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식 "미술가" 개념의 탄생 : 전전(戰前) 미술의 대중화, 인민화 문제를 중심으로

        홍지석 ( Ji Suk Hong ) 북한연구학회 2013 北韓硏究學會報 Vol.17 No.1

        1950년 이전 북한에서 진행된 ``북한식 미술가`` 개념의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사회주의의 도입 내지는 이식과 맞물려 요구되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예술``의 형성이다. 이것은 ``노동계급의 위대한 창조적 역할``을 확인하고 "노동계급을 정치경제문화의 창조에 있어서 참된 주인공이자 주동력으로" 고양시키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 ``대중성,`` ``인민성``이 당시 북한문예비평의 핵심 테제로 등장한 이유다. 이것은 한편으로 프롤레타리아 출신 작가의 등장을 고무하는 방향으로, 다른 한편으로 기성 작가들의 의식 개조와 태도변화를 촉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됐다. 당시 북한미술은 ``대중성,`` ``인민성``의 기치 하에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규범적 코드에 입각해 작업하는 비전문 미술신인들을 적극 양성했다. 평양미술대학에서 졸업생이 배출되기 전부터 북한미술계에는 미술연구소와 미술제작소 등을 경유한 다수의 비전문 신인미술가가 배출되었고 이들이 체제성 립기 급증한 미술제작 수요를 감당했다. 다른 한편으로 당시 북한에서는 일제시기에 데뷔한 기성작가들을 ``인간정신의 엔지니어``. ``생산자로서의 작가``로 변모시키는 작업이 적극 추진되었다. 프롤레타리아 출신 작가의 출현이 아직 요원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에서 당시 북한에서는 기성작가들을 프롤레타리아적으로 개조할 방안으로 현지파견이 일상화되었다. 그 과정에서 자유로운 개성을 구가하는 예술가의 모습은 자취를 감추게 됐고 미술가의 평가기준은 질에서 양으로 대체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1950년대 후반 도식성 논쟁과 관련하여 역풍을 맞기도 했지만 체제 정착기인 1960년대 이후 적극 계승되어 오늘날 북한미술의 특징적인 양상의 기초가 되었다. 작품의 끊임없는 개작과 집체창작, 만수대창작사로 대표되는 오늘날 북한미술의 특징은 전전 소비에트 문예의 영향 하에 전개된 미술가 개념의 재형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Artist`` in North Korea from 1945 to 1950 by analyzing the art critic texts published in the North Korea during the same period. At that time, North Korea art world had becom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rtist`` unlike in the past. North Korean Artist and Art Critics accepted the socialistic realism which regard artist as "engineer of human souls"(Joseph Stalin) and tried to become new type of Artist as a member of new socialistic system. The slogan which lead this movement is ``Popularity`` and ``Proletarian Art`` New figures appeared in the North Korean art world at that time produced their work as a engineer or producer of art. And old members of North Korean art world tried to change their concept of art and ways of working following new canon or type of socialistic art. As a result, old concept of artist, like ``free will of the individual`` or ``genius`` became no longer applicable. This concept of Artist in which had established from 1945 to 1950 has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every aspect of North Korean Art. For example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North Korean Art like adaptation(remaking), collective working is the legacy of new concept of artist established from 1945 to 1950.

      • KCI등재

        월북미술가의 북한에서 작품 및 활동 연구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따른 작품의 주제별 연구를 중심으로

