및 식탁차림, 주방, 식당 공간이었으며 부족한 항목명은 음식 관련 용어 및 한식 관련 요리명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KDC의 부족한 항목명과 적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KDC가 도서관과 인터넷자원 분류에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한국십진자료분류법(KDC) 제5판 한국음악(국악) 분류체계 개선안 연구

        오진호(Oh Jin-Ho) 한국음악문화학회 2011 한국음악문화연구 Vol.2 No.-

        KDC는 우리나라의 표준분류표로서 현재 국내의 모든 공공도서관은 물론 대학도서관에서도 DDC와 병행하여 분류업무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 KDC의 체계는 DDC의 주류를 그대로 따르기도 하였으나, 우리의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분류표라는 관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현재 한국도서관협회는 KDC를 계속 수정 보완하여 2009년 제5판으로 개정하였다. 이중 음악은 670에 배정되어 있고 한국음악과 동양음악은 679 하나의 세목에 배정되어 대부분의 요목이 서양음악 그 중에서도 클래식음악 중심이다. 이는 다른 한국학분야와 조기성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음악자료의 양과 질에서도 불균형하다고 생각된다. 한국음악의 자료는 양과 질에서 팽창을 하고 있는데 비해, 자료의 분류법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분류체계는 학문의 변화와 발전에 의해 늘 새롭게 개정되고 있다. 대표적인 분류법인 DDC도 평균 5년에 한 번씩 발행 인쇄되고 있는 것은 학문의 지식과 정보가 홍수처럼 생산되고, 그 매개체 또한 인터넷을 이용하여 확장하는 속도가 엄청나기 때문이다. KDC의 한국음악 항목도 이런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개정되어야 하며 문헌 분류뿐아니라 CD, MD, 영상자료도 분류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국악원 같은 기관에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분류법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음악학의 학문분류에 대해서 검토해보고,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전통음악자료분류법, DDC 제22판, 중국도서관도서분류법, KDC 제5판의 음악분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쓰이고 있는 KDC 제5판의 한국음악 분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개선할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dealistic scheme for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The ideal classification of Korean music should cover as much knowledge and materials of Korean music as possible. In other to this, the research examin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he concept of music classification and the type of Korean musicology with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the music classification. Second, The thesis analyzed Korean Traditional Music Material Classification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NRIGH),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 Library of China Classificatio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and it raised several points. That is, DOC and NDC follow a classification of the center of the Western music. Library of China Classification has a home country-centered classification contained Sinocentrism excessively. Then classification schedules for Korean music including 679 Korean music of KDC were selected, and their expansion aspects a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The conditions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n ideal classification schedule of Korean music were sought reanalyzing the problems found in these existing classification schedul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 new classification schedule of Korean music was proposed.

      • KCI등재

        서비스경제 관점의 산업분류체계 개선 제안

        채종대,김현수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8 서비스연구 Vol.8 No.1

        산업분류(Industrial Classification)는 산업활동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구분한 것으로서, 모든 국가는 국가별 일정한 분 류 방법에 의해 체계화된 표준산업분류(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를 운용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국의 산 업활동과 관련한 통계조사를 통해 산업현황을 분석하거나,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하며, 또 국가 간 비교에도 이용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2차 산업혁명 이후, 국가 간 경제·산업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국제적인 표준산업분류 기준의 필요 성이 대두됨에 따라 유엔통계처(UNSD)는 영국의 경제학자 콜린 클라크가 1940년 산업을 1차(원시산업)ㆍ 2차(가공산 업)ㆍ 3차(서비스산업)로 구분한 산업 3분류를 기초로 하여 1948년에 국제표준산업분류(ISIC)를 제정하였고, 대부분의 국가가 이를 원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표준산업 분류(ISIC)와 각국의 표준산업분류는 제정 이후, 수차례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이들 표준산업분류가 거의 예외 없이 2000년대에 들어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 개정 사유가 신생산업의 출현으로 인한 산업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라는 것과 그 개정 내용이 주로 3차산업 영역의 대분류 항목을 신설ㆍ세분하거나, 1ㆍ2차산업 영역 소속의 산업들이 3차산업 영역으로 소속 이동하는 형태라 는 공통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공통적 현상의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현 분류체 계들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서비스경제 관점에서의 새로운 산업분류체계의 방향을 고찰하고, 새로운 분류체계의 개념 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본 제안 모델을 검증하고 신 분류체계 연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a systematic taxonomy of industrial activities and the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s used in all country by their own a consistent classification method. Therefore, it is employed to analyze current status of industry affairs using statistical investigations in terms industrial activities for making industrial policies and to compare industrial activity among countries. Since the Second Industrial Revolution, the need for the homogenous standard of industrial classification among countries emerged as the economic and industrial exchanges between the countries have became more active. In 1940, Colin Clark who british economist divided the industry into the first (primitive), second (processed), and third (service) industries. Based on this, the United Nations Office for Statistics (UNSD) established 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SIC) in 1948, which most countries invoke it. ISIC(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and the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s of countries have reached the present after several revisions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In the 2000s, the standard industry classification is amended to reflect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mainly featuring the creation and segmentation of sections in the tertiary industry domains. It also shows that primary and secondary sectors are shifting to tertiary industry. In this study, the causes of these common phenomena are systematically identified and the problems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s have been analyzed. Also proposed is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from a service economy point of view and the conceptual model of the new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through this study and to carry out various new classification system studies.

      • KCI등재

        「일본유용수산분류표」의 특징과 편찬 목적에 대한 분석

        서경순,이근우 한국수산경영학회 2023 수산경영론집 Vol.54 No.3

        『일본유용수산지』 편찬과정에서 미리 발간된 「일본유용수산분류표」는 수산 동식물을 하나의 표로 분류·정리한 첫 자료이다. 그러므로 이 「분류표」는 당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다만 동물학회는 이 「분류표」가 전통과 현대적 분류가 뒤섞여 있고, 오류가 너무 많다고 즉각 지적했다. 그러나 「분류표」를 작성한 야마모토 요시카타와 내용의 검토를 담당한 다나카 요시오는 전통적인 분류법의 신봉자도 아니었고, 현대 분류법에 대해서도 무지한 사람도 아니었다. 그럼에도 당시 잘 알려진 동물 분류와는 사뭇 다른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예를 들어, 해양 생물의 상위 분류는 같은 수준의 분류 계급이 아니며, 문(門)과 강(綱)을 함께 쓰고 있다. 수충부에는 절지동물문, 극피동물문, 연형동물문, 강장동물문 등 여러 문(門)이 함께 들어 있다. 이처럼 당시 동물학계에서는 「분류표」의 동물 분류법을 납득하기 어려웠다. 이 특이한 분류법은 「분류표」가 유용한 수산물의 분류를 의도한 것이고, 학술적인 분류를 그대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모든 수산물의 학술적 분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산물의 수집·제조·수산업 종사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본유용수산지 의 이러한 원칙은 일본수산포채지 나 일본수산제품지 에서도 확인된다. 수산물의 수집·가공과 관련해서 포유류인 고래를 잡는 방법과 고래를 해체하고 기름과 고기를 얻는 방법을 학술적 분류에 따라 보여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 책에서는 마른 오징어, 전복, 상어 지느러미, 해삼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당시 가장 중요한 수산물이 먼저 제시된 셈이다. 다소 기이한 분류표 내용을 보면 일본유용수산지 의 편찬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The ‘Japanese Useful Fisheries Classification Table’, published in advance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Useful Fisheries of Japan”, is the first data to classify and introduce fisheries animals and plants in a single table. Therefore, it had received public attention immediately. However, The academy of animal studies at that time quickly pointed out that this classification table was a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classifications, and that there were too many errors. However, Yoshio Tanaka, who was in charge of revising Yamamoto Arikatana, that wrote the classification table, was not an adherent of traditional taxonomy, nor was he ignorant of modern taxonomy. Nevertheless, the classification table, which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well-known zoological classification at that time, was prepared. For example, the top classifications of marine organism are not at the same level, but rather a mixture of phylum and class, while the water insect contains several phylums, including Arthropoda, Echinodermata, Mollusca, and Coelenterata. As such, the method of classification of animals in the classification table was hard to understand in the zoological academy at that time. The reason for this unusual taxonomy was that the classification table showed classification of useful fisheries products, not intended to convey academic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it is not for the purpose of academic classification of all fishery products, b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tandards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engaged in the collection, manufacture, and aquaculture of fishery products. This principle of ‘Useful Fisheries of Japan’ is also ascertained in the “Fishing Methods of Japan” and “Fishery Products of Japan”. Regarding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marine products, it could have shown how to catch whales, which are mammals, and how to dismantle whales and obtain oil and meat, according to academic classifications. However, the first appearances in the book include dried squid, abalone, shark fins, and sea cucumbers. In other words, the most important fishery products at that time are presented first. The contents of the classification table, which is considered somewhat bizarre, show where the purpose to compile Useful Fisheries of Japan.

      • KCI등재

        게임 등급분류의 특례와 자율규제

        황승흠(Hwang, Seung Heum)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26 No.3

        등급분류는 검열을 대체하여 표현물 규제의 핵심 장치로 작동하고 있다. 도입의 역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등급분류의 원형은 영화 등급분류이며 다른 매체의 등급분류는 영화의 등급분류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게임 등급분류도 영화 등급분류에서 출발하였지만 게임이 가지는 특성, 즉 사행성과의 긴장이라든가 디지털 콘텐츠로서의 특성 때문에 등급분류의 원형과는 다른 특례를 가지게 된다. 무엇보다도 게임물관리위원회라는 영상물등급위원회와 독립된 별개의 기관에서 등급분류를 담당한다.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인터넷 유통이라는 특성으로 인해서 자율규제라는 새로운 거버넌스 체제가 도입되고 있다. 글에서는 영화 등급분류를 원형으로 하는 등급분류의 의의와 법적성격에 대해서 검토해 보고 이를 기준으로 게임 등급분류의 특례를 분석한다. 그 이후에는 자율규제의 설명을 위해 등급분류의 모델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게임 등급분류의 자율규제를 살펴본다. 끝으로 이상의 논의를 기초로 하여 게임 등급분류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The classification is working as the key regulation of contents in place of the censorship. As we know the history of introduction, the prototype of classification is the film classification and the classifications of different media is derived from it. However, the game classification also starts out of the film classification,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game, that is, the tension with gambling or digital contents, the game classification has the exception in comparison of prototype. Above all, the Game Rating and Administration Committee, independent of the Korea Media Ratings Board, is in charge of the game classification. Because of the distribution by internet of digital contents, the new governance that is called the self-regulation is introduced to the game classification. This paper reviews the meaning and legal nature of classification that the prototype is the film classification and analyses the exception of game classification. Next, the classification models is reviewed for the explanation of self-regulation and on the base of it, examines the self-regulation of game classification. At the end,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game classification i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