        오병희 ( Oh Byung 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월북미술가는 1940년대 중후반 해방공간의 시기와 6.25 전쟁 기간에 거쳐 북한으로 들어간 미술가를 말한다. 이들은 남한에서 북한으로 월북한 후 미술가들을 교육하고 작품 제작을 하는 등 북한미술을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월북미술가들이 1988년 해금되면서 한국에서 월북미술가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졌다. 이 후 세계적으로 이념의 대립시대가 끝나가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 이념적 대립이 완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에 관한 연구가 다각적으로 진행된다. 본 연구는 북한에서 미술 기반을 형성하였고 작품 활동을 한 월북미술가의 창작한 작품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주제별로 연구하였다. 냉전체제에서 소련, 중국, 북한 등 사회주의 국가의 예술 창작의 기본 방침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이다. 북한미술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근간으로 북한 당국의 지침에 따르는 사회주의 노선에 근거를 둔 작품이다. 이러한 방침에 따라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가들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바탕을 둔 기법과 정부가 제시한 주제의 작품을 그린다. 따라서 북한당국의 정책에 따른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은 시기별로 내용별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미술사』를 근거로 시기 구분을 하였으며, 월북미술가들은 제1시기에 인민군을 묘사하거나, 김일성의 항일투쟁의 사적지, 북한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관한 내용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제2시기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인민의 행복을 주제로 한 작품을 그린다. 제3시기는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위해 농민과 노동자들이 활기차게 생산을 하는 사회주의 리얼리즘 계열의 작품을 그렸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시기별 특징을 지닌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을 주제별로 다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한 주제별 항목은 사회주의 체제를 지지하는 작품, 사회주의 경제의 기반인 노동자, 농민을 그린 작품, 사회주의 사상을 담은 풍경화, 풍속화 등 3가지이며 그 안에 구체적인 주제로 다시 분류하여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월북미술가들의 작품에 관한 주제별 연구를 통해 월북미술가와 북한미술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연구토대가 될 것이다.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 Korean artists who have migrated from South Korea to North Korea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and the Korean War. Many of these artists have contributed to North Korean art as both artists and educators. In the Republic of Korea(South Korea), study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was prohibited until 1988. Once the ban was lifted and the political antagonism between the two Koreas abated, lively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followed, from many angles. This study looks into South-North Korean artists, whose contributions to North Korean art were considerable, by period and theme. During the Cold War, Socialist Realism was a fundamental, guiding principle of art-making in Socialist nations such as the Soviet Union,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n art is based on the Socialist route per government guidelines. Therefore, North Korean artists, including South-North Korean artists, are notable for art of subject matter and techniques based on Socialist Realism. Art by South-North Korean artists can be grouped by period and contents, a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s policies. In the first period, guided by Chosun Art History, South-North Korean artists would either depict soldiers or sites of Kim Il-Sung’s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army, or work with the theme of North Korea’s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In the second period artists’s main theme was the people’s happiness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 third period can be characterized by a Socialist Realism in which productive farmers and urban laborers could be seen hard at work. This study investigates such South-North Korean art by theme. I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three broad categories: art about the Socialist system, art depicting rural and urban laborers, and landscapes or genre paintings expressing Socialist thought; and I have also identified subcategories. This theme-based research on South-North Korean artists’ practices will contribute to our systematic understanding of South-North Korean artists and North Korean art.

      • KCI등재

        북한미술 연구 동향과 과제

        신수경 ( Shin Sookyung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북한미술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연구 주체와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북한미술 연구사에 대해서는 약 20여 년 동안 여러 연구자들이 고찰한 바 있다. 그런데 ‘북한미술연구’라는 같은 대상을 논의하면서도 시기에 따라, 연구자에 따라 관점과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것은 뒤집어서 생각하면 북한미술, 또는 북한미술 연구사가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연구가 가능한 분야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각 정권의 대북정책에 따른 연구 동향을 2000년대까지는 개괄적으로 다룬 대신 2010년대 이후, 특히 문재인 정부 들어서서 북한미술 연구에 어떤 변화와 성과가 있었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2018년 벽두, 남북 두 정상 간의 만남으로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북한미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 결과 개별 연구자는 물론, 학회·대학교 부설 연구소·정부산하 기관 등에서 연구에 박차를 가하면서 조선화나 미술정책에 집중되었던 주제에서 벗어나 포스터ㆍ자수ㆍ조각 등 연구 분야가 다양해졌으며, 새로운 연구자들의 활동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활발해진 연구만큼 앞으로 풀어야할 과제도 많다. 그동안 별다른 검토 없이 사용해왔던 ‘북한미술’이라는 용어를 비롯해, 북한미술의 기점, 범위 등에 대해서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북한미술 연구의 가장 큰 어려움인 작품의 진위 감정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할 것이다. 이 글이 이러한 과제들을 함께 고민하고, 논의하는 계기가 되어 앞으로 북한미술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article focuses on the subject and the subject of the study on how the study of North Korean art. For about 20 years, various researchers considered North Korean art history. However, while discussing the same subject as “study of North Korean ar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and methods depending on the timing of the research. It also means that North Korean art, or North Korean art research, can be studied in various way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article, which looked at the research trends of each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dealt with them in general until the 2000s. Moon Jae-in, in particular since the 2010 instead focus on the administration that North Korea has any change in the study and performance art. The 2018 meeting between the two leaders of South and North Korea has raised expect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as well as interest in North Korean art. As a result, individual researchers as well as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affiliated institutes attached to Hagyeondeung University were encouraged to do their research. As a result, various research genres such as posters, embroidery, and sculptures have become more diverse than the subjects that were focused on Joseonhwa or art policies. There has also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ity of new researchers. However, there are as many tasks to be solved as there are more active studies. The term “North Korean art,” which has been used without much consideration, the basis of North Korean art, and the scope of research should be reviewed from scratch. In addition, they will have to discuss in-depth how to feel the authenticity of the work, the biggest difficulty in studying North Korean art. We hope that this will lead researchers to contemplate these tasks together and further boost their research on North Korean art in the future.

      • KCI등재

        초기 북한미술과 소련미술의 영향 관계 연구: 1950년대 유화와 포스터를 중심으로

        안민영 미술사학연구회 2022 美術史學報 Vol.- No.58

        This study aims to prove how Soviet socialist realism influenced the North Korean art by examining art exchange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days. For this purpose, oil paintings and posters from North Korea in the 1950s were targeted, and themes and styles between North Korean and Soviet ar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rt world was examined. After liberation,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tried to remove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colonial-era art community, and pursued Soviet socialist realism as an alternative. Accordingly, North Korea imported Soviet art magazines such as “Огонёк ”, “Искусство ” and sent North Korean students to the Soviet Union to be trained as art experts. These students who studied in the Soviet Union played roles to spread socialist realism to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by becoming art college professors or translating Soviet art books after returning home.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the propaganda function of North Korean art had been 60 strengthened and more posters were produced refering to war posters by Soviet artists. In their own war posters, North Korean artists borrowed the themes, compositions, and images of posters made by Soviet artists, but, at the same time, formed variations in detailed images to reflect national characteristics. After the Korean War ended in 1953,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has made efforts to rebuild. In 1953, Byun Wol-ryong(1916-1990), a professor at the Lepin University of Art in the Soviet Union, who was dispatched to North Korea, taught socialist realism to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by emphasizing to find the subject of the work in reality in order to liquidate formalism and to make the most of national characteristics. From 1956 to 1959,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witnessed rapid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1956, after Nikita Khrushchev(1894-1971)’s speech criticizing the individual worship of Joseph Stalin(1879-1953) at the 20th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the Soviet Union, the thaw began in the Soviet art community. Accordingly,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also tried to remove traces of Stalin’s personal worship. In addition, under the atmosphere where lyricism and romanticism were more valued, North Korean artists produced many landscape paintings. During his visit to North Korea in 1956, Klimasin(1912-1960) inspired many North Korean artists in connection with landscape painting. However, in the late 1950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and the Soviet art community changed. Regarding the realization of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ne of the official aesthetics of Soviet socialist realism,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paid attention to ‘Joseonswha(Joseon painting)’. Accordingly, the influence of the Soviet art community, which focused on oil painting, on North Korea has weakened. In addition, as North Korean artists visited the Eastern European Museum of Art and saw many Eastern European artworks, and as Chinese ink paintings were exhibited in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art community had various exchanges with not only the Soviet Union but also China and Eastern European countries. 본 연구는 초기 북한과 소련의 미술 교류를 살펴보며 북한미술계에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어떻게 전수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50년대 북한의 유화와 포스터를 중심으로 소련 작품과의 주제와 도상 및 화풍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 미술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북한미술계는 해방 이후 일제강점기 미술계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지향점으로 삼았다. 이에 따라 『오고뇨크 Огонёк』, 『이스쿠쓰트보 Искусство』 등과 같은 잡지 수입을 통한 물적 교류뿐 아니라 미술 전문인 양성을 위한 소련유학생 파견 등의 인적 교류를하였다. 소련유학생들은 귀국 후에 미술대학 교수로 임용되거나 소련미술 서적 번역 등을 통해 북한미술계에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북한미술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선전의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으며, 소련화가들의 독소전쟁 포스터를 참고한 작품이 다수 제작되었다. 북한미술가들은 주제 의식 및 구도와 도상에서 소련 전쟁 포스터를상당 부분 차용했다. 그러나 세부 도상 표현에서는 변주를 주어서 민족적 특성을 반영하였다. 1953년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북한미술계는 전후 복구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무렵 소련에서 파견된 레핀미술대학 교수 변월룡(邊月龍, 1916-1990)은 북한미술가들에게 현실에서 소재를 얻음으로써 형식주의를청산하고 민족적 특성을 살릴 것을 강조하며 북한미술계에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전수했다. 1956년에서 1959년에 이르는 시기에 북한과 소련은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급격한 변화가나타났다. 소련은 1956년 소련공산당 제20차 대회에서 스탈린(Joseph Stalin, 1879-1953) 개인숭배를비판하는 흐루쇼프(Nikita Khrushchev, 1894-1971)의 연설 이후, 미술계에 해빙기가 도래하였다. 북한미술계 역시 스탈린 숭배 관련한 흔적을 지우려 했으며 서정성과 낭만이 강조되는 분위기에서 이 시기풍경화가 다수 등장하였다. 1956년 클리마신(Victor Klimashin, 1912-1960)의 방북 또한 풍경화를 제작하던 북한미술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에는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공식 미학 중 하나인 민족적 특성의 구현과 관련하여 북한미술계는 조선화에 주목하게 되었고, 1950년대 북한미술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던 소련미술과의 관계는 변화하게 되었다. 거기에 동유럽 국가와의 경제 및 문화협정 체결에 따른 북한 미술가들의동유럽 방문과 중국 국화 원화 작품의 북한 전시 등이 활성화되면서 북한미술계는 중국과 동유럽 등과의 다양한 교류로 확장되는 양상이 전개되었다.

      • KCI등재

        북한 산업미술의 전개과정 고찰 : 1994~2015

        최희선(Choi, Hees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4

        연구배경 : 북한 산업미술(디자인)은 노동당의 문예정책과 경제정책의 접점에서 성장한 미술의 한 분야이다. 북한 산업미술은 21세기 초반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데 본 연구는 그 변화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과거 20년간의 북한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 연구 방법으로는 1994~2015 상반기 까지 북한 정기간행물에 소개된 디자인 기사와 관계 논설들을 조사하여 김정일, 김정은 두 지도자의 시대별로 내용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 과거 20년간 북한의 산업미술 전개 과정을 설펴본 결과, 90년대 중반 북한 산업미술은 창작 규모가 축소되었고, 90년대 말 경제침체 극복과 체제강화를 위한 선전 포스터와 기념비 도안들이 중요시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1세기 들어 북한 산업미술은 과학화, 기술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2010년을 기점으로 국가 산업미술을 통합하는 중앙디자인센터 설립정책을 추진하여 중앙의 지도·통제 및 심의·등록체계를 정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은 2012년 이후 정기 국가전시회를 개최하고 있는데, 2013년부터는 김정은의 지도로 창작된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었다. 또한 북한에서는 최근 평양을 중심으로 대규모 건설사업에 필요한 건축장식미술과 거리 간판도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결과 밝혀졌다. 결론 : 위의 고찰을 통해 필자는 북한 산업미술이 과거 20년 동안 규모면에서는 성장하였지만, 국가 주도로 수동적으로 성장함으로써 자국의 디자인시장을 구축하고 해외제품과 경쟁할 수 있는 질적인 성장을 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Background : North Korean industrial design is a type of art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culture-arts and economic policy. North Korea has taken great strides in design since the start of 21st century. Methods : This paper examines the design policy over the past 20 years as a way to collect and analyze journals articles of North Korean Arts published 1994-2015;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eriods by Kim Jong Il(1994~2011) and Kim Jong Un(2012~2015) era. Result : This paper found that North Korean design fell on hard times in the 90s for reason of economic stagnation, and that Workers‘ Party of Korea forced designers produced many propaganda posters and memorial monuments under Kim Jong Il regime. Since the turn of 21st century, North Korea has put emphasis on technical and scientific policy in design, and it planned to merge design organizations into one newly combined system, a National Design Center in 2010. Conclusion : But as a result of that, this paper argues that there"s a limit to the active growth of North Korean design because it has been passively grown by government in the past 20 years.

      • KCI등재

        1950년대 북한과 동유럽의 미술 교류와 정현웅

        김승익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rt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Eastern Europe in the 1950s and, in this context, the work of artist Jung Hyunwoong, an artist who defected to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From the time of the Korean War, North Korea began actively engaging in artistic exchange with Hungary and other newly-established socialist states in Eastern Europe. Eastern European artists took socialist-realist depictions of North Korea’s wartime suffering as their main subject, while North Korea was active in organizing overseas exhibitions to promote the image of “[North] Korea fighting” on behalf of the socialist bloc. “For the Freedom of Korea,” an exhibition held in Hungary in 1953, was North Korea’s first large overseas exhibition. Attracting much attention, it becam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increased artistic exchange between North Korean and the rest of the world. Jung Hyunwoong’s production of copies of Goguryeo tomb murals provided an impetus for spreading North Korean traditional art overseas. These works were first exhibited in Hungary in 1956; from then on, Goguryeo tomb murals were presented in overseas exhibitions as the origin of North Korean art. Meanwhile, human and material ex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Eastern European states was expanded through a series of cultural agreements signed from 1955 onward. As part of these exchanges, North Korean traditional craft and cultural heritage items were donated to Eastern European museums, while Eastern European artists continuously visited North Korea and held exhibitions there. In the same way, Jung Hyunwoong and other North Korean artists made ongoing visits to and held large-scale exhibitions in Eastern Europe. The “Exhibition of [North] Korean Plastic Art,” held in Germany and then in Hungary in 1959, offered a large-scale and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achievements of North Korean art in the 1950s, illustrating the dynamism of the country’s arts scene in this decade. 이 논문은 1950년대 북한과 동유럽의 미술 교류 양상과 그 속에 월북 화가 정현웅의 활동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은 헝가리를 비롯한 신생 사회주의 동유럽 국가들과 6·25전쟁 기부터 활발한 미술교류를 시작했다. 동유럽 미술가들은 전쟁으로 고통 받는 북한의 모습을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구현하는주요 소재로 삼았고, 북한은 사회주의 진영을 대신하여 “싸우는 조선”의 모습을 선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해외 전시를 추진하였다. 1953년 헝가리에서 개최된 《조선의 자유를 위하여》는 북한 첫 대규모 해외미술 전시로 큰 주목을 끌었고1, 950년대 북한 미술의 국제적 교류가 활발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정현웅의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제작은 북한의 전통 미술이 해외로 확산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그의 고분벽화 모사도가 1956년 헝가리에서 처음으로 전시되었는데, 이후 북한 미술의 해외 전시에서 고분벽화는 북한 미술의 기원으로 지속적으로 소개되었다. 또한 1955년부터 체결된 일련의 문화협정으로 북한과 동유럽 국가들과의 인적, 물적 교류가 확대되었다. 문화 교류의 일환으로 북한의 전통 공예나 문화재들이 동유럽 박물관에 기증되었고, 동유럽 국가들의 화가들이 방문과 전시회가 이어졌다. 정현웅을 비롯한 북한 미술가들의 동유럽 방문과 북한 미술의 대규모 해외 전시도 지속되었다. 1959년 독일과 헝가리에서 연이어 개최된 《조선 조형예술전람회》는 1950년대 북한 미술의 성과를 집대성한 대규모 전시로 1950년대 북한 미술이 지닌 역동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기 북한과 소련의 미술 교류 -1945~1953년간 북한문예지 미술 비평 텍스트를 중심으로-

        홍지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1 중소연구 Vol.35 No.2

        이 글에서는 1945년에서 1953년에 이르는 기간, 북한에서 발표된 미술비평 문헌들을 중심으로 소련과 초기북한미술의 교류 양상을 검토한다. 초기 북한미술의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은 북한과 소련의 미술교류다. 이 시기 북한미술은 소련미술에 대한 학습과 체화를 통해 변화와 성장의 동력을 얻었다. 당시 북한미술가들은 소련미술을 학습하는데 열중했고 이를 통해 미술에서 낡은 과거의 잔재를 청산하고 사회주의로 지칭되는 새롭고 보편적인 미술의 흐름에 동참하고자 했다. 초기 북한 미술은 제작태도, 작가관, 작품의 형식과 내용, 제도, 미술사 서술의 전 영역에서 소련 미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결과적으로 북한미술의 소련미술 학습과 체화는 유럽(소련)중심의 미술 이론과 개념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양상을 띠게 됐다. 말하자면 그것은 서구중심적인 레드오리엔탈리즘(red orientalism)의 틀에서 진행된 타자화의 성격을 갖는다. 물론 이 기간에 북한미술계가 전통 내지는 민족미술을 도외시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당시 북한미술계의 전통, 민족형식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소비에트 문예이론이 허용하는 틀에서 행해졌다. 1950년대 중반 이후 북한미술담론에서 형성기 소련에서 받은 영향은 점차 지워지게 됐다. ‘우리식’을 강조하는 주체사상은 소련으로부터의 영향보다는 내재적 발전논리를 강조하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5년에서 1950년대 초에 북한미술에 미친 소련미술의 영향은 오늘날 북한미술의 형성에 절대적인 의의를 갖는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사회주의리얼리즘이 요구했던 ‘전형성’과 ‘낙관성’은 이후 북한미술의 내용과 형식에(과도하다고 할 정도로) 철저하게 관철됐다. “사람들의 생활과 투쟁을 묘사한 인물화”를 그려야 한다는 소위 주체시대 김일성의 발언 역시 그 기원을 소련 사회주의리얼리즘에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효율과 효과, 정량화된 성과를 중시하는 기술자로서의 예술가상 역시 소련의 영향 아래 있던 초기북한미술에서 형성된 것이다. 이렇듯 형성기 북한미술을 소련과의 관련에 초점을 두어 관찰하는 일은 그것을 하나의 세계사적 현상으로 이해하는 시각을 제공해준다. 즉 북한미술의 형성과정은 당시 세계를 반분하던 두 세계 중 하나에서 일어났던 거대한 미술사적 흐름의 하나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of artistic interchange between North Korea and Soviet Union from 1945 to 1953 by analyzing the art critic texts published in the North Korea during the same period. This time, North Korea art had got the power of change and growth through learning and assimilating the Soviet Union art. North Korean artist of that time had considered the Soviet Union Art as the new and universal art suitable for the new socialist country. As a result, Early North Korea art had resembled Soviet Union art in all related fields - concept of art(and artist), art institutions, form and content of art work, cognition of traditional art etc. Interest about North Korea’s unique or national art tradition had been kept even in so far as Soviet Union art discourse permits. Since the late 1950’s, the effects of Soviet Union art was removed gradually in the North Korea. Because Juche theory emphasizing ‘Our way’ took the position which lay stress not on the effects of Soviet Union art but on the internal progression of North Korean Art. However If we examine North Korea art from the whole viewpoint, the effects of Soviet Union in the formation period of North Korean Art are important and crucial. First of all, ‘Typicality’ and ‘Optimism’ had required by the social realism of Soviet Union been accomplished thoroughly or excessively in content and form of North Korean art after 1960’s. And the ideas about art such as “Artist have to describe life and struggle of people” (Kim Il-Sung) are based on the social realism of Soviet Union. In short,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art need to be understood as the world historical event of the Cold-War era.

      • KCI등재

        21세기 중국에서 바라본 북한미술 -북한미술의 전시 및 유통의 확대와 새로운 사회주의 미술 취향의 형성-

        조민주 ( Cho Min Ju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33

        사회주의 정치체계를 유지하면서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한 중국은 모든 면에서 사회주의 노선을 유지하고 있는 북한과 유연하고 개방적인 자세로 교류하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는 북한미술이 많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북한식 사실주의 미술작품이 전시회와 박람회를 통해 끊임없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북한 시민의 일상, 북한의 자연과 도시의 풍경, 어린이, 동물 등을 소재로 하는 사실주의 화풍의 그림이 중국인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2019년부터 2121년까지 북한미술 전시는 중국 내에서 특별히 많이 진행되었다. 2019년은 북ㆍ중 교류 70주년, 2020년은 항미원조전쟁(6ㆍ25전쟁)으로 불리는 전쟁 발발 60주년 기념 전시가 베이징 만수대창작사 등의 미술관에서 열렸다. 중국공산당 성립 100주년인 2021년에는 북한의 사회주의 미술 전시가 상하이, 산둥성 둥잉시 등지를 중심으로 활발히 개최되었다. 북한미술은 최근 온라인 미술시장을 중심으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어 또한 매우 흥미롭다. 이 글은 21세기 북한미술이 중국에서 이해되고 소비되는 현황을 소개하고, 중국식 자본주의 미술시장에서 북한미술이 작품으로 부상하는 방식을 논의해 본다. China, which adheres to the socialist political system while having integrated the capitalist economic system, openly and flexibly accepted North Korean art and culture. Recently North Korean art has been gaining popularity in China, and North Korean realistic works are constantly being introduced through exhibitions and expositions. Specifically, realistic paintings depicting the daily life of North Korean citizens, North Korean nature, and urban landscape, and animals are gaining popularity among Chinese people. From 2019 to 2021, many exhibitions of North Korean art were held in China. Exhibitions commemorating the 70th anniversary of North Korea-China exchanges in 2019 and the 60th anniversary of the outbreak of the war in 2020, the Anti-USAid War in China (the Korean War in Korea), were held as special exhibitions of North Korean art at art museums such as Mansudae Art Museum in Beijing. In 2021, the 100<sup>th</sup>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exhibitions of North Korean socialist art were actively held in Shanghai and Dongying. Meanwhile North Korean are is expanding through the online are market. The phenomenon of the independent expansion of North Korean art in China reflects the preference for various socialist art pieces among Chinese people. This paper will introduce the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which North Korean art in the 21<sup>st</sup> century is understood and consumed at diverse levels in china. Further it will discuss how the art of North Korea is valued on the Chinese Capitalist market.

      • KCI등재

        정현웅과 1950년대 북한의 장정가들

        한상언 미술사학연구회 2018 美術史學報 Vol.- No.51

        From July 3, 2018, Han Sang Eon Cinema Institute, Chung-Ang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in Contact Zones Research Center and Seoul Metropolitan Library held a 15-day exhibition titled “Pyongyang Bookshop” in Seoul Metropolitan Library’s Special Exhibition Room. The exhibition featured a total of 250 items held by Han Sang Eon Cinema Institute and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the time of national liberation to the late 1960s, including books, magazines, postcards and posters. As such, it can be described as the biggest exhibition of North Korean books held in South Korea since national division. This study first uses the Pyongyang Bookshop exhibition to introduce the artistic work, including Goguryeo tomb mural replicas, and publishing achievements of Jung Hyunwoong, who, as the figure in overall charge of printed art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was a leading source of influence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a glimpse of printed art in North Korea under Jung’s leadership. Jung produced a large number of picture books, book cover designs and propaganda images in the 1950s and 1960s, starting with his illustrations for the magazine Uri joguk (“Our fatherland”), published in 1954. Book artist Eom Do-man was in charge of printed art from the mid-1950s at the North Korean Art Alliance Publishing House, which published the majority of literature and art-related books in North Korea. Eom produced a wide variety of works, including collections of poetry, fiction, plays, essays and criticism, and musical scores. As a rule, artists like Eom would be assigned to North Korean publishers to oversee aspects of printed art such as binding and illustration. However, there were also times when famous artists participated in book art production instead of publishers’ inhouse artists. Examples include renowned artists Park Mun-won, Jeong Gwan-cheol and Ri Seokho, who took part in the artwork and design for books published by leading North Korean writers. In addition, the works of Kim Yong-jun, Choe Eun-seok and Kim Jin-hang, key figures in the North Korean art world, help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country’s art. Though they may only constitute book art and design, digging up and studying such hidden works may offer clues in the search for North Korean art in the 1950s and 60s, little of which is remembered today. 한상언영화연구소와 중앙대·한국외대 접경인문학연구단, 서울도서관에서는 2018년 7월 3일부터 15 일까지 서울도서관 기획전시실에서 “평양책방”이라는 이름의 도서전시회를 열었다. 이 전시는 한상언영화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는 해방 후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북한에서 출판한 도서, 잡지, 엽서, 포스터등 총 250점을 전시하는 기획으로 분단 후 최대의 북한도서전시회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평양책방”의전시물들을 통해 먼저 1950-60년대 북한 출판미술의 총책임자로서 지도적 영향력을 행사했던 정현웅의 고분벽화 모사작업을 포함한 활동과 출판 사업의 성과를 소개하고 그 외 정현웅이 이끌던 출판미술계의 일면을 알아본 것이다. 정현웅은 1954년 발행된 잡지 『우리조국』의 삽화를 담당한 것을 시작으로1950-60년대에 다수의 그림책, 표지 디자인, 선전용 그림들을 제작했다. 문학, 예술관련 책들 중 다수를 발행한 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1950년대 중반부터 출판미술을 담당했던 장정가 엄도만은 시집, 소설집, 희곡집, 수필집, 평론집, 악보 등 다양한 범위를 아우르는 작품들을제작했다. 엄도만의 경우처럼 북한의 각 출판사에서는 장정과 삽화 등의 출판미술을 담당하는 미술가가배치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반면 소속된 미술가 대신 유명 미술가들이 장정가로 참여하는 경우들도 종종 있었다. 주로 북한 문단의 최고 권력자들이 펴낸 책들의 장정에 참여했던 박문원, 정관철, 리석호와 같은 유명 미술가들을 들 수 있다. 그 외 북한 미술계의 핵심적인 인물들인 김용준, 최은석과 김진항 등 여러 장정화가들의 작품들도 북한미술의 이해에 도움을 준다. 비록 출판미술에 불과하지만 이와같은 숨겨진 작품들을 발굴하여 연구하는 것은 제대로 기억되지 못하고 있는 1950-60년대 북한미술을찾아가는 데에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술 교과서로 이해하는 북한 미술교육

        정혜연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4

        North Korea's art education aims to understand Juche art and Joseon painting based on the socialist character of the Dangseong, the people, and the class(North Korea Understanding Report, 2018). Therefor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North Korea's art education compared to that of South Korea, preceding studies on North Korean art education try to compare North Korean art textbooks to South Korean textbooks, which are limited in cases. This study focuses on North Korean middle school(or elementary junior high school) 2nd grade textbooks, focusing on the overall structure of art textbooks, middle school 2nd year(the 8th grage) art (Juche 92) published in 2010 and 2nd year art textbook(Juche 103) newly produced in 2014.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North Korean art education were examined. This study used content analysis method(Krippendorff, 2004) to analyze how the Juche 103 art textbook(2014) improved from older textbooks. The Juche 103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nd grade art textbooks changed from black and white textbooks to color and increased resolution, so the visual perception was remarkably better, and the number of pages doubled from 60 pages to 113 pages. The basic method of narrative and the method of using sentences have been revised centered on the learner, and the criteria for evaluation at the end of each section are specifically presented. The standard of expression of the learner's personal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based on “life relevance” and storytelling is possible. Nevertheless, if the contents are naturalized around the table of contents, in reality,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overall structure. The content still focuses on how important moral attitude and hard manual labor are, and how great traditional North Korean beauty is, which emphasizes on the justification tha North Koean is the best(Unification Diplomatic Institute, 2018). It was confirmed that the focus of the content emphasizing loyalty to the party did not change at all. Although the contents remain the same, the major change in North Korean art textbooks seen in the description and evaluation of learners is that art education is no longe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expression and the ideology of a society is not connected like a branch from the root, but the individual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the learner is essential. 북한의 미술교육은 사회주의적 성격인 당성, 인민성, 계급을 근간으로 주체미술과 조선화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북한이해보고서, 2018). 따라서 북한의 미술교육은 우리와 비교되어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북한미술 교육 선행연구는 우리나라의 교과서를 기준으로 북한의 미술 교과서를 비교하는 연구들로 사례도 매우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북한의 중학교 2학년 공교육 미술 교과서에 관한 문헌 연구로서 2010년에 제작된 중학교 2 미술(주체 92)과 2014년에 제작된 초급중학교 2 미술(주체 103)을 비교, 분석하여 북한 미술교육의 구조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내용 분석법(content analysis)(Krippendorff, 2004)을 활용하여 주체 92 교과서에서의 미술교육이 2014년에 제작된 주체 103 미술 교과서에서 어떻게 내용상으로 학습 목표, 평가, 기술의 방식 등이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체 103 초급중학교 2학년 미술 교과서는 흑백의 교과서에서 컬러로 변화되었고 해상도가 높아져 시각적 인지도가 확연히 좋으며 교과서의 분량이 60쪽에서 113쪽으로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서술 방법의 기본 방식과 문장 사용 방법이 학습자 중심으로 개정되었고, 각 단원 말 평가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생활적 련관성”을 기본으로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타인과의 관계를 표현하도록 유도하고, 스토리텔링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그 내용을 목차 중심으로 귀추화 해보면 실상 전체 구조의 변화는 크게 존재하지 않는다. 조선화의 근본적 사상, 즉 조형적 형상을 통하여 인간과 생활을 생동하게 인간과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생활 수단과 환경을 고상하게 꾸리는(통일외교원, 2018) 주제화를 강조하고 있다. 즉 도덕적이고, 노동을 찬양, 당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는 내용의 중심은 맥이 전혀 달라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내용은 그대로임에도 학습자에 관한 서술과 평가에서 보이는 북한 미술 교과서의 큰 변화는 예술교육이 더 이상 지식과 표현의 습득이 아니며, 한 사회의 이념이 뿌리에서 가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개인의 이해와 표출이어야 함이 북한의 교육에서도 인정됨